KR100651020B1 - A structure for portable acoustic device with two way micro speaker - Google Patents

A structure for portable acoustic device with two way micro sp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020B1
KR100651020B1 KR1020050046758A KR20050046758A KR100651020B1 KR 100651020 B1 KR100651020 B1 KR 100651020B1 KR 1020050046758 A KR1020050046758 A KR 1020050046758A KR 20050046758 A KR20050046758 A KR 20050046758A KR 100651020 B1 KR100651020 B1 KR 100651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unit
unit
speaker
sound
twe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상문
방기창
김태순
양용창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46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0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0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An exterior speaker structure using a both 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is provided to efficiently output an electric signal to a sound by having high efficiency through a duct structure. A speaker body(22) has a circuit for amplifying a signal. A speaker unit(24) reproduces a sound. A both 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speaker unit(24). A sealed resonant space unit coupled to a magnetic space unit of a vibrating plate through a ventilation hole of a woofer unit of the both 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is formed on the speaker unit(24). A sealed resonant space unit coupled to a magnetic space unit of the vibrator through a ventilation hole of a tweeter/squawker unit is formed on the speaker unit(24). A duct unit to reflect a generated sound is formed on a front part of the woofer unit and a tweeter/squawker unit of the both 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 separation membrane separates the resonant space unit coupled to the woofer unit of the both 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nd the resonant space unit coupled to the tweeter/squawker unit for minimizing an interference of the sound.

Description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이용한 외장형 스피커 구조{A STRUCTURE FOR PORTABLE ACOUSTIC DEVICE WITH TWO WAY MICRO SPEAKER}External speaker structure using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 STRUCTURE FOR PORTABLE ACOUSTIC DEVICE WITH TWO WAY MICRO SPEAKER}

도 1은 종래의 단방향 외장형 스피커 구조의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unidirectional external speaker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이용한 외장형 스피커의 개략도.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ternal speaker using a two-way micro speak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이용한 외장형 스피커의 스피커부의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unit of an external speaker using a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이용한 외장형 스피커의 스피커부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unit of an external speaker using a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이용한 외장형 스피커의 스피커부의 일부 절개 사시도.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speaker unit of an external speaker using a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단방향 외장형 스피커 11: 몸체10: one-way external speaker 11: body

12: 탑 플레이트(top plate) 13: 영구자석12: top plate 13: permanent magnet

14: 요크(yoke) 15: 보이스코일(voice coil)14 yoke 15 voice coil

16: 진동판16: diaphragm

20: 본 발명의 양방향 외장형 스피커20: bidirectional external sp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22: 몸체 24: 스피커부22: body 24: speaker unit

24a: 스피커부 몸체
30: 우퍼부 30a: 진동판
30b: 보이스 코일 30c: 자기공간부
31: 요크 31a: 영구자석
31b: 탑플레이트(top plate)
32: 트위터/스쿼커부 32a: 진동판
32b: 보이스 코일 32c: 자기공간부
33a, 33b: 통풍홀
24a: speaker unit body
30: woofer part 30a: diaphragm
30b: voice coil 30c: magnetic space part
31: York 31a: permanent magnet
31b: top plate
32: tweeter / squaker part 32a: diaphragm
32b: voice coil 32c: magnetic space part
33a, 33b: ventilation holes

34a, 34b: 공명공간부 36a, 36b: 덕트부34a, 34b: resonance space portion 36a, 36b: duct portion

38: 차단막38: barrier

본 발명은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이용한 외장형 스피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의 음향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공명공간부과 양방향 덕트 구조를 가지는 소형 포터블 음향장치의 스피커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speaker structure using a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aker structure of a small portable acoustic device having a resonance space portion and a bidirectional duct structure in order to improv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 bidirectional micro speaker.

일반적인 외장형 스피커는 영구 자석과 보이스코일 사이에 자력과 전류가 플래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만들어 내는 힘에 의해 보이스 코일에 부착된 진동판을 진동시켜 그 진동으로 인하여 소리를 만들어 낸다. A typical external speaker vibrates the diaphragm attached to the voice coil by a force generated by magnetic force and current according to Flaming's left hand law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voice coil, thereby producing sound.

종래의 외장형 스피커는 진동판을 하나만 가지는 단방향 스피커로 소리를 한 방향으로만 방출하게 되며 진동판의 재질과 구조적 크기와 같은 변수를 이용하여 그 특성을 선정하여 필요한 부분에 사용하게 되는데, 소형화 되면 저주파대역(20Hz~1KHz)의 음향특성이 나빠지고 고,중주파대역(1KHz 이상)의 특성이 향상되는 현상이 있어 소형화에 한계가 있으며, 두 가지 특성을 모두 살리기 위해서는 최소 2개 이상의 스피커를 사용해야 한다.The conventional external speaker is a unidirectional speaker having only one diaphragm and emits sound in only one direction, and selects its characteristics by using variables such as material and structural size of the diaphragm and uses it in a necessary part. There are limitations in miniaturization due to the deterioration of acoustic characteristics of 20Hz ~ 1KHz and high and medium frequency band (1KHz and above), and at least two speakers must be used in order to make use of both characteristics.

도 1은 종래의 단방향 외장형 스피커 구조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unidirectional external speaker structur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단방향 외장형 스피커(10)는 스피커 몸체(11)에 단방향으로 스피커의 음이 방사되는 구조의 스피커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방향 외장형 스피커는 음이 한쪽방향으로만 방사되며, 트위터/스쿼커부만으로는 저주파부의 음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 없으므로, 상기의 스피커와는 별도의 우퍼부를 설치하여 저주파부의 음의 특성을 살리고 있는 실정이다. 즉, 2개의 스피커(우퍼, 트위터/스쿼커)를 설치하여 음을 재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unidirectional external speaker 10 is provided with a speaker uni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sound of a speaker is radiated in a unidirectional direction to the speaker body 11. Such a unidirectional external speaker emits sound in only one direction, and since the tweeter / squaker part alone cannot fully utilize the sound characteristics of the low frequency part, a woofer part separate from the speaker is utilized to utilize the sound characteristics of the low frequency part. It is true. In other words, two speakers (woofer, tweeter / squaker) are installed to reproduce sound.

본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저음부의 우퍼부와 고음부의 트위터/스쿼커부를 일체로 형성한 '전자기파가 증대된 이동 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특허출원번호 제10-2002-0082525호)를 발명하여 2002년 12월 23일자로 출원하였으며, 진동판의 진동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우퍼부측 뿐만 아니라 트위터/스쿼커부측지지 프레임에도 통풍공을 형성시키고 진동판의 면적을 최적화함으로써 트위터/스쿼커부측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효율적으로 구현하여 음의 균일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진동력을 증대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특허출원 제10-2004-0005510호)를 발명하여 2004년 1월 28일자로 출원하였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e woofer part of the bass unit and the tweeter / squaker part of the treble unit are integrated 'bidirectional micro speak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ncreased electromagnetic waves' (Patent Application No. 10-2002-0082525) Filed on December 23, 2002, and in order to maximize the vibration force of the diaphragm, the tweeter / squaker part is outputted by forming ventilation holes in the support frame as well as the tweeter / squaker part side and optimizing the area of the diaphragm. As of January 28, 2004, he invented 'bidirectional micro speak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ncrease vibration force'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05510) that can realize sound efficiently and maximize sound uniformity. Filed.

또한, 본 발명자는 상기의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의 음의 간섭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우퍼부측에 형성되는 있는 통풍홀과 트위터/스쿼커부 측에 형성되어 있는 통풍홀의 위치를 서로 어긋나게 형성하거나 측면 통풍홀을 형성한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의 통풍홀 성형구조'(특허출원 제 10-2004-0066224호)를 발명하 여 2004년 8월 23일자로 출원하였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ors to form the position of the ventilation hole formed on the woofer portion side and the ventilation hole formed on the tweeter / squaker section side to shift the side ventilation holes to minimize the negative interference phenomenon of the two-way micro speaker Invented the 'ventilating hole forming structure of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66224) and filed on August 23, 2004.

본 발명자는 상기의 특허출원의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를 이용하여, 고음부 및 저음부의 음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피커부의 구조를 개발하게 되었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structure of a speaker unit capable of improving the sound characteristics of a high-pitched part and a low-pitched part by using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of the patent application.

본 발명은 종래의 단방향 스피커 구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휴대폰의 상용화와 MP3 기기의 보편화에 따라서, 소형이고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음의 출력 특성이 우수한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unidirectional speaker structu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multimedia mobile phone and the universalization of MP3 devices, the compact, portable and excellent sound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two-way micro speaker To provide the structure.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종래의 외장형 스피커로 사용되지 않았던 양방향 스피커를 이용하여 고,중주파대역의 음의 특성 뿐아니라 저주파 대역의 음의 특성도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는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of a two-way micro speaker that can implement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of the high frequency band, but also the low frequency band by using a two-way speaker that was not used as a conventional external speaker. will b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이용한 외장형 스피커 구조로서, 신호를 증폭시키는 회로가 내장된 스피커 몸체와, 음을 재생시키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데,
상기 스피커부의 내부에는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이 내장되고,
상기 스피커부는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우퍼부의 통풍홀을 통해 진동판 내부의 자기공간부와 연통되는 밀폐된 공명공간부가 형성되고, 트위터/스쿼커부의 통풍홀을 통해 진동판 내부의 자기공간부와 연통되는 밀폐된 공명공간부가 형성되며,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우퍼부 및 트위터/스쿼커부의 전방에는 발생된 음이 방사되는 덕트부가 형성되며,
음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우퍼부와 연통된 공명공간부와 트위터/스쿼커부와 연통된 공명공간부는 차단막에 의해서 분리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ernal speaker structure using a two-way micro speaker unit, including a speaker body with a circuit for amplifying a signal, and a speaker unit for reproducing sound,
The speaker unit has a built-in two-way micro speaker unit,
The speaker unit has a sealed resonance spac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magnetic space inside the diaphragm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of the woofer portion of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nd the airtigh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magnetic space inside the diaphragm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of the tweeter / squaker. Resonant space part is formed,
In front of the woofer part and the tweeter / squaker part of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 duct part is formed in which the generated sound is radiated.
The resonance space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woofer portion of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nd the resonance space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tweeter / squaker part are separated by a barrier to minimize sound interference.

바람직하게는 저주파 대역의 음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우퍼부와 연통되는 공명공간부가 트위터/스쿼커부와 연통되는 공명공간부보다 공간이 더 크게 형성된다. Preferably, the resonance spac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woofer portion of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has a larger space than the resonance spac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tweeter / scooter por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ound of the low frequency band.

바람직하게는 중고주파 대역의 음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트위터/스쿼커부의 전단의 덕트부가 우퍼부 전단의 덕트부 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Preferably, the duct portion in front of the tweeter / squaker section of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is formed longer than the duct portion in front of the woofer por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ound of the medium frequency band.

상기 스피커부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 다각 기둥 또는 구형 등의 형상이 가능하다.The speaker part may have a cylindrical, polygonal, or spherical shape as a who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이용한 외장형 스피커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ternal speaker using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은 고중주파대역(1KHz 이상)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트위터(tweeter)/스쿼커(squawker)부와 저주파대역(20Hz~1KHz)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우퍼(woofer) 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저주파 대역의 음향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주파수 대역(고, 중, 저)의 음 균일화를 통해 원음에 가까운 음이 재생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내부에 내장하고, 중·고음 및 저음의 재생공간을 분리하여 음의 출력특성을 향상시킨 마이크로 스피커 구조이다.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combines a tweeter / squawker section that generates sound in the high frequency band (1 KHz or more) with a woofer section that generates sound in the low frequency band (20 Hz to 1 KHz). Not only can the sound of the band be realized, but the sound is uniformized in each frequency band (high, medium, and low) so that a sound close to the original sound is reproduce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 speaker structure with a built-in two-way micro speaker unit therein, by separating the reproduction space of the mid, high and low sound to improve the sound output characteristic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이용한 외장형 스피커의 개략도이다.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ternal speaker using a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20)는 스피커 몸체(22)와 이에 연결된 스피커부(24) 로 구성된다. 스피커 몸체(22)는 코드선을 통해서 MP3 플레이어, 소형 카셋트, 멀티미디어 핸드폰 등에 연결된다. 스피커 몸체(22)에는 스피커 유닛의 구동을 위한 휴대용 건전지, 약한 입력 신호의 증폭을 위한 증폭기(앰프), LPF(low pass filter) 회로, 볼륨 조절 장치 등이 내장되어 있다. 스피커 몸체 내부의 회로에 의해서 증폭된 신호는 스피커부(24)를 통해서 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20 includes a speaker body 22 and a speaker unit 24 connected thereto. The speaker body 22 is connected to an MP3 player, a compact cassette, a multimedia cellular phone, etc. through a cord line. The speaker body 22 includes a portable battery for driving the speaker unit, an amplifier (amplifier) for amplifying a weak input signal, a low pass filter (LPF) circuit, a volume control device, and the like. The signal amplified by the circuit inside the speaker body generates sound through the speaker unit 24.

스피커부(24)는 진동판의 떨림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음을 발생시키는 부분인데, 도 3의 스피커부(24)는 전체적으로 구형의 형상을 가지고, 음을 방사되는 부분에 덕트부를 가지는 구조를 가진다. 각 스피커부(24) 내부에는 음을 발생시키는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이 내장되어 2.1CH 구현이 가능하다.The speaker part 24 is a part which generates sound substantially by the vibration of a diaphragm, and the speaker part 24 of FIG. 3 has a spherical shape as a whole, and has a structure having a duct part in a part where sound is radiated. Each speaker unit 24 has a built-in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for generating sound can implement 2.1CH.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이용한 외장형 스피커의 스피커부의 단면도이다. 즉, 도 2의 스피커부의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unit of an external speaker using a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speaker part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부의 내부에는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가 내장되어 있다.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은 저음의 음을 발생시키는 우퍼부(30)와 고중음부의 음을 발생시키는 트위터/스쿼커부(32)로 구별 분리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에 관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기술에 대해서 특허를 출원한 상태이나,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가운데 부분의 요크(31)에 의해서 우퍼부(30)와 트위터/스쿼커부(32)로 분리되는 데, 요크(31)과 탑플레이트(top plate, 31b) 사이에는 영구자석(31a)이 위치한다. 요크(31)와 영구자석(31a)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보이스 코일(30b, 32b)가 위치하며, 상부의 보이스 코일(30b)은 우퍼부(30)의 진동판(30a)에 부착되고, 하부의 보이스 코일(32b)은 트위터/스쿼커부(32)의 진동판(32a)에 부착되어 있다. 진동판(30a, 30b)이 감싸고 있는 내부 공간은 공기가 진동하는 자기공간부(30c, 32c)이다.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전자기력에 의해 요크와 영구자석 사이의 보이스 코일이 진동하고, 이에 따라 진동판이 진동하면서 음이 발생하게 된다.
본 특허는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사용하여 중고음 뿐만 아니라 저음의 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스피커부의 구조에 대한 것이다.
As shown, a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is built in the speaker unit.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is divided into a woofer section 30 for generating low tone sound and a tweeter / scooter section 32 for generating high tone sound. The present inventors have applied for patents on various technologies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but when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woofer unit 30 is formed by the yoke 31 in the center. And the tweeter / scooter part 32, the permanent magnet 31a is located between the yoke 31 and the top plate (top plate, 31b). The voice coils 30b and 32b are position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yoke 31 and the permanent magnet 31a, and the upper voice coil 30b is attached to the diaphragm 30a of the woofer part 30, and Voice coil 32b is attached to diaphragm 32a of tweeter / squaker part 32. The inner spaces surrounded by the diaphragms 30a and 30b are magnetic space parts 30c and 32c in which air is vibrated. The electrical signal causes the voice coil between the yoke and the permanent magnet to vibrate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thereby generating sound while the diaphragm vibrates.
The present patent relates to a structure of a speaker unit capable of generating low tones as well as mid and high sounds using a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도시된 바와 같이, 고,중음부의 음향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덕트부(36a, 36b)를 가지며, 저음부의 음향특성 향상을 위한 밀폐된 공명공간부(34a, 34b)를 가진다. 즉,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우퍼부(30)의 진동판(30a) 내부의 자기공간부(30c)와 통풍홀(33a)에 의해서 연통되는 공명공간부(34a)를 갖고, 트위터/스쿼커부(32)의 진동판(32a) 내부의 자기공간부(30c)와 통풍홀(33b)에 의해서 연통되는 공명공간부(34b)를 갖으며, 각 공명 공간부(34a, 34b)는 통풍홀과 연통될 뿐 밀폐되어 있다. 또한, 음이 방사되는 우퍼부 및 트위터/스쿼커부의 전방에는 각각 별도의 덕트부(36a, 36b)를 가진다. As shown, it has ducts 36a and 36b for 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high and midrange portions, and has sealed resonance spaces 34a and 34b for 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bass portions. That is, the tweeter / scooter part 32 has a resonance space part 34a in communication with the magnetic space part 30c in the diaphragm 30a of the woofer part 30 of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nd the ventilation hole 33a. Has a resonance space portion 34b communicating with the magnetic space portion 30c and the ventilation hole 33b inside the diaphragm 32a, and each of the resonance space portions 34a and 34b only communicates with the ventilation hole. It is sealed. In addition, in front of the woofer portion and the tweeter / squaker part to which sound is radiated, there are separate duct parts 36a and 36b.

공명공간부는 음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우퍼부와 연통된 공명공간부(34a)과 트위터/스쿼커부와 연통된 공명공간부(34b) 사이에 차단막(38)이 형성되는 데, 이는 스피커유닛의 옆면에 형성된 통풍홀이나 축방향으로 나 있는 통풍홀을 간섭하지 않고 통풍홀을 통해 나오는 고,중음부와 저음부의 간섭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The resonance space portion has a blocking film 38 formed between the resonance space portion 34a in communication with the woofer portion of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nd the resonance space portion 34b in communication with the tweeter / squaker part so as to minimize negative interference. This is to prevent the interference of the high, middle and bass portion coming out of the ventilation hol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ventilation hole formed in the side of the speaker unit or the axial ventilation hole.

음향특성에 따라 차단막(38) 구조를 바꿔서 필요한 공명공간부를 더 확보할 수도 있으며, 덕트부의 길이도 음향특성에 따라 필요에 의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저주파 대역의 음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우퍼부와 연통되는 공명공간부(34a)이 트위터/스쿼커부와 연통되는 공명공간부(34b)보다 공간이 더 크게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중고주파 대역(1kHz 이상)의 음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트위터/스쿼커부의 전단의 덕트부(36b)가 우퍼부 전단의 덕트부(36a) 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secure the necessary resonance space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barrier film 38 in accordance with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the length of the duct portion can also be adjusted as necessary according to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That is, in order to improve the sound of the low frequency band, the resonance space portion 34a communicating with the woofer portion of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arger space than the resonance space portion 34b communicating with the tweeter / squaker. In order to improve the sound of the high frequency band (1 kHz or more), the duct part 36b at the front end of the tweeter / squaker part of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duct part 36a at the front end of the woofer part. .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이용한 외장형 스피커의 스피커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피커를 중고음부의 음의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트위터/스쿼커부의 전단의 덕트부(36b)를 보다 길게 형성하고, 저음부의 음의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우퍼부 측의 공명공간부(34a)를 더욱 크게 하도록 차단막의 구조를 새로이 변경한 것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unit of an external speaker using a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the speaker of FIG. 3 having a longer duct portion 36b at the front end of the tweeter / scooter portion to improve the sound characteristics of the midtone portion, and resonance of the woofer portion side to improve the sound characteristics of the bass portion. The structure of the barrier film is newly changed to make the space 34a larger.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의 음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덕트부의 길이와 공명공간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duct portion and the size of the resonance space portion may be changed in order to improve sound characteristics of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이용한 외장형 스피커의 스피커부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즉, 도 5는 원기둥 향상의 스피커부의 일부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한다. 내부에 내장되는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는 도시되지 않았다.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speaker unit of an external speaker using a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speaker portion of the cylinder enhancement is cut out. A bidirectional micro speaker built inside is not shown.

도 5의 스피커부도 중고음부의 음의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덕트부(36a, 36b)가 형성되고, 저음부의 음의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공명공간부(34a, 34b)를 가진다. The speaker portion of Fig. 5 also has duct portions 36a and 36b formed to improve the sound characteristics of the midtone portion, and has resonance space portions 34a and 34b to improve the sound characteristics of the bass portion.

이와 같이, 스피커유닛이 장착되는 스피커부의 형태는 필요나 취향에 따라 원기둥형이나 다각 기둥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As such, the shape of the speaker unit to which the speaker unit is mounte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ylinder or a polygonal pillar according to necessity or taste.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claims of the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constituting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t should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ce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may be readily used as a basis for designing or modifying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similar purposes to the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ventive concepts and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basis for modifying or designing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the sam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uch modifications or altered equivalent structur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variously changed, substitut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이용한 외장형 스피커 구조는 직접 방사형의 일반 스피커에 비해 덕트 구조를 사용하여 훨씬 높은 효율을 가지므로 유닛의 크기에 비해 전기신호를 효과적으로 음향출력으로 내보내며, 덕트 구조에서 가지는 강한 지향성으로 축 상에서의 직접음 레벨이 높아 임계거리가 길어지고 반사음의 양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어 먼 거리까지 높은 명료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speaker structure using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uch higher efficiency using the duct structure than the direct-radial speaker, so that the electrical signal is effectively output as sound output compared to the size of the unit. Strong directivity in the duct structure, the direct sound level on the axis is high, the critical distance is long, the amount of reflected sound can be relatively sma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high intelligibility can be secured to a long distance.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하는 저주파대역의 음을 모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리가 고,중주파 위주의 가벼운 느낌을 줄이고 안정감을 준다는 장점이 있다. 저음부는 진동판의 재질과 발생 주파수영역의 특성에 의해 보다 큰 변위의 진동판의 진동을 필요로 하지만 소형의 휴대용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의 유닛의 크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밀폐된 공명공간부으로 진동 2차 모드와 같은 불필요한 진동을 보정해 줌으로써 보다 높은 입력 값을 소화함으로 고출력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By collecting the low frequency band sounds generated by the two-way micro speaker unit to effectively utilize, the generated sound reduces the light feeling around the high frequency and gives a sense of stability. The bass section requires vibration of the diaphragm of greater displacement due to the material of the diaphragm and the frequency range generated, but the size of th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miniaturization is limited, so the vibration is secondary to the sealed resonance space part. By compensating for unnecessary vibrations such as mode, it is possible to double the effect of high output by digesting higher input valu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피커는 MP3 및 휴대용 단말기 등의 음악 재생이 가능한 기기에 연결하여 보다 양질의 음향을 외부에서 구현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sp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a device capable of playing music, such as MP3 and portable terminal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higher quality sound from the outside.

Claims (4)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을 이용한 외장형 스피커의 구조로서,As an external speaker structure using a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신호를 증폭시키는 회로가 내장된 스피커 몸체(22)와, 음을 재생시키는 스피커부(24)를 포함하는 데, It includes a speaker body 22 with a circuit for amplifying a signal, and a speaker unit 24 for reproducing sound, 상기 스피커부(24)의 내부에는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이 내장되고, The speaker unit 24 has a built-in two-way micro speaker unit, 상기 스피커부(24)는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우퍼부(30)의 통풍홀(33a)을 통해 진동판(30a) 내부의 자기공간부(30c)와 연통되는 밀폐된 공명공간부(34a)가 형성되고, 트위터/스쿼커부(32)의 통풍홀(33b)을 통해 진동판(32a) 내부의 자기공간부(32c)와 연통되는 밀폐된 공명공간부(34b)가 형성되며,The speaker unit 24 has a sealed resonance space portion 34a communicating with the magnetic space portion 30c inside the diaphragm 30a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33a of the woofer portion 30 of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nd a closed resonance space portion 34b communicating with the magnetic space portion 32c inside the diaphragm 32a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33b of the tweeter / squaker portion 32,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우퍼부 및 트위터/스쿼커부의 전방에는 발생된 음이 방사되는 덕트부(36a, 36b)가 형성되며, In front of the woofer part and the tweeter / squaker part of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duct parts 36a and 36b are formed to emit generated sound. 음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우퍼부와 연통된 공명공간부(34a)와 트위터/스쿼커부와 연통된 공명공간부(34b)는 차단막(38)에 의해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스피커 구조.The resonance space portion 34a in communication with the woofer portion of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and the resonance space portion 34b in communication with the tweeter / squaker part are separated by the blocking film 38 to minimize sound interference. External speaker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저주파 대역의 음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우퍼부와 연통되는 공명공간부(34a)가 트위터/스쿼커부와 연통되는 공명공간부(34b)보다 공간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스피커 구조.External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onant space portion 34a in communication with the woofer portion of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has a larger space than the resonant space portion 34b in communication with the tweeter / scooter to improve the sound of the low frequency band. rescu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중고주파 대역(1kHz 이상)의 음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유닛의 트위터/스쿼커부 전단의 덕트부(36b)가 우퍼부 전단의 덕트부(36a) 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스피커 구조.External speak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uct section 36b in front of the tweeter / squaker section of the bidirectional micro speaker unit is longer than the duct section 36a in front of the woofer se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ound of the medium frequency band (1 kHz or more). .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피커부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 다각 기둥 또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스피커 구조.The speaker unit is an external speak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verall cylindrical, polygonal or spherical.
KR1020050046758A 2005-06-01 2005-06-01 A structure for portable acoustic device with two way micro speaker KR1006510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758A KR100651020B1 (en) 2005-06-01 2005-06-01 A structure for portable acoustic device with two way micro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758A KR100651020B1 (en) 2005-06-01 2005-06-01 A structure for portable acoustic device with two way micro spe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020B1 true KR100651020B1 (en) 2006-11-29

Family

ID=3771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758A KR100651020B1 (en) 2005-06-01 2005-06-01 A structure for portable acoustic device with two way micro sp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02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420A (en) * 1997-10-10 1999-05-06 윤종용 Speaker cabinet device for omnidirectional speaker system
KR100258343B1 (en) * 1997-10-10 2000-06-01 윤종용 Nondirectional speake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420A (en) * 1997-10-10 1999-05-06 윤종용 Speaker cabinet device for omnidirectional speaker system
KR100258343B1 (en) * 1997-10-10 2000-06-01 윤종용 Nondirectional speaker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2583430000
1019990031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3281U (en) Piezoelectric speaker
JP5879563B2 (en) Speaker, hearing aid, earphon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JP3935393B2 (en) Speaker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2167307B1 (en) Loudspeaker enclosure with enclosed acoustic suspension chamber
WO2013114872A1 (en) Speaker, inner ear headphone provided with speaker, and hearing aid
KR200417799Y1 (en) Electroacoustic conversion unit having an output structure of the same phase bass reversal method
JPH08172691A (en) Inner ear type headphone
CN110971732B (en) Electronic terminal
JPH04227396A (en) Headphone
TWM628849U (en) Micro speaker module
KR100729272B1 (en) One-channel two-way speaker
KR20210017278A (en) Rectangular type micro speaker
KR101539064B1 (en) Earphone having multi-echo spaces
CN203896502U (en) Piezoelectric loudspeaker
KR101828262B1 (en) Balanced armature type speaker
KR20080095962A (en) Electronic sound-transforming unit having structure of generating bass reflex with same phase for preventing distortion
KR100651020B1 (en) A structure for portable acoustic device with two way micro speaker
KR20060133749A (en) Co-axial speaker
JPS646636Y2 (en)
KR20020065419A (en) Two-way micro speak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0078689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2004221881A (en) Portable acoustic equipment
JP2867898B2 (en) Earbud headphones
KR100853898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2543007B1 (en) 2-way receiver with flat tweeter diaphrag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