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799Y1 - Electroacoustic conversion unit having an output structure of the same phase bass reversal method - Google Patents
Electroacoustic conversion unit having an output structure of the same phase bass reversal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7799Y1 KR200417799Y1 KR20060007934U KR20060007934U KR200417799Y1 KR 200417799 Y1 KR200417799 Y1 KR 200417799Y1 KR 20060007934 U KR20060007934 U KR 20060007934U KR 20060007934 U KR20060007934 U KR 20060007934U KR 200417799 Y1 KR200417799 Y1 KR 20041779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bration
- unit
- yoke
- conversion unit
- discharge 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11514 reflex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20 electrodynamic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6 aerato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2 fr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2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동 위상 저음 반전 방식의 출력 구조를 갖는 전기음향변환 유닛은, 중앙 부위가 개방 형성된 제 1방출구(171)를 갖는 프로텍터(110); 제 1개스킷(124) 내에 장착이 되되 적어도 하나로 볼록 형성된 제 1 에지(122)를 구비한 상태로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1진동판(121)과, 내부 중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1진동판(121)의 하 측에 형성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123)로 구성되어 상기 프로텍터(110)의 하부에 위치한 제 1 진동부(120); 상기 보이스 코일(123) 내측으로 위치하는 마그넷(143)을 둘러싸고 있어 진동판의 역할을 하는 요크(144)를 구비한 자기회로부(141)와, 상기 요크(144)의 외각과 상기 프레임(130)의 측벽 사이에 설치된 제 2 개스킷(148) 내에서 하측으로 함입 구성된 부위를 가지는 제 2에지(147)를 구비한 서포터(145)로 구성된 제 2진동부(140); 일 면상에 전극 패턴(151)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제 2 진동부(140)의 하부에서 일정 유격되어 상기 플레임(13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터미널 플레이트(150);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프레임(130)의 내측벽 주변에는 상단 면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방출구(17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lectroacoustic conversion unit having an output structure of the same phase bass reversa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or 110 having a first discharge port 171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is open; A first vibration plate 121 mounted in the first gasket 124 and extending in a lateral direction with a first edge 122 formed at least one convex, and having an internal hollow structure; A first vibration unit 120 formed of a voice coil 123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bottom of the protector 110; The magnetic circuit part 141 including the yoke 144 serving as a diaphragm surrounding the magnet 143 positioned inside the voice coil 123, the outer shell of the yoke 144, and the frame 130. A second vibration part (140) consisting of a supporter (145) having a second edge (147) having a portion recessed downward in a second gasket (148) provided between the sidewalls; The electrode pattern 151 is printed on one surface and the terminal plate 150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me 130 is spac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vibrating unit 140; At least one second discharge port 172 is formed around the inner wall of the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top surface.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 1에 대한 진동기능 스피커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ion function speaker for the prior art 1.
도 2는 종래기술 1에 대한 스피커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speaker output characteristics for the prior art 1.
도 3은 종래기술 2에 대한 2-way 스피커의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wo-way speaker for the
도 4는 종래기술 2에 대한 스피커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speaker output characteristics for the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닛의 전체 구성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5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로텍터의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Figure 6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진동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7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vib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의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8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and sectional view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진동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9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vib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 플레이트의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10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rmina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닛 내부에서의 공기 또는 음향의 방출 경로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 및 단면도.Figure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charge path of air or sound inside th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닛이 적용된 커널형 이어폰의 단면도.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kernel-type earphone to which th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닛의 음향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14 is a graph showing the sound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닛과 종래기술 1,2의 음향출력 특성을 비교 예시한 그래프.Figure 15 is a graph illustrating a comparison of the sound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본 고안에 따른 유닛 147: 요크 가이드100:
110: 프로텍터 148: 제 2 개스킷110: protector 148: second gasket
120: 제 1진동부 150: 터미널 플레이트120: first vibration portion 150: terminal plate
121: 제 1진동판 161: 제 1공기실121: first vibration plate 161: first air chamber
122: 제 1 에지 162: 제 2 공기실122: first edge 162: second air chamber
123: 보이스 코일 163: 제 3 공기실123: voice coil 163: third air chamber
130: 프레임 171: 제 1 방출구130: frame 171: first discharge port
140: 제 2진동부 172: 제 2 방출구140: second vibration portion 172: second discharge port
142: 플레이트 173: 제 3 방출구142: plate 173: third outlet
143: 마그넷 181: 요크 통기공143: Magnet 181: York Aerator
144: 요크 183: 제 3 에지144: York 183: third edge
본 발명은 베이스 리플렉스(Bass reflex) 스피커, 다시 말해 동 위상 저음 반전 방식의 출력 구조를 갖는 전기음향변환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음 반전을 이루되, 외부의 하우징 또는 캐비넷 박스에 의존하지 않고 더욱이 반전되는 저음의 방향이 중/고음 재현용의 주 진동판의 진행 방향과 일치되는 동위상의 출력/방사가 독립된 단일 유닛의 상태로서 가능한 광대역 재현용(특히 저음)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s reflex speaker, that is, an electroacoustic conversion unit having an output structure of a co-phase bass reversal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bass reversal, but not dependent on an external housing or a cabinet box.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deband reproduction (particularly bass) speaker, which is possible as a single unit of independent in-phase output / radiation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bass inverted and inverted coincides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diaphragm for mid / high pitch reproduction.
종래의 스피커 기술을 큰 항목으로 분류하면 단일 유닛기술, 유닛이 탑재되는 시스템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When the conventional speaker technology is classified into large items, it can be classified into a single unit technology and a system technology in which the unit is mounted.
단일 유닛 기술에는 일렉트로 다이나믹, 일렉트로 마그네틱, 일렉트로 캐패시티, 리버스 피에조, 이온등의 다섯 가지 구조 이론이 존재하고, 시스템 기술에는 하우징 기술인 캐비넷 박스 기술과 내부의 필터 등의 회로, 그리고 음향 임피던스 제어 기술로 구분된다.There are five structural theories of Electro Dynamic, Electro Magnetic, Electro Capacitive, Reverse Piezo, and Ion for single unit technology. Are distinguished.
상기 유닛 기술 중 가장 큰 비중으로 그리고 다양하게 사용되는 기술은 일렉트로 다이나믹 기술이며, 리버스 피에조 이론에 기초해 초음파의 도플러 효과를 활용한 초지향성 유닛과 불소화 필름에 표면 개질시킨 필름 형 유닛 등이 2003년 이후에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The largest and most widely used unit technology is the electrodynamic technology. In 2003, a superdirectional unit utilizing ultrasonic Doppler effect and a film-type unit surface-modified on a fluorinated film based on reverse piezo theory were used. Since then, it is actively developed.
그 중 주목할만한 종래 기술로는 일렉트로 다이나믹 이론에 기초한 도 1의 진동기능스피커와 도 2의 2-way 스피커가 있는데 이하 이러한 종래 기술 1,2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본다.Notable prior arts include the vibration function speaker of FIG. 1 and the 2-way speaker of FIG. 2 based on the electrodynamic theory.
도 1은 종래기술 1에 대한 다이나믹 진동, 음향 복합 모드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ynamic vibration, acoustic composite mode micro spea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종래의 다이나믹 진동, 음향 복합 모드 마이크로 스피커는 원통형의 프레임(1)과 그 내부에 장착되는 자기 회로부 및 음향 발생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기 회로부의 요크가 판스프링(2)에 고정되고, 상기 판스프링(2)이 프레임(1)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진동이 발생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The conventional dynamic vibration, acoustic composite mode micro speaker includes a cylindrical frame 1 and a magnetic circuit portion and a sound generating portion mounted therein. Here, the yoke of the magnetic circuit part is fixed to the
프레임(1)의 상측에는 상측 커버(3)가 결합되고, 하측에는 하측 커버(4)가 결합되며, 상측 커버에는 음향 방출구(5)가 마련되고, 하측 커버(4)에는 후면 통기공(6)이 마련된다. 음향 발생부는 제 1,2진동부(8,9)과 보이스 코일로 이루어지며, 보이스 코일은 보이스 코일 인입선이 PCB 전극단자와 연결됨으로써 전원을 인가받는다. 자기 회로부는 원형의 플레이트와 영구자석 및 원형의 요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기 회로부가 진동의 질량체로서 작용하여 진동이 발생된다.The
제 1 진동부(8)는 진동판, 제 2 진동부(9)는 자기회로로서 구성이 되며, 제 1 진동부(8)는 가능한 광대역의 음향발현만을, 제 2 진동부(9)는 일정 주파수에서 진동 발현만을 목적으로 한다. 진동 발현만을 위하여, 제 2 진동부(9)의 서스펜션에는 반드시 통기 간극(7)이 형성되어 발생되는 음향은 소멸이 되도록 한다.The
이러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0-12495호에는 외자형 복합 모드 마이크로 스피커로서 개시되어 있다.This prior 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12495 as an external compound mode micro speaker.
이와 같은 교류 구동방식 다이나믹 음향/진동 복합 모드 마이크로 스피커의 진동력 발생은 자기회로의 에어갭 내지 공기실(요크의 내측과 플레이트 외측간의 공간) 내부에 직각으로 삽입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의 인입선으로 정/부의 전기적 신호가 유기될 때, 그에 대응되어 정 또는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교류성 회전 자기장과 영구자석으로부터 발생되는 일정한 방향성을 갖는 직류성 자기장이 서로 반응하여 흡인 또는 반발함으로써 얻어진다.The vibration force generation of the AC-driven dynamic acoustic / vibration combined mode micro-speaker is defined by the lead wire of the voice coil inserted at right angles in the air gap of the magnetic circuit or in the air chamber (the space between the inside of the yoke and the outside of the plate). When a negative electrical signal is induced, an alternating rotating magnetic field corresponding to the positive or opposite direction and a directing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a permanent magnet react with each other and are attracted or repelled.
이때 발생되는 힘의 방향은 자기회로 에어갭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직류성 자속과 코일에서 발생되는 교류성 회전 자속의 방향에 의해 결정되며, 에어갭의 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하를 차례로 반복하기 위해서 반드시 Full duty wave의 교류 전기 에너지를 코일에 인가하여야 하며, 발생되는 힘의 크기는 에어갭에 존재하는 자속밀도와 코일의 길이 그리고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고,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에어갭에 존재하는 자기장의 반응 각도가 직각일 때, 가장 큰 힘으로 상호 작용하며, 이때 적용되는 단위는 뉴턴이다.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force generated is determined by the direction of the direct current magnetic flux from the inside of the magnetic circuit air gap to the outside and the direction of the alternating rotation magnetic flux generated in the coil, and acts in the up or down direction based on the cross section of the air gap. Done. At this time, AC electric energy of full duty wave must be applied to the coil in order to repeat up and down in sequence. The magnitude of the generated force is proportional to the magnetic flux density in the air gap, the length of the coil and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In addition, when the reaction angle between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coil and the magnetic field present in the air gap is at right angles, it interacts with the greatest force, and the applied unit is Newton.
상기의 내용은 프레밍의 왼손 법칙을 인용한 것으로서, 두개의 자기장의 상호 반응에 대해 잘 알려진 내용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The above is a quote from Framing's left-handed rule, and since it is well known about the mutual reaction of two magnetic field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not be given.
통상의 진동체는 진동하는 전체 부분의 무게와 지지체의 탄성에 기초한 딱딱한 정도의 상관관계에 의해서 공진 주파수가 결정되게 되며, 공진 부분에서 그 진동폭이 가장 크게 되는데, 이는 곧 진동체의 질량이 커질수록 또 제동 지지체인 판스프링의 딱딱한 정도(Stiffness)가 적을수록 공진 주파수는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데, 상기에서 주목할 것은 자기회로 구조물은 진동판 구조물에 비해 대단히 큰 질량을 갖는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자기회로 구조물 을 진동원으로 이용할 경우 인체가 잘 느낄 수 있는 낮은 영역의 진동 주파수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vibrating body, the resonant frequency is determin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eight of the entire vibrating part and the rigidity based on the elasticity of the support, and the vibration width is the largest in the resonant part. In addition, the smaller the stiffness of the leaf spring, the braking support, the lower the resonant frequency. It is noted that the magnetic circuit structure has a much larger mass than the diaphragm structure. As a result, when a relatively large magnetic circuit structure is used as the vibration sourc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low frequency vibration frequency that can be easily felt by the human body.
종래기술 1에 따른 진동/음향 복합 모드 마이크로 스피커는 상기한 원리에 그 이론적 배경을 두고 있으며, 자기회로 구조물의 최대 공진점 주파수에서는 진동 모드로, 가벼운 진동판 구조물의 공진점 주파수부터 최대 가청 영역까지의 주파수까지는 음향을 재현하는 스피커 모드로 사용한다.The vibration / acoustic composite mode micro spea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has a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principle, which is a vibration mode at the maximum resonance point frequency of the magnetic circuit structure, and the frequency from the resonance point frequency of the light diaphragm structure to the maximum audible region. Used in speaker mode to reproduce sound.
상기 교류방식 다이나믹 진동/음향 복합모드 마이크로 스피커의 경우 두 가지 기능적 요소를 제공하는 별도의 부품을 한 개로 통합함으로 휴대 전화기 세트에 내장되는 부품의 수가 감소함에 따른 원가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교류방식이기 때문에 구동하는 신호원의 주파수에 따른 다양한 진동 형태의 기능을 추가하는 부가가치를 확보하게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AC type dynamic vibration / acoustic composite mode micro speaker, by integrating separate components that provide two functional elements into one, a cost reduction effect can be obtained 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phone set. Since it is an AC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added value of adding various types of vibration function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signal source.
그러나 도 1에 따른 종래기술 1의 음향적 측면을 고려 하여보면, 자기회로부와 음향발생부가 동시에 역 구동되어 이동을 이루기 때문에 자기회로부가 고정되어 있을 경우보다 그 재생 효율은 당연하게 낮아질 수밖에 없다. 또한, 제 2진동부(9)의 서스펜션이 통기성 구조이므로 저음이 상쇄되어 우수한 저음 발생 효과를 가질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However, considering the acoustical aspect of the prior art 1 according to Figure 1, because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and the sound generating portion is driven in reverse at the same time to move because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is fixed, the regeneration efficiency is inevitably lowered. In addition, since the suspension of the
도 2는 종래기술 1에 대한 합성음향 특성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state of the synthetic sound characteristics for the prior art 1.
도 2를 살펴보면, 종래 기술 1이 기본적으로 역 위상 진동에 근거한 것이기 때문에 음향 에너지가 하강되는 것을 알 수가 있고, 제 2진동부(9)가 진동에 의한 독립된 음향 특성을 가지고 있고 자체 내 저음이 상쇄되어 발생하므로 재생 에너지 가 극히 작아지는 단점이 있음을 알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acoustic energy is lowered because the prior art 1 is basically based on reverse phase vibration, and the
도 3은 종래 기술 2에 대한 2-way 스피커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2-way speaker according to the
도 3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하우징(20) 내부에 장착되는 스피커 유닛(21)에서 다수 개의 통공으로 이루어진 제 1방출구(29)를 구비한 프로텍터(31)가 그 하부의 굴곡 성형되어 있는 제 1진동판(24)과의 사이에서 제 1공기실(26)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있고 제 1진동판(24)의 하부에는 2개의 보이스 코일(22,23)이 자리하며, 이러한 보이스 코일(22,23)의 하부에는 역시 굴곡 성형되어 있는 제 2 진동판(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이스 코일(22,23)과 제 2진동판(25) 사이로 제 2 공기실(27)이 마련된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3 schematically, a
제 2진동판(25)의 하부에는 통공을 구비한 스피커 유닛(21)의 바닥 면이 위치하며 스피커 유닛(21)의 바닥 면과 하우징(20) 내측벽 사이에는 제 3공기실(28)이 마련되고 제 3공기실(28)의 일 측, 즉 외측 하우징(20) 부위로 제 3방출구(31)가 형성되어 있다.A bottom surface of the
이러한 구성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제 1진동판(24)은 밀폐된 구조로 인해 최소 5KHz 이상의 고역만을 재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제 2 진동판(25)의 발생 음향은 제 2,3 방출구(30,31)로 향하므로 결과적으로 저음이 완전 상쇄되어 일정 대역 이상의 중음 내지 고음 재현만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is configur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vibrating
더욱이 제 1, 2진동판(24,25)이 동시에 작용할 때 제 1 내지 3 방출구(29,30,31)에서 방출되는 음향의 방향은 세 곳 중 반드시 한 곳은 역 위상이 되므 로 특히 파장이 긴 저음 대역의 음향 재현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Furthermore, when the first and second vibrating
더불어 역 위상에 의한 저음 상쇄 방지를 위해 제 2, 3방출구(30,31)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할 경우 제 2 진동판(25) 역시 제 1 진동판(24)과 마찬가지로 밀폐되므로 역시 저음 재현이 불가능해진다는 단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when one of the second and
도 4는 도 3에 따른 종래 기술 2의 함성음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the sou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2 진동판(진동부)(25)의 음향 에너지는 제 2, 3 방출구(30,31)에서 역 위상의 상태로 합성이 되므로 저음 공진 주파수 부근의 음향 에너지가 급격히 소멸되는 것을 알 수 있어, 결국 저음에 관련한 음향 발생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4, the acoustic energy of the second diaphragm (vibrator) 25 is synthesized in the reversed phase at the second and
이러한 도 3, 4에 따른 종래 기술 2의 커다란 단점이라 할 수 있는 저음영역의 문제를 요약하여 설명하면 단일 유닛의 경우 유닛 전후면의 위상은 -180 이므로 이를 차단하지 않았을 경우 파장이 긴 저음일수록 상호 상쇄 소멸 되므로 청취할 수 없게 된다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When summarizing the problem of the bass region, which can be said to be a major disadvantage of the
이러한 저음 상쇄 현상의 방지를 위해 유닛의 전후 면을 차단하기 위한 판 형태의 구조물을 배플(Baffle)이라 하는데, 상기 배플은 무한 확장을 이상적으로 하나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므로 등가적으로 무한 배플과 유사한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바로 유닛을 탑재하는 캐비넷이다.In order to prevent the bass offset phenomenon, a plate-shaped structure for block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nit is called a baffle. The baffle is ideally infinitely expandable but practically impossible, thus forming a space similar to the infinite baffle. It is the cabinet that houses the unit.
이는 시스템 기술의 핵심 중 하나로서 다시 분류하면 유닛 뒷면의 공간이 외부와 완전하게 차단된 밀폐형과 캐비넷의 일부를 외부의 공간과 연결시킨 베이스 리플렉스형이 있다.This is a key part of the system's technology, which can be subdivided into a hermetic enclosure where the space behind the unit is completely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a base reflex that connects a portion of the cabinet to the exterior space.
자유공간 상태의 유닛의 저음공진 주파수와 동등한 정도의 저음 공진주파수를 실현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밀폐형 캐비넷 공간 설정인 바, 이는 캐비넷에 취부된 상태에서도 발현할 수 있는 저음 영역의 한계를 확장하기 위함이다. The ideal setting of a closed cabinet space is to be able to realize a low resonant frequency equivalent to the low resonant frequency of a unit in a free space, in order to extend the limit of the low range that can be expressed even when mounted in a cabinet. to be.
현재, 정보통신용의 휴대 단말기 등의 음향 발생장치를 가지는 제원이 소형화됨에 따라 실질적인 주변에서 요구되는 스피커의 외형적 성향은 소형이므로 동등한 저음 구현이 가능 하다면 스피커조차도 가능한 적은 것을 요구 하는 것이 일반적인 성향이다. 그런 성향에 따라서 스피커 역시 가능한 소형으로도 개발되고 출시되고 있는데, 보다 적은 크기로 보다 낮은 대역의 저음 발현이 가능한 신규한 구조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At present, as the size of a speaker having a sound generating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is miniaturized, the external propensity of a speaker required in practical surroundings is small, so that even a speaker can be required as little as possible if equal bass can be realized. Speakers are also being developed and marketed as small as possible, and new structures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that can produce lower frequencies with lower frequencies.
상기 명시된 캐비넷 기술 중 소형화가 가능 하면서도 적당 수준의 저음 확장이 가능한 기술이 바로 베이스 리플렉스(Bass Reflex) 기술이며, 이는 프론트 로드형과 백 로드형의 고전적 대표 기술로 구분이 된다.Among the cabinet technologies described above, the bass reflex technology, which is capable of miniaturization and moderately low bass extension, is divided into the classic representative technologies of the front load type and the back load type.
베이스 리플렉스 기술은 밀폐된 캐비넷의 일정 부위에 일정 크기의 음향 방출 공간이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스피커 유닛 뒷면으로 방사되는 공기의 흐름을 캐비넷의 공간과 방출구의 크기 및 두께에 관계되는 공명 주파수를 이용해 유닛보다 더욱 낮은 저음을 발현하는 기술이다.Bass reflex technology means that a certain amount of sound emitting space is formed in a part of a closed cabinet, and the air is radiated to the rear of the speaker unit by using a resonance frequency rela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space and the outlet of the cabinet. It is a technology that expresses even lower bass.
즉, 동급의 유닛에서 보다 극대화된 저음 재현의 구현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무한 배플의 연장 공간 형태인 별도의 캐비넷을 반드시 필요로 하나, 바로 이러한 캐비넷의 변형과 발전에 따라 저음 영역의 보강을 이룰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가진 스피커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고 더 나아가 캐비넷의 구조 없이 저음 영역의 탁월한 보강 구조를 이룰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realize a more maximized bass reproduction in the same unit, a separate cabinet, which is essentially an extended space of infinite baffles, is necessary, but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bass reg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uch a cabinet. There is a need for speaker technology with a new structure, and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technology capable of achieving an excellent reinforcement structure in the bass region without a cabinet structure.
본 고안은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베이스 리플렉스 캐비넷 기능을 유닛 자체만으로도 가능하게 하고 있는 신규한 구조를 마련하여 별도의 외부 캐비넷 없이도 베이스 리플렉스가 유닛 자체로서 가능한 광대역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novel structure that enables the bass reflex cabinet function only by the unit itself, so that the bass reflex can be used as the unit itself without a separate external cabinet.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코일로서 두 개의 별도 공진점의 형성이 가능하고, 특히 확대 가능한 낮은 공진점을 갖는 진동부의 저음을 유닛의 전면으로 동 위상 반전시킨 베이스 동 위상 리플렉스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se copper phase reflex unit in which two separate resonance points can be formed as one coil, and in particular, the phase of the vibration part having a low resonance point that can be enlarged is in-phase reversed to the front of the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동위상 저음 반전 방식의 출력 구조를 갖는 전기음향변환 유닛은, 프레임(130)의 상부에 결합이 되되 중앙 부위가 개방 형성된 제 1방출구(171)를 갖는 프로텍터(110); 제 1개스킷(124) 내에 장착이 되되 적어도 하나로 볼록 형성된 제 1 에지(122)를 구비한 상태로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1진동판(121)과, 내부 중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1진동판(121)의 하 측에 형성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123)로 구성되어 상기 프로텍터(110)의 하부에 위치한 제 1 진동부(120); 상기 보이스 코일(123) 내측으로 위치하는 마 그넷(143)과 상기 보이스 코일(123)을 둘러싸고 있어 진동판의 역할을 하는 요크(144)를 구비한 자기회로부(141)와, 상기 요크(144)의 외각과 상기 프레임(130)의 측벽 사이에 설치된 제 2 개스킷(148) 내에서 하측으로 함입 구성된 부위를 가지는 제 2에지(147)를 구비한 서포터(145)로 구성된 제 2진동부(140); 일 면상에 전극 패턴(151)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제 2 진동부(140)의 하부에서 일정 유격되어 상기 플레임(13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터미널 플레이트(150);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프레임(130)의 내측벽 주변에는 상단 면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방출구(17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크(144)의 진동에 의하여 발생된 음향은 상기 제 2 방출구(172)를 통해 반전 이동되어 상기 제 1진동부(120)에서 발생된 음향과 동 위상으로 합성된 다음 제 1 방출구(171)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lectroacoustic conversion unit having an output structure of the in-phase bass reversa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utlet 171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30, the center portion is open; Having a protector 110; A first vibration plate 121 mounted in the first gasket 124 and extending in a lateral direction with a first edge 122 formed at least one convex, and having an internal hollow structure; A first vibration unit 120 formed of a voice coil 123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bottom of the protector 110; The magnetic circuit part 141 including the magnet 143 positioned inside the voice coil 123 and the yoke 144 that surrounds the voice coil 123 and serves as a diaphragm, and the yoke 144 A second vibration part (140) consisting of a supporter (145) having a second edge (147) having a portion recessed downward in a second gasket (148) provided between an outer shell and a side wall of the frame (130); The electrode pattern 151 is printed on one surface and the terminal plate 150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me 130 is spac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vibrating unit 140; At least one second discharge port 172 is formed around the inner wall of the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upper surface, and the sound gene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yoke 144 is the second. Inverted and moved through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of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닛(100)의 부분 전개 사시도 및 조립 단면도이다.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the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유닛(100)은 바람직하게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프레임(130)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이르는 조립 순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최상부를 이루는 프로텍터(110), 제 1 진동부(120), 제 2 진동부(140), 최하층을 이루는 터미널 플레이트(150)로 이루어 져 있다. 이러한 각 구성에 대해 첨부된 구체적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5, the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로텍터(110)의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프로텍터(110)는 유닛(100)의 최상부를 이루는 것으로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 1,2 진동부(120,14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며 캡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프레임(130)의 상단 벽을 따라 끼움 결합되어 있다. 프로텍터(110)의 중앙부위에는 개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제 1 방출구(17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방출구(171)는 기본적으로 음향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구의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6, the
또한, 프로텍터(110)는 프레임(130)의 상단으로 개방되어 복수 개로 형성된 제 2 방출구(172)가 외부와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아 후술할 제 1, 2 진동부(120,140)에서 발생된 음향이 제 1 방출구(171)로 일정 수렴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진동부(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7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본 고안에 따른 제 1진동부(120)는 구조적으로 프로텍터(110)의 하방에 일정 유격 위치하여 프레임(130) 내지 프로텍터(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외주면 부위를 따라 형성된 제 1개스킷(124) 내측으로 제 1진동판(121)이 횡 방향으로 마치 엠보싱과 같이 적어도 하나로 볼록 구성된 부위를 포함하여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볼록 구성 부위를 제 1에지(122)라 한다. The
제 1진동판(121)의 대략 중앙부위 하단에는 보이스 코일(123)이 안착되어 있으며, 보이스 코일(123)을 이루는 와이어 중 하나의 와이어(125)가 제 1개스킷(124)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123)은 원통형의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그 중공 부위의 하방으로 후술할 제 2진동부(140)의 마그넷(143)이 안착 위치한다. The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8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8을 보아 알 수 있듯이, 프레임(130)은 본 고안에 따른 유닛(100)의 기본적 하우징 내지 음향 방출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어 상단 면에는 상술한 프로텍터(110)가 끼움 결합이 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터미널 플레이트(150)가 결합이 되어 있다. 프레임(130)의 내측은 제 1,2 진동부(120,140)와 같은 구성이 위치할 수 있도록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프레임(130)의 내측 외주면 부위에는 상단 면에 이르기까지 수직 방향, 즉 프레임(13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복수 개의 제 2방출구(172)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30)의 둘레 내측을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방출구(172)는 프레임(130)의 내측벽과 후술할 제 2진동부(140)의 제 2 개스킷(148) 외측 사이에 위치된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8, the
이러한 프레임(130)의 외측 벽에는 후술할 제 3 공기실(163)에 이르기까지 횡 방향으로 관통 처리된 복수 개의 제 제 3 방출구(173)가 프레임(130)의 외벽 둘 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벽의 일 측에서는 길이방향으로 벌어진 크랙(crack)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크랙으로 인하여 내부의 보이스 코일(123)의 와이어가 인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코일 인출홈(131)이 형성된다.On the outer wall of the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진동부(14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부분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9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본 고안에 따른 제 2 진동부(140)는 크게 자기장 발생의 근원을 이루는 자기회로부(141)와, 이를 중심에 두고 자기회로부(141)의 외주면을 따라 지지하는 서포터(145)로 이루어져 있다.The
먼저 자기회로부(141)를 설명하면, 중앙 부위에 형성된 마그넷(143)이 보이스 코일(123)의 중공 부위 내측으로 안착 위치하며 이 마그넷(143)의 상단면에는 마그넷의 위치 유지 및 이동 방지를 위한 플레이트(142)가 형성되어 있고 마그넷(143)의 외각으로는 마그넷(143) 및 보이스 코일(123)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유격되어 U 형상으로 마그넷 및 보이스 코일(123)을 둘러싸고 있는 요크(yoke)(144)가 구비되어 있다.First, the
서포터(145)는 상기 요크(144)의 외측을 둘러쌈으로 요크(114)를 안착 지지하는 요크 가이드(146)와 요크 가이드(146)의 외측으로 하방으로 함입 구성된 부위를 포함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2 개스킷(1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 2 개스킷(148)에서의 하방 함입 부위를 제 2 에지(147)라고 명명한다.The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 플레이트(15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10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터미널 플레이트(150)는 유닛(100)의 바닥 면에 해당하는 부위로서, 일면에는 전극 패턴(11)이 인쇄되어 있다.The
이러한 구조를 가진 본 고안에 따른 유닛(100)에서 상기 프로텍터(110)의 하부 면과 제 1 진동부(120)의 상부 면에는 공간이 발생하는데 이를 제 1공기실(161)이라 하고, 또한 제 2 진동부(140)의 하부 면과 터미널 플레이트(150)의 상부 면 사이의 공간을 제 2 공기실(162)이라 하며, 제 1진동부(120), 구체적으로 제 1에지(122)의 하부면과 제 2 진동부(140), 구체적으로 제 2에지(147)의 상부면 사이의 공간을 제 3공기실(163)이라 한다.In the
상기 구성 및 첨부된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기본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유닛(100)의 상부 구조를 이루는 프로텍터(110)는 제 1방출구(171)에 의하여 개방되어 있고 하부 구조를 이루는 터미널 플레이트(150)는 밀폐 구성되어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configur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상기 구성을 중심으로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에 따른 유닛(100)의 작용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본 고안에 따른 유닛(100)은 제 1,2 진동부(120,140)라는 2개의 진동부를 가지고 있되 제 2진동부(140)가 자기회로로 구성이 되어 있고, 또한 제 1,2 진동부(120,140)는 하나의 보이스 코일(123)에 의하여 구동이 된다. 이러한 제 1, 2 진동부(120,140)에는 자체적으로 통기공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결국 양 진동부(120,140)는 오로지 음향 발현만을 이루게 된다. The
이러한 제 1, 2 진동부(120,140)는 음향 발현 목적을 가지되 보다 광대역화 된 음향 재현을 위해 제 1 진동부(120)는 일정대역 이상의 중음 이상 고음까지의 음향 재현을, 제 2 진동부(150)는 저음에서 일정 중음대역까지의 음향 재현 기능을 담당한다. The first and
제 2 진동판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은 바로 마그넷(143)을 둘러싸고 있는 요크(144)이다. 본 고안에서는 제 2진동부(140)의 요크(!44)에서 직접적으로 공기를 진동시킨다. 결국 자기회로부(141)에서 공기를 직접 진동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The configura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second diaphragm is the
상기 자기회로부(141)와 상기 제 1 진동판(121)은 서로 밀접 위치하여 중고음용의 제 1 진동판(121)은 보이스 코일(123)에 의해 직접 구동이 되고, 저음은 상기 자기회로부(141)의 요크(144) 겸 제 2 진동판에 의해 직접 공기를 진동하여 이를 다시 제 1 진동판(121)으로 '동위상' 반전된다. 이러한 작용/반작용에 의하여 제 1, 2 진동부(120,140)의 진동 방향이 서로 반대를 이룬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유닛(100)은 하나의 전기 입력 채널로서 광대역의 재생이 가능하며, 박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The
앞서 언급하였듯이, 통상의 진동부의 공진 주파수는 에지의 등가 스티프니스(stiffness)와 진동체의 등가질량에 따른 상관관계에 의해 결정된다.As mentioned above, the resonant frequency of a conventional vibrator is determin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quivalent stiffness of the edge and the equivalent mass of the vibrating body.
상기 이유를 기반으로 상대적 질량이 낮은 내부의 제 1 진동부(120)와 상대적 질량이 높은 자기회로부를 포함하는 제 2 진동부(140)는 서로 다른 공진 영역을 발현하게 되고, 이 현상이 결과적으로 하나의 채널이면서도 동시간대에 서로 다른 별도 주파수의 음향 재현을 가능하게 한다.Based on the above reason, the first vibrating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진동판(121)의 경우 적절한 형태의 절곡 각도로 돌출 내지 굴곡 성형되어 있는 제 1에지(122)의 형상을 통해 공진 주파수 이상의 고음 영역까지 재현될 수 있으며, 특히 저음 재생 전용의 제 2 진동판에 해당하는 요크(144)의 경우 구조적으로 표면이 평탄하게 이루어져 있어 공진 주파수로부터 일정한 부분의 상회 주파수까지밖에 재생되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저음영역부터 일정한 부분의 중음까지는 저음전용의 요크(144)에 의해 재생되고, 일정부분의 중음부터 고음영역까지는 중, 고음 전용의 제 1진동판(121)에 의해 재생이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본 고안의 제 2 진동부(140)의 진동 원리는 공지된 음향 진동 복합기능 스피커의 작동 원리를 따르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진동기능 스피커는 자기회로부의 공진을 진동 용도로 사용하였지만, 본 고안에서는 자기회로부(141)에 포함되어 있는 요크(143)를 진동판으로 활용하여 저음 재생용으로 사용하고 있다.The vibration principle of the
진동만의 기능을 위해서는 가능한 진동발생 주파수에서 음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오히려 저음역의 소멸 구조가 필요하다. 그러나 음향의 발생이 목적인 경우에는 발생된 진동을 가능한 한 소멸 없이 공기 중에 전달하여야 한다.For the function of vibration only, a low frequency dissipation structure is needed so that sound is not generated at the vibration frequency possible. However, where the purpose of sound generation is to transmit the generated vibrations in the air as far as possible without extinction.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유닛은 발생된 진동을 가능한 한 소멸 없이 공기 중에 전달하기 위해, 전후면 공기의 소통이 차단된 제 2 에지(147)를 제 2 진동판 기능을 담당하는 요크(144)의 외측에 형성하여 요크(144)에서 직접 발생된 진동을 공기 중에 전달한다.Therefore, th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transfer the generated vibration in the air as possible without extinction, the outside of the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닛(100)의 방출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통 구조를 나타내는 공기 유통 구조도이다.11 is an air distribution structure diagram showing an air distribution structure through the discharge port of the
도 1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제 1 내지 3 방출구(171,172,173)는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바, 보이스 코일(123)과 마그넷(143)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 1 진동판(121)에서 발생된 음향은 제 1 에지(122)를 거쳐 제 1 방출구(171)를 통해 방출이 되고, 요크(144)에서 발생된 음향은 제 2 에지(147) 및 제 2 공기실(162)을 거쳐 제 2 방출구(172)를 통해 방출이 되며 제 1공기실(161)에서 제 1진동판(121)에 의해 발생된 음향과 동위상 합류되어 제 1 방출구(171)로 방출된다. 이러한 원리로 본 고안에 따른 제 2 진동부(140)에서 발생된 음향은 상쇄 없이 동 위상으로 합성이 되는 것이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ure 11, the first to third outlets (171, 172, 17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induce the flow of air independently,
진동 시에, 제 1진동판(121)의 하부 면과 제 2진동판에 해당하는 요크의(141) 접촉 면 에서 압축 팽창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 3 공기실(163)의 공기는 제 3 방출구(명칭은 방출구로 표현하였으나, 공기의 유입구 역할을 동시 수행)(163)를 통하여 제 1 방출구(171)와 상쇄되지 않는 범위의 위치로 유도된다. 이로써, 제 1진동부(120)의 재생 주파수 특성 역시 제 3 방출구(163)에 의해 방출되는 방식을 가지게 된다.At the time of vibration, the air of the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최초 제 1 진동부(120)와 제 2 진동부(140)에서 발생된 음향은 역 위상이나 제 2 방출구(172)를 통하여 합성이 되는 과정에서 제 2 진동부(140)의 발생 음향이 제 1진동부(120)와 동 위상으로 방출이 되는 것이다.In this manner, the sound generated by the first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단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나 있는 제 2 내지 제 4 실시예는 요크(144)에서 발생된 진동에 대한 공기의 흐름을 적절하게 유도 및 제어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도 12(a) 내지 (c)에서는 제 3 방출구(173)가 존재하지 않는 대신, 별도의 통기공에 의하여 그 역할을 대체한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shown in FIG. 12 describe additional structures that can appropriately guide and control the flow of air to vibrations generated in
도 12(a)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닛의 제 2실시예로서, 마그넷(143) 상단에 구비된 플레이트(142) 상 단면에 요크 통기포(182)가 추가적으로 형성이 되되 요크(!44)의 바닥 면은 절곡되어 터미널 플레이트(150)까지 추가적으로 수직 연장되어 있고 이로부터 마그넷(!43) 및 요크(144)의 내측 중앙부위를 따라 수직 하 방향으로 유닛(100)의 저면까지 요크 통기공(181)이 형성되어 있으며, 터미널 플레이트(150)에는 제 1 개스킷(124)에 형성된 제 1에지(122)와 마찬가지로 볼록 구성되어 있는 제 3 에지(183)가 구비되어 있다.Figure 12 (a)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구성에 따라, 유닛(100)의 저면으로 통기공(190)이 형성되어 요크(144)의 진동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 내지 인출입을 통기공에 의하여 직접 유도할 수가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제 3 에지(183)가 상술한 제 1에지(122)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 형성 유도 역할을 수행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도 12(b)는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로서, 도 5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유닛(제 1실시예) 구조와 유사하나, 상기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플레이트(142) 상단면에 요크 통기포(182)가 형성되어 있고 이로부터 마그넷(143) 및 요크(144)의 중앙 부위를 관통하여 형성된 요크 통기공(181)과 요크 통기공(181)의 하방에 위치한 터미널 플레이트(150)의 상응 부위에 통기공(19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통기공(190)은 공기의 인출입을 유도하는 바, 요크(144)로부터 발생 된 진동에 의해 공기는 제 2공기실(162)을 거쳐 통기공(190)으로 방출됨으로 유닛(100)의 저면으로 공기의 방출을 유도하게 된다.12 (b) is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unit (first embodiment) described in FIGS. 5 to 11, but 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yok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12(c)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닛(100)의 제 4실시예로서, 마그넷(143) 및 요크(144)의 중앙 부위를 관통하여 요크 통기공(18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제 3실시예의 구성과 같으나, 터미널 플레이트(150)에 통기공(19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제 1진동판(121)의 일 측, 구체적으로 중앙 부위에 통기공(195)이 형성되어 요크(144)에서 발생된 진동을 제 2공기실(162) 및 제 2 방출구(172)를 거쳐 유닛(100)의 상부 면, 즉 제 1 방출구(171)로 방출하게 된다.12 (c)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닛이 커널형 이어폰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a kernel-type earphone housing.
도 1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유닛(100)은 일 측에 통기공(210)이 형성되어 있는 커널형 이어폰 하우징(200) 내에 장착이 되어 소형을 추구하면서도 우수한 음질을 지향하는 커널형 이어폰 구조에 적절하게 적용될 수가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13, the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닛(100)에 의한 출력음향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4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sound curve by the
도 1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2진동부(140)의 주파수 특성을 살펴보면 주변의 별도 통기구의 형성이 없어 자체적인 음향 손실이 없고 음향이 제 2 방출구(172)를 통해 방출되는 구조로 인하여 밀폐되지 않는 상태를 가지므로 상기 종래 기술 1보다 월등히 높은 음량 발현이 이루어질 수 있고 더불어 주파수대역이 넓어 지는 특성을 가진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14, when looking at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또한, 제 1,2 진동부(120,140)를 통해 발생된 음향이 제 1 방출구(171)에서 합성된 음향의 특성을 보면, 제 1, 2 진동부(120,140)의 진동으로 인한 작동 방향은 서로 반대이나 제 2 방출구(162)를 통해 제 2 진동부(140)에서 발생된 음향이 반전 출력되어 결국 합성부위의 음향 신호는 동 위상을 가지게 되므로 필연적으로 음향 출력 에너지가 증강이 되고 또한 이러한 에너지는 제 2 진동부(140)의 저음 공진 부위에 해당되는 저음 재생 한계 주파수로부터 제 1 진동부(120)의 한계 주파수까지 확장이 된다.In addition, when the sound generated through the first and
더불어, 제 1진동부(120)의 재생 주파수 특성 역시 제 3 방출구(163)에 의해 방출되는 구조에 의하여 제 1 진동부(120)가 밀폐 구조를 이루지 않아 주파수 대역이 넓어지는 특성을 가진다.In addition, the regeneration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닛(100)과 상술한 종래기술 1,2와의 음향 특성을 비교 도시한 그래프이다.15 is a graph illustrating a comparison of acoustic characteristics between the
도 1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유닛은 종래 기술 1, 2에 비하여 특히 저음 영역에서 탁월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주파수 대역 역시 폭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15, it can be seen that th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characteristics, especially in the bass region compared to th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닛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닛에 의하면 외부의 하우징 또는 캐비넷 박스에 의존하지 않고 제 1, 2 진동부를 밀폐 구조로 이루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출력 음향의 주파수 대역이 넓어지는 장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output the sound without relying on the outer housing or the cabinet box without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vibrating portion in a closed structure frequency of the output sound The b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wider.
특히, 제 2진동부에서 발생되는 저음 음향이 상쇄됨이 없이 제 1진동부의 발생 음향과 동 위상으로 반전 처리됨으로 출력 음향 에너지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저음 영역이 탁월하게 개선되는 효과를 가진다.In particular, the output acoustic energy is increased by inverting in phase with the generated sound of the first vibration unit without canceling the bass sound generated in the second vibration unit, thereby improving the bass region.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60007934U KR200417799Y1 (en) | 2006-03-24 | 2006-03-24 | Electroacoustic conversion unit having an output structure of the same phase bass reversal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60007934U KR200417799Y1 (en) | 2006-03-24 | 2006-03-24 | Electroacoustic conversion unit having an output structure of the same phase bass reversal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7799Y1 true KR200417799Y1 (en) | 2006-06-02 |
Family
ID=41562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60007934U KR200417799Y1 (en) | 2006-03-24 | 2006-03-24 | Electroacoustic conversion unit having an output structure of the same phase bass reversal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7799Y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85785A3 (en) * | 2007-12-27 | 2009-09-17 | Motorola, Inc. | Acoustic reconfiguration devices and methods |
WO2011021745A1 (en) * | 2009-08-20 | 2011-02-24 | 주식회사 비에스이 |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
WO2011030968A1 (en) * | 2009-09-11 | 2011-03-17 | 주식회사 비에스이 |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
US8098867B2 (en) | 2006-11-30 | 2012-01-17 | Motorola Mobility, Inc. | Attachable external acoustic chamber for a mobile device |
US8180075B2 (en) | 2007-04-26 | 2012-05-15 | Motorola Mobility, Inc. | Arrangement for variable bass reflex cavities |
KR101460170B1 (en) * | 2014-02-11 | 2014-11-20 | 주식회사 다이나믹모션 | Hybrid speaker unit |
KR101558091B1 (en) | 2014-05-23 | 2015-10-06 | 부전전자 주식회사 | Canal type earphone with pressure equilibrium means |
KR101502323B1 (en) | 2015-01-20 | 2016-02-15 | (주)사운드드래곤 | Bass reflex type receiver |
CN108574918A (en) * | 2018-07-19 | 2018-09-25 | 陈新得 | One kind two divides twin magnetic circuit speaker |
-
2006
- 2006-03-24 KR KR20060007934U patent/KR200417799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577069B2 (en) | 2006-11-30 | 2013-11-05 | Motorola Mobility Llc | Attachable external acoustic chambers for a mobile device |
US8098867B2 (en) | 2006-11-30 | 2012-01-17 | Motorola Mobility, Inc. | Attachable external acoustic chamber for a mobile device |
US8180075B2 (en) | 2007-04-26 | 2012-05-15 | Motorola Mobility, Inc. | Arrangement for variable bass reflex cavities |
US8712086B2 (en) | 2007-12-27 | 2014-04-29 | Motorola Mobility Llc | Acoustic reconfiguration devices and methods |
WO2009085785A3 (en) * | 2007-12-27 | 2009-09-17 | Motorola, Inc. | Acoustic reconfiguration devices and methods |
KR101169868B1 (en) | 2007-12-27 | 2012-07-31 |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 Acoustic reconfiguration devices and methods |
WO2011021745A1 (en) * | 2009-08-20 | 2011-02-24 | 주식회사 비에스이 |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
CN102026070A (en) * | 2009-09-11 | 2011-04-20 | 宝星电子股份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
WO2011030968A1 (en) * | 2009-09-11 | 2011-03-17 | 주식회사 비에스이 |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
KR101460170B1 (en) * | 2014-02-11 | 2014-11-20 | 주식회사 다이나믹모션 | Hybrid speaker unit |
KR101558091B1 (en) | 2014-05-23 | 2015-10-06 | 부전전자 주식회사 | Canal type earphone with pressure equilibrium means |
KR101502323B1 (en) | 2015-01-20 | 2016-02-15 | (주)사운드드래곤 | Bass reflex type receiver |
CN108574918A (en) * | 2018-07-19 | 2018-09-25 | 陈新得 | One kind two divides twin magnetic circuit speak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17799Y1 (en) | Electroacoustic conversion unit having an output structure of the same phase bass reversal method | |
JP7250993B1 (en) | coaxial speaker | |
AU2005244853B2 (en) | Closed loop embedded audio transmission line technology | |
KR100715003B1 (en) | Micro speaker generating acoustic vibration and sound | |
US20100142741A1 (en) | Loudspeaker | |
JP2007013730A (en) | Speaker system and speaker enclosure | |
EP0886457A1 (en) | A ported speaker enclosure of a portable computer | |
WO2024188062A1 (en) | Electronic device | |
JP2003143692A (en) | Two-way speaker for portable terminal | |
KR101534629B1 (en) | Speaker with acoustically excited panel | |
KR20080095962A (en) | Electronic sound-transforming unit having structure of generating bass reflex with same phase for preventing distortion | |
CN111601221A (en) | High-pitch sound production device | |
KR100769885B1 (en) | The speaker | |
CN111818423B (en) | Loudspeaker | |
KR100676422B1 (en) | A multi-way slim panel speaker system with multi-point drive | |
CN208850052U (en) | Loudspeaker | |
JP4600241B2 (en) | Speaker system and speaker enclosure | |
US11102587B2 (en) | Hybrid acoustic apparatus including rectangular microspeaker | |
JP7371216B1 (en) | Speakers and electronic equipment | |
RU2779044C1 (en) | Loudspeaker unit and loudspeaker | |
CN107493551B (en) | Moving-iron type miniature loudspeaker | |
JP2000152358A (en) | Speaker system | |
KR100651020B1 (en) | A structure for portable acoustic device with two way micro speaker | |
JP2008211389A (en) | Intercom device | |
CN115499757A (en) | Earphone s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