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422B1 - A multi-way slim panel speaker system with multi-point drive - Google Patents
A multi-way slim panel speaker system with multi-point dri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6422B1 KR100676422B1 KR1020040011491A KR20040011491A KR100676422B1 KR 100676422 B1 KR100676422 B1 KR 100676422B1 KR 1020040011491 A KR1020040011491 A KR 1020040011491A KR 20040011491 A KR20040011491 A KR 20040011491A KR 100676422 B1 KR100676422 B1 KR 1006764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phragm
- magnetic circuit
- coupled
- damper
- speaker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저음 전용이고 판형이며 일체로 연결된 다수개의 자기회로부의 구동력에 의해 진동하는 제2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의 직접적인 구동에 의해 중 고음을 재생하는 다수의 제1 진동판을 조합하여 광대역 음원 재생이 가능한 멀티웨이 판형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deband sound source can be reproduced by combining a second diaphragm vibrating by a driving force of a plurality of magnetic circuit parts connected exclusively to a bass and a plate, and a plurality of first diaphragms reproducing heavy sound by direct driving of a voice coil. Regarding the multi-way plate speaker system,
본 발명은, 판형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프레임;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요크, 영구자석,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자기회로부; 상기 다수개의 자기회로부에 일대일 대응되고, 보이스 코일이 형성된 다수개의 고음 재생용 제1 진동판; 및 그 가장자리가 외부 댐퍼를 통해 상기 외부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자기회로부들에는 내부 댐퍼들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자기회로부들의 진동에 의해 저음 영역을 재생하는 제2 진동판을 포함하되, 상기 자기회로부가 상기 제2 진동판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진동판이 상기 자기회로부의 진동에 의해 간접 진동하여 저음 영역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te-shaped speaker system comprising: an outer frame; A plurality of magnetic circuit part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nd including a yoke, a permanent magnet, and a plate; A plurality of first diaphragms for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magnetic circuit parts, and having a voice coil; And a second diaphragm having an edge thereof coupled to the outer frame through an external damper, and coupled to the magnetic circuit parts through internal dampers to reproduce a bass region by vibrations of the magnetic circuit parts. The second diaphragm is supported by the second diaphragm, and the second diaphragm is indirectly vib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magnetic circuit unit to reproduce the bass region.
평판, 패널, 판넬, 스피커, 시스템, 진동판, 보이스 코일, 자기회로, 광대역Flat panel, panel, panel, speaker, system, diaphragm, voice coil, magnetic circuit, broadband
Description
도1은 종래 평판 스피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lat speaker system.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평판 스피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2 illustrates a flat panel speaker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평판 스피커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피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peaker unit used in a flat panel speak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판 스피커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at panel speak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판 스피커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피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eaker unit used in a flat panel speak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스피커 시스템의 내부 전극 및 그 패턴을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electrodes and patterns of the flat panel speak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스피커 시스템의 내부 전극을 사용하여 다점 구동 유닛을 다양한 형태로 연결한 예를 나타낸 도면.7A to 7C illustrate examples of connecting the multi-point driving unit in various forms using the internal electrodes of the flat panel speak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외부 프레임 12: 제2 진동판11: outer frame 12: second diaphragm
13: 제1 진동판 14: 외부 댐퍼13: first diaphragm 14: external damper
15: 덕트 16: 하부 케이스15: Duct 16: Lower Case
17: 상부 케이스 18: 자기회로부17: upper case 18: magnetic circuit portion
19: 전원 연결선19: power connector
본 발명은 다점 구동형 멀티웨이 슬림형 평판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독립된 음향 재생능력을 갖는 진동체가 다수 조합되어 보다 확장된 음역 재생 대역폭을 갖는 다점 구동형 멀티웨이 슬림형 평판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oint driven multi-way slim flat speake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oint driven multi-way slim flat speaker system having a wider range of reproducing bandwidth by combining a plurality of vibrating bodies having independent sound reproduction capability. .
종래의 2웨이 스피커 시스템은 우퍼, 트위터 등의 별도의 독립적 음향 재생능력을 갖는 다수개의 스피커 유닛들이 목재로 된 캐비넷 박스에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종래 스피커 시스템은 수동형 주파수 필터인 네트워크를 이용해 전기적으로 분리된 각기 다른 주파수의 교류 전기 신호원을 상기 각각의 스피커 유닛에 할당 공급한다.The conventional two-way speaker system ha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speaker units having separate independent sound reproduction capabilities such as woofers and tweeters are coupled to a wooden cabinet box.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peaker system allocates and supplies an AC electric signal source of different frequencie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using a network which is a passive frequency filter.
이와 같은 종래의 2웨이 스피커 시스템은 그 외형적 크기를 박형화 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곤란하다. 더욱이 종래 스피커 시스템은 그 크기가 일정크기 이하일 경우에는 재생되는 전체의 음역을 낮은 저음역으로 확장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종래 스피커 시스템은 대입력의 전기신호가 유입될 경우 고음영역 재생용의 스피커 유닛이 파손되기 때문에 반드시 네트워크를 사용 하여야 한다.Such a conventional two-way speaker system is relatively difficult to thin the outer size. Moreover, the conventional speaker system is unable to extend the entire sound range to be low bass when the size is below a certain size.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peaker system must use a network because the loudspeaker unit for reproducing high-pitched sound is damaged when a large input electric signal is introduced.
평판 스피커로는 국제공개번호 WO 1997/09846호(발명의 명칭: 패널형 라우드 스피커)로 공개된 뉴 트랜스듀서스 리미티드 사의 특허가 있다. 상기 종래 평판 스피커의 구성이 도1에 도시되어 있다.Flat speakers are patented by New Transducers Limited, published under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 1997/09846 (named Panel Loudspeak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flat speaker is shown in FIG.
종래의 평판 스피커는 탄력성이 있는 댐퍼를 갖는 사각형 프레임(1)을 구비하며, 댐퍼의 내부 주변부를 따라서 분산 모드 소리 방사 평판(2)이 지지된다. 트랜스듀서(4)는 치수 X, Y 로 표시된 소정의 위치의 평판 위에 또는 평판내에 안전하게 탑재되며, 이 위치의 좌표는 벤딩파를 평판 내부로 진행시킴으로써 평판을 공진시켜 음향 출력을 방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뉴 트랜스듀서스 리미티드 사에서 출원한 발명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되어 진다.The conventional flat speaker includes a rectangular frame 1 having a resilient damper, and the distributed mode sound emitting
트랜스듀서(4)는 도전체(5)에 의하여 트랜스듀서에 연결된 신호 증폭기(6), 예를들어 오디오증폭기에 의하여 구동된다. 증폭기 부하량과 필요 전력은 종래의 원뿔형 스피커와 유사하게 완전히 표준 상태일 수 있으며, 민감도는 실내 부하 상태에서 86-88 dB/watt 이다. 증폭기 부하 임피던스는 보통 그 저항이 6 오옴이며, 처리 전력은 20 - 80 와트이다. 평판 코아 및/또는 표피부가 금속인 경우에 이들은 열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따라서 트랜스듀서(4)는 트랜스듀서의 모터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 전력이 개선된다.The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평판 스피커는 트랜스듀서 부착 부위에서 먼 부분 일수록 평판 자체가 가지는 고유 공명인 판공진 현상에 의하여 일그러짐이 심하여 진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평판 스피커는 재생되는 음질이 명료하지 못하다. 일반적으로 음의 일그러짐 현상은 평판이 클수록 또 저음역으로 확장을 시도할수록 심하게 커진다. 때문에 상기 종래의 평판 스피커는 주로 저가형 위주의 보조 스피커로 적용되어 왔으며, 총두께 18 밀리미터 이하의 설계는 사실상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lat speaker as described above, the farther away from the transducer attachment portion, the more the distortion is caused by the plate resonance phenomenon, which is inherent resonance of the flat plate itself. As a result, the sound quality of the conventional flat panel speaker is not clear. Generally speaking, the distortion of the sound becomes larger as the plate gets bigger and tries to expand into the low range. Therefore, the conventional flat speaker has been mainly applied as a low-cost auxiliary speaker, the design of a total thickness less than 18 millimeters has a problem in fact difficult.
또한 다점 구동 형식의 평판 스피커도 이미 공지된 바 있는데, 이는 다수개의 코일과 자기회로 구조로서 한개의 진동판을 가동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다점 구동형 평판 스피커는 일정 저음영역부터 일정 고음영역까지의 음향 발현이 가능하나, 진동판이 판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전체 구동원의 무게와 진동판의 무게로 인하여 일정 영역이상의 고음역으로 확대가 불가능하였다, 때문에 낮은 대역의 저음과 상한의 고음은 별도의 스피커로 보조하여야 전대역 재생이 가능한 스피커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었다.In addition, a multi-point drive type flat panel speaker has already been known, which has a plurality of coils and a magnetic circuit structure in which one diaphragm is operated. Therefore, the multi-point driven flat panel speaker is capable of expressing sound from a constant low range to a high high range, but the diaphragm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t is impossible to expand to a high range over a certain range due to the weight of the entire driving source and the diaphragm. Therefore, low-band bass and high-end high-pitched sounds should be supplemented by separate speakers to form a speaker system capable of full-band playback.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음 전용이고 판형이며 일체로 연결된 다수개의 자기회로부의 구동력에 의해 진동하는 제2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의 직접적인 구동에 의해 중고음을 재생하는 다수의 제1 진동판을 조합하여 광대역 음원 재생이 가능한 멀티웨이 판형 스피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low-tone dedicated, plate-like and the second to the second vibration plate vibrating by the driving force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circuit unit connected integrally by the direct drive of the voice coil to reproduce the mid to high sou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way plate type speaker system capable of reproducing broadband sound sources by combining a plurality of first diaphrag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형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프레임;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요크, 영구자석,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자기회로부; 상기 다수개의 자기회로부에 일대일 대응되고, 보이스 코일이 형성된 다수개의 고음 재생용 제1 진동판; 및 그 가장자리가 외부 댐퍼를 통해 상기 외부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자기회로부들에는 내부 댐퍼들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자기회로부들의 진동에 의해 저음 영역을 재생하는 제2 진동판을 포함하되, 상기 자기회로부가 상기 제2 진동판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진동판이 상기 자기회로부의 진동에 의해 간접 진동하여 저음 영역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late-shaped speaker system, the outer frame; A plurality of magnetic circuit part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nd including a yoke, a permanent magnet, and a plate; A plurality of first diaphragms for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magnetic circuit parts, and having a voice coil; And a second diaphragm having an edge thereof coupled to the outer frame through an external damper, and coupled to the magnetic circuit parts through internal dampers to reproduce a bass region by vibrations of the magnetic circuit parts. The second diaphragm is supported by the second diaphragm, and the second diaphragm is indirectly vib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magnetic circuit unit to reproduce the bass reg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기회로부의 요크 외측에 상기 내부 댐퍼가 결합되고, 상기 내부 댐퍼에는 내부 프레임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2 진동판이 상기 내부 프레임에 결합된다.Preferably, the inner damper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yoke of the magnetic circuit unit, the inner frame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inner damper, and the second diaphragm is coupled to the inner frame.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댐퍼 하부에는 저음 소멸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외부 댐퍼가 부착된다.Preferably, an auxiliary external damper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rnal damper to prevent bass extin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댐퍼, 상기 제2 진동판, 상기 내부 프레임들, 상기 내부 댐퍼들 및 상기 요크들이 한번의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Preferably, the outer frame, the outer damper, the second diaphragm, the inner frames, the inner dampers and the yoke are integrally manufactured through a single injection proces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진동판은 그 단면이 벌집 모양을 갖도록 다수개의 공간이 형성된다.Preferably, the second diaphragm has a plurality of spaces formed so that its cross section has a honeycomb shap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진동판은 별도 제작되어, 상기 외부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외부 댐퍼에 그 가장자리가 결합되는데, 상기 외부 댐퍼의 단면이 웨이브 형태를 갖는다.Preferably, the second diaphragm is separately manufactured and its edge is coupled to an external damp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fram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outer damper has a wave shape.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보이스 코일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 공급 수단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신호 공급 수단은 길이 방향의 양 측면에 주 신호 공 급 라인이 배치되고, 상기 주 신호 공급 라인 내측에는 구비되는 자기회로부의 개수만큼 분할된 개수의 서브 신호 공급 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분할된 서브 신호 공급 라인에 상기 보이스 코일의 연결선이 결합되고, 상기 서브 신호 공급 라인 중 일부가 상기 주 신호 공급 라인에 결합되어, 상기 보이스 코일을 직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signal supply means for supplying a signal to each of the voice coils, wherein the signal supply means has main signal supply lin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vided inside the main signal supply line. The number of sub-signal supply lines divided by the number of magnetic circuit units is provided, and the connection line of the voice coil is coupled to the divided sub-signal supply lines, and a part of the sub-signal supply lines is coupled to the main signal supply line. Thus, the voice coils can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평판 스피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평판 스피커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피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2에서 (a)는 부분 절개 정면도이고, (b)는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2 is a view showing a flat panel speak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peaker unit used in the flat panel speak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artial cutaway front view, (b) is sectional drawing of a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스피커 시스템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자기회로부(18)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자기회로부(18)에는 내부 댐퍼를 통해 저음 재생을 위한 제2 진동판(12)이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제2 진동판(12)의 가장자리는 외부 댐퍼(14)에 의해 외부 프레임(11)에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 댐퍼 및 외부 댐퍼는 탄성력을 갖는다.In the flat panel speak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한편, 상기 자기회로부(18) 상측에는 고음 재생을 위한 제1 진동판(13)이 결합되는데, 상기 제1 진동판(13)에는 보이스 코일이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 기 제1 진동판(13)은 상기 보이스 코일과 상기 자기회로부(18)의 작용에 의해 진동하고, 상기 제2 진동판(12)은 상기 자기회로부(18)의 진동에 의해 진동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ide of the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5는 반사음 유도용 덕트를 나타내고, 16은 하부 케이스, 17은 상부 케이스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도면 부호 19는 각 보이스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연결선이다. 상기 전원 공급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the figure,
상기 다점 구동형 평판 스피커 시스템에 이용되는 스피커 유닛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peaker unit used in the multi-point driving flat speaker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유닛은 하나의 자기회로부(18)를 구비한다. 상기 자기회로부(18)는 일반적인 자기회로부와 마찬가지로 요크(25), 상기 요크(25) 내에 마련되는 영구자석(26), 상기 영구자석(26) 상부에 위치하는 플레이트(27)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speaker unit includes one
상기 자기회로부(18) 상측에는 고음 재생을 위한 제1 진동판(28)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진동판(28)에는 본 발명자에 의해 선 출원된 PCT/KR2003/001755호(발명의 명칭: 듀얼 서스펜션을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에 제시된 바와 같은 2차 서스펜션(29)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진동판(28) 하부에는 보이스 코일(31)이 부착된다. 상기 제1 진동판(28)의 단부에는 제1 댐퍼(30)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제1 댐퍼(30)는 내부 프레임(23)에 고정된다.Above the
상기 자기회로부(18)와 상기 제1 진동판(28), 상기 보이스 코일(30), 상기 2차 서스펜션(29) 및 상기 제1 댐퍼(30)의 구조 및 작용은 상기 PCT/KR2003/001755 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자기회로부와 상기 제1 진동판, 상기 보이스 코일, 상기 제1 댐퍼는 통상의 마이크로 스피커와 동일하게 구성되더라도 무방하다.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저음 재생을 위한 제2 진동판(12)이 자기회로부(18)의 요크(25)에 결합된다는데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진동판(12)은 자기회로부(18)의 진동에 의해 저음 영역을 재생한다. The bigge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자기회로부(18)의 요크(25) 외측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내부 프레임(23)이 마련된다. 상기 요크(25)와 상기 내부 프레임(23)은 내부 댐퍼(2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프레임(23)에는 저음 영역 재생을 위한 제2 진동판(12)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제2 진동판(12)의 가장 자리는 외부 프레임(11)에 고정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제2 진동판(12)과 상기 외부 프레임(11)은 외부 댐퍼(14)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외부 댐퍼(14)의 하부에는 저음 상쇄 방지용의 보조 외부 댐퍼(21)가 결합될 수 있다.The
외부 프레임(11)의 하단에는 스피커를 보호하기 위한 하부 케이스(16)가 고정 결합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6)에는 전원 입력을 위한 전극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도3에서 미설명 부호 22는 각 스피커 유닛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주 신호 공급 라인을 나타낸다. 상기 주 신호 공급 라인(22)에는 보이스 코일(31)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선이 결합된다.The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 프레임(11), 상기 외부 댐퍼(14), 상기 제2 진동판(12), 상기 내부 프레임(23), 상기 내부 댐퍼(24) 및 상기 요크(25)는 한번 의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프레임(11), 상기 외부 댐퍼(14), 상기 제2 진동판(12), 상기 내부 프레임(23), 상기 내부 댐퍼(24) 및 상기 요크(25)는 고분자 재질을 이용해 제작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제2 진동판(12)은 자기회로부(18)의 진동에 의해 간접 진동함으로, 상기 자기회로부(18)의 무게, 상기 제2 진동판(12)의 두께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진동판(13)에 공급되는 공진 주파수는 보이스 코일의 진동력에 기초하여 자체 댐퍼(30)의 단단함 즉 스티프네스(Stiffness)와 비례하고, 제1 진동판의 실효질량과 보이스 코일의 질량 그리고 공기의 반작용에 의한 부가질량 및 기타 접착제의 질량 등의 총합인 등가질량에 반비례 한다는 원리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공진 주파수는 자기회로부(18)와 그를 지지하는 내부 댐퍼(24), 외부 댐퍼(14), 공기의 출입 제한 목적의 보조 외부 댐퍼(21)들의 단단함 즉, 제2 진동판(12)을 지지하는 댐퍼들(24, 14, 21)의 총합 스티프네스(Stiffness)와 상기 제2 진동판의 실효진동 면적에 대응된 공기의 반작용에 의한 부가질량이 포함된 제2 진동판에 구성된 전체 무게의 총합이 고려되어 결정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nance frequency supplied to the
여기에서 당연하게 상대적 질량이 낮은 내부의 제1 진동판(13)과 상대적 질량이 높은 외부의 제2 진동판(12)은 서로 다른 공진 영역을 발현하게 되고, 이 현상이 결과적으로 일 채널 이면서도 동시간대에 서로 다른 별도 주파수의 음향 재현을 가능하게 한다. 즉,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자기회로부(18) 에 제2 진동판이 내부 댐퍼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2 진동판이 상기 자기회로부들의 구동력을 간접 전달받아 저음 영역을 재생한다. 그리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자기회로부(18)에 대응되는 숫자만큼의 보이스 코일이 결합된 제1 진동판이 상기 자기회로부 상측에 마련되어, 자기회로부와 상기 보이스 코일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진동판이 직접 진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주파수 분리회로를 사용하지 않고도 별도 다른 대역의 음향을 동시간대에 재생할 수 있다. 더욱이 자기회로부의 무게에 따라 그 공진 주파수가 달라지므로, 각 자기회로부의 무게를 적절히 조절하는 경우에는 여러 대역의 음향 재생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internal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진동판의 경우 적정한 형태의 각도로서 성형 구성되어 있어, 공진 주파수 이상의 고음 영역까지 재현될 수 있으며, 저음재생 전용의 제2 진동판의 경우 평면형이므로 공진 주파수로부터 일정한 부분의 상회 주파수까지밖에 재생되지 못한다. 이로 인하여 저음영역부터 일정한 부분의 중음까지는 저음전용의 제2 진동판에 의해 재생되고, 일정부분의 중음부터 고음영역까지는 중, 고음 전용의 제1 진동판에 의해 재생된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diaphragm is formed at an appropriate angle, and can be reproduced up to a high-pitched region above the resonance frequency. In the case of the second diaphragm dedicated to bass reproduction, the first diaphragm is planar. It can only play up to the higher frequency. Therefore, the second diaphragm dedicated to the low tone is reproduced from the low tone region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portion, and the first diaphragm dedicated to the medium and high tone is reproduced from the middle portion to the high tone region of the predetermined portion.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판 스피커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판 스피커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피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at panel speak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eaker unit used in the flat panel speak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가장 큰 특징은 제2 진동판으로 저음영역의 보다 낮은 의율과 직선성의 실현을 위해 별도로 구성된 벌집모양 단면 구조의 진동판을 채용한데 있다.The biggest fea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econd diaphragm employs a diaphragm having a honeycomb cross-sectional structure that is separately configured to realize lower legibility and linearity of the bass region.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진동판(41)은 단면이 벌집 모양을 갖도록 하기 위해 여러개의 공간(43)을 형성하여 제작된다. 이와 같은 제2 진동판(41)은 도2의 진동판과 같이 내외부 프레임에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 없기 때문에 별도 제작된다. 이렇게 별도 제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진동판을 외부 프레임(11)에 고정하기 위한 외부 댐퍼(42)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 형태가 다수개의 반원형이 조합 연결된 웨이브 형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 진동판(41)의 가장자리는 외부 댐퍼(42)에 결합되고, 자기회로부들 인근에서는 각 자기회로에 일체로 연결된 내부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 결합된다.As shown in FIG. 5,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요크(25), 내부 댐퍼(24) 및 내부 프레임(23)이 한번의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되고, 외부 프레임(11)과 외부 댐퍼(42)가 일체로 제작된다. 그리고 제2 진동판(41)은 별도로 제작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댐퍼(42)와 내부 프레임(23)에 결합된다. 이 이외의 나머지 구성은 도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와 동일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스피커 시스템의 내부 전극 및 그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electrode and the pattern of the flat panel speak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보이스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는 스피커 시스템의 길이 방향의 양 측면에 주 신호 공급 라인(50a, 50b)을 배치한다. 상기 주 신호 공급 라인(50a, 50b)의 중앙 부분에는 돌출부(5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2)의 단부는 납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요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 신호 공급 라인(50a, 50b) 내측에는 구비되는 자기회로부의 개수만큼 분할된 개수의 서브 신호 공급 라인(51a, 51b, 51c)이 설치된다. 중앙에 위치한 이웃하는 서브 신호 공급라인은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연결되고, 이는 상기 주 신호 공급 라인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 단부와 납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한 서브 신호 공급 라인(51a)은 주 신호 공급 라인과 납땜 연결하기 위해 철부(53)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어 주 신호 공급 라인에는 요부가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for supplying power to the voice coil arranges the main
도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스피커 시스템의 내부 전극을 사용하여 다점 구동 유닛을 다양한 형태로 연결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7A to 7C illustrate examples of connecting the multi-point driving unit in various forms using the internal electrodes of the flat panel speak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원형으로 표시한 부분이 납땜으로 연결한 부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부분을 납땜 하느냐에 따라 다수개의 스피커 유닛을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The circled portion in the drawing is the portion connected by soldering. 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speaker units may be connected in series, in parallel, or in series or parallel, depending on which part is solder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부 댐퍼에 내부 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진동판이 상기 내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제2 진동판이 상기 내부 댐퍼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peak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circular, oval, square,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at the inner frame is coupled to the inner damper, and the second diaphragm is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frame, which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inner damper.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해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Such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ontents of the claims rather than by the above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개의 자기회로부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상 기 자기회로부에 일대일 대응되게 고음 재생을 위한 제1 진동판을 설치하고, 저음 재생을 위한 제2 진동판을 상기 자기회로부에 댐퍼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신호 채널을 통해서도 광대역의 음원 재생이 가능하고, 전체 높이가 크게 줄어들어 초박형, 초대형의 스피커 시스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에 따른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접착제의 사용을 감소시켜 환경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magnetic circuit unit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first diaphragm for high sound reproduction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magnetic circuit unit one-to-one, and the second diaphragm for low tone reproduction is provided with a damper in the magnetic circuit unit. By connecting via a single signal channel, a wide-band sound source can be reproduced, and the overall height is greatly reduced,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an ultra thin and ultra loud speaker system.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parts to be assembled can reduce the number of processe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se of the adhesive to satisfy the environmental needs.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1491A KR100676422B1 (en) | 2004-02-20 | 2004-02-20 | A multi-way slim panel speaker system with multi-point drive |
PCT/KR2005/000469 WO2005081580A1 (en) | 2004-02-20 | 2005-02-21 | Multi-way plate speaker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1491A KR100676422B1 (en) | 2004-02-20 | 2004-02-20 | A multi-way slim panel speaker system with multi-point driv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2887A KR20050082887A (en) | 2005-08-24 |
KR100676422B1 true KR100676422B1 (en) | 2007-01-30 |
Family
ID=3488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1491A KR100676422B1 (en) | 2004-02-20 | 2004-02-20 | A multi-way slim panel speaker system with multi-point driv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6422B1 (en) |
WO (1) | WO2005081580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8528B1 (en) * | 2010-08-10 | 2011-06-02 | 정창수 | Speak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6700B1 (en) * | 2005-12-05 | 2007-07-09 | 주식회사 한국토프톤 | a slimer speaker |
CN103347234B (en) * | 2013-05-29 | 2016-10-05 |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 Woofer and thereafter operatic tunes forming method |
KR102455893B1 (en) * | 2017-11-08 | 2022-10-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KR102437515B1 (en) * | 2017-11-17 | 2022-08-2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37798B2 (en) * | 1982-04-20 | 1991-06-06 | Pioneer Electronic Corp | |
JP2558667B2 (en) * | 1986-12-19 | 1996-11-27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Rectangular flat speaker |
JPH08154296A (en) * | 1994-11-28 | 1996-06-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lim rectangular speaker |
JP3613881B2 (en) * | 1996-03-21 | 2005-01-2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Speaker |
JP3877031B2 (en) * | 1999-02-12 | 2007-02-07 | 株式会社オーセンティック | Panel type speaker |
KR20020073876A (en) * | 2001-03-16 | 2002-09-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Dual Magnetic Structure of Vibration Speaker |
JP4000793B2 (en) * | 2001-07-13 | 2007-10-31 | オリエントサウンド株式会社 | Square speaker |
-
2004
- 2004-02-20 KR KR1020040011491A patent/KR100676422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5
- 2005-02-21 WO PCT/KR2005/000469 patent/WO200508158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8528B1 (en) * | 2010-08-10 | 2011-06-02 | 정창수 | Speak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2887A (en) | 2005-08-24 |
WO2005081580A1 (en) | 2005-09-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935393B2 (en) | Speaker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 |
JP2007013730A (en) | Speaker system and speaker enclosure | |
JP4289343B2 (en) | Speaker drive device | |
KR20030036075A (en) | Flat panel sound radiator with supported exciter and compliant surround | |
US10621965B2 (en) | Acoustic apparatus | |
US7570774B2 (en) | Speaker having improved sound-radiating function to both directions | |
US8611583B2 (en) | Compact coaxial crossover-free loudspeaker | |
KR200417799Y1 (en) | Electroacoustic conversion unit having an output structure of the same phase bass reversal method | |
US20040163883A1 (en) | Electroacoustic transducer | |
KR100540289B1 (en) | Dynamic micro speaker of composite mode of vibration and sound | |
KR100729272B1 (en) | One-channel two-way speaker | |
KR100676422B1 (en) | A multi-way slim panel speaker system with multi-point drive | |
EP1229760B1 (en) | Speaker system | |
KR20060093412A (en) | Double diaphragm micro speaker | |
KR100676421B1 (en) | One channel 2-way speaker | |
JP5588752B2 (en) | Transparent acoustic wall | |
US7515724B2 (en) | Loudspeaker driver | |
KR102115387B1 (en) | The compositive speaker with moving magnetic circuit type | |
KR100769885B1 (en) | The speaker | |
JPH11234778A (en) | Speaker system | |
KR20080095962A (en) | Electronic sound-transforming unit having structure of generating bass reflex with same phase for preventing distortion | |
US20020021820A1 (en) | Loudspeaker | |
KR101087493B1 (en) | A Hidden Magnetostrictive Speaker Embedded in Flat Panel Display | |
JP2001224090A (en) | Passive radiator loudspeaker system | |
KR20180073025A (en) | Integrated 3-way Flat Slim Spea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