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272B1 - One-channel two-way speaker - Google Patents

One-channel two-way sp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272B1
KR100729272B1 KR1020060026108A KR20060026108A KR100729272B1 KR 100729272 B1 KR100729272 B1 KR 100729272B1 KR 1020060026108 A KR1020060026108 A KR 1020060026108A KR 20060026108 A KR20060026108 A KR 20060026108A KR 100729272 B1 KR100729272 B1 KR 100729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diaphragm
voice coil
speaker
magnetic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1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강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영음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영음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영음향
Priority to KR1020060026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2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2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A one-channel two-way speaker is provided to improve a bass reproduction characteristic by vibrating a part with a yoke as a whole by attaching a diaphragm to the yoke. A magnetic circuit part has a magnet plate, a magnet and a yoke stacked in sequence. A high tone reproduction part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magnetic circuit part, and comprises a voice coil(21) accommodated between the magnet and an outer wall of the yoke and a front diaphragm(22) connected to the top of the voice coil. A low tone reproduction part is located below the magnetic circuit part, and is composed of a back diaphragm(31) made of a polyurethane, and the back diaphragm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yoke.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ont diaphragm a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ck diaphragm are attached to a single frame respectively. The two-way speaker generates sound of two tones whos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has a peak point in the low tone part and the high tone part respectively by the operation of the voice coil and the magnetic circuit part.

Description

1채널 2웨이 방식의 스피커{ONE-CHANNEL TWO-WAY SPEAKER} 1 channel 2 way speaker {ONE-CHANNEL TWO-WAY SPEAKER}

도 1 은 종래의 이어폰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arphone speaker

도 2 는 종래의 이어폰 스피커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earphone speaker

도 3 은 종래의 1채널 2웨이 방식인 대형 스피커의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one-channel two-way loudspeaker

도 4 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진동판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aphragm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과 종래의 이어폰과의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7 is a graph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earphon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자기회로부 11 : 요크 10: magnetic circuit part 11: yoke

12 : 수용공간 13 : 마그네트 12: accommodation space 13: magnet

14 : 마그네트 플레이트14: magnet plate

20 : 고음재생부 21 : 보이스 코일20: treble playback unit 21: voice coil

22 : 전면 진동판 22: front diaphragm

30 : 저음재생부 31 : 후면진동판30: bass reproduction unit 31: rear vibration plate

41 : 프레임 42,43 : 뚜껑 41: frame 42, 43: lid

본 발명은 이어폰, 헤드폰, 휴대전화 등에 들어가는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나의 자기회로부를 가지고 있는 소형 스피커에서 중·고음뿐 아니라 저음에서의 재생특성이 우수한 1채널 2웨이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for earphones, headphones, cellular phones,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one-channel two-way speaker having excellent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in low tones as well as mid and high in a small speaker having one magnetic circuit section.

또한, 본 발명은 저음부의 재생특성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요크에 진동판을 부착하여 요크가 있는 부분이 전체적으로 진동하게 하여 저음 재생특성을 높인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having a high vibration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by attaching a diaphragm to the yoke so as to vibrate the entire portion with the yoke in order to improve the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bass portion.

종래의 소형 스피커의 경우 자기회로부(마그네트, 마그네트 플레이트, 요크를 포함하는 자기장 발생부)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소리의 재생은 전적으로 보이스 코일과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이어폰 스피커가 도 1, 도 2에 도시되어 있다.In a conventional small speaker, a magnetic circuit portion (a magnetic field generating portion including a magnet, a magnet plate, and a yoke) is fixed to a frame. Therefore, the reproduction of sound was made entirely by th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and the diaphragm. Such a conventional earphone speaker is shown in Figs.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종래의 소형 스피커는 상부에 그릴캡, 스텐망 등으로 진동판(6)을 덮고 있고, 가운데가 원형으로 뚫린 도우넛형의 진동판(6)이 있으며, 진동판의 중심부에 진동판과 동축의 보이스 코일(5)이 감겨 있다. 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conventional small speaker covers the diaphragm 6 with a grill cap, a stainless steel net, etc. on the top, a donut-shaped diaphragm 6 with a circular hole in the center, and the diaphragm at the center of the diaphragm. Coaxial voice coil 5 is wound.

보이스 코일(5)의 하방에는 중심부가 함몰된 실린더형태의 요크(1)가 있고, 요크의 함몰 되어 들어간 수용공간(2)에는 마그네트 플레이트(4), 마그네트(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안착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5)은 마그네트(3)와 요크의 수용 공간(2)의 내측 면 사이의 원통형의 홈에 위치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voice coil 5 has a yoke 1 in the form of a cylinder recessed in its center, and the magnet plate 4 and the magnet 3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seated in the receiving space 2 recessed in the yoke. have. The voice coil 5 is located in a cylindrical groove between the magnet 3 and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2 of the yoke.

요크(1)의 밑면에는 PCB기판이 달려 있고 요크(1)와의 결합은 리벳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요크(1)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결합된 기존의 소형 스피커의 단면은 도 2에서 볼 수 있다. The bottom of the yoke (1) has a PCB board and the coupling with the yoke (1) is made of rivets. In addition, the yoke 1 is fixed to the frame. A cross section of a conventional small speaker combined with this structure can be seen in FIG.

상기 소형 스피커는 마그네트(3)에서 발생한 자기장 속에서 보이스 코일(5)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보이스 코일(5)이 자기력을 받는다. 따라서 보이스 코일(5)은 힘을 받게 되고 상하로 진동을 하게 된다. 보이스 코일(5)의 진동에 의해 보이스 코일(5)과 결합 되어 있는 진동판(6)은 공급되는 공진 주파수에 의해 공진 하게 된다. 진동판(6)의 진동은 소리를 발생하여 음성신호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소형 스피커는 소리를 재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small speaker, the voice coil 5 receives a magnetic force by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voice coil 5 in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 3. Therefore, the voice coil 5 is subjected to force and vibrates up and down. The vibration plate 6 coupled with the voice coil 5 by th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5 is resonated by the supplied resonant frequency.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6 generates sound to reproduce the voice signal. Due to this principle, small speakers typically reproduce sound.

이러한 종래의 소형 스피커의 경우 요크(1)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요크(1)는 진동을 하지않고, 진동판(6)만 진동을 하게 되어 진동판(6)의 재료적 특성과 진동변위에 의해 재생되는 음질이 좌우되기도 하였다.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small speaker, it is common to fix the yoke 1 to the frame. Therefore, the yoke 1 does not vibrate, and only the vibrating plate 6 vibrates, and thus the sound quality reproduced by the material properties and vibration displacement of the vibrating plate 6 may be influenced.

특히 스피커의 진동판은 소형으로 제작하여야 하는 제한 때문에 강화 폴리에스테르(PET)필름이 주로 사용되어서, 이 경우 진동판의 재질이 연질이지 못해 중·고음에서는 음의 재생특성이 양호하게 나오지만 저음으로 가면 재생특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In particular, due to the limitation that the diaphragm of the speaker must be made small, reinforced polyester (PET) film is mainly used.In this case, the material of the diaphragm is not soft, so the sound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are good in the middle and high frequencies, but the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are reduced in the low tone. This phenomenon was lowered.

또한 연질의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저음부의 재생이 가능하지만 음질의 저하를 피할 수 없었다. 즉, 소형 스피커의 경우 크기적인 제한과 진동판의 재질을 연질로 하기 어렵다는 제한, 연질로 하더라도 음질이 나빠진다는 점 때문에 저음부로 갈수록 재생이 힘들었다.In addition, even if a soft material is used, the bass can be regenerated, but the degradation of sound quality is inevitable.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 small speaker, the size of the speaker and the limitation of the material of the diaphragm are hard to be soft.

다른 종래기술로, 소형 스피커가 아닌 중·대형 스피커에서 볼 수 있는 방식으로, 저음부의 재생특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2개의 재생특성을 가진 스피커를 이용하는 2웨이(2-way) 방식이 있다. In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is a 2-way method using a speaker having two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mprove the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bass in a manner that can be seen in the medium and large speakers rather than a small speaker.

2웨이 방식에 의한 경우 깔때기 형태의 저음용 스피커 중심부에 소형의 고음용 스피커를 장착하는 두 개의 별도 스피커가 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2개의 스피커에서 각각 중·고음부와 저음부를 재생하여 기존의 1개의 스피커를 이용하는 것보다 우수한 재생특성을 보여준다. In the case of the two-way method, it is common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wo separate speakers are mounted to mount a small high-pitched speaker at the center of a funnel-shaped low-pitched speaker. In this case, the two speakers reproduce the mid / high ranges and the bass, respectively, and show better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than using one conventional speaker.

하지만, 2개의 스피커를 조합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하우징 전체의 높이가 높아지며, 스피커의 뒷공간이 여유가 있어야 하고, 제조 공정 역시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그 형태가 깔때기 형태를 이루고 있어 공기를 밀고 당기는데 진동판의 중앙부와 끝단과의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고,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의 위치가 서로 달라 주파수 재생에 있어 기복이 발생하여 음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two speakers must be combined, the height of the entire housing including the same increases, the back space of the speaker must be free,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complicated.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unnel form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and the end of the diaphragm to push and pull the air, and the position of the voice coil of the speake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due to the ups and downs in the frequency reproduction, the sound quality is deteriorated There is this.

또 다른 종래기술로, 상기의 2웨이 스피커의 단점을 보완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1채널 2웨이 스피커가 있다.(출원번호 10-2004-0011489) 이 기술은 1개의 스피커에서 2개의 음역대의 소리가 재생되어 상기의 종래기술보다 향상된 음질을 제공해 준다. 이 기술에 대한 설명은 도 3에 도시되었다.In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there is a one-channel two-way speaker, which is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which complements the disadvantage of the two-way speaker. (Application No. 10-2004-0011489) Is reproduced to provide improved sound quality than the prior art. A description of this technique is shown in FIG.

도 3을 참고하면, 요크(1)가 있고, 요크의 함몰 되어 들어간 수용공간(2)에는 마그네트 플레이트(4), 마그네트(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안착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5)은 마그네트(3)와 요크의 수용공간(2)의 내측 면 사이의 원통형의 홈에 위치하고, 제 1 진동판(6)이 보이스 코일(5)과 동축으로 보이스 코일(5)에 결합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re is a yoke 1, and the magnet plate 4 and the magnet 3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seated in the receiving space 2 recessed in the yoke. The voice coil 5 is located in a cylindrical groove between the magnet 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2 of the yoke, and the first diaphragm 6 coaxially with the voice coil 5 to the voice coil 5. Are combined.

상기 요크(1)의 외곽 면에 댐퍼(8)가 부착되어 있고, 제 2 진동판(7)이 댐퍼(8)에 연결되어 제 1 진동판(6)과 같은 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요크(1)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댐퍼(8)와 제 2 진동판(7)에 의해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어,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로, 요크(1)는 보이스 코일(5)과의 공진에 의해 진동을 하게된다. A damper 8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yoke 1, and the second diaphragm 7 is connected to the damper 8 and is located on the same side as the first diaphragm 6. The yoke 1 is not fixed to the frame, but is connected to the frame by the damper 8 and the second diaphragm 7, and is not fixed. As a result, the yoke 1 vibrates by resonance with the voice coil 5.

따라서 이 기술은 기존의 고음용 진동판의 자기회로부(요크, 마그네트, 마그네트 플레이트)가 고정식이 아니라 진동식으로 되어 있어 댐퍼(8)에 의해 요크(1)와 간접연결된 제 2 진동판(7)이 요크(1)의 진동에 공진하여 저음부의 소리를 발생시킨다. 물론, 보이스 코일(5)과 연결된 제 1 진동판(6)도 진동을 하여 고음부의 소리를 재생하게 된다.Therefore, in this technology, the magnetic circuit part (yoke, magnet, magnet plate) of the conventional high-pitched diaphragm is not fixed but vibrated so that the second diaphragm 7 indirectly connected with the yoke 1 by the damper 8 is yoke ( Resonance with the vibration of 1) generates the sound of the bass part. Of course, the first diaphragm 6 connected to the voice coil 5 also vibrates to reproduce the sound of the treble.

이 경우 단일의 자기회로부를 사용하였고, 평면의 저음용 진동판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기존 기술의 단점인 스피커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전술한 시간차 발생과 음질저하를 해결할 수 있었다. In this case, since a single magnetic circuit part was used and a flat basal diaphragm was used, the height of the speaker,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existing technology, was increased or the above-described time difference and sound quality were solved.

하지만 이 경우도, 제 2 진동판을 댐퍼(8)에 의해 요크에 간접적으로 연결시키면 댐퍼, 보강 리브 등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크고, 소형 스피커용 진동판과 진동판의 재질이 달라, 여전히 소형 스피커에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구조적으로 제 1 진동판(6)과 제 2 진동판(7)이 같은 면에서 전방을 향해 있기 때문에 박형 제작은 가능해도, 넓은 면적 때문에 소형화가 불가능했다.However, even in this case, if the second diaphragm is indirectly connected to the yoke by the damper 8, the space occupied by the device such as the damper and the reinforcing rib is large, and the materials of the diaphragm and the diaphragm for the small speaker are different.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In addition, since the first diaphragm 6 and the second diaphragm 7 face forward in the same plane, even if thin fabrication is possible, miniaturization was not possible due to the large area.

이러한 상기의 종래의 기술들로 소형 스피커를 제작할 경우, 자기회로부가 고정식으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어서, 보이스 코일에 의한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서만 소리를 재생하여, 2가지 음역대의 소리를 재생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소형 스피커의 진동판은 재질이 연질이지 못하고, 연질을 사용하더라도 저음부의 재생이 원활히 안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small speaker by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the magnetic circuit part is fixed to the frame fixedly, so that the sound is reproduced only by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by the voice coil, so that the sound of the two sound bands cannot be reproduced. In addition, the diaphragm of the conventional small speaker has a phenomenon in which the material is not soft, and even when soft materials are used, reproduction of the bass part is not smooth.

또한 2웨이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중·고음부의 재생뿐 아니라 저음부의 재생도 가능하지만 구조적으로 소형화가 불가능하여 소형 스피커에 사용하지 못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2-way system is used, not only the mid- and high-pitched parts can be reproduced, but also the low-pitched parts can not be miniaturized, and thus they cannot be used in small speake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형화가 가능하고 저음부의 재생특성이 우수한 1채널 2웨이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중·고음뿐 아니라 저음의 재생특성이 우수하고, 공간을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서 이어폰 등의 소형 스피커에 적용가능한, 하나의 보이스 코일과 자기회로부로 구성된 1채널 2웨이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one-channel two-way speaker that can be downsized and has excellent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bass portion.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one-channel two-way speaker composed of one voice coil and a magnetic circuit unit, which is excellent in reproducing characteristics of not only mid / high sounds but also in a small area taking up space and applicable to small speakers such as earphone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4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4 or les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 간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마그네트 플레이트(14), 마그네트(13), 요크(11)로 구성되는 자기회로부(10)가 있으며, 요크(11)의 중심부의 수용공간(12)에 마그네트 플레이트(14), 마그네트(1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안착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oupling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gnetic circuit portion 10 composed of a magnet plate 14, a magnet 13, yoke 11, the magnet plate 14, the magnet (14) in the receiving space 12 in the center of the yoke 11 13)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seated.

상기 자기회로부(10)의 상방에 보이스 코일(21)과 전면진동판(22)으로 구성된 고음재생부가 위치하며, 마그네트(13)와 요크의 수용공간(12)의 내측 면 사이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홈에 보이스 코일(21)이 위치하고, 보이스 코일(21)과 동축으로 전면진동판(22)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자기회로부의 하방에 후면진동판(31)으로 된 저음재생부(30)가 부착되어 있다. Above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10, a high-sound reproducing portion composed of the voice coil 21 and the front vibrating plate 22 is located, and a cylindrical groove formed between the magnet 1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2 of the yoke. The voice coil 21 is located, and the front vibration plate 22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voice coil 21 coaxially. Further, a bass regenerator 30 made of a rear vibration plate 31 is attached below the magnetic circuit unit.

상기 후면 진동판(31)에는 후면 뚜껑(42)이 덮고 있고, 전면 진동판(22)에는 전면 뚜껑(43)이 덮고 있다. 상기 뚜껑들(42,43)은 단지 진동판을 포함한 내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에 불과한 음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수적인 구성에 불과하며,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의 구성이다. 따라서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는 메카니즘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이어폰의 뚜껑 부분은 모두 소리가 전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작은 구멍들이 뚜껑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사항인 바 도시되지는 않았다.
또한, 전체는 프레임(41)에 의해 지탱된다. 즉 도 6과 같이 프레임에 전면 진동판의 외주면이 결합되어 있어서 전면진동판을 포함하는 고음재생부가 지지되며, 프레임에 후면진동판의 외주면이 결합되어 있어서 후면진동판을 포함하는 저음재생부와 저음재생부에 일체로 결합된 자기회로부가 지지된다.
소형 스피커에 들어가는 PCB기판의 경우 특별히 위치에 구애받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외부의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에 부착하는 것이 후면진동판(15)의 진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일정한 양질의 음을 재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The rear lid 42 covers the rear diaphragm 31, and the front lid 43 covers the front diaphragm 22. The lids 42 and 43 are merely an incidental configuration that does not affect the generation of sound, which is merely a configuration that prevents the interior including the diaphragm from being damaged, and is a well-known configuration generally known.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sound to the outside will be omitted. However, the lid portion of the earphone has a plurality of small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lid so that all sound can be transmitted, which is not shown as well known general matters.
In addition, the whole is supported by the frame 41. That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diaphragm is coupled to the frame as shown in FIG.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is supported.
Since the PCB board into the small speak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ttaching to an external housing (not shown) does not affect the vibration of the rear vibrating plate 15 so that a certain quality sound can be reproduced. It is preferable because it is.

이하에서는 도 4, 도 5를 중심으로 소형 스피커의 진동판 부분이 포함된 고 음재생부(20)와 저음재생부(30), 자기회로부(10)를 중심으로 구성을 기술하도록 한다. 이는 자기회로부(10)와 진동판 부분이 소리를 재생하는 핵심적인 부분이기 때문이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high sound reproduction unit 20, the low sound reproduction unit 30, and the magnetic circuit unit 10 including the diaphragm portion of the small speak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his is because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10 and the diaphragm portion are essential parts for reproducing sound.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스피커는 중·고음부 재생을 위한 보이스 코일(21)과 전면 진동판(22)을 포함하는 고음재생부(20), 자기회로부(10), 저음부 재생을 위한 후면 진동판(31)을 포함하는 저음재생부(30)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구성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The compact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gh-sound reproducing unit 20 including a voice coil 21 and a front diaphragm 22 for reproducing mid- and high-pitched parts, a magnetic circuit unit 10, and a rear diaphragm 31 for reproducing a bass part. It consists of a low tone reproduction section 30, which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such a configuration is sequentially stacked.

상기 고음재생부(20)는 보이스 코일(21)과 전면진동판(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이스 코일(21)은 전면 진동판(22)과 동축방향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21)은 마그네트(13)의 자기장 속에서 보이스 코일(21)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자기력선의 방향에 수직인 힘을 받는다. The treble reproducer 20 is composed of a voice coil 21 and the front vibration plate (22). The voice coil 21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ront diaphragm 22 in a coaxial direction. The voice coil 21 receives a forc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orce line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voice coil 21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13.

따라서 보이스 코일(21)은 자기력선과 수직인 방향인 보이스 코일(21)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힘을 받아 진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보이스 코일(21)의 진동에 의해 전면 진동판(22)은 진동을 하게 되고 소리를 재생하게 된다. Therefore, the voice coil 21 is vibrated by a for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voice coil 2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gnetic force line. Th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21 causes the front diaphragm 22 to vibrate and reproduce sound.

이것은 기존의 소형 스피커와 차이가 없다. 다만, 상기의 보이스 코일(21)의 진동은 자기회로부(10)의 공진을 일으켜 요크(11)와 결합되어 있는 후면진동판(31)의 진동을 유발한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의 특징을 잘 나타난다.This is no different from conventional small speakers. However, th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21 causes resonance of the magnetic circuit part 10 to cause vibration of the rear side vibration plate 31 coupled with the yoke 11. In this resp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well.

보이스 코일(21)과 일체로 붙어 있는 전면 진동판(22)은 보이스 코일(21)의 진동을 받아 진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소리의 재생은 전면 진동판(17)의 이러한 진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면 진동판(21)은 후면 진동판(22)보다 중·고음부의 재생에 우수한 재생특성을 가진다. The front diaphragm 22 integrally attached to the voice coil 21 is vib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21. The reproduction of the sound is thus made by this vibration of the front diaphragm 17. The front diaphragm 21 has better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than the rear diaphragm 22 for regeneration of the mid / high sound portion.

본 발명의 자기회로부(10)는 요크(11)와 마그네트(13), 마그네트 플레이트(14)로 구성된다. 하지만, 반드시 상기와 같은 구성일 필요는 없다. 요크(11)를 생략하거나 마그네트 플레이트(14)를 생략하더라도 소리를 재생할 수는 있다. 다만, 요크와 마그네트 플레이트는 소형 스피커에 필요한 자기장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생략하면 소리의 재생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요크(11)와 마그네트 플레이트(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gnetic circuit pa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yoke 11, a magnet 13, and a magnet plate 14. However, 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yoke 11 is omitted or the magnet plate 14 is omitted, the sound can be reproduced. However, since the yoke and the magnet plate play a role of maintaining a magnetic field required for the small speaker, when omitted, the sound may not be properly reproduc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yoke 11 and the magnet plate 14.

마그네트(13)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피커는 상기 마그네트(13)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보이스 코일(21)의 진동이 발생해 진동판(22,31)이 떨려서 소리가 발생한다. 상기 마그네트(13)는 기존의 마그네트를 사용하여도 된다. The magnet 13 serves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In the speaker, vibration of the voice coil 21 is generat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 13, and the diaphragms 22 and 31 are shaken to generate sound. The magnet 13 may use an existing magnet.

상기 마그네트 플레이트(14)는 마그네트(13)에 붙어 있는 부품이다. 마그네트 플레이트(14)는 마그네트(13)의 자기장을 강화시켜 보이스 코일(21)의 진동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기존 기술의 자기회로부의 마그네트 플레이트와 다르지 않은 역할이다. 따라서 기존 기술에서와 마찬가지의 마그네트 플레이트(13)를 사용하여도 된다.The magnet plate 14 is a component attached to the magnet 13. The magnet plate 14 serves to strengthen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13 to enhance th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21. This is no different from the magnetic plate of the magnetic circuit part of the existing technology. Therefore, the same magnet plate 13 as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may be used.

요크(11)는 중심부에 수용공간(12)이 있는 함몰된 형태의 실린더로 되어있 다. 요크(11)의 역할은 수용공간(12)을 만들어 주는 고정된 프레임과 같은 역할을 하여, 요크의 수용공간(12)에는 마그네트(13)와 마그네트 플레이트(14)가 수용되어 결합 고정된다. 또한 요크(11)는 재질이 철로 되어있어 자기장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다만, 반드시 철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지만 철로 된 것이 자기장 강화에 바람직하다. Yoke 11 is a recessed cylinder with a receiving space 12 in the center. The role of the yoke 11 serves as a fixed frame that makes the receiving space 12, the magnet 13 and the magnet plate 14 is accommodated and fixed in the receiving space 12 of the yoke. In addition, the yoke (11) is made of a material that serves to strengthen the magnetic field.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be made of iron, but iron is preferable for strengthening the magnetic field.

본 발명에서는 요크(11)가 진동을 하여 후면 진동판(15)에 진동을 전해주는 역할도 한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전체가 결합된 소형 스피커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요크(11)는 프레임(41)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프레임(41)과 후면진동판(31)을 통해 결합하여 진동을 할 수 있는 진동식으로 되어있다. 즉, 요크는 프레임에 직접 결합하여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요크에 일체로 결합된 후면진동판의 외주면이 프레임과 결합됨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며, 단순히 지지될 뿐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요크 자체가 진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yoke 11 also vibrates and transmits vibration to the rear diaphragm 15. Figure 6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act speaker combined with the w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yoke 11 is not fixed to the frame 41, but is coupled to the frame 41 and the rear vibrating plate 31 to vibrate. In other words, the yoke is not directly coupled to the frame, but is supported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vibrating plate integrally coupled to the yoke, coupled with the frame, and the yoke itself can vibrate because it is not simply fixed. .

즉, 요크(11)는 보이스 코일(21)과의 공진에 의해 진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인 고정식 요크와 달리 요크가 진동하는 방식인 점에서 종래기술과 다른 점을 가지고, 진동에 의해 후면 진동판(31)이 진동하게 되어 전면 진동판(22)의 진동에 의한 소리와 합쳐서 소리를 재생한다. That is, the yoke 11 vibrates by resonance with the voice coil 21.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ce from the prior art in that the yoke vibrates differently from the conventional fixed yoke, and the rear diaphragm 31 vibrates by vibrating and combined with the sound of the vibration of the front diaphragm 22. Play the sound.

상기 저음재생부(30)는 후면진동판(31)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후면 진동판(31)은 자기회로부(10)의 요크(11)의 하방에 부착되어 있다. 후면 진동판(31)의 역할은 요크(11)의 진동에 의해 소리를 내는 것으로, 특히 저음을 잘 재생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중·대형 스피커의 우퍼와 같은 역할을 한다. The bass reproduction unit 30 is composed of a rear vibration plate (3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diaphragm 31 is attached below the yoke 11 of the magnetic circuit section 10. The role of the rear diaphragm 31 is to make a sound by the vibration of the yoke 11, in particular, it should be able to reproduce the bass well. In other words, it acts like a woofer for medium and large speakers.

따라서, 저음 재생에 알맞은 연질의 소재가 바람직하고, 요크(11)의 진동을 버틸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판의 경우 일반적으로 강화 폴리에스테르(PET) 필름인 마일라(Mylar(상품명))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또한, 실크, 종이(펄프), 우레탄, 고무, 탄성 중합체인 엘라스토머(elastomer)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도 된다. Therefore, a soft material suitable for bass reproduction is preferabl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 of the yoke 11 can be sustained. The diaphragm is generally manufactured using Mylar (trade name), a reinforced polyester (PET) film. In addition, a material such as silk, paper (pulp), urethane, rubber, or elastomer (elastomer) may be used.

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우레탄(PU)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은 요크를 포함하는 자기회로부(10)의 무게를 지탱하면서도 연질의 소재로 저음을 잘 낼 수 있기 때문이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polyurethane (PU). This is because the polyurethane can support the weight of the magnetic circuit part 10 including the yoke while producing a good bass with a soft material.

일반적으로 공진주파수는 진동판의 실효질량과 공기의 반작용에 의한 질량 및 기타 질량(자기회로부,접착제 등)의 총합인 등가질량에 반비례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후면 진동판(31)은 기존의 기술과 달리 요크(11)에 부착되어 소리를 발생하므로 자기회로부(10)의 무게와 연질의 후면 진동판(31)의 소재에 의해 저음 재생특성이 우수한 중·대형 스피커의 우퍼와 같은 저음의 재생이 가능해지고, 다양하고 풍부한 저음을 재생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소리의 웅장함을 재생할 수 있다.In general, it is widely known that the resonant frequency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effective mass of the diaphragm, the mass caused by the reaction of air, and the equivalent mass which is the sum of other masses (magnetic circuit parts, adhesives, etc.). Therefore, the rear diaphragm 31 is attached to the yoke 11 to generate sound, unlike the existing technology, and thus has excellent bass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due to the weight of the magnetic circuit part 10 and the material of the soft rear diaphragm 31. Bass sounds such as the woofer of a large speaker can be reproduced, and a variety of rich bass sounds can be reproduced, so that the sound magnificence can be reproduced more effectively.

종래의 소형 스피커와 비교하면 우선, 전술했듯이 자기회로부(10)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후면진동판(31)이 있는 저음재생부(30)가 별도로 있어서, 중·고음부의 재생과 동시에 저음부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 할 수 없었던 2가지 음역대의 소리의 재생이 가능해진 것이다.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mall speaker, first, as described above, the magnetic circuit section 10 is not fixed to the frame, and there is a separate bass reproducing section 30 having a rear vibrating plate 31, so that the bass and Playback takes place. As a result, the sound of two sound bands which cannot be achieved in the prior art can be reproduced.

또한, 상기의 후면진동판(31)은 종래기술인 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4-0011489)의 진동판인 제 2 진동판(7)과 달리 진동판의 위치와 재질과 크기가 달라 효과도 다르다. In addition, unlike the second diaphragm 7 of the diaphragm of the prior art patent application (application number 10-2004-0011489), the rear vibrating plate 31 is different in position and material and size of the diaphragm, so that the effect is also different.

본 발명의 후면 진동판(31)은 댐퍼(8)에 의해 요크(11)와 연결된 종래기술과 다르게 요크(11)와 직접 연결되어 있고, 소형 스피커에 맞게 전면 진동판(22)과 같은 크기의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자기회로부(10)에서 전면진동판(22)과 다른 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소형 스피커가 차지하는 면적을 작게 만들 수 있다. The rear diaphragm 3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yoke 11 unlike the prior art connected to the yoke 11 by a damper 8, and is fitted to a fram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ront diaphragm 22 to fit a small speaker. It has a size that can be mounted and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vibration plate 22 in the magnetic circuit section 10, so that the area occupied by the small speaker can be made small.

따라서, 종래기술에서의 댐퍼(8), 보강 리브 등이 필요치 않고, 소형 스피커에 알맞은 크기의 진동판만으로 중대형 스피커의 우퍼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damper 8, the reinforcement rib, etc. in the prior art are not necessary, and only the diaphragm of the size suitable for a small speaker can function like the woofer of a medium-large speaker.

본 발명의 2웨이 방식의 스피커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덴마크의 비엔케이사의 “B&K 2012”(측정장비)를 사용하여 주파수 응답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도 7에서 도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저음의 경우 20-300Hz사이를, 중음의 경우 800-5000Hz사이, 고음의 경우 10KHz 이상을 말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음인 80-200Hz 사이에서 본 발명의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은 피크(peak)점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의 구간 외의 구간은 중간음역대로 중저음과 중고음부를 나타낸다. In order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2-way loudsp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using Danken's "B & K 2012" (measurement equipment) are shown in FIG. Generally speaking, between 20-300Hz for the bass, 800-5000Hz for the midrange, and more than 10KHz for the trebl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80-200Hz, the bass. Shows the peak point. Sections other than the above section represent mid-range and mid-range as midtones.

스피커의 경우 피크점, 즉 F0(최저공진주파수)점의 위치가 음의 재생특성 파악에서 중요한 기준이 된다. 본 발명에서의 F0 점의 위치는 저음부에 있다. 또한 2개의 진동판이 있기 때문에 중·고음부에서도 피크점을 보여주고 있다. 종래기술의 경우 F0 점의 위치는 400-500Hz 로 비교적 높은 음역대에서 좋은 재생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In the case of the speaker, the position of the peak point, that is, the F 0 (lowest resonant frequency) point, is an important criterion for understanding the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The position of the F 0 poin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bass portion. In addition, since there are two diaphragms, peaks are also shown in the middle and treble. In the prior art, the position of the F 0 point is 400-500 Hz, which shows good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in a relatively high range.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는 볼 수 없었던 풍부한 저음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reproduction of rich bass, which has not been seen in the prior ar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특히 낮은 저음부에서 우수한 재생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1개의 스피커를 통해 저음부와 중·고음부의 소리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2웨이(2-way) 방식의 본 발명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hows excellent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in the low bass p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2-way method that can simultaneously reproduce the sound of the bass part and the mid / high part through one speaker are well known. Is shown.

본 발명의 경우 반드시 80-200Hz대의 음역에서 우수한 재생특성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단순한 무게의 변화나 재질의 변화를 통해 얼마든지 재생특성이 우수한 음역대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show excellent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in the 80-200Hz range. By simply changing the weight or material changes, you can adjust the range of sound with excellent playback characteristics.

이상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은 기존의 이어폰, 헤드폰, 휴대전화 등에서 사용되는 소형 스피커에서는 들을 수 없었던 풍부한 저음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스피커에서 저음부와 중·고음부의 소리가 같이 재생되어 기존에 2개 이상의 스피커를 필요로 하던 구조보다 우수하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result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roduce rich bass that cannot be heard in a small speaker used in conventional earphones, headphones, mobile phone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ound of the bass portion and the mid- and treble portions are reproduced together in one speaker, which is superior to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speakers are required.

또한, 이와 비슷한 효과를 내는 종래기술이 소형 스피커에 적용할 수 없었던 단점도 본 발명은 해결하여 소형 스피커에 적용이 가능하였다.In addition, the disadvantage that the prior art that has a similar effect could not be applied to the small speaker was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to the small speaker.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마그네트 플레이트와 마그네트와 요크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자기회로부(10), Magnetic circuit portion 10, the magnetic plate and the magnet and yoke are sequentially stacked, 상기 자기회로부(10)의 상방에 위치하며 마그네트와 요크의 외벽 사이에 수용될 수 있는 보이스 코일(21)과 보이스 코일의 상방에서 결합된 전면진동판(22)으로 구성되는 고음재생부(20), The treble regeneration unit 20 which is positioned above the magnetic circuit unit 10 and includes a voice coil 21 that can be accommodated between the magnet and the outer wall of the yoke, and a front vibration plate 22 coupled above the voice coil. 상기 자기회로부(10)의 하방에 위치하고 폴리우레탄(PU)으로 이루어진 후면진동판(31)으로 구성되며 요크의 하부에 상기 후면진동판이 부착되어 일체로 동작하는 저음재생부(30)로 구성되되,Consists of a rear vibration plate 31 positioned below the magnetic circuit unit 10 and made of polyurethane (PU), and having the rear vibration plate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yoke to operate integrally. 상기 전면진동판의 외주면과 후면 진동판의 외주면은 각각 단일 프레임에 부착되어 지지되고,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vibration plat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vibration plate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and supported by a single frame, 하나의 보이스 코일과 자기회로부의 작동에 의해 스피커의 주파수 응답특성이 저음부와 고음부에서 각각 최고점을 갖는 2개의 음역대의 소리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웨이 방식의 스피커2 way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by the operation of one voice coil and the magnetic circuit unit can generate two sound bands each having the highest point in the bass and treble
KR1020060026108A 2006-03-22 2006-03-22 One-channel two-way speaker KR1007292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108A KR100729272B1 (en) 2006-03-22 2006-03-22 One-channel two-way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108A KR100729272B1 (en) 2006-03-22 2006-03-22 One-channel two-way spe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9272B1 true KR100729272B1 (en) 2007-06-15

Family

ID=38359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108A KR100729272B1 (en) 2006-03-22 2006-03-22 One-channel two-way sp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272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693B1 (en) 2009-08-12 2010-05-10 혜성 테크빅 주식회사 Micro speaker for using linear vibration motor
KR200454024Y1 (en) 2010-01-06 2011-06-09 주식회사 비에스이 Multifunction micro speaker
KR101040310B1 (en) 2010-01-11 2011-06-10 주식회사 비에스이 Multi-function micro-speaker
KR101499514B1 (en) * 2013-10-23 2015-03-09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Rectangular, integrated two way speaker
CN109743663A (en) * 2019-03-26 2019-05-10 珠海宏声科技有限公司 A kind of double toning loudspeakers and earphone
KR20230014473A (en) * 2021-07-21 2023-01-30 에스텍 주식회사 The sound generating apparatu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4688A (en) * 1992-02-26 1993-09-21 Minebea Co Ltd Composite speaker
KR19990038183A (en) * 1997-11-04 1999-06-05 전주범 2-way speaker with flat vibration plate
KR20000072633A (en) * 2000-09-16 2000-12-05 김충지 2 channel integration and thin type speaker
KR20030033695A (en) * 2001-10-24 2003-05-01 삼성전기주식회사 Two-way speaker of mobile phone
JP2003299193A (en) * 2002-04-05 2003-10-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peaker and speaker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40069394A (en) * 2003-01-29 2004-08-06 에스텍 주식회사 Unity type two-way speaker
KR20050030183A (en) * 2005-02-23 2005-03-29 주식회사 벨류텔 Micro speaker generating acoustic vibration and sound
KR20050044830A (en) * 2003-11-08 2005-05-13 신광식 Dual mode micro speaker to generate vibration using both one voice coil and one fixed coil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4688A (en) * 1992-02-26 1993-09-21 Minebea Co Ltd Composite speaker
KR19990038183A (en) * 1997-11-04 1999-06-05 전주범 2-way speaker with flat vibration plate
KR20000072633A (en) * 2000-09-16 2000-12-05 김충지 2 channel integration and thin type speaker
KR20030033695A (en) * 2001-10-24 2003-05-01 삼성전기주식회사 Two-way speaker of mobile phone
JP2003299193A (en) * 2002-04-05 2003-10-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peaker and speaker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40069394A (en) * 2003-01-29 2004-08-06 에스텍 주식회사 Unity type two-way speaker
KR20050044830A (en) * 2003-11-08 2005-05-13 신광식 Dual mode micro speaker to generate vibration using both one voice coil and one fixed coil
KR20050030183A (en) * 2005-02-23 2005-03-29 주식회사 벨류텔 Micro speaker generating acoustic vibration and sound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693B1 (en) 2009-08-12 2010-05-10 혜성 테크빅 주식회사 Micro speaker for using linear vibration motor
WO2011083959A2 (en) * 2010-01-06 2011-07-14 주식회사 비에스이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KR200454024Y1 (en) 2010-01-06 2011-06-09 주식회사 비에스이 Multifunction micro speaker
WO2011083959A3 (en) * 2010-01-06 2011-11-03 주식회사 비에스이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WO2011083988A2 (en) * 2010-01-11 2011-07-14 주식회사 비에스이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WO2011083988A3 (en) * 2010-01-11 2011-11-03 주식회사 비에스이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KR101040310B1 (en) 2010-01-11 2011-06-10 주식회사 비에스이 Multi-function micro-speaker
CN102273228A (en) * 2010-01-11 2011-12-07 宝星电子株式会社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KR101499514B1 (en) * 2013-10-23 2015-03-09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Rectangular, integrated two way speaker
CN109743663A (en) * 2019-03-26 2019-05-10 珠海宏声科技有限公司 A kind of double toning loudspeakers and earphone
CN109743663B (en) * 2019-03-26 2023-11-14 珠海解放者智能科技有限公司 Double-tone loudspeaker and earphone
KR20230014473A (en) * 2021-07-21 2023-01-30 에스텍 주식회사 The sound generating apparatus
KR102545584B1 (en) * 2021-07-21 2023-06-20 에스텍 주식회사 The sound genera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225743U (en) Single-magnetic double-sound-path coaxial loudspeaker
JP3935393B2 (en) Speaker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WO2013114872A1 (en) Speaker, inner ear headphone provided with speaker, and hearing aid
US10621965B2 (en) Acoustic apparatus
KR100729272B1 (en) One-channel two-way speaker
US6804366B2 (en) Speaker apparatus
US8611583B2 (en) Compact coaxial crossover-free loudspeaker
CN107431853A (en) Loudspeaker enclosure with sealed acoustic suspension chamber
US7680293B2 (en) Loudspeaker apparatus
US6721435B2 (en) Acoustic loudspeaker with energy absorbing bearing and voice coil, and selective sound dampening and dispersion
CN205283773U (en) An ear -worn earphone
KR101828262B1 (en) Balanced armature type speaker
KR101539064B1 (en) Earphone having multi-echo spaces
KR100676421B1 (en) One channel 2-way speaker
KR101863499B1 (en) Speaker with yoke and separate frame
KR20060133749A (en) Co-axial speaker
KR100676422B1 (en) A multi-way slim panel speaker system with multi-point drive
JP2000078689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20020065419A (en) Two-way micro speak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543007B1 (en) 2-way receiver with flat tweeter diaphragm
KR101087493B1 (en) A Hidden Magnetostrictive Speaker Embedded in Flat Panel Display
KR100651020B1 (en) A structure for portable acoustic device with two way micro speaker
KR20180073025A (en) Integrated 3-way Flat Slim Speaker
KR101421381B1 (en) Speaker unit and speak system having the same
JP2002165291A (en) Loud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