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006B1 - Brake-releasing device for elevator hois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rake-releasing device for elevator hois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006B1
KR100651006B1 KR1020057006526A KR20057006526A KR100651006B1 KR 100651006 B1 KR100651006 B1 KR 100651006B1 KR 1020057006526 A KR1020057006526 A KR 1020057006526A KR 20057006526 A KR20057006526 A KR 20057006526A KR 100651006 B1 KR100651006 B1 KR 100651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inner wire
outer tube
operation lever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5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67415A (en
Inventor
신 무라카미
다카시 이시이
나오끼 우라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4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0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Abstract

본 발명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는 권상기(102)의 브레이크(102a)와 승강장(108) 근방에 설치된 수납 박스(20)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측 튜브(11) 및 내측 와이어(12)를 갖고 있다. 수납 박스(20) 내의 프레임(30)에 내측 와이어(12)에 연결된 조작 레버(4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외측 튜브(11)는 외측 튜브 고정축(35)을 통하여 프레임(30)에 연결되어 있다. 내측 와이어(12)는 그 선단부(12a)가 내측 와이어 연결축(46)을 통하여 조작 레버(40)에 연결되어 있다.The brake relea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uter tube 11 and an inner wire 12 extending between the brake 102a of the hoist 102 and the storage box 20 provided near the landing 108. The operation lever 40 connected to the inner wire 12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frame 30 in the storage box 20. The outer tube 11 is connected to the frame 30 through the outer tube fixing shaft 35. The inner end portion 12a of the inner wire 12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40 via the inner wire connecting shaft 46.

엘리베이터 권상기, 브레이크 개방 장치 Elevator hoist, brake opening device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 및 그 조작 방법{BRAKE-RELEASING DEVICE FOR ELEVATOR HOIS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Brake opening device of elevator hoisting machine and its operation method {BRAKE-RELEASING DEVICE FOR ELEVATOR HOIS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권상기를 구동할 수 없게 된 경우에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e opening device of an elevator hoist used to open a brake of a hoist when the elevator hoister cannot be driven.

엘리베이터 운전 중에 지진이나 정전 등이 일어나거나 엘리베이터가 고장나서, 엘리베이터 권상기(이하 권상기라고도 함)의 운전이 불가능해지면, 카(car)가 층간(層間)에 정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수동으로 개방하여 카를 승강장까지 승강시키는 구출(救出) 운전이 실행된다.When an earthquake, a power failure, or the like occurs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or the elevator breaks down and operation of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also referred to as a hoisting machine) becomes impossible, the car may be stopped between floors. In this case, a rescue operation is performed in which the brake of the hoisting machine is manually opened to raise and lower the car to the landing.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로서는, 다양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구출 운전 시에 브레이크 와이어의 단부(端部)를 승강장 바닥(floor) 위로 당기고, 승강장 바닥에 가설(假設)한 발판 레버(foot-lever)를 누름으로써, 브레이크 와이어를 견인하여 브레이크를 개방하는 구출 운전 조작 기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Various apparatuses are proposed as an apparatus for manually opening the brake of a hoist. For example, during the rescue operation, the brake wire is pulled by pulling the end of the brake wire over the landing floor and pressing the foot-lever installed on the landing floor. The rescue operation operation mechanism which opens is known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또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와 수동 조작부 사이에 설치된 브레이크 개방용 와이어와, 권상기의 회전축에 고정된 피니언(pinion)과,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는 래크(rack)와, 상기 래크를 맞물림 위치로 변위시키는 맞물림용 와이어와, 상기 래크를 길이 방향으로 왕복(往復) 동작시키는 수동 구동용 와이어를 구비한 장치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이들 와이어를 조작하는 브레이크 개방용 레버와, 수동 구동용 레버와, 맞물림용 레버가 승강장의 인디케이터 박스(indicator-box)에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a brake opening wire provided between the hoist of the elevator and the manual operation unit, a pinion fix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hoist, a rack engaged with the pinion, and an engaging for displacing the rack into an engaged position. The apparatus provided with the wire and the wire for manual drive which reciprocates the said ra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lso known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2). In addition, a brake release lever for operating these wires, a manual drive lever, and an engagement lever are fixed to an indicator box of a landing.

또한, 구출 운전 시에 승강로 하부 근방의 승강장 바닥에 설치되고, 권상기에 설치된 2세트의 브레이크 와이어를 각각 독립적으로 견인하는 레버 기구를 구비한 권상기의 제동력 설정 장치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Moreover, the braking force setting device of the hoisting machine which is provided in the floor of the boarding point vicinity of the lower part of a hoistway at the time of rescue operation, and has the lever mechanism which pulls two sets of brake wires provided in the hoisting machine independently, for example (patent document 3) Reference).

특허문헌 1 내지 3에 있어서, 권상기의 브레이크 와이어의 외측 튜브(outer-tube)가 프레임 등의 구조물에 고정되어, 내측 와이어의 선단(先端)이 레버에 연결되어, 레버의 회전 동작에 의해 내측 와이어가 외측 튜브에 대하여 견인되게 되어 있다. 또한, 외측 튜브의 단부 외측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너트에 의해 외측 튜브가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다.In Patent Literatures 1 to 3, the outer tube of the brake wire of the hoisting machine is fixed to a structure such as a frame, and the tip of the inner wire is connected to the lever, and the inner wire is rotated by the lever. Is towed against the outer tube. In addition, a male screw is formed outside the end of the outer tube, and the outer tube is fixed to the structure by a nut.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2001-23356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1-233563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2001-122547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1-122547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2001-294386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1-294386

상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브레이크 개방 장치를 승강장 바닥 부근에 설치할 경우, 카가 상기 승강장 부근에 있으면, 승강로 내에 설치된 브레이크 와이어의 단말을 승강장 측으로 당길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승강로 내로부터 브레이크 와이어의 단말을 당기는데 시간이나 노력이 소요되어 구출이 지연될 우려가 있다.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when the brake opening device is provided near the landing floor, if the car is near the landing, the terminal of the brake wire provided in the landing may not be pulled to the landing side. In addition, it takes time or effort to pull the terminal of the brake wire from the hoistway,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rescue may be delayed.

또한, 브레이크 와이어의 단말을 승강장 바닥면으로 당기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와이어를 승강로 내에서 느슨하게 해 둘 필요가 있지만, 이 경우는 느슨해진 와이어가 카에 얽히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승강장 측으로 브레이크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브레이크 와이어의 일부가 카 측으로 튀어나오거나 장력(張力)을 부가함으로써 와이어가 움직여, 유도되는 카에 얽히게 될 위험성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ull the terminal of the brake wire to the landing floor surface, it is necessary to loosen the brake wire in the hoistway, but in this case, the loosened wire may be entangled in the car. Further, by pulling the brake wire toward the landing side, there is a risk that a part of the brake wire may jump out to the car side or add tension, thereby causing the wire to move and become entangled in the guided car.

또한, 일반적으로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수백N에서부터 1kN 이상에 미치는 힘을 수십㎜의 스트로크(stroke)에 걸쳐 조작용 와이어에 인가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어, 조작 레버도 그 만큼의 크기가 필요하다.In general, in order to open the brake of the hoisting machine, it may be necessary to apply a force applied from several hundred N to 1 kN or more to the operation wire over a stroke of several tens of millimeters. Do.

그 때문에, 조작 레버를 승강장 인디케이터 박스 등에 수납할 경우에는, 상기 박스를 대형으로 할 필요가 있어, 의장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Therefore, when storing an operation lever in a boarding point indicator box etc.,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said box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designability may deteriorate.

또한, 브레이크 와이어의 내측 와이어를 견인하는 레버는 그 지지축 둘레로 회전 운동하기 때문에, 견인에 따라 내측 와이어의 견인 방향과 외측 튜브의 고정 방향이 어긋나, 그들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하여 원활한 조작이 불가능해지거나 내측 와이어가 손상되어 구출 운전의 안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ver for pulling the inner wire of the brake wire rotates around its support shaft,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inner wire and the fixing direction of the outer tube are shifted with the pulling, and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m increases, which makes smooth operation impossible. There is a risk that the safety of the rescue operation may be lowered due to breakage or damage to the inner wire.

내측 와이어와 외측 튜브의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각도의 어긋남을 작게 할 필요가 있고, 그를 위해서는 레버의 동작 각도를 작게 해야만 한다.In order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ner wire and the outer tub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ngle shift, and for that purpose, the operating angle of the lever must be reduced.

그런데, 작은 동작 각도에서 견인에 필요한 힘과 스트로크를 얻기 위해서는, 내측 와이어를 견인하는 위치와 레버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를 크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레버 전체를 길게 해야만 한다. 그 결과, 브레이크 개방 장치를 대형으 로 해야만 하기 때문에, 수납 스페이스가 증대하거나 의장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By the way, in order to obtain the force and the stroke required for the traction at a small operating angle,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at which the inner wire is towed an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lever, but the entire lever must be lengthened. As a result, since the brake release device must be made lar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orage space increases or the designability deteriorates.

또한, 짧은 스트로크로 브레이크를 개방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측의 기구를 구성하는 것도 효과적이지만, 견인력이 증대하기 때문에, 굵은 와이어가 필요하게 되거나 기구가 대형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스트로크를 짧게 하여 견인력을 크게 하면, 견인력의 미묘한 조정이 어려워져 안정된 구출 운전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It is also effective to configure the brake side mechanism so that the brake can be opened by a short stroke. However, since the traction force is increased, a thick wire is required or the mechanism may be enlarged. In addition, when the stroke is shortened to increase the traction force, it is difficult to make delicate adjustment of the traction force, which may make stable rescue operation difficult.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브레이크 와이어를 승강로 내에서 느슨하게 해 둘 필요가 없어, 구출 운전 중에 브레이크 와이어가 승강로 내로 튀어나오지 않고, 또한 큰 조작 레버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 및 그 조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is point, and it is not necessary to loosen the brake wire in the hoistway, the brake wire does not protrude into the hoistway during rescue operation, and the brake of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does not need to install a large operation lev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ning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승강장 도어를 갖는 승강장으로부터 개방하여 카를 유도하는 브레이크 개방 장치에 있어서, 승강장 근방에 설치되어 프레임을 내장하는 수용부와,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와 수용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외측 튜브와, 외측 튜브 내에서 연장하는 내측 와이어와, 수용부 내의 프레임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 와이어에 연결된 조작 레버를 구비하며, 외측 튜브는 외측 튜브 회동 지지 수단을 통하여 프레임에 연결되고, 내측 와이어는 그 선단부가 내측 와이어 회동 지지 수단을 통하여 조작 레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이다.A brake opening device for guiding a car by opening a brake of an elevator hoist disposed in a hoist from a hoist with a hoist door, comprising: an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near the hoist and containing a frame, and between the brake and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hoist. An outer tube extending in the outer tube, an inner wire extending in the outer tube, and an operating lever rotatably installed in a frame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inner wire, wherein the outer tube includes an outer tube pivot support means. It is connected to the frame through the inner wire is the brake opening device of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through the inner wire rotation support means.

본 발명은 외측 튜브 회동 지지 수단은 축심(軸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외측 튜브를 통과시키는 제 1 축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내측 와이어 회동 지지 수단은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측 와이어를 통과시키는 제 2 축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tube pivot support means comprises a first shaft-shaped member for passing the outer tub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haft center, and the inner wire pivot support means allows the inner wire to pas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haft center. It is a brake open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which consists of a 2nd axial member.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를 회전시켜 내측 와이어를 견인했을 때에, 외측 튜브 고정축이 자유롭게 회전하여 항상 내측 와이어가 견인되는 방향을 향한다. 그 때문에, 외측 튜브의 단부 내면과 내측 와이어가 강하게 마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동작이 원활해져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작 레버의 동작 각도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장대한 레버를 사용하지 않아도 큰 스트로크의 견인이 가능해지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lever is rotated to pull the inner wire, the outer tube fixing shaft rotates freely and always fac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wire is pull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ict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outer tube and the inner wire to be strong, the operation is smooth, and the reliability is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angle of the operation lever can be increased, a large stroke can be pulled without using a grand lever, and the apparatus can be miniaturized.

본 발명은 조작 레버에 연장용 추가 레버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이다.This invention is the brake opening device of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which connected the extension additional lever to the operation lever.

본 발명은 조작 레버로부터 제거된 추가 레버가 수용부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rake opening device of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wherein an additional lever removed from the operation lever is housed in the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와 추가 레버를 조합시켜 레버 전체를 용이하게 연장시킬 수 있고, 긴 조작 레버를 설치할 필요는 없어, 조작 레버를 수납하기 위한 큰 수납 스페이스가 불필요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extend the entire lever by combining the operation lever and the additional lever, and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long operation lever, so that a large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operation lever is unnecessary.

본 발명은, 조작 레버가 수용부 내에 있을 때 내측 와이어의 선단부가 레버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조작 레버가 수용부로부터 외측으로 나왔을 때 내측 와이어의 선단부가 조작 레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p of the inner wire is not connected to the lever when the operation lever is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tip of the inner wire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when the operation lever comes out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Brake opening device.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 와이어를 실수로 견인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과 조작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ner wire from being towed accidentally,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operability.

본 발명은 수용부가 승강장 중 작업원이 승강장 도어를 개방하여 승강로 내의 카를 보면서 조작 레버를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rake opening device of an elevator hois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portion is installed in a position that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operation lever while opening the landing door to watch the car in the hoistway.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승강장 도어를 갖는 승강장으로부터 개방하여 카를 유도하는 브레이크 개방 장치로서, 승강장 근방에 설치되어 프레임을 내장하는 수용부와,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와 수용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외측 튜브와, 외측 튜브 내에서 연장하는 내측 와이어와, 수용부 내의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 와이어에 연결된 조작 레버를 구비하며, 외측 튜브는 외측 튜브 회동 지지 수단을 통하여 프레임에 연결되고, 내측 와이어는 그 선단부가 내측 와이어 회동 지지 수단을 통하여 조작 레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의 조작 방법에 있어서, 승강장의 승강장 도어를 개방하는 공정과, 승강장으로부터 승강장 도어를 통하여 승강로 내의 카를 보면서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브레이크를 개방하면서 카를 유도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의 조작 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ke opening device for guiding a car by opening a brake of an elevator hoist disposed in a hoist from a hoist with a hoist door, which is provided near the hoist and includes a frame, and a brake and the hoist of the hoist. An outer tube extending, an inner wire extending in the outer tube, and a control lever rotatably mounted to the frame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inner wire, wherein the outer tube is connected to the frame through the outer tube pivot support means. The inner wire has a tip end portion connected to an operation lever via an inner wire pivot support means, the method of operating a brake release device of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comprising the steps of opening a landing door of a landing and a landing from a landing. Win through the door A method of operating a brake opening device for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comprising the step of guiding a car while operating a control lever while opening a brake while watching a car in a roadwa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rake opening device of an elevator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승강장 측으로부터 본 브레이크 개방 장치의 외관도.2 is an external view of a brake opening device as seen from the landing side.

도 3의 (a)∼(d)는 브레이크 개방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설명도.3 (a) to 3 (d)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rake release device in detail.

도 4의 (a)∼(c)는 브레이크 개방 장치의 레버를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Fig.4 (a)-(c)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which connects the lever of a brake release device.

도 5의 (a)∼(c)는 브레이크 개방 장치의 레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5 (a) to 5 (c)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ever of the brake release device;

도 6은 엘리베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drawings, one Example of the brake open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traction machine by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우선, 도 6을 참조하여 통상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엘리베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First, a normal eleva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levator.

엘리베이터(100)는 건물의 승강로(101) 내에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카(104)와, 승강로(101)의 상부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권상기(권상기라고도 함)(102)를 구비하고 있다. 권상기(102)로부터 매달려 있는 로프(103)의 한쪽이 카(104)의 하측에 설치된 종동(從動) 도르래(sheave)(105)에 감기고, 로프(103)의 단부는 승강로(101) 상단 부근에서 지지되어 있다.The elevator 100 is provided with the car 104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up-down direction in the hoistway 101 of a building, and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also called the hoisting machine) 102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hoistway 101 is possible. One side of the rope 103 suspended from the hoisting machine 102 is wound around a driven pulley 105 installed below the car 104, and an end of the rope 103 is near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101. Supported by

한편, 권상기(102)로부터 매달려 있는 로프(103)의 다른쪽은 균형추(counterweight)(106)의 상부에 설치된 도르래(107)에 감기고, 로프(103)의 단부는 승강로(101) 상단 부근에서 지지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side of the rope 103 suspended from the hoisting machine 102 is wound around the pulley 107 installed on the counterweight 106, and the end of the rope 103 is supported near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101. It is.

또한, 각층의 승강장(108)은 바닥(floor)(109)과, 벽(110)과, 승강장 도어(111)를 갖고 있다.In addition, the landing 108 of each floor has a floor 109, a wall 110, and a landing door 111.

다음으로, 도 1에 의해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도면 중의 좌측이 승강로(101)이고, 우측이 승강장(108)으로 되어 있다.Next, the brake release device of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In FIG. 1,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is the hoistway 101, and the right side is the hoistway 108.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상기(102)는 긴급용 브레이크(102a)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는 권상기(102)의 브레이크(102a)를 승강장(108) 측으로부터 개방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hoist 102 has an emergency brake 102a. The brake opening device of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ns the brake 102a of the hoisting machine 102 from the landing 108 side.

즉, 브레이크 개방 장치는 승강장(108) 근방의 벽(110)에 설치되어 프레임(30)을 내장하는 수납 박스(수용부)(20)와, 권상기(102)의 브레이크(102a)와 수납 박스(20) 사이에서 연장하는 가요성(可撓性) 외측 튜브(11)와, 외측 튜브(11) 내에서 연장하는 가요성 내측 와이어(12)와, 수납 박스(20) 내의 프레임(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내측 와이어(12)에 연결된 조작 레버(40)를 구비하고 있다.That is, the brake open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wall 110 near the landing 108 and includes a storage box (receiving portion) 20 in which the frame 30 is incorporated, and the brake 102a and the storage box of the hoisting machine 102 ( It rotates to the flexible outer tube 11 extended between 20, the flexible inner wire 12 extending in the outer tube 11, and the frame 30 in the storage box 20. As shown in FIG. It is provided so that the operation lever 40 connected to the inner wire 12 at the same time possible.

이 중에서 외측 튜브(11)와 내측 와이어(12)에 의해 브레이크 와이어(10)가 구성되며, 브레이크 와이어(10)의 한쪽 끝(10a)은 브레이크(102a)에 연결되고, 브레이크 와이어(10)의 다른쪽 끝(10b)은 수납 박스(20)의 프레임(30) 측으로 유도된다.Among these, the brake wire 10 is comprised by the outer tube 11 and the inner wire 12, One end 10a of the brake wire 10 is connected to the brake 102a, and The other end 10b is guided to the frame 30 side of the storage box 20.

그리고, 브레이크 와이어(10)의 내측 와이어(12)를 조작 레버(40)에 의해 잡 아당김으로써, 권상기(102)의 브레이크(102a)가 개방되게 되어 있다. 또한, 수납 박스(20)는 승강장(108) 중 작업원이 승강장 도어(111)를 개방하여 승강로(101) 내의 카(104)를 보면서 조작 레버(40)를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The brake 102a of the hoist 102 is opened by pulling the inner wire 12 of the brake wire 10 by the operation lever 40. Moreover, the storage box 20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worker can operate the operation lever 40, while the worker opens the landing door 111, and looks at the car 104 in the landing 101 of the landing hall 108. .

다음으로, 수납 박스(수용부)(20)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납 박스(20)의 내부에는 프레임(30)이 고정되어 있고, 이 프레임(30)에 대하여 조작 레버(4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외측 튜브(11)는 단부 부속품(fitting) (11a)을 갖고, 이 단부 부속품(11a)은 프레임(30)에 외측 튜브 고정축(제 1 축 형상 부재) (35)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내측 와이어(12)는 단부 부속품(12a)을 갖고, 이 단부 부속품(12a)은 레버(40)의 중간부에 내측 와이어 연결축(제 2 축 형상 부재)(46)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수납 박스(20)에는 커버(21)가 부착되어 있어 승강장(108)으로부터는 내부가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Nex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orage box (receiving part) 20 is demonstrated. The frame 30 is fixed inside the storage box 20, and the operation lever 40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is frame 30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The outer tube 11 has an end fitting 11a,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frame 30 via an outer tube fixing shaft (first axial shaped member) 35. , The inner wire 12 has an end fitting 12a,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via an inner wire connecting shaft (second axial member) 46 in the middle of the lever 40. do. Moreover, the cover 21 is attached to the storage box 20, and the inside is not seen from the boarding point 108. As shown in FIG.

도 2는 상기 수납 박스(20)를 승강장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승강장(108)의 벽(110)에 호출 버튼(도시 생략) 등을 갖는 인디케이터 패널(11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인디케이터 패널(112)의 근방에 커버(21)가 부착된 수납 박스(20)가 설치되고, 커버(21)에는 키(key)(22)가 설치되어 있다.FIG. 2: is an external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looked at the said storage box 20 from the boarding point side. An indicator panel 112 having a call button (not shown) or the like is provided on the wall 110 of the landing 108. The storage box 20 with the cover 21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indicator panel 112, and a key 22 is provided in the cover 21.

다음으로, 수납 박스(20)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도 3의 (a)∼(d)에 의해 더 설명한다. 도 3의 (a)∼(d)는 수납 박스(2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그 측면도, 도 3의 (b)는 그 정면도, 도 3의 (c)는 도 3의 (b)의 확대도, 도 3의 (d)는 외측 튜브 고정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Nex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orage box 20 is further demonstrated by FIG.3 (a)-(d). (A)-(d)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orage box 20, FIG.3 (a) is a side view, FIG.3 (b) is a front view, and FIG.3 (c) ) Is an enlarged view of FIG. 3B, and FIG. 3D is a view showing an outer tube fixing shaft.

프레임(30)은 동일 형상의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31)와,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31) 사이에 끼워진 프레임 블록(32)과,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31)를 고정시키는 볼트(3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블록(32)은 벽(110) 내에 설치된 고정판(113)에 4개의 볼트(3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The frame 30 includes a pair of frame plates 31 having the same shape, a frame block 32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frame plates 31, and a bolt 33 fixing the pair of frame plates 31. It consists of). In addition, the frame block 32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113 provided in the wall 110 by four bolts 34.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31) 내측에는 조작 레버(40)가 각 프레임 플레이트(31)에 부착된 레버 회전축(41)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 레버(40)는 동일 형상의 한 쌍의 레버 플레이트(42)와, 한 쌍의 레버 플레이트(42) 사이에 끼워진 스페이서(43)와, 한 쌍의 레버 플레이트(42)를 고정시키는 볼트(4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레버 플레이트(42)의 선단부에 구멍(42a)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40)에는 구멍(42a)을 이용하여 보충 파이프(추가 레버)(45)를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 보충 파이프(45)는 수납 박스(20)에 수납되어 있다.Inside the pair of frame plates 31, an operation lever 40 is pivotably supported around the lever rotation shaft 41 attached to each frame plate 31. The operation lever 40 includes a pair of lever plates 42 having the same shape, a spacer 43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lever plates 42, and a bolt 44 for fixing the pair of lever plates 42. It consists of). In addition, a hole 42a is provided at the tip end of the lever plate 42. The refill pipe (additional lever) 45 can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40 using the hole 42a, and the refill pipe 45 is housed in the storage box 20.

외측 튜브(11)의 단부 부속품(11a) 외측에는 나사(13)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튜브 고정축(35)의 축심과 직교하여 설치된 구멍에 단부 부속품(11a)을 삽입한 상태에서 나사(13)에 결합되는 2개의 너트(14)를 끼워넣음으로써 단부 부속품(11a)이 외측 튜브 고정축(35)에 고정된다. 이 외측 튜브 고정축(35)은 프레임 플레이트(3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외측 튜브 고정축(35)에는, 상기 너트(14)가 맞닿는 부분에 2개의 평면 형상 가공면(35a)이 설치되어 있고, 외측 튜브 고정축(35)의 양단에는 잠금 링(lock ring)(35b)이 부착되어 있다.A screw 13 is formed outside the end fitting 11a of the outer tube 11. The end fitting 11a is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by inserting two nuts 14 coupled to the screw 13 with the end fitting 11a inserted into the hol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shaft center of the outer tube fixing shaft 35. It is fixed to the fixed shaft 35. The outer tube fixing shaft 35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frame plate 31. The outer tube fixing shaft 35 is provided with two planar processing surfaces 35a at a portion where the nut 14 abuts, and lock rings 35b at both ends of the outer tube fixing shaft 35. ) Is attached.

한편, 내측 와이어(12)의 단부 부속품(12a) 선단부에는 나사(15)가 형성되며, 내측 와이어 연결축(46)의 축심과 직교하여 설치된 구멍을 관통하여 단부 부속품(12a)이 삽입되고, 또한 나사(15)의 선단부에 너트(16)가 부착되어 있다. 내측 와이어 연결축(46)은 상기 2개의 레버 플레이트(4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너트(16)가 맞닿는 부분에는 평면 형상의 가공면(46a)이 설치되어 있고, 내측 와이어 연결축(46)의 양단에는 잠금 링(46b)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내측 와이어 연결축(46)의 가공면(46a)과 너트(16)는 도 3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접촉하지 않아 여유있게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crew 15 is formed i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end fitting 12a of the inner side wire 12, and the end fitting 12a is inserted through the hole provided orthogonally to the shaft center of the inner side wire connection shaft 46, A nut 16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screw 15. The inner wire connecting shaft 46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two lever plates 42. The planar working surface 46a is provided in the part which the nut 16 abuts, and the locking ring 46b is attached to the both ends of the inner wire connecting shaft 46.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3, the process surface 46a and the nut 16 of the inner side wire connecting shaft 46 do not contact, and are provided with a space.

다음으로,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도 4의 (a)∼(c) 및 도 5의 (a)∼(c)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us constructe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and Figs. 5A to 5C.

어떠한 이상이나 고장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구동할 수 없게 되어, 권상기(102)의 브레이크(102a)가 작동한 상태에서 카(104)가 층간에 정지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여 카(104) 내의 승객의 구출 운전이 실행된다.When the hoist of the elevator cannot be driven due to any abnormality or failure, and the car 104 stops between floors while the brake 102a of the hoist 102 is operated, the car 104 is operated as follows. The rescue operation of the passenger inside is executed.

우선, 작업원에 의해 권상기(102)의 설치 위치에 가까운 층의 승강장(108) 도어(111)가 약간 개방되어, 승강로(101) 내가 보이게 된다.First, the platform 108 door 111 of the floor close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oisting machine 102 is opened slightly by the worker, and the inside of the hoistway 101 is visible.

그 후의 순서에 대해서 도 4의 (a)∼(c)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4의 (a)∼(c)는 상기 수납 박스(20) 내부를 투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 중에서 도 4의 (a)는 수납 박스(20)의 커버(21)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 중의 참조 기호 G는 내측 와이어 연결축(46)의 가공면(46a)과 상기 너트(16)의 여유 길이이다.The subsequent procedur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4A to 4C are side views show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20 in perspective. 4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ver 21 of the storage box 20 is closed, and the reference symbol G in the drawing indicates the machining surface 46a of the inner wire connecting shaft 46 and the nut ( 16) is the allowable length.

우선, 도 4의 (a)에 있어서, 수납 박스(20)의 키(22)를 개방하여 커버(21)를 개방하고, 조작 레버(40)를 앞으로 기울인다. 다음으로, 조작 레버(40)의 선단을 수납 박스(20)로부터 돌출시키고, 가공면(46a)과 너트(16)를 맞닿게 한다(도 4의 (b)). 이 때, 상기 여유(G)는 없어지지만, 내측 와이어(12)에 장력은 인가되지 않는다.First, in FIG. 4A, the key 22 of the storage box 20 is opened to open the cover 21, and the operation lever 40 is tilted forward. Next,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lever 40 is projected from the storage box 20 to bring the machining surface 46a and the nut 16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FIG. 4B). At this time, the clearance G disappears, but no tension is applied to the inner wire 12.

다음으로, 돌출된 조작 레버(40) 선단의 구멍(42a)을 이용하여 상기 보충 파이프(45)를 볼트(47)에 의해 연결한다(도 4의 (c)).Next, the replenishment pipe 45 is connected by the bolt 47 using the hole 42a at the tip of the protruding operation lever 40 (FIG. 4C).

이하에 내측 와이어(12)를 견인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5의 (a)∼(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의 (a)∼(c)는 상기 보충 파이프(45)가 연결된 조작 레버(40)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An operation of pulling the inner wire 12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5A to 5C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40 to which the replenishment pipe 45 is connected.

작업자는 승강장 도어(111)의 틈으로부터 승강로(101) 내를 확인하면서 보충 파이프(45)의 단부를 잡아서 끌어내린다. 이 경우, 외측 튜브 고정축(35)과 내측 와이어 연결축(46)의 상대 거리가 증대하여 외측 튜브(11)에 대하여 내측 와이어(12)가 견인되고, 도 5의 (a)로부터 도 5의 (b)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조작 레버(40)를 더 내리게 되면, 도 5의 (c)의 상태로 된다.The worker grasps the end of the replenishment pipe 45 and pulls it down while check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101 from the gap of the hoistway door 111. In this case,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outer tube fixing shaft 35 and the inner wire connecting shaft 46 increases, so that the inner wire 12 is pulled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11, and from FIG. 5A to FIG. The state shown in (b) is obtained. When the operation lever 40 is lowered further, it will be in the state of FIG.

이 때, 조작 레버(40)의 경사에 따라 내측 와이어(12) 선단은 원호(圓弧) 형상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외측 튜브 고정축(35)이 프레임(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 튜브(11)의 단부 부속품(11a)은 항상 내측 와이어(12)가 견인되는 방향을 향한다. 또한, 내측 와이어 연결축(46)도 조작 레버(4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레버(40)가 회전하여도 내측 와이어(12)에 휨 하중(bending load)이 인가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tip of the inner wire 12 moves in an arc shape with the inclination of the operating lever 40, but the outer tube fixing shaft 35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rame 30. The end fitting 11a of the outer tube 11 always fac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wire 12 is towed. In addition, since the inner wire connecting shaft 46 is also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lever 40, no bending load is applied to the inner wire 12 even when the operation lever 40 is rotated. .

내측 와이어(12)가 견인되면 권상기(102)의 브레이크(102a)가 개방되어, 카(104)와 균형추(106) 중 무거운 쪽이 하강한다. 또한, 카(104)와 균형추(106)의 중량이 균형을 이루고 있을 경우에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은 방법에 의해, 양자의 중량이 균형을 이루지 않도록 추를 증감(增減)시키거나 어느 한쪽에 하중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둔다.When the inner wire 12 is towed, the brake 102a of the hoist 102 is opened, and the heavier one of the car 104 and the counterweight 106 descends. In addition, when the weight of the car 104 and the counterweight 106 is balanced, the weight is increased or decreased so as not to be balanced by the method which is not explained in detail. Do not apply a load.

이렇게 작업자가 승강로(101) 내의 카(104)를 보면서 조작 레버(40)를 단속적(斷續的)으로 끌어내린다.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102a)를 개방하면서 카(104)의 속도를 적절히 조정하여 카(104)를 승강장(108) 정면으로 유도한다. 그 후는 승강장 도어(111)와 카(104)의 도어를 개방하여 승객을 구출한다.In this way, the operator intermittently pulls down the operation lever 40 while looking at the car 104 in the hoistway 101. By operation, the speed of the car 104 is appropriately adjusted while opening the brake 102a to guide the car 104 to the front of the landing 108. After that, the doors of the landing door 111 and the car 104 are opened to rescue the passenger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승강장(108) 벽(110)에 설치된 수납 박스(20) 내의 조작 레버(40)에 보충 파이프(45)를 연결하고, 이 보충 파이프(45)를 끌어내리는 것만으로 권상기(102)의 브레이크(102a)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와이어를 승강장 바닥면 등으로 당길 필요가 없으며, 카가 승강장 바닥 부근에 있더라도, 문제 없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와이어를 승강로 내에서 느슨하게 해 둘 필요가 없어, 구출 운전 중에 브레이크 와이어가 승강로 내로 튀어나오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이 향상된다.The supplementary pipe 45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40 in the storage box 20 installed on the wall 108 of the landing 108, and the brake 102a of the hoist 102 is pulled down only by pulling down the supplementary pipe 45. ) Can be opened. For this reason, it is not necessary to pull a brake wire to the boarding point bottom, etc., Even if a car is near a boarding point bottom, it can work safely without a problem.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loosen the brake wire in the hoistway, and safety is improved because the brake wire does not protrude into the hoistway during the rescue operation.

또한, 조작 레버(40)의 회전에 따라 외측 튜브 고정축(35)이 프레임(30)에 대하여 회전하여 항상 내측 와이어(12)가 견인되는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외측 튜브(11)의 단부 내면과 내측 와이어(12)가 강하게 마찰하지 않아, 동작이 원활해지고, 내측 와이어(1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tube fixing shaft 35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rame 3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40, the inner tube 12 always fac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wire 12 is pulled, Since the inner wire 12 does not rub strongly, smooth operation, damage to the inner wire 12 can be prevented, and reliability can be ensured.

또한, 조작 레버(40)의 동작 각도를 크게 할 수 있어, 장대한 레버를 사용하 지 않아도 큰 스트로크의 견인이 가능해지고, 결과적으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미묘한 견인력의 조정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조작성이 우수하다.In addition, the operation angle of the operation lever 40 can be increased, so that a large stroke can be pulled without using a grand lever, and as a result, the apparatus can be miniaturized. In addition, since the subtle traction can be adjusted, the operability is excellent.

내측 와이어 연결축(46)도 프레임(30)에 대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조작 레버(40)의 동작 각도가 커지더라도, 내측 와이어(12) 선단에 무리한 휨 하중이 인가되지 않아 원활한 동작이 가능해진다.Since the inner wire connecting shaft 46 also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rame 30, even if the operation angle of the operation lever 40 increases, an excessive bending load is not applied to the tip of the inner wire 12, thereby enabling smooth operation.

또한, 내측 와이어(12)에 여유를 부여하여, 수납 박스(20) 내에 수납하고 있을 때의 조작 레버(40) 각도와 보충 파이프(45)를 조작 레버(40)에 연결할 때의 조작 레버(40) 각도에 틈을 두고 있기 때문에, 보충 파이프(45)의 연결 작업 시에 내측 와이어(12)를 실수로 견인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과 조작성이 확보된다. 또한, 수납 박스(20) 내의 스페이스를 충분히 사용하여 조작 레버(40)와 보충 파이프(45)를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납 박스(20) 내의 작은 수납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수납 박스(20)를 소형화할 수 있다.Moreover, the operation lever 40 at the time of providing a clearance to the inner wire 12, and connecting the operation lever 40 angle and the supplemental pipe 45 to the operation lever 40 when it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box 20 is carried out. Since a gap is provided at the ang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ner wire 12 from being accidentally pulled at the time of connecting the refill pipe 45, thereby ensuring safety and operability. Moreover, since the operation lever 40 and the supplemental pipe 45 can be accommodated using the space in the storage box 20 sufficiently, the small storage space in the storage box 20 can be used effectively, and the storage box 20 ) Can be miniaturized.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 레버(40)에 1개의 보충 파이프(45)를 연결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아, 2개나 그 이상의 보충 파이프(45)를 연결하여 조작 레버(40)의 조작에 필요한 힘을 적절히 경감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절첩식 링크 기구나 신축식 레버에 의해 레버를 연장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작업원이 연장용 레버를 지참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example which connected one supplementary pipe 45 to the operation lever 40 was shown,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operation lever 40 is connected by connecting two or more supplementary pipes 45 to it. It is also possible to appropriately reduce the force required to operate. The lever may also be extended by a folding link mechanism or an elastic lever. Alternatively, the worker may have an extension lever.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외측 튜브 고정축(35) 및 내측 와이어 연결축(46)은 프레임 플레이트(31)나 레버 플레이트(42)에 직접 접촉하여 지지되어 있었지만, 윤활제나 베어링을 사용하여 마찰력을 더 경감시키면, 보다 원활한 동작이 가능해진 다.In addition, although the outer tube fixing shaft 35 and the inner wire connecting shaft 46 were support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frame plate 31 or the lever plate 42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riction force was further increased by using a lubricant or a bearing. Reducing it enables more smooth operation.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권상기(102)가 승강로(101) 내의 상부에 설치된 예를 나타냈지만, 권상기(102)가 승강로(101)의 피트나 승강로(101)의 다른 부분이나 기계실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lthough the hoist 102 wa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01 with reference to FIG. 6, the hoist 102 is a pit of the hoistway 101, another part of the hoistway 101, and a machine room. Even if installed inside,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출 운전 시에 브레이크 와이어를 승강장으로 당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출 운전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카가 승강장 부근에 있더라도, 문제없이 구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와이어를 승강로 내에서 느슨하게 해 둘 필요가 없어, 구출 운전 중에 브레이크 와이어가 승강로 내로 튀어나오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은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의 회전 각도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레버를 길게 하지 않아도 충분한 스트로크의 견인이 가능하여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작 레버를 수납하는 수용부를 소형화할 수 있어 의장성이 악화될 우려도 없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rake wire does not need to be pulled to the landing during the rescue operation, the rescue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safely, and the rescue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problems even when the car is near the landing. In addition, since the brake wire does not need to be loosened in the hoistway, and the brake wire does not protrude into the hoistway during the rescu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 safety brake opening device for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Moreover, since the rotation angle of an operation lever can be enlarged, sufficient stroke can be pulled out without lengthening an operation lever, and operability improves. Moreover, the accommodating part which accommodates an operation lever can be miniaturized, and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designability may deteriorate.

Claims (7)

승강로(昇降路) 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승강장 도어를 갖는 승강장으로부터 개방하여 카(car)를 유도하는 브레이크 개방 장치에 있어서,In a brake opening device for inducing a car by opening a brake of an elevator hoist disposed in a hoistway from a hoistway having a hoistway door, 상기 승강장 근방에 설치되어 프레임을 내장하는 수용부와,An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platform and including a frame; 상기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외측 튜브(outer-tube)와,An outer tube extending between the brake of the elevator hoist and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외측 튜브 내에서 연장하는 내측 와이어와,An inner wire extending in the outer tube,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프레임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측 와이어에 연결된 조작 레버를 구비하며,It is provided rotatably in the said frame in the said accommodating part, and i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lever connected to the said inner wire, 상기 외측 튜브는 외측 튜브 회동 지지 수단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The outer tube is connected to the frame via an outer tube pivot support means, 상기 내측 와이어는 그 일단부가 내측 와이어 회동 지지 수단을 통하여 상기 조작 레버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One end of the inner wire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via an inner wire pivot support means,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rake of the elevator hois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측 튜브 회동 지지 수단은, 축심(軸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외측 튜브가 통과하는 제 1 축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The outer tube pivot support means is made of a first shaft-shaped member through which the outer tube pass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haft center, 상기 내측 와이어 회동 지지 수단은,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내측 와이어가 통과하는 제 2 축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The said inner wire pivot support means consists of the 2nd shaft-shaped member which the said inner wire passe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n axis center, The brake open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작 레버에 연장용 추가 레버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An extension lever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is connected to the brake hoist of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조작 레버로부터 제거된 추가 레버는 상기 수용부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The additional lever removed from the operation lev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수용부 내에 있을 때, 상기 내측 와이어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조작 레버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외측으로 나왔을 때 상기 내측 와이어의 상기 일단부가 상기 조작 레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When the operation lever is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the one end of the inner wire is not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and when the operation lever comes out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the one end of the inner wire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Brake opening device of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용부는 상기 승강장 중 작업원이 상기 승강장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승강로 내의 상기 카를 보면서 상기 조작 레버를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And the receiving portion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a worker can operate the operation lever while opening the landing door and watching the car in the landing. 승강로 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승강장 도어를 갖는 승강장으로부터 개방하여 카를 유도하는 브레이크 개방 장치로서, 상기 승강장 근방에 설치되어 프레임을 내장하는 수용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외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 내에서 연장하는 내측 와이어와,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측 와이어에 연결된 조작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 튜브는 외측 튜브 회동 지지 수단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 와이어는 그 일단부가 내측 와이어 회동 지지 수단을 통하여 상기 조작 레버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에 연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의 조작 방법에 있어서,A brake opening device for guiding a car by opening a brake of an elevator hoist disposed in a hoist from a hoist with a hoist door, the brake part being provided near the hoist and containing a frame, and between the brake of the hoist and the hoist. An outer tube extending, an inner wire extending in the outer tube, and an operation lev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inner wire, wherein the outer tube includes an outer tube pivot support means. Operation of the brake opening device of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which is connected to the frame via the inner wire, 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via an inner wire pivot support means,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rake of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On the way , 상기 승강장의 상기 승강장 도어를 개방하는 공정과,Opening the landing door of the landing hall;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상기 승강장 도어를 통하여 상기 승강로 내의 카를 보면서 상기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브레이크를 개방하면서 상기 카를 유도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개방 장치의 조작 방법.And a step of guiding the car while opening the brake by operating the operation lever while watching the car in the hoistway from the landing via the landing door.
KR1020057006526A 2003-04-09 2004-03-18 Brake-releasing device for elevator hois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65100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05363 2003-04-09
JP2003105363A JP4299043B2 (en) 2003-04-09 2003-04-09 Brake release device for elevator hoisting machi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CT/JP2004/003632 WO2004089801A1 (en) 2003-04-09 2004-03-18 Brake-releasing device for elevator hois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415A KR20050067415A (en) 2005-07-01
KR100651006B1 true KR100651006B1 (en) 2006-11-30

Family

ID=3315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526A KR100651006B1 (en) 2003-04-09 2004-03-18 Brake-releasing device for elevator hois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616831B1 (en)
JP (1) JP4299043B2 (en)
KR (1) KR100651006B1 (en)
CN (1) CN100408461C (en)
DE (1) DE602004031720D1 (en)
MY (1) MY137379A (en)
TW (1) TWI247720B (en)
WO (1) WO200408980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2337B2 (en) * 2004-11-11 2011-04-20 三菱電機株式会社 Brake release device for elevator hoisting machine
JP2007062900A (en) * 2005-08-30 2007-03-15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system
JP5327828B2 (en) * 2007-09-03 2013-10-3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Brake release device for elevator hoisting machine and eleva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2358544B (en) * 2011-08-30 2013-09-11 昆山通祐电梯有限公司 Elevator self rescuer
CN110436297B (en) 2018-05-03 2022-04-29 奥的斯电梯公司 Brake disc release device, barring device, elevator rescue kit and method
EP3670416A1 (en) 2018-12-20 2020-06-24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brake for a counterweight activated by a tension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1389A (en) * 1960-12-13 1962-07-18 Morse Instr Co Push-pull cable mounting bracket
CN1063726C (en) * 1996-07-09 2001-03-28 王秋楠 Safety life saving device of elevator
FI103498B1 (en) * 1996-09-05 1999-07-15 Kone Corp Arrangements to relieve the brake of a lift machine
JP4291457B2 (en) * 1999-04-30 2009-07-0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Brake release device for elevator hoisting machine
JP2001122547A (en) * 1999-10-21 2001-05-08 Mitsubishi Electric Corp Manual operation device for elevator hoist
JP2001233563A (en) * 2000-02-18 2001-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Rescue operation device for traction type elevator and its method
JP4421069B2 (en) * 2000-04-10 2010-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hoisting machine braking force setting device
JPWO2002030800A1 (en) * 2000-10-10 2004-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and car position confirm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5611A (en) 2005-12-07
KR20050067415A (en) 2005-07-01
CN100408461C (en) 2008-08-06
TW200426104A (en) 2004-12-01
JP4299043B2 (en) 2009-07-22
EP1616831A1 (en) 2006-01-18
MY137379A (en) 2009-01-30
WO2004089801A1 (en) 2004-10-21
EP1616831A4 (en) 2007-07-11
JP2004307181A (en) 2004-11-04
EP1616831B1 (en) 2011-03-09
DE602004031720D1 (en) 2011-04-21
TWI247720B (en) 200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40570A (en) Car locking device of elevator
EP0985623B1 (en)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JP2000203774A (en) Stop locking device for elevator car
KR101252424B1 (en) Elevator
US6230845B1 (en) Moveable control panel for elevators
JP2007063021A (en) Lift cage with maintenance platform and maintenance method for lift facility
US6021872A (en) Remote brake release mechanism for an elevator machine
CN108883907B (en) Elevator device
KR100651006B1 (en) Brake-releasing device for elevator hois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4323431B2 (en) Elevator equipment
JP2011111283A (en) Confinement rescue method of elevator
JP2011102177A (en) Confinement rescue method for elevator
WO2019026291A1 (en) Elevator rescue device
WO2018073896A1 (en) Elevator car handrail device
JP4291457B2 (en) Brake release device for elevator hoisting machine
JP5040667B2 (en) Elevator car rescue device
JP2586203B2 (en) Braking device for linear motor driven elevator
KR100627539B1 (en) Elevator device
JP2001122547A (en) Manual operation device for elevator hoist
JP6319051B2 (en) Manual operating device for elevator hoisting machine
JP7323032B1 (en) Elevator car frame and scaffolding-less construction method for elevators
JP4802653B2 (en) Elevator door engagement device
JP2001058771A (en) Elevator
JP2004043123A (en) Elevator and brake releasing device for elevator winch
JPWO2004108577A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