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275B1 -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 - Google Patents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275B1
KR100650275B1 KR1020020051712A KR20020051712A KR100650275B1 KR 100650275 B1 KR100650275 B1 KR 100650275B1 KR 1020020051712 A KR1020020051712 A KR 1020020051712A KR 20020051712 A KR20020051712 A KR 20020051712A KR 100650275 B1 KR100650275 B1 KR 100650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ndensate tank
hot water
pipe
steam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0199A (ko
Inventor
차금주
Original Assignee
차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금주 filed Critical 차금주
Priority to KR1020020051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2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20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1/00Feed-water supply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 F22D11/02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 F22D11/06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for returning condensate to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38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003Feed-water heate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08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with float-actuated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이용기기에서 사용하고 남은 배열을 응축시켜 그 응축수를 증기 보일러에 환수할 때의 폐열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응축수 탱크에 유입되는 증기를 신속히 응축시켜 열손실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온수를 부수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증기 보일러(1)에 설치한 증기 공급관(2)을 난방장치, 각종 작업기계, 사우나 등의 이용기기(3)에 연결하고, 상기 이용기기(3)에 설치한 배출관(4)의 도중에 증기트랩(5)을 설치함과 동시에 배출관(4)의 타단을 응축수 탱크(6)에 연결하며, 상기 응축수 탱크(6)와 증기 보일러(1) 사이에 펌프(8)가 부설된 환수관(7)을 연결한 것이다.
한편 상기 응축수 탱크(6)에는 플로트 밸브(9)를 설치하고, 상기 플로트 밸브(9)에 급수관(10)을 연결하여 응축수 탱크(6)에 항상 일정수면의 급수를 저장하며, 또한 상기 응축수 탱크(6)의 상면에는 배기관(11)을 설치하며, 상기 증기트랩(5)에는 바이패스관(12)을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 탱크(6)에는 온수가열 열교환기(20)를 내장하며, 상기 온수가열 열교환기(20)의 입구는 급수관(10)에 연결하고 출구에는 온수 출탕관(21)을 연결한 것이다.
이용기기, 증기트랩, 응축수 탱크, 온수가열 열교환기

Description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 {COOLING WATER DRAIN DEVICE OF STEAM BOIL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것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 : 이용기기 5 : 증기트랩 6 : 응축수 탱크
20 : 온수가열 열교환기
본 발명은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이용기기에서 사용하고 남은 배열을 응축시켜 그 응축수를 증기 보일러에 환수할 때의 폐열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보일러 특히 증기 보일러는 보일러에서 생성한 증기를 난방장치, 각종 작업기계 등의 이용기기에 공급하여 그 목적에 부합되게 사용하고, 사용하고 남은 배열을 응축한 후 그 응축수를 응축수 탱크(드레인 탱크)에 저장하였다가 증기 보일러에 관수로서 재공급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하고 있다.
종래의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기 보일러(1) 에 설치한 증기 공급관(2)을 난방장치, 각종 작업기계, 사우나 등의 이용기기(3)에 연결하고, 상기 이용기기(3)에 설치한 배출관(4)의 도중에 증기트랩(5)을 설치함과 동시에 배출관(4)의 타단을 응축수 탱크(6)에 연결하며, 상기 응축수 탱크(6)와 증기 보일러(1) 사이에 펌프(8)가 부설된 환수관(7)을 연결한 것이다.
한편 상기 응축수 탱크(6)에는 플로트 밸브(9)를 설치하고, 상기 플로트 밸브(9)에 급수관(10)을 연결하여 응축수 탱크(6)에 항상 일정 수면의 급수를 저장하며, 또한 상기 응축수 탱크(6)의 상면에는 배기관(11)을 설치하며, 상기 증기트랩(5)에는 바이패스관(12)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한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는 이용기기에서 그 목적에 부합되게 사용하고 남은 배열인 증기와 응축수를 증기트랩(5)에서 분리시킨 후 응축수만 응축수 탱크(6)에 저장하였다가 증기 보일러(1)에 관수가 부족할 경우 펌프(8)를 구동하여 증기 보일러(1)에 공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는 증기트랩(5)에서 증기와 응축수를 분리하여 응축수만을 배출하는 것이지만 증기트랩(5)의 밸브와 밸브시트의 접촉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거나, 사용에 의하여 밸브 등이 손상될 경우에는 응축되지 못한 증기가 응축수에 혼입되며, 상기 증기는 응축수의 온도가 고온임으로 응축되지 못하고 응축수 탱크(6)의 상부에 설치한 배기관(11)으로 대기중에 방출되는 것임으로 열손실을 초래하는 것이다.
그리고 증기트랩(5)에서 증기와 응축수가 분리될 때 증기트랩(5)에 내장된 밸브는 간헐적으로 개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용기기(3)와 증기트랩(5) 사이에 증기 및 응축수의 정체현상이 생김으로 이용기기에서의 방열이 저조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이용기기에서 방열이 저조하면 이용기기의 사용초기 또는 사용중에 이용기기의 온도가 낮게 되어 이용목적에 부적합한 현상이 생기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용목적에 부적합한 현상이 생기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증기트랩(5)을 바이패스시켜 설치한 바이패스관(12)의 밸브를 개방하여 증기를 응축수 탱크(6)에 직접 배출하고 있음으로 이 경우에는 응축수 탱크(6)에 다량의 증기가 배출되어 열손실이 더욱더 커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응축수 탱크에 유입되는 증기를 신속히 응축시켜 열손실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온수를 부수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증기 보일러에 설치한 증기 공급관을 이용기기에 연결하고, 상기 이용기기에 설치한 배출관에 증기트랩을 설치함과 동시에 배출관의 타단을 응축수 탱크에 연결하며, 상기 응축수 탱크와 증기 보일러 사이에 펌프가 부설된 환수관을 연결한 것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탱크에 온수가열 열교환기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기 보일러(1)에 설치한 증기 공급관(2)을 난방장치, 각종 작업기계, 사우나 등의 이용기기(3)에 연결하고, 상기 이용기기(3)에 설치한 배출관(4)의 도중에 증기트랩(5)을 설치함과 동시에 배출관(6)의 타단을 응축수 탱크(6)에 연결하며, 상기 응축수 탱크(6)와 증기 보일러(1) 사이에 펌프(8)가 부설된 환수관(7)을 연결한 것이다.
한편 상기 응축수 탱크(6)에는 플로트 밸브(9)를 설치하고, 상기 플로트 밸브(9)에 급수관(10)을 연결하여 응축수 탱크(6)에 항상 일정수면의 급수를 저장하며, 또한 상기 응축수 탱크(6)의 상면에는 배기관(11)을 설치하며, 상기 증기트랩(5)에는 바이패스관(12)을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 탱크(6)에는 온수가열 열교환기(20)를 내장하며, 상기 온수가열 열교환기(20)의 입구는 급수관(10)에 연결하고 출구에는 온수 출탕관(21)을 연결함과 동시에 온수 출탕관(21)에 온수 저장탱크(22)를 설치하여서, 온수가열 열교환기(20)에서 생성된 온수를 온수 저장탱크(22)에 저장하였다가 필요한 용도 예를 들어 난방용, 급탕용 또는 보일러의 급수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한 온수 저장탱크(22)는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온수 저장탱크(22)를 설치하지 않을 때에는 온수 출탕관(21)에서 배출되는 온수를 직접 필요한 장소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이용기기(3)에 공급된 증기는 난방 등의 용도에 사용하고, 증기트랩(5)에서 응축수가 분리되고 분리된 응축수는 응축수 탱크(6)에 유입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응축수는 증기 보일러(1)에 관수가 부족할 경우 펌프(8)를 구동하여 증기 보일러(1)에 공급하는 것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증기트랩(5)에서 증기와 응축수가 분리될 때 응축수에 혼입된 증기도 응축수와 함께 응축수 탱크(6)에 유입되며, 한편 응축수 탱크(6)에 내장된 온수가열 열교환기(20)에 급수관(10)을 통하여 냉수를 공급하면 온수가열 열교환기(20)를 경유하는 냉수와 응축수 탱크(6) 내의 응축수가 열교환함에 따라 냉수는 가열되어 온수가 생성되고 응축수는 냉각됨과 동시에 상기 냉각된 응축수 및 온수가열 열교환기(20)를 경유하는 냉수에 의하여 응축수 탱크(6)에 유입되는 증기는 즉시 응축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증기가 배기관(11)으로 배출되지 않음으로 종래 폐기하던 증기의 보유열을 온수생성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증기트랩(5)에서 분리되지 못한 증기를 온수가열에 활용함으로써 열손실을 줄일 수 있고, 응축수 탱크(6)에서 온수를 부수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의 응축수 탱크에 온수가열 열교환기를 내장하여 냉수가 가열될 때 증기트랩에서 분리되지 못한 증기를 응축시킴으로서 열손실을 방지하고, 또한 응축수 탱크에서 온수를 부수적으로 생성할 수 있음으로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증기 보일러에 설치한 증기 공급관을 이용기기에 연결하고, 상기 이용기기에 설치한 배출관에 증기트랩을 설치함과 동시에 배출관의 타단을 응축수 탱크에 연결하며, 상기 응축수 탱크와 증기 보일러 사이에 펌프가 부설된 환수관을 연결한 것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탱크에 온수가열 열교환기를 내장하여 그 입구는 급수관에 연결하고 출구에는 온수출탕관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온수출탕관에 온수저장탱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
KR1020020051712A 2002-08-30 2002-08-30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 KR100650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712A KR100650275B1 (ko) 2002-08-30 2002-08-30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712A KR100650275B1 (ko) 2002-08-30 2002-08-30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939U Division KR200295732Y1 (ko) 2002-08-30 2002-08-30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199A KR20040020199A (ko) 2004-03-09
KR100650275B1 true KR100650275B1 (ko) 2006-11-29

Family

ID=3732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712A KR100650275B1 (ko) 2002-08-30 2002-08-30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2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3698A (zh) * 2020-11-24 2021-02-26 厦门烟草工业有限责任公司 供热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390B1 (ko) * 2022-04-28 2022-11-21 나민수 디스크 건조기의 스팀 운용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2902U (ko) * 1976-04-05 1977-10-08
JPS52132901U (ko) * 1976-04-05 1977-10-08
JPH0571699A (ja) * 1991-09-13 1993-03-23 Tlv Co Ltd 復水回収装置
JPH0719410A (ja) * 1993-06-30 1995-01-20 Mitsubishi Heavy Ind Ltd ドレン回収装置
JPH07119918A (ja) * 1993-10-25 1995-05-12 Miura Co Ltd ドレン回収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2902U (ko) * 1976-04-05 1977-10-08
JPS52132901U (ko) * 1976-04-05 1977-10-08
JPH0571699A (ja) * 1991-09-13 1993-03-23 Tlv Co Ltd 復水回収装置
JPH0719410A (ja) * 1993-06-30 1995-01-20 Mitsubishi Heavy Ind Ltd ドレン回収装置
JPH07119918A (ja) * 1993-10-25 1995-05-12 Miura Co Ltd ドレン回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3698A (zh) * 2020-11-24 2021-02-26 厦门烟草工业有限责任公司 供热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199A (ko) 2004-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1312B2 (en)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for boiler system
RU2200850C2 (ru) Газо- и паротурбинная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RU2237172C1 (ru)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отводимой теплоты в процессе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диоксида углерода
RU212649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средства охлаждения газовой турбины газо- паротурбинной установки
JP2007232357A (ja) ヒートポンプ式蒸気・温水発生装置
KR100480313B1 (ko)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
RU2152521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газации конденсата
KR100650275B1 (ko)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
JP2001012211A (ja) 蒸気発電所を稼動する方法、並びに、こ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蒸気発電所
KR200396543Y1 (ko) 목욕탕용 히트펌프 장치
KR200295732Y1 (ko)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
KR200295733Y1 (ko) 증기 보일러의 환수장치
JP3958620B2 (ja) スチームサウナ装置
KR20070007644A (ko) 목욕탕용 히트펌프 장치
KR100455626B1 (ko) 히트 펌프식 온수 가열장치
KR100437669B1 (ko) 목욕탕용 히트펌프 시스템
JP3868219B2 (ja) 熱交換器及び熱交換温度制御方法並びに温熱供給装置
US20080134994A1 (en)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for Boiler System
JP2006308268A (ja) ヒートポンプ熱源機、電気ヒーター、またはソーラーエネルギー間接加熱による水道直圧給湯システム
JP3666266B2 (ja) 給湯システム
KR200307728Y1 (ko) 히트펌프식 열회수 보일러
KR200359590Y1 (ko) 목욕탕용 히트펌프 시스템
JP3503843B2 (ja) 燃料電池冷却水系への給水方法
JP2000088348A5 (ko)
RU2132527C1 (ru) Воздушно-конденса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921

Effective date: 200608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