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431B1 - 유체 안내 수단이 구비된 드릴 - Google Patents

유체 안내 수단이 구비된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431B1
KR100649431B1 KR1020060006745A KR20060006745A KR100649431B1 KR 100649431 B1 KR100649431 B1 KR 100649431B1 KR 1020060006745 A KR1020060006745 A KR 1020060006745A KR 20060006745 A KR20060006745 A KR 20060006745A KR 100649431 B1 KR100649431 B1 KR 100649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groove
land
oil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규성
Original Assignee
남궁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규성 filed Critical 남궁규성
Priority to KR1020060006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431B1/ko
Priority to PCT/KR2007/000365 priority patent/WO200708396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8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cutting tools
    • B23P15/32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cutting tools twist-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4Angles, e.g. cutting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4Angles, e.g. cutting angles
    • B23B2251/043Helix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40Flutes, i.e. chip conveying grooves
    • B23B2251/408Spiral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44Margins, i.e. the narrow portion of the land which is not cut away to provide clearanc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신규 구조의 드릴이 제공된다. 상기 드릴은 절삭날이 형성된 선단부와, 나선형의 칩 반출홈과, 이들 나선형 칩 반출홈 사이에서 칩 반출홈과 경계를 이루며 형성되는 랜드를 포함하며, 상기 랜드에는 그 외면을 따라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따라 유체가 상기 선단부까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복잡한 제조 공정을 통해 드릴 내부에 오일 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드릴의 선단부까지 안정적으로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안내 수단이 구비된 드릴{DRILL PROVIDED WITH FLUID GUIDE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드릴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드릴의 선단부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드릴의 선단부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3은 오일 홈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2: 절삭날
142: 칩 반출홈
144: 랜드
146: 오일 홈
e: 엣지 영역
본 발명은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나선형의 칩 반출홈(flute) 및 이들 칩 반출홈 사이에 랜드(land)가 형성된 구멍 가공용의 트위스트 드릴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은 금속 또는 목재의 공작물에 구멍을 뚫거나 홈을 절삭 가공하는 데에 사용되는 공구로서, 상기 형태의 트위스트 드릴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릴을 이용하여 구멍을 형성하는 동안 드릴날과 공작물 사이에 마찰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열로 인해 공작물의 구멍 주변이 과열되므로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즉, 드릴이 과열을 받게 되면, 그 드릴 성질이 변화하게 되고, 드릴 작업이 반복됨에 따라 드릴 특성이 열화(劣化)되어, 원하는 구멍을 얻을 수 없게 된다(예컨대, 천공 구멍 부위에 버(burr) 발생). 이에 따라, 드릴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절삭유(또는 물)를 천공되는 공작물과 접하는 드릴의 선단부에 급유하여 드릴의 절단면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왔다.
그러나, 단순히 외부에서 드릴의 선단부에 절삭유 등을 급유하는 상기 방식은 가공 깊이가 큰 경우, 예컨대 드릴 직경의 4배 이상 깊이로 공작물에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드릴의 선단부에 절삭유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여 드릴의 선단부에서 과열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드릴의 선단부까지 절삭유를 급유할 수 있는 오일 홀(oil hole)을 드릴 내부에 형성한 드릴이 1980년대 중반 이후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오일 홀은 드릴 머신의 드릴척에 연결되는 드릴의 종단부에서부터 선단부까지 형성되어, 상기 종단부로부터 공급되는 절삭유가 상기 선단부를 통해 방출되어, 드릴 선단부에서의 과열을 방지한다. 상기 선단부를 통해 방출되는 절삭유는 공작물의 칩 방출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드릴의 칩 반출홈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드릴 내부에 오일 홀을 형성함으로써, 드릴 선단부에서의 과열 방지, 공작물 칩의 원활한 방출, 윤활 작용 등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는 하지만, 오일 홀이 형성된 드릴은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드릴의 제조에 있어서, 강재 등으로 이루어진 봉체에 성형된 리드부(lead)를 따라 절삭하여 칩 반출홈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봉체 내부에는 이미 소결 과정을 통해 오일 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오일 홀은 드릴의 원하는 트위스트 각도에 맞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봉체 내부에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오일 홀과 칩 반출홈 가공을 위한 성형 리드각이 서로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으면, 칩 반출홈 성형시 오일 홀이 터져 고가의 봉체를 폐기 처리하여야 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봉체에 오일 홀을 소결 형성할 때 그 형성 각도에 따라 칩 반출홈 각도가 정해지는데, 오일 홀의 리드각을 다양하게 하여 소결 성형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곤란한 점이 많다. 따라서, 오일 홀이 없는 드릴과 비교하 여, 칩 반출홈 각도가 고정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현재 대부분의 오일 홀이 있는 드릴은 칩 반출홈 각도가 28°및 30°로 고정된 드릴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오일 홀을 소결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함에 따라, 오일 홀이 없는 일반 드릴의 소재와 비교하여 고가이고(4배 내지 10배), 따라서 드릴 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드릴 내부에 오일 홀을 형성하기 때문에, 소경의 드릴(예컨대, D3 이하)에는 오일 홀 성형이 곤란하고, 오일 홀을 형성한다 하더라도 오일 홀로 인해 드릴 자체의 강성이 저하되어, 원활한 절삭이 이루어지지 않고 드릴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직경의 드릴의 경우 오일 홀을 형성하지 않고, 대신에 외부로부터 절삭유 등을 드릴 선단부에 직접 공급하여 드릴의 과열 현상을 방지하고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드릴을 이용하여 공작물에 구멍 천공의 작업을 반복적으로 하는 경우, 공작물의 구멍 주위에 버가 발생한다. 즉, 드릴을 이용한 천공 작업시 드릴, 특히 드릴의 선단부 및 랜드는 큰 절삭 부하를 받게 되고, 이러한 절삭 부하를 반복적으로 받은 드릴을 이용하여 공작물에 대한 천공 작업을 계속함에 따라, 드릴의 특성에 열화가 일어나게 되고, 따라서 어느 시점에서는 천공된 구멍 부위에 버가 발생된다. 이러한 버는 구멍 주변의 소성 변형과 이송에 의한 떠밀림 등에 의해 발생하고, 드릴의 회전 속도, 이송량, 드릴 선단부의 선단각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과열에 따른 드릴 특성의 열화 역시 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발생된 버로 인해 끝마무리를 위한 마감처리, 즉 버 제거를 위한 별도의 작업이 통상적으로 수행되고, 특히, 구멍 천공시 인위적인 버 제거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 잔존하고 있는 버로 인해 공작물에 치명적인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오일 홀 없이도 원활한 냉각 효과, 공작물 칩의 배출 효과, 윤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일 홀을 제거하여 칩 반출홈 각도를 원하는 대로 형성하면서도 오일 홀이 있는 드릴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일 홀이 형성된 드릴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면서 드릴의 직경에 상관 없이 적용할 수 있는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일 홀 없이도 드릴의 선단부까지 절삭유와 같은 유체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조를 갖는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일 홀 없이도, 드릴의 선단부까지 안정적으로 절삭유를 공급함으로써 선단부가 받는 열 등을 감소시켜, 공작물 구멍 주위에 버를 발생시키지 않는 단순화된 구조의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릴 가공 작업시, 드릴, 특히 드릴의 랜드가 받 게 되는 절삭 부하를 감소키켜, 드릴 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신규 구조의 드릴이 제공되는데, 상기 드릴은 절삭날이 형성된 선단부와, 나선형의 칩 반출홈과, 이들 나선형 칩 반출홈 사이에서 칩 반출홈과 경계를 이루며 형성되는 랜드를 포함하며, 상기 랜드에는 그 외면을 따라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따라 유체가 상기 선단부까지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신규 구조의 드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원하는 용도에 맞게 칩 반출홈 리드각이 형성된 봉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리드각을 따라 칩 반출홈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칩 반출홈 성형에 따라 생성되는 랜드의 표면에 소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봉체의 일단부의 직경을 감소시켜 절단날을 형성하는 씨닝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드릴(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100)은 크게 선단부(120)와 본체(140) 및 장착부 (160)로 이루어져 있다.
선단부(120)에는 절삭날(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단부로부터 본체(140) 전체에 걸쳐 나선형의 칩 반출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칩 반출홈(142) 사이에는 이들 칩 반출홈과 경계를 이루는 랜드(144)가 형성되어 있다. 드릴(100)의 타단에는 장착부(16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드릴을 드릴 머신의 홀더(드릴 척)에 장착하기 위한 생크(shank)(S) 및 탱(tang)(T)이 마련되어 있다.
드릴 가공 작업시, 드릴의 선단부(120)가 공작물의 피가공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가압 및 회전되면, 절삭날(122)에 의해 공작물의 절삭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삭을 통해 생성되는 칩은 칩 반출홈(142)을 통해 외부로 반출된다.
상기 절삭날(122)에 의해 절삭, 예컨대 구멍이 가공·형성됨에 따라, 선단부(120)에 연속하고 또 랜드(144)가 형성된 본체(140)가 상기 형성된 구멍 속으로 진입하게 된다. 본체가 구멍으로 진입함에 따라, 랜드(144)가 절삭날(122)에 의해 일차적으로 형성된 구멍의 벽과 접촉하면서 보조적인 절삭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드릴 가공 작업시 드릴의 선단부와 피가공면 사이에는 높은 열이 발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드릴 내부에 오일 홀을 형성하고 이 오일 홀을 통해 선단부에 절삭유를 공급하는 구조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드릴 내부에 오일 홀을 칩 반출홈의 리드각에 대응하여 성형하는 것은 힘들고, 그에 따라 비용 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 와 같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드릴 내부에 오일 홀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오일 홀과 동일한 작용 내지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수단을 연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도 1, 특히 도 2 및 도 3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릴(100)의 랜드(144)는, 종래의 드릴과는 달리, 그 외면이 평탄하지 않고, 절삭유와 같은 유체를 본체(140)를 따라 선단부(120)까지 안내하는 오일 홈(146)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일 홈(146)은 랜드(144)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드릴 가공 작업시 상기 홈을 따라 절삭유와 같은 유체가 선단부(1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윤활 작용 및 냉각 효과를 나타내고, 유입된 유체는 다시 상기 오일 홈을 따라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된다. 즉, 드릴 내부에 복잡한 제조 공정을 거쳐 오일 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랜드 표면에 형성된 오일 홈을 따라 절삭유가 선단부까지 공급되어, 드릴 가공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구멍의 깊이가 깊어지더라도 절삭유는 오일 홈(146)을 따라 안정적으로 선단부까지 공급된다.
한편, 도 3을 통해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랜드(144)에 소정 깊이의 오일 홈(146)을 형성함에 따라 턱이 생기게 되어, 랜드에는 작은 면적의 엣지 영역(e)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랜드는 오일 홈(146)과 엣지 영역(e)으로 이 루어지는데, 상기 엣지 영역이 공작물에 형성되는 구멍의 벽과 접촉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과 같이 오일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드릴의 경우, 드릴 가공 작업시 랜드 전체가 공작물에 형성된 구멍의 벽과 접촉하면서 보조적인 절삭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랜드(146)의 표면 전체가 천공 구멍의 벽과 접촉함에 따라 과도한 절삭 부하를 받게 되고, 이로 인해 드릴 작업이 반복됨에 따라 드릴 특성이 열화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랜드(146) 전체가 아닌 엣지 영역(e) 만이 공작물에 형성된 구멍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어, 접촉 면적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드릴날 전체에 가해지는 절삭 부하가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드릴 특성의 열화가 경감되어 드릴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드릴 내부에 오일 홀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칩 반출홈 각도를 자유로이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봉체에 오일 홀을 소결 형성할 때 그 형성 각도(리드각)에 따라 칩 반출홈 각도가 정해지는데, 오일 홀의 리드각을 다양하게 하여 소결 성형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곤란한 점이 많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 홀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칩 반출홈 각도, 즉 칩 반출홈의 접선과 드릴의 종축이 이루는 각도를 원하는 용도에 맞게 자유로이 설계할 수가 있게 된다. 예컨대, 칩 반출홈 각도는 드릴의 절삭성 및 칩 반출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칩 반출홈 각도가 클수록 절삭성은 좋고, 대신에 칩반출성은 떨어진다. 따라서, 경질재 공작물을 가공하는 경우와 같이, 높은 절삭성이 요구되는 경우, 칩 반출홈 각도를 크게 하여야 하고, 연질재 공작물 가공과 같이 높은 절삭성이 요구되지 않은 경우에는 칩 반출홈 각도를 작게 한 드릴이 사용된다. 이처럼, 드릴은 그 사용 용도에 따라 칩 반출홈 각도를 다양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오일 홈을 드릴 내부에 미리 소결 형성할 필요가 없어, 용도에 따라 자유로이 칩 반출홈 각도를 설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는 칩 반출홈 각도가 유체의 유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해 보았다. 이 실험을 통해, 본 발명자는 칩 반출홈 각도를 40~45°로 형성할 경우, 절삭유의 유입량이 많아지고, 드릴 가공에 따른 생성된 칩이 상기 각도의 칩 반출홈을 따라 외부로 잘 배출되고 버 발생도 줄어든다는 결과를 얻어내었다.
한편, 칩 반출홈 각도 뿐만 아니라, 선단부(120)의 선단각 역시 절삭유의 유입량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자는 칩 반출홈 각도와 마찬가지로, 드릴의 선단각이 절삭유의 유입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으며, 이러한 실험을 통해 드릴의 선단각을 136~145°, 바람직하게는 138°로 유지하는 경우, 절삭유의 유입량을 증대시켜 드릴의 수명을 연장시킨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오일 홀 대신에 랜드(144)의 표면에 소정 깊이의 오일 홈(146)을 형성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드릴 직경에 상관 없이 적용할 수가 있다. 즉, 종래 기술의 경우, 드릴 내부에 오일 홀을 형성하기 때문에, 소경의 드릴(예컨대, D3 이하) 에는 오일 홀 성형이 곤란하고, 오일 홀을 형성한다 하더라도 드릴 자체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드릴 본체 내부에 오일 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경의 드릴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직경이 D3 내지는 D4 이하와 같은 소직경의 드릴에 오일홀을 형성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소직경의 드릴을 이용한 드릴 작업시에는 절삭유 등을 직접 드릴 선단부에 급유하는 방식 등으로 냉각 작용, 윤활 작용 등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소직경의 드릴을 이용하여 드릴 작업을 반복하는 경우, 특히 천공 구멍의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절삭유의 적절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드릴 선단부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고 또 단시간에 구멍 주위에 버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소직경의 드릴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릴과 종래의 드릴을 이용한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주물 소재로 이루어진 가공물과 알루미늄 소재의 가공물에 대하여, 오일홈이 없는 종래의 드릴과,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을 적용하여 천공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였다(드릴 직경은 모두 D4) . 상기 작업 결과, 종래의 드릴을 이용하는 경우, 주물 가공물의 경우 약 200~300 개의 구멍을 뚫었을 때 구멍 주위에 버가 발생하였고, 알루미늄 가공물의 경우 약 7,000 개의 구멍을 뚫었을 때 구멍 주위에 버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 작업을 수행한 결과, 주물 가공물의 경우, 약 8,000개의 구멍을 뚫었을 때 구멍 주위에 버가 발생하였고, 알루미늄 가공물의 경우 약 20,000 개의 구멍을 뚫었을 때 구멍 주위에 버가 발생하였다. 즉, 종래의 드릴과 비교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드릴의 경우 소재에 따라서, 약 3배 내지는 40배 만큼 드릴 수명이 증가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드릴 선단부에의 원활한 절삭유 공급 및 드릴에 가해지는 절삭 부하의 감소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인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홀이 없이도, 드릴의 선단부까지 오일 홈(146)을 따라 절삭유가 원활하게 공급되어, 드릴 전체가 받을 수 있는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천공 작업이 수행함에 따라, 드릴의 랜드(144)가 구멍의 벽과 접촉하게 되는데, 오일 홈이 형성되어 랜드의 표면적이 감소되고, 단지 엣지 영역(e) 만이 구멍과 접촉하게 되어, 드릴 전체적으로는 감소된 절삭 부하를 받게 된다. 따라서, 과열 및 절삭 부하로 인한 드릴 특성의 열화가 방지되고, 이에 따라 드릴 특성이 보다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드릴 특성 열화에 따른 천공 구멍 부위의 버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은 종래 기술과 다른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오일 홀이 형성된 드릴의 경우, 오일 홀을 소정의 설계 각도에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하고 그에 따른 칩 반출홈 리드선을 형성한 소결 봉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리드선을 따라 칩 반출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봉체 선단부의 직경을 줄여 절단날을 형성하는 씨닝(thinning) 작업을 통해 제조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 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결 가공 단계를 통해 오일 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단순히 원소재(봉체)의 표면에 소정의 용도에 따라 자유로이 칩 반출홈 리드각을 형성하고, 상기 리드각을 따라 칩 반출홈(142)을 형성하며, 상기 칩 반출홈 형성에 따라 생성되는 랜드(144)의 표면에 소정 깊이의 오일 홈(146)을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씨닝 작업을 거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을 얻을 수가 있다. 즉, 드릴 내부에 오일 홀을 소정의 나선각으로 소결 형성해야 하는 비교적 고난이도의 작업 공정을 생략할 수가 있으므로, 보다 단순화된 제조 공정을 통해 드릴을 제조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한정된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은 드릴의 종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스텝 드릴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랜드 표면에 오일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을 따라 절삭유가 선단부까지 원활하게 공급된다. 따라서, 소결과 같은 비교적 고난이도의 작업 을 통해 드릴 본체 내부에 오일 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오일 홀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오일 홀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칩 반출홈의 각도를 원하는 용도에 맞게 자유롭게 설계할 수가 있으며, 드릴 직경에 상관 없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절삭날이 형성된 선단부와, 나선형의 칩 반출홈과, 이들 나선형 칩 반출홈 사이에서 칩 반출홈과 경계를 이루며 형성되는 랜드를 포함하며, 상기 랜드에는 그 외면을 따라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따라 유체가 상기 선단부까지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랜드의 엣지 영역이 공작물에 형성되는 구멍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칩 반출홈의 리드각은 4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의 선단각은 136~1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의 선단각은 1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6. 원하는 용도에 맞게 칩 반출홈 리드각이 형성된 봉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리드각을 따라 칩 반출홈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칩 반출홈 성형에 따라 생성되는 랜드의 표면에 소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봉체의 일단부의 직경을 감소시켜 절단날을 형성하는 씨닝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홈을 성형함에 따라, 상기 랜드에는 공작물의 천공 구멍의 표면과 접촉하는 작은 면적의 엣지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칩 반출홈의 리드각은 40~45°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씨닝 작업에서 상기 일단부의 선단각을 136~145°범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선단각은 1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의 제조 방법.
KR1020060006745A 2006-01-23 2006-01-23 유체 안내 수단이 구비된 드릴 KR100649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745A KR100649431B1 (ko) 2006-01-23 2006-01-23 유체 안내 수단이 구비된 드릴
PCT/KR2007/000365 WO2007083967A1 (en) 2006-01-23 2007-01-22 Drill provided with fluid guide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745A KR100649431B1 (ko) 2006-01-23 2006-01-23 유체 안내 수단이 구비된 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9431B1 true KR100649431B1 (ko) 2006-11-28

Family

ID=3771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745A KR100649431B1 (ko) 2006-01-23 2006-01-23 유체 안내 수단이 구비된 드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49431B1 (ko)
WO (1) WO20070839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7889B2 (en) * 2009-12-29 2014-08-19 Kennametal Inc. Rotary cutting tool having sealed margins and method of making same
EP3278911B1 (en) * 2015-03-30 2020-04-15 Mitsubishi Hitachi Tool Engineering, Ltd. Drill
WO2017179689A1 (ja) 2016-04-15 2017-10-19 三菱日立ツール株式会社 小径ドリ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9082B1 (de) * 1995-07-14 2001-05-23 Kennametal Inc. Bohrer mit kühlschmierstoffkanal
JP4808892B2 (ja) * 2000-03-10 2011-11-02 アメリカン トゥール カンパニーズ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ドリル
JP2002144125A (ja) * 2000-08-31 2002-05-21 Mitsubishi Materials Corp 穴明け工具
KR20030019027A (ko) * 2001-08-30 2003-03-06 (주)상우정공 칩반출홈이 마련된 드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83967A1 (en) 200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0765B2 (ja) ツイストドリルおよびラミネート材の穿孔方法
JP3071466B2 (ja) ツイストドリル
US20120114438A1 (en) Blank and tool with cooling channels
JP2004160651A (ja) ガンドリル
JP2006281411A (ja) 穴あけ工具
JP2008137125A (ja) ドリル
JP2006239829A (ja) ドリル
US7753627B2 (en) Single-lip drill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649431B1 (ko) 유체 안내 수단이 구비된 드릴
JP2009255211A (ja) めねじ加工工具及びそれを用いためねじの加工方法
JP4714283B2 (ja) 穴明け工具
JP2014226737A (ja) 切削加工方法
JP2008062369A (ja) 穴あけ工具に取り付けられるチップの製造方法、並びに穴あけ工具の製造方法および穴あけ工具
JP6389205B2 (ja) ドリルを用いた加工方法およびクーラント噴出穴付きドリル
JP5811919B2 (ja) クーラント穴付きドリル
KR100628885B1 (ko) 예비구멍 가공된 비철재료의 사상구멍 가공용 초경스텝드릴
JP4142930B2 (ja) 深穴切削具
JP4966717B2 (ja) 穴加工工具
KR100990171B1 (ko) 난삭재의 고속가공용 트위스트 드릴 리머
JPH1086019A (ja) エンドミル付きタップおよびこのエンドミル付きタップによるねじ穴の加工方法
JP2014039963A (ja) クーラント噴出穴付きドリル
JP6499117B2 (ja) 雌ねじ加工工具
JP2003080411A (ja) 深穴加工用小径ドリル
JP7458701B2 (ja) 穴開け工具
JP2000033510A (ja) 穴明け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