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966B1 -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966B1
KR100648966B1 KR1020030048997A KR20030048997A KR100648966B1 KR 100648966 B1 KR100648966 B1 KR 100648966B1 KR 1020030048997 A KR1020030048997 A KR 1020030048997A KR 20030048997 A KR20030048997 A KR 20030048997A KR 100648966 B1 KR100648966 B1 KR 100648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hot air
drying
vortex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438A (ko
Inventor
장명석
Original Assignee
장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석 filed Critical 장명석
Priority to KR102003004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9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65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는, 가정이나 식당, 사무실 등의 주방에서 버리는 음식쓰레기에 와류형 열풍을 가하여 건조시키고 동시에 악취를 탈취시키도록 처리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에 있어서 건조통체(310)가 전체적인 틀을 결정하고 그 내부에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을 내장하며, 전면의 수거문(330), 음식쓰레기를 투입시키는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 후미쪽의 순환커버체(350), 상부쪽의 열풍장치(360)와 와류관체(370)로 구성되어, 음식쓰레기의 건조과정에서 와류형 열풍순환구조를 취함과 동시에, 열풍순환시 습기를 머금은 열풍의 일부는 외부로 배출시키고 건조한 외부공기를 흡입시키므로써 건조기 내부의 열풍순환형태를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와의 공기유통을 원활히 하고 건조과정의 악취까지도 제거하도록 구조화시킨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의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고, 습기를 포함하고 있는 열풍을 효율적으로 배출시키며, 음식쓰레기를 건조 또는 처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함으로써 종전과 같이 음식쓰레기를 처리할 때 악취로부터 고통이 없어, 음식쓰레기를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음식, 쓰레기, 건조, 열풍, 와류

Description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A Food-refuse drier}
도 1는 종래의 음식쓰레기 건조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와 음식쓰레기수용통 분리된 상태의 정면사시도.
도 3는 도 2의 후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의 음식쓰레기수용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상부의 음식물쓰레기투입관부 부분의 분리사시도.
도 6는 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후면의 순환커버체 부분의 사시도.
도 7는 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상부의 열풍장치에 대한 부분사시도.
도 8는 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상부의 와류관체에 대한 부분적인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에서의 열풍순환을 설명하 기 위한 열풍순환도.
도 10는 도 9의 단면 열풍순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음식쓰레기 건조기
110 : 음식쓰레기 수용상자 120 : 송풍기
30 :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310 : 건조통체 310n : 거름망체
320 : 음식쓰레기수용통(320)
321 : 통로돌기 322 : 순환통공
323 : 슬라이더편 324 : 손잡이
330 : 수거문
340 :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
341 : 주투입관부 342 : 투입관끼움체
343 : 탈취제받이 344 : 투입관마개
350 : 순환커버체
360 : 열풍장치
361 : 송풍관체 362 : 모터
363 : 송풍팬 364 : 히터
364d : 발열체 364p : 방열판
364spt : 보조장착체
370 : 와류관체
371 : 열풍와류부 372 : 흡기와류부
373 : 흡기통공
본 발명은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쓰레기를 와류열풍에 의하여 단시간에 건조시켜 처리함으로써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음식쓰레기를 간편하게 처리하기 위한 음식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의 부패 등으로 인해 심한 악취가 발생하고 세균의 온상이 되고 있어 청결해야 할 주방을 더럽히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음식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포함한 상태로 쓰레기봉투에 담겨져서 골목에 내어 놓거나 수거를 기다리는 동안 심한 악취를 풍기는 등, 환경오염의 주범이기도 하다.
음식쓰레기 처리는 일반적으로, 음식쓰레기를 대형 스크류에 통과시켜 압착하는 압착식 처리방법, 음식쓰레기를 쓰레기처리용 회전원통에 넣고 회전시킴으로써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식 처리방법, 그리고 음식쓰레기에 열풍 등을 가해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식 처리방법 등이 있었다.
초기에는 압착식 처리방법과 탈수식 처리방법이 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이러한 압착식 처리방법과 탈수식 처리방법은, 그 처리기기나 설비가 전체적으로 외형이 크며 작동중 고장이 잦을 뿐만 아니라, 특히 물리적인 수분제거가 주된 기술내용을 이루고 있어 음식쓰레기의 완전한 수분제거와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압착이나 회전 등 물리적인 수분제거 후에 추가적으로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다른 처리방법에 비해 구조가 간단한 건조식 처리방법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건조식 처리방법은 말그대로 열풍을 가해 음식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처리방법이다.
도 1은 종래의 음식쓰레기 건조기로서, 일본인에 의해 발명 및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 제175711호(98.11.11 등록)이다.
이러한 종래 음식쓰레기 건조기(10) 역시 음식쓰레기의 건조처리에 대한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지만, 음식쓰레기 수용상자(110)로 불어 들어오는 열풍이 음식쓰레기 수용상자(110)에 대해 곧바로(직풍) 불어 들어옴으로써, 실제 음식쓰레기 건조기(10)의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송풍기(120)를 향해 불어올라가는 통로가 좁은 등 음식쓰레기 수용상자(110) 내부에서의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음식쓰레기의 건조효율이 나쁘다.
더욱이 음식쓰레기 건조기(10) 내외부의 공기유통이 원활하지 못하다. 건조 식 처리를 하는 건조기기(장치)들에 있어서, 음식쓰레기를 건조하면서 순환되는 열풍에는 많은 습기나 수분을 포함하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열풍은 음식쓰레기 건조기(10) 외부로의 배출 또는 통기를 원활히 수행하거나 아니면 걸러주거나(filtering) 기타 또다른 방법을 동원하여 그 속에 포함된 습기나 수분을 제거해 주어야 하지만, 도 1의 종래 음식쓰레기 건조기(10)는 이러한 통기유통도 효율적이지 못하다. 때문에 이러한 종래 음식쓰레기 건조기(10)의 전반적인 구조는 건조의 효율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아울러 굳이 선행된 기술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보다 효율적으로 음식쓰레기를 건조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쓰레기의 건조과정에서 와류형 열풍순환구조를 취함과 동시에, 건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열풍순환시 습기를 머금은 열풍의 일부는 외부로 배출시키고 건조한 외부공기를 흡입시키므로써 건조기 내부의 열풍순환형태를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와의 공기유통(흡입 및 배출)을 원활히 하고 건조과정의 악취까지도 제거하도록 구조화시킴으로써, 가정이나 식당, 사무실 등의 주방에서 버리는 음식쓰레기를 효과적으로 건조시켜 음식쓰레기를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를 자세히 설명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와 음식쓰레기수용통을 분리시킨 정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후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에 있어서 건조통체(310)가 전체적인 틀을 결정하며, 이 건조통체(310)는 그 내부에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을 내장하고 따라서 전체적으로 일정한 부피, 특히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을 내장할 수 있는 부피이며, 또 이 음식쓰레기수용통(320)에 수거되는 음식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한 와류형태의 열풍이 불어나가고 이 와류열품에 의한 내부순환열풍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아울러 건조통체(310)에는 전면으로 수거문(330), 음식쓰레기를 투입시키는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 후미쪽의 순환커버체(350), 상부쪽의 열풍장치(360)와 와류관체(370)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의 음식쓰레기수용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내부에는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이 놓이게 되며, 이를 위해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의 일측면 즉 전면에는 수거문(330)이 형성되며, 따라서 이 수거문(330)을 열고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을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은 건조통체(310) 내부에 놓여 있으며, 수거문(330)을 열면 이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을 꺼낼 수 있다. 수거문(330) 의 안쪽측면에는 수거받이대(331)가 형성되어 있어 수거문(330)을 완전히 개방하게 되면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을 이동 즉 꺼내거나 밀어넣기에 용이한 받침대로 이용된다.
이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은 음식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일정부피를 갖는 통으로서 그 내부는 음식쓰레기가 담기더라도 음식쓰레기수용통(320) 측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통로돌기(321)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통로돌기(321)들에 의해 열풍순환통로가 만들어지고 이러한 열풍순환통로는 음식쓰레기수용통(320)에 담기는 음식쓰레기 사이사이로 와류열풍이 통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의 측벽으로도 다수의 순환통공(322)들이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순환통공(322)들 역시 열풍의 순환을 도와 음식쓰레기가 효과적으로 건조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또한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의 외부측면에는 건조통체(310)로부터 편리하게 꺼내기 위해 레일과 같은 효과를 내는 슬라이더편(323)이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쪽 측면에는 밀어넣거나 꺼낼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3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은 열풍의 순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그 상부를 비스듬하게 형성하고 있다. 아울러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이 놓이는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의 바닥부분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이 놓이는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은 음식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용 비닐봉투 등을 씌울수 있으며, 이 수거용 비닐봉투 등은 고정대(325)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상부의 음식물쓰레기투입관부 부분의 분리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통체(310)의 상부방향으로 음식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를 갖으며 그 상하부가 뚫려 있는 원통형의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는 통상 가정이나 사무실에 갖추어져 있는 씽크대 등으로부터 음식쓰레기를 용이하게 모아내기 위한 것으로, 건조통체(310) 내부에 장착되는 음식쓰레기수용통(320)에 음식쓰레기를 원활히 수거할 수 있다면 건조통체(310)에서 형성되는 위치나 그 모양과는 큰 상관이 없으며, 건조통체(310)의 상부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음식쓰레기를 수거하는 데 보다 편리하므로 상부방향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는 주투입관부(341), 투입관끼움체(342), 탈취제받이(343), 투입관마개(344)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본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의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는 약간 비스듬하게 안으로 오므라드는 역삼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는 일정한 지름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똑바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건조통체(310)와 하나의 몸체를 구성하는 주투입관부(341)는 전술한 바와 같 이 음식쓰레기를 용이하게 모아내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의 관체 모양이며, 상부에 투입관끼움체(342), 탈취제받이(343), 투입관마개(344)들을 끼울 수 있도록 계단이 져 형성된다.
투입관끼움체(342)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큰 기다란 역삼각의 관체이다. 따라서 주투입관부(341)에 끼움으로써 음식쓰레기가 지나가는 통로가 되며, 필요한 때에 교체하여 씻어줄 수 있어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역삼각 형태로 끼워지므로 그 끼움이 견고해진다. 투입관끼움체(342)의 최상부에는 탈취제받이(343)와 투입관마개(344)가 얹혀질 수 있도록 거치편(342s)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투입관끼움체(342)는 주투입관부(341)에 끼워넣게 되는 보조적인 것으로 주투입관부(341)의 직경을 투입관마개(344)의 크기에 맞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끼워넣지 않아도 된다. 즉 이 투입관끼움체(342)는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구성부라 할 수 있다.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의 상부는 투입관마개(344)가 덮게 된다. 이 투입관마개(344)에는 안쪽 내부 측면의 일정한 각도로 분할되는 위치에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돌기에는 탈취제받이(343)가 결합되며, 따라서 투입관마개(344)와 탈취제받이(343)는 평소에 하나의 물체처럼 사용하여,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를 닫거나(closed) 열(open) 수 있게 된다.
탈취제받이(343)에는 다수의 탈취구멍(343h)이 뚫어져 있고 그 안쪽 내부에는 탈취제가 놓이며, 이러한 탈취제는 열풍속의 악취를 제거시키는 기능을 한다. 뿐만아니라 탈취제받이(343)는 투입관마개(344)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도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도록 4개의 받이지지대(323s)들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탈취제로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약재나 물질, 방향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탈취제로 활성탄을 사용해본 결과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대부분 제거할 수 있었다.
아울러 전술한 본 투입관마개(344)는 탈취제받이(343)가 투입관마개(344)의 하부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결합분리될 수 있으므로 내부의 탈취제를 원하는 때에 교체할 수 있으며, 활성탄은 햇볕에 일정시간 놓아두게 되면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리사이클(recycle) 재료이므로, 이러한 리사이클 재료를 이용하면 탈취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쓰레기가 건조되면서 열풍에 포함된 악취는 탈취제에 의해 대부분 제거된다. 이러한 과정에도 불구하고, 열풍의 순환과정에서 탈취되지 않은 채 순환되는 열풍에 포함된 악취는 열풍장치(360)의 외부배출구에 연결된 배기호스를 통해 배출될 뿐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로는 배출되지 않으므로, 본 실시예의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가 설치된 실내로는 악취가 유입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후면의 순환커버체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커버체(350)는 건조통체(310)로부터 결합되고 분리된다. 그리고 순환커버체(350)가 시작되는 건조통체(310) 내부, 즉 배출통구(310s) 안쪽으로는, 가는 그물망구조로 형성된 거름망체(310n)가 건조통체(310) 내부에 결 합되어 있다.
배출통구(310s)는 건조통체(310) 내에서 순환된 열풍이 배출되는 통구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통구(310s) 상부의 건조통체(310)에는 순환통구(310t)가 형성되어 있다.
거름망체(310n)는 도시한 바와 같이 망체부분이 가는 눈으로 짜여진 그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부분을 끼울수 있도록 끼움폭을 가진 큰 관체형태이다. 아울러 망체는 철그물 이외에도 부직포나 기타 필터링 기능이 있는 직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순환하는 열풍에 의해 건조된 음식쓰레기로부터 날리는 먼지나 미세입자 등을 걸러내는(filtering) 기능을 한다. 그리고 순환커버체(350)는 건조통체(310)의 후방 통풍구와 열풍장치(360)로의 통로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관체나 기타 통로를 만들 수 있는 물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거름망체(310n)를 통과한 먼지나 미세입자 등이 걸러진 열풍은 도면의 화살표와 같이, 건조통체(310)에서 배출되는 열풍은 배출통구(310s), 순환커버체(350), 순환통구(310t)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순환과정에서 순환커버체(350)는 열풍을 순환시키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여 준다. 이후 열풍은 건조통체(310) 외부로 장착된 순환커버체(350)를 타고 상부로 올라가며, 열풍장치(360)의 중심부로 유입된다.
도 7은 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상부의 열풍장치에 대한 부분사시도이다.
본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에서는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를 통해 투입된 음식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통체(310) 상부 후미방향으로 열풍장치(3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열풍장치(360)는 송풍관체(361), 모터(362), 송풍팬(363), 히터(364)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열풍장치(360)는 화살표방향와 같이 건조통체(310)의 후미에서 불어올라온 열풍을 일부는 외부로 배출하고 일부는 다시 가열하여 송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관체(361)는 두꺼운 폭을 갖는 원반형태의 통체가 그 중심이 뚫려 있고 그 둘레는 회오리바람처럼 두개의 통형관이 접하는 것과 같은 모양이며, 뚫려있는 중심부에는 모터(362)와 송풍팬(363)이 장착된다. 회오리 형태의 두 날개 부분의 관체중 하나에는 히터(364)가 장착되어 있고 여기서 가열된 열풍은 와류관체(370)로 송풍된다. 그리고 다른 날개 부분은 유입된 열풍중 일부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통구(361h)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부의 모터(362)가 회전하게 되면 이 모터(362)에 연결된 송풍팬(363)이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건조통체(310)의 후미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순환된 열풍이 불러 올라오게 된다. 이렇게 불어올라온 열풍은 송풍관체(361) 내에서 불어나가게 되므로 일부 약 1/2 정도는 히터(364) 방향으로 불어가게 되고, 나머지 약 1/2 정도는 송풍관체(361) 후미의 배기통구(361h)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히터(364)는 방열판(364p)과 발열체(364d)로 구성되며, 이 히터(364)를 송풍관체(361)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보조장착체(364spt)가 이용된다.
도면에는 분리된 상태를 크게 나타내었지만, 발열체(364d)가 방열판(364p) 사이에 결합되어 히터(364)가 구성되며, 방열판(364p)은 열전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방열날개판들이 좌우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 1의 종래 음식쓰레기 건조기는 방열판이 발열체의 한쪽 측면에 접촉결합되고,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방열판이 송풍용관체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발열체는 이 송풍용관체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발열체의 열이 순환되는 열풍을 재가열시키는 데 완전히 이용되지 못해 열손실이 많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발열체(364d)가 방열판(364p)의 내부에 완전히 결합되고 또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송풍관체(361)의 내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열손실이 없다.
따라서 발열체(364d)에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체(364d)에서 열이 발생되고 이 열은 방열판(364p)으로 전달되며, 따라서 송풍팬(363)에 의해 송풍된 열풍은 방열판(364p)의 방열날개판들 사이로 통과하면서 다시 가열되며, 실험결과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에서 음식물쓰레기 건조에 적합한 온도는 약 50℃∼70℃ 사이 부근이다.
이와 같이 발열체(364d)는 작동시 매우 뜨겁다. 따라서 건조통체(310)에 바로 장착시키는 경우 건조통체(310)를 손상시킬 유려가 있으며, 이 때문에 보조장착체(364spt)를 이용하게 된다.
즉 발열체(364d)를 방열판(364p) 사이에 결합시키고 이 방열판(364p)의 하단 부를 보조장착체(364spt)에 결합시키면 보조장착체(364spt)의 중앙부분에 어느 정도의 빈 공간이 있으며, 이러한 빈 공간이 발생된 열의 완충역활을 하여 건조통체(310)에는 손상의 염려가 없다.
결국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원을 인가하여 본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를 작동시키면, 송풍팬(363)의 작동에 의해 건조처리기(30) 내부의 순환된 열풍이 빨려 올라오면서 일부는 배출되고 일부는 가열된 다음 다음단의 와류관체(370)로 송풍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에서는 종래의 기술과 다르게, 건조통체(310) 내부에서 흘러나온 열풍 모두를 가열한 다음 다시 와류열풍으로 변환시켜 불어넣는 것이 아니라 일부, 약 반 정도만을 다시 불어넣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작동과정에서 열풍장치(360)로 유입된 열풍 중 일부, 약 절반 정도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나머지 열풍을 가열한 다음 다시 건조통체(310) 내부로 불어넣도록 하는 이유는, 순환커버체(350)로 유입된 열풍은 음식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과정에서의 습기가 포함된 상태이며 이러한 습기성분을 약 1/2 정도를 배출시키고, 후술할 와류관체(370)에서 습기가 적은 건조한 외부공기를 흡입시켜 불어넣음으로써 건조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모두 배출시키지 않고 열풍장치(360)로 유입된 열풍의 일부를 다시 불어넣도록 작동시키는 것은 열풍속에 습기가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순환된 열풍은 이미 가열되어 온도가 높아진 상태이므로 가열된 이 열에너지를 다시 사용함으로써, 만약 낮은 온도의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경우 이 외부공기를 가열하는 데 따른 에너지의 소비를 줄이기 위함이며, 이 역시 효과적인 건조와 가열에너지의 최소화라는 상관관계에서 최고의 건조효율을 추구한 것이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열풍장치(360)로 유입되어 배출되고 남은 열풍은 모터(362)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송풍팬(363)에 의해 와류관체(370) 방향으로 불어나가게 된다.
도 8은 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상부의 와류관체에 대한 부분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와류관체(370)는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면서 비스듬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 와류관체(370)는 열풍와류부(371)와 흡기와류부(372)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흡기와류부(372)에는 흡기통공(373)이 형성되어 있어 열풍이 와류로 변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즉 흡기통공(373)은 와류관체(370)에서 직선형 열풍이 와류로 변하게 될 때 외부의 공기가 와류열풍의 회전흡인력에 흡수되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구멍이며, 따라서 와류열풍이 불어 들어감과 동시에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외부의 공기도 함께 흡입하여 들어가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흡기통공(373)은 음식쓰레기의 건조효율을 높일 수 범위에서 다수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열풍와류부(371)는 실선화살표의 흐름처럼 열풍장치(360)로부터 불어들어오는 열풍을 와류로 변환시키는 부분이 되며, 흡기와류부(372)는 점선화살표의 흐름과 같이 열풍와류부(371)에서 직선성의 열풍 을 와류형태로 변환시킬 때 발생되는 회전력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흡기통공(373)을 통하여 흡입되며, 흡입된 외부의 공기 역시 와류로 변하게 되며, 와류관체(370)의 하단 끝 즉 건조통체(310)의 내부가 시작되는 부분에서 와류열풍과 혼합되며 음식쓰레기를 건조시키게 된다.
도 9는 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에서의 열풍순환을 설명하기 위한 열풍순환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대한 단면 열풍순환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에서 음식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음식쓰레기수용통(320)에 음식쓰레기를 수거하게 된다. 즉 음식쓰레기수용통(320)에 음식쓰레기봉투 등을 씌운 다음 보다 안전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고정대(325)로 음식쓰레기봉투를 조인 상태에서 이 음식쓰레기봉투 내부에 음식쓰레기를 넣어도 되고, 다른 봉투 등을 씌우지 않은 상태로 음식쓰레기수용통(320)에 직접 넣어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음식쓰레기수용통(320)에 음식쓰레기를 수거한 상태에서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내부로 밀어 넣어도 되고, 빈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을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내부에 장착한 다음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를 통해 음식을 떨어뜨려도 된다.
일단 음식쓰레기수용통(320)에 음식쓰레기를 수거한 다음에는 수거문(330)이 잘 닫혀있는 지를 확인하여 완전히 밀폐가 될 수 있도록 준비한다. 그리고 상부의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는 투입관마개(344)로 막아 밀폐시킨다.
또한 열풍장치(360)의 배기통구(361h)에는 배기호스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배기호스는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내부의 일부 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배기호스를 건물외부로 설치해야 하며, 악취나 먼지 습기 등이 포함된 배기열풍에 의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사람의 통행이 적은 곳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열풍장치(360)로 흡입된 열풍은 송풍관체(361) 내에서 불어나가게 되므로 일부 약 1/2 정도는 히터(364) 방향으로 불어가게 되고, 나머지 약 1/2 정도는 송풍관체(361) 후미의 배기통구(361h)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열풍장치(360) 끝단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와류관체(370)가 연결되어 있고 이 와류관체(370) 측면에는 흡기통공(37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직선류 열풍이 와류관체(370)로 진입하여 와류열풍이 생성됨과 동시에 흡기통공(373)을 통해 외부의 공기(건물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고, 따라서 이러한 와류열풍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쓰레기가 담긴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을 향해 회전하면서 송풍된다.
음식쓰레기수용통(320)로 송풍된 열풍은 음식쓰레기수용통(320) 내부의 음식쓰레기를 건조시키면서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내부를 순환하여 열풍장치(360) 부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음식쓰레기수용통(320) 부근에서는 열풍이 상부와 하부로 회전하면서 순환됨으로써 효율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음식쓰레기를 건조시키면서 순환된 열풍은 거름망체(310n)에 의해 습기나 건조먼지 등이 걸러지며, 이렇게 걸러진 열풍이 순환커버체(350)를 통해 다시 열풍장 치(360)로 상승하면서 외부로 배출되고, 순환되면서 식혀진 열풍의 일부는 열풍장치(360)에서 가열되어 송풍되고 와류관체(370) 측면의 흡기통공(373)으로부터 습기가 없는 외부의 건조한 공기를 유입하여 건조효율이 높은 와류열풍으로 되어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내부로 불어들어가는 순환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음식쓰레기가 효율적으로 건조된다.
그리고 본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는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의 위치 등을 수거가 편리한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투입관마개(344)를 포함한 탈취기능부위에도 변화를 줄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설명한 바와 따라 본 발명의 효과들 중 특징적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순환되는 열풍에 건조한 외부공기를 계속 공급해 가면서 열풍을 송풍시키고 이를 통해 건조를 실시하므로 건조시간이 빠르고 건조시의 효율도 매우 증대시킬 수 있다.
- 음식쓰레기 건조시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배기호스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내부에서도 탈취제에 의해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건조된 상태에서 처리시 악취에 대한 거부감이 없이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 악취제거를 위한 탈취용 관체마개는 탈취제받이용기와 분리결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내부의 탈취제를 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탈취제받이용기를 음식쓰레기투입관부에 거치시키는 상태로 형성할 수 있어 편리하며 그 변형도 간단하다.
- 거름망체를 통해 열풍속에 포함될 수 있는 음식쓰레기 건조 먼지나 미세입자를 걸러냄으로써 상부의 열풍장치나 기타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의 각 구성부들의 고장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조 효율과 열풍전체의 순환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투입된 음식쓰레기를 일정용기에 담아 내장하고, 모터와 송풍팬과 히터를 설치하여 열풍을 가열 순환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음식쓰레기를 건조처리하기 위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장치는 음식쓰레기를 담고 있는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을 내장하기 위한 통형구조의 건조통체(310)이며, 이 건조통체(310)의 상부로는 소정폭의 관체인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가 형성되어 있으며, 관체의 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히터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건조통체(310)로부터 유입된 열풍 중 일부를 배기하고 일부를 가열하여 송풍하는 열풍장치(360)와, 상기 열풍장치(360)에 연결되고 상기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 외주연을 비스듬히 감는 나선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건조통체(310) 내부의 건조실에 열풍을 순환시키는 와류관체(370)와, 상기 건조통체(310)의 내부 및 상기 열풍장치(360)로 통하도록 관체로 형성되는 순환커버체(350)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와류관체(370)에는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기통공(373)을 형성하고, 상기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 끝단에는 음식쓰레기의 악취를 탈취시키기 위한 악취제를 내포한 투입관마개(344)가 결합되며, 상기 건조통체(310)에 연결되는 상기 순환커버체(350)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음식쓰레기의 건조과정에서 발생된 건조분말을 걸러내도록 망사형태의 거름망이 형성된 거름망체(310n)가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는
    다수의 탈취구멍(343h)이 뚫어져 있고 상기 투입관마개(344)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도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도록 받이지지대(323s)들을 형성하여 탈취제를 담아 악취를 탈취하도록 일정부피를 갖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탈취제받이(343)와;
    안쪽 내부 측면의 일정한 각도로 분할되는 위치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탈취제받이(343)를 착탈시키며, 상기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의 개폐하는 투입관마개(3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는
    상기 음식쓰레기가 상기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에 위생적으로 투입되도록, 그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큰 기다란 역삼각의 관체로 형성되는 투입관끼움체(3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장치(360)는,
    두꺼운 폭을 갖는 원반형태의 통체가 그 중심이 뚫려 있고 그 둘레는 두개의 통형관이 접하는 것과 같은 모양이며, 하나의 날개부분의 통형관 내부에는 하기 히 터(364)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통형관 날개부분은 배기통구(361h)를 형성하는 송풍관체(361)와;
    원통형의 관체 둘레에 다수의 날개가 설치된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송풍관체(361)의 중앙부위에 장착되어 회전함으로써 유입된 열풍을 회전송풍시키는 송풍팬(363)과;
    상기 송풍팬(363)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62)와;
    상기 와류관체(370) 방향으로의 송풍관체(361)의 하나의 날개 내부에 설치되어 송풍된 열풍을 가열시키는 히터(3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364)는,
    평행하게 라운드된 다수의 방열날개판들이 좌우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심부는 원반형의 발열체(364d)를 접촉결합됨으로써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방열시키는 방열판(364p)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364)는,
    상기 히터(364)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여 상기 건조통체(310)로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히터(364)의 하부를 비접촉상태로 수용하도록 그 중심부분이 파여 있으며 상기 히터(364)의 장착을 보조하는 보조장착체(364sp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관체(370)는,
    상기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면서 비스듬한 모양의 관체로서, 상기 열풍장치(360)로부터 불어들어오는 열풍을 와류로 변환시키는 열풍와류부(371)와;
    상기 음식쓰레기투입관부(340)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면서 비스듬한 모양의 관체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기통공(373)이 형성되며 상기 열풍와류부(371)에서
    직선성의 열풍을 와류형태로 변환시킬 때 발생되는 회전력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기통공(373)을 통하여 흡입하여 흡입된 외부의 공기를 와류로 변화시키는 흡기와류부(372)를 포함하며,
    상기 열풍와류부(371)와 흡기와류부(372)에서 변환된 와류열풍이 상기 건조통체(310)내부로 송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쓰레기수용통(320)은,
    음식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일정부피를 갖는 통형태로 형성되고 내부 측면 에는 평형상태로 이격된 다수의 통로돌기(321)들이 평형한 줄무늬 형태로 형성되어 열풍순환통로로 작동하며, 다수의 순환통공(322)이 그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건조통체(310) 내부에서의 열풍순환이 용이하도록 그 바닥에 대해 상부 단면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비스듬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체(310n)는
    일정부분을 끼울수 있도록 끼움폭을 가진 큰 관체의 일단면에, 철사그물, 부직포, 직물 등과 같이 가는 눈으로 짜여진 그물형태의 망체가 결합형성되어, 상기 순환커버체(350)가 장착되는 건조통체(310) 내부의 배출통구(310s)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건조처리기(30).
KR1020030048997A 2003-07-18 2003-07-18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KR100648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997A KR100648966B1 (ko) 2003-07-18 2003-07-18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997A KR100648966B1 (ko) 2003-07-18 2003-07-18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438A KR20030065438A (ko) 2003-08-06
KR100648966B1 true KR100648966B1 (ko) 2006-11-27

Family

ID=3222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997A KR100648966B1 (ko) 2003-07-18 2003-07-18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649B1 (ko) 2015-05-28 2017-11-03 이백수 폐기물 투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733B1 (ko) * 2005-05-19 2007-03-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여과망
KR101882829B1 (ko) * 2017-09-01 2018-08-27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의 보조 열풍 발생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649B1 (ko) 2015-05-28 2017-11-03 이백수 폐기물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438A (ko) 200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6588A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lint particles in a clothes dryer
CN107350265B (zh) 一种家庭用厨房垃圾收集处理装置
JPH09262574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0648966B1 (ko)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KR2011011831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8078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29678Y1 (ko)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CN212092591U (zh) 厨余机的去味结构
KR200342219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수납용기 건조구조
KR10123659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3096518B2 (ja) 厨芥処理装置
JP3182728B2 (ja) 飲食ごみの処理装置
KR20035842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425758B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200276642Y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024700U (ja) 熱風循環式集塵機能付きホッパードライヤー
KR200356431Y1 (ko) 씽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36165B1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
KR102513768B1 (ko) 복합 필터 구조를 포함하는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65952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688087B1 (ko) 고기능성 스마트 복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456376B1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
KR200314233Y1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
KR200399090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건조 장치
JPH10449A (ja) 生ご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928

Effective date: 200608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