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955B1 - 환풍기 - Google Patents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955B1
KR100648955B1 KR1020050104749A KR20050104749A KR100648955B1 KR 100648955 B1 KR100648955 B1 KR 100648955B1 KR 1020050104749 A KR1020050104749 A KR 1020050104749A KR 20050104749 A KR20050104749 A KR 20050104749A KR 100648955 B1 KR100648955 B1 KR 100648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air passage
fan
adapt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휘
Original Assignee
조철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철휘 filed Critical 조철휘
Priority to KR1020050104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풍기의 청소 및 유지관리가 편리하고, 환풍기 사용시 쌓인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하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금형 개수가 줄어들어 설비비 등의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며, 현장 설치 작업이 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는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팬(12)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건물의 천정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건물의 천정이나 벽체를 향하는 일단부에는 흡기구(15a)가 형성된 환풍기본체(10,15)와, 상기 본체(10,15)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본체(10,15)의 흡기구(15a)와 연통되는 에어통로(22)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통로(22)의 외곽에는 서로 대향되는 결합홈(24)이 형성된 제1커버부재(20)와, 상기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를 커버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둘레부에는 상기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 외곽의 결합홈(24)에 끼워지는 결합돌기(34)가 형성된 제2커버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커버부재(30)의 결합돌기(34)를 제1커버부재(20)의 결합홈(24)에 끼워서 상기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에 상기 제2커버부재(3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풍기본체, 결합홈, 결합돌기, 어댑터

Description

환풍기{Ventilat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주요부인 어댑터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5. 어댑터
20. 제1커버부재 24. 결합홈
30. 제2커버부재 34. 결합돌기
본 발명은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청소 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금형 개수를 줄여서 설 비비 등의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며, 현장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된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풍기는 실내의 탁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것으로, 환풍기는 보통 건물의 실내 천정에 설치되고, 환풍기에는 건물의 외부로 연통되는 배기덕트가 연결된다. 이러한 환풍기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흡기구가 형성되며 일측 또는 상면에는 배기구가 형성된 환풍기본체와, 상기 환풍기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배기팬과, 상기 환풍기본체의 배기구에 설치된 개폐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환풍기본체의 저면 흡입구에는 커버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버부재의 중앙부에는 그릴부에 의해 환풍기본체의 흡입구와 연통되는 에어통로가 형성된다.
이때, 환풍기를 비교적 장기간 사용하면, 그릴부와 환풍기본체의 내부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이게 되며, 이를 그래도 방치하면, 사용중에 먼지가 천정의 하측으로 떨어지므로, 위생에 매우 좋지 않으며, 특히, 음식점에서 사용중에 환풍기에서 먼지 등이 떨어지면 상당한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환풍기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런데, 종래의 환풍기는 저면 커버부재의 그릴부가 커버로부터 분리할 수 없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그릴부나 환풍기 내부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그릴부 사이의 에어통로로 손이나 청소 기구 등을 집어넣어야 한다. 그러나, 그릴부의 에어통로가 비좁아서, 손이나 청소도구 등을 제대로 집어넣을 수 없기 때문 에, 청소 작업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아울러, 이로 인해 환풍기 청소를 위해서는 부품 전체를 분해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 관리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 환풍기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단기간에 비교적 많이 쌓여서, 청소와 분해 조립 등의 작업을 자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한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아울러, 쌓인 이물질이 그대로 시각적으로 노출되므로, 건물의 깔끔한 분위기를 해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소 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사용중에 이물질이 낙하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형 개수를 줄여서 설비비 등의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아울러, 현장 설치 작업이 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는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팬(12)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건물의 천정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건물의 천정이나 벽체를 향하는 일단부에는 흡기구(15a)가 형성된 환풍기본체(10,15)와, 상기 본체(10,15)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 기 본체(10,15)의 흡기구(15a)와 연통되는 에어통로(22)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통로(22)의 외곽에는 서로 대향되는 결합홈(24)이 형성된 제1커버부재(20)와, 상기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를 커버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둘레부에는 상기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 외곽의 결합홈(24)에 끼워지는 결합돌기(34)가 형성된 제2커버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커버부재(30)의 결합돌기(34)를 제1커버부재(20)의 결합홈(24)에 끼워서 상기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에 상기 제2커버부재(3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어댑터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풍기본체(10,15)의 하단부에 제1커버부재(20)가 결합되고, 제1커버부재(20)의 중앙부 에어통로(22)에는 제2커버부재(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환풍기로서, 건물의 천정에 내장 설치된다.
상기 환풍기본체(10,15)는 내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12)이 구비된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어댑터(15)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하단이 개구된 원통형 박스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어댑터(15)의 중앙부에 형성된 흡기구(15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하우징 (10)의 측방에는 도시 안된 배기구가 형성되고, 이 배기구에는 도시 안된 개폐댐퍼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어댑터(15)의 흡기구(15a) 내벽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지지턱(15b)이 돌출되어, 어댑터(15)의 흡기구(15a)에 끼워진 케이스(10)의 하단을 지지턱(15b)에 의해 지지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5)의 흡기구(15a)의 외벽면에는 외측확장부(17)가 형성되고, 외측확장부(17)의 하측에는 플랜지부(16)가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확장부(17)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으로 구성되고, 사각형상의 외측확장부(17)의 모서리 부분에는 호형상의 곡면부(26)가 형성된다. 어댑터(15)의 외측확장부(17)는 외주면에 곡면부(17a)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한편, 어댑터(15)의 외측확장부(17) 자체가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외측확장부(17)의 둘레부 전체가 곡면부(17a)로 이루질 수도 있다.
상기 제1커버부재(20)는 중앙부에 환풍기본체(10,15)의 흡기구(15a)와 연통되는 에어통로(22)가 형성된다.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는 대략 직사각형 구멍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의 전후단 측벽부에는 각각 서로 대향되는 결합홈(24)이 관통 형성된다. 이 결합홈(24)은 두 개씩 형성된다. 또한,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의 양측에는 제1커버부재(2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만곡부(26)가 구비된다.
상기 제2커버부재(30)는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2커버부재(30)의 전후단에는 결합돌기(34)가 형성된다. 이 결합돌기(34)는 두 개씩 형성된다. 따라서, 제2커버부재(30)의 전후단 결합돌기(34)를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 로(22) 전후단에 형성된 결합홈(24)에 끼움으로써, 제2커버부재(30)를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2커버부재(30)는 비교적 탄성이 있으면서 강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커버부재(30)는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를 향하는 상면에 보강리브(도시 안됨)가 종횡으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의 전후단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결합홈(24)에 제2커버부재(30) 전후단의 결합돌기(34)를 끼움으로써, 제2커버부재(30)를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환풍기본체(10,15)에 쌓인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때, 제2커버부재(30)를 제1커버부재(20)로부터 분리한 다음, 비교적 넓은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로 손이나 청소도구를 충분히 집어넣을 수 있기 때문에, 청소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2커버부재(20)도 별도로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의 양측에는 제1커버부재(2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만곡부(26)가 구비되기 때문에,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 외곽부 하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일 확률이 현저히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이때, 만곡부(26)는 도시 되지 않은 경사부로 대체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사부도 만곡부(26)와 동일 유사한 효과를 낸다.
또한, 상기 제2커버부재(30)의 너비는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의 너 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지므로,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환풍기본체(10,15)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은폐되므로, 실내의 깔끔한 분위기를 해치는 경우를 방지하며, 나아가, 환풍기본체(10,15)의 내부에 쌓인 먼지가 그대로 하측으로 떨어지지 않고 너 넓은 제2커버부재(30)의 상면에 걸려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커버부재(30)의 상면에는 보강리브가 종횡으로 구비되어, 제2커버부재(30)의 강도를 보강한다. 즉, 제2커버부재(30)의 결합돌기(34)를 제1커버부재(20)의 결합홈(24)에 끼울 때에는 제2커버부재(30)가 약간 휘어지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 휘어지는 힘이 무리하게 작용하여 제2커버부재(30)가 부러질 수 있다. 그런데, 제2커버부재(30)의 상면에 종횡으로 보강리브가 구비되어 보강이 되기 때문에, 제2커버부재(30)를 제1커버부재(20)에 결합할 때, 제2커버부재(30)가 쉽게 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커버부재(20)가 환풍기본체(10,15)에 어댑터(15)를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한 가지 형태의 어댑터(15) 성형용 금형만 구비하면 되기 때문에, 금형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즉, 종래에는 환풍기본체(10,15)의 전체 부분을 각각 형태별로 별도로 구비하여야 했지만, 본 발명은 환풍기본체(10,15)가 하우징(10)과 어댑터(15)로 분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한 가지 형태의 어댑터(15)만을 구비하고, 어댑터(15) 위에 결합되는 하우징(10)의 형상에 대응되는 금형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금형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어댑터(15)의 외측확장부(17)는 외주면에 곡면부(17a)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어댑터(15)의 외측확장부(17)는 사각 형상 으로 이루어져 네 모서리 부분에 곡면부(17a)가 형성될 수도 있고, 외측확장부(17) 자체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정타일에 형성된 환풍기 설치용 구멍을 원형으로 천공하여 설치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현장 설치 작업이 편리하다. 즉, 환풍기를 천정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천정타일에 구멍을 뚫고 환풍기를 천정타일의 구멍에 결합하게 되는데, 종래에 천정타일에 구멍에 끼워져 결합되는 부분이 사각형으로 된 경우, 천청타일의 구멍을 원형으로 먼저 뚫고 다시 사각형으로 재차 구멍을 뚫어야 하기 때문에, 현장 설치 작업이 번거로웠다. 그런데, 본 발명은 천정타일의 구멍에 결합되는 어댑터(15)의 외측확장부(17)의 네 모서리 부분에 호형상의 곡면부(17a)가 형성되어, 이 곡면부(17a)가 천정타일의 원형의 구멍에 딱 맞아서 설치된다. 그리고, 외측확장부(17)가 원형으로 형성되면, 그대로 천청타일에 형성된 원형 구멍에 그대로 맞추어 끼면되기 때문에, 굳이 천정타일에 형성하는 구멍을 사각형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정타일에 원형의 구멍만을 뚫어서 그대로 설치하면 되므로, 현장 설치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2커버부재(30)가 곡면 형상으로 만곡되어 성형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원형 에어통로(22)의 외곽에 호형으로 만곡부(26)가 형성되며, 제2커버부재(30)는 제1커버부재(20)의 원형 에어통로(22)를 커버할 수 있도록 양측에 반원형 차단판(36)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15)의 플랜지부(16)에는 복수개의 에어통로(41a)가 형성된 그릴(40)이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어댑터(15)의 흡기구(15a)에는 자바라관이 연결되고, 자바라관에는 배기팬(12)이 연결된다. 도 3의 경우, 자바라관에 연결된 덕트에 배기팬(12)이 내장된다. 이처럼 한 곳의 덕트에 내장된 배기팬(12)에 의해 여러 개소의 실내 공기를 배기하는 방식을 중앙식 배기방식이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어댑터(15)는 환풍기와 커버부재(20) 또는 환풍기와 그릴(40)을 연결할 수도 있고, 자바라관과 같은 관체에 의해 덕트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환풍기본체(10,15)의 흡기구(15a)에 제1커버부재(20)가 결합되고,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에는 제2커버부재(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서, 환풍기본체(10,15)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때, 제2커버부재(30)를 제1커버부재(20)로부터 분리한 다음, 비교적 넓은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로 손이나 청소도구를 충분히 집어넣을 수 있기 때문에, 청소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에는 내향으로 만곡부(26)가 구비되기 때문에,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 외곽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일 확률이 현저히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제2커버부재(30)의 너비는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져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가 시각적으로 외 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환풍기본체(10,15)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은폐되므로, 실내의 깔끔한 분위기를 해치는 경우를 방지한다. 나아가, 환풍기본체(10,15)의 내부에 쌓인 먼지가 그대로 하측으로 떨어지지 않고 상대적으로 더 넓은 제2커버부재(30)의 상면에 걸려지므로,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커버부재(20)가 환풍기본체(10,15)에 중간의 어댑터(15)를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한 가지 형태의 어댑터(15)만을 구비하고, 어댑터(15) 위에 결합되는 하우징(10)의 형상에 대응되는 금형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금형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15)의 외부확장부의 네 모서리 부분에 곡면부(17a)가 형성되어, 천정타일에 형성된 덕트 설치용 구멍을 원형으로 천공하여 설치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현장 설치 작업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9)

  1. 내부에 팬(12)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건물의 천정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건물의 천정이나 벽체를 향하는 일단부에는 흡기구(15a)가 형성된 환풍기본체(10,15)와, 상기 본체(10,15)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본체(10,15)의 흡기구(15a)와 연통되는 에어통로(22)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통로(22)의 외곽에는 서로 대향되는 결합홈(24)이 형성된 제1커버부재(20)와, 상기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를 커버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둘레부에는 상기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 외곽의 결합홈(24)에 끼워지는 결합돌기(34)가 형성된 제2커버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커버부재(30)의 결합돌기(34)를 제1커버부재(20)의 결합홈(24)에 끼워서 상기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에 상기 제2커버부재(3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재(20)는 상기 에어통로(22)의 외곽에 위치되도록 만곡부(26) 또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26) 또는 경사부는 상기 제1커버부재(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진 단면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기본체(10,15)는 내부에 팬(12)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일단부에 상기 제1커버부재(20)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10)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1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15)는 상기 하우징(10)의 일단부가 결합되도록 중앙에 상기 흡기구(15a)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15a)의 외측 둘레부에는 직각 방향으로 플랜지부(16)가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5)의 흡기구(15a)의 내벽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1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턱(15b)이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15a)의 외벽면과 플랜지부(16) 사이에는 외측확장부(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15a) 외벽면의 외측확장부(17)는 그 외주면에 곡면부(17a)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부재(30)는 상기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져서, 상 기 제1커버부재(20)의 에어통로(22)가 상기 제2커버부재(3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7. 건물의 천정이나 벽체에 내장 설치되며 내부에는 배기팬(12)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환풍기에 있어서, 중앙부에 환풍기와 연결되는 흡기구(15a)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15a)의 일측 둘레부에는 직각 방향으로 플랜지부(16)가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부(16)에는 중앙에 에어통로(22)가 형성된 커버부재(20)가 결합되거나 그릴(40)이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용 어댑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15a)의 내벽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턱(15b)이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15a)의 외벽면과 플랜지부(16) 사이에는 외측확장부(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용 어댑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15a) 외벽의 외측확장부(17)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각형상의 외측확장부(17)의 모서리 부분에는 호형상으로 처리된 곡면부(17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 풍기용 어댑터.
KR1020050104749A 2005-11-03 2005-11-03 환풍기 KR100648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749A KR100648955B1 (ko) 2005-11-03 2005-11-03 환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749A KR100648955B1 (ko) 2005-11-03 2005-11-03 환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955B1 true KR100648955B1 (ko) 2006-11-24

Family

ID=37713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749A KR100648955B1 (ko) 2005-11-03 2005-11-03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9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377B1 (ko) * 2007-09-05 2009-05-21 조은정 환풍기
KR20170004122U (ko) *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티비엠 후크 결속식 조립구조를 갖는 전동댐퍼의 팬케이스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377B1 (ko) * 2007-09-05 2009-05-21 조은정 환풍기
KR20170004122U (ko) *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티비엠 후크 결속식 조립구조를 갖는 전동댐퍼의 팬케이스 고정장치
KR200486743Y1 (ko) * 2016-05-31 2018-06-27 주식회사 티비엠 후크 결속식 조립구조를 갖는 전동댐퍼의 팬케이스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2584B2 (en) Ventilation fan
KR100648955B1 (ko) 환풍기
KR101266423B1 (ko) 외부 유입물 차단 기능을 갖는 환풍기
JP4790529B2 (ja) 窓用換気扇装置
KR101035950B1 (ko)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KR100972048B1 (ko) 착탈식 다방향 분지관을 구비한 환기 장치
JP6210690B2 (ja) 換気装置
KR101995119B1 (ko) 창문설치형 공기청정기
KR101715480B1 (ko) 환풍기 그릴 체결장치
WO2022219812A1 (ja) 換気扇
JP2632108B2 (ja) 空気調和機
KR102402755B1 (ko) 천정형 공기청정기
JP4479182B2 (ja) 給排気換気扇
JP5067180B2 (ja) 換気装置
JPH08168622A (ja) 空気清浄機
JP6203240B2 (ja) 熱交換器及び換気装置
KR100345084B1 (ko) 룸 에어컨용 보호커버
KR100698909B1 (ko) 환기장치
KR200266773Y1 (ko) 몰딩형 환기장치
KR100715336B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개폐도어 구조
JPH0327227Y2 (ko)
KR100388658B1 (ko) 공기조화기
JP2009092365A (ja) 組立式換気装置
JPH06117673A (ja) 空調換気扇
KR20040015874A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