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793B1 -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793B1
KR100648793B1 KR1020050094996A KR20050094996A KR100648793B1 KR 100648793 B1 KR100648793 B1 KR 100648793B1 KR 1020050094996 A KR1020050094996 A KR 1020050094996A KR 20050094996 A KR20050094996 A KR 20050094996A KR 100648793 B1 KR100648793 B1 KR 100648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ice
refrigerator
making container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욱
박주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4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 제빙기의 제빙용기 일단에 부착되어 상기 제빙용기에 생성된 얼음을 이탈시키는 샤프트 및 아암이 관통되는 구동부의 장착구를 밀봉하도록, 상기 장착구의 외주에서 돌출된 입구턱의 외주에 끼워짐과 더불어, 상기 입구턱의 장착구를 덮어 막도록 되고,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캡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입구턱의 장착구가 캡의 마감판으로써 밀봉되고, 상기 마감판에 형성된 샤프트홀과 샤프트가 상호 밀착되어 밀봉되며, 상기 입구턱의 선단과 상기 샤프트의 걸림고리 사이 공간에 상기 마감판이 상호 밀착되도록 끼워져 밀봉되면서 상기 장착구로 향하는 물이 3중으로 차단되도록 된 것이다.
냉장고, 제빙기, 이빙수단

Description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SEALING STRUCTURE OF REFRIGERATOR ICE MAKING MACHINE}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 제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제빙기의 샤프트 장착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제빙기의 샤프트 장착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 샤프트 장착부분의 분리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 샤프트 장착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냉장고 20 - 도어
30 - 제빙기 31 - 제빙용기
40 - 이빙수단 41 - 구동부
42 - 장착구 43 - 입구턱
44 - 샤프트 45 - 아암
46 - 걸림고리 50 - 캡
51 - 측벽 52 - 마감판
53 - 샤프트홀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빙기의 이빙수단을 통해 이동되는 물을 차단하도록 된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는 얼음을 얼려 사용하도록 된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상기 제빙기는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 중에서 음식을 얼려 보관하도록 된 냉동실에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 상기 제빙기는 통상 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소정시간 동안 상기 냉장고의 냉동실 등에 저장될 수 있도록 된 제빙용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빙용기에 물을 수용하여 소정시간 이상 상기 냉장고의 냉동실 등에 저장하여 상기 물이 냉각된 얼음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근래에 상기 제빙용기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공급된 물을 냉각시키며, 상기 냉각된 얼음을 상기 제빙용기에서 이빙하여 저장용기 등에 자동으로 저장하도록 된 자동 제빙기가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상기 자동 제빙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용기와, 이빙수단 및 급수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빙용기(31)는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그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 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수용된 물이 다수의 얼음으로 분할 냉각되도록 그 내부에 다수의 칸막이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수단은 상기 제빙용기(31)에 자동으로 급수를 이루도록 상기 제빙기(30)가 설치된 냉장고(10) 외부의 급수원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냉장고(10)의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빙용기(31)에 물을 급수하도록 된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이빙수단(40)은, 구동부(41)와, 장착구(42)와, 입구턱(43)과, 샤프트(44)와, 아암(45) 및 걸림고리(46)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41)는 후술하는 샤프트(44)를 상기 냉장고(10)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된 모터와, 이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샤프트(44)와 모터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구동부(41)는 상기 냉장고(10)에서 공급되는 냉기 및 수분 등의 침투를 차단하도록 그 외부에 케이스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구(42)는 상기 구동부(41)의 일면, 상기 샤프트(44)가 장착되는 면의 중앙부에 상기 샤프트(44)가 관통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44)는 상기 구동부(41)의 장착구(42)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모터 등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빙용기(31)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또, 상기 샤프트(44)의 외주 다수지점에 아암(45)이 등 간격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아암(45)은 상기 샤프트(44)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제빙용기 (31)의 내부에 수용된 얼음을 가압하여 상기 제빙용기(31)에서 이탈시키도록 상기 샤프트(44)의 축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외측방향으로 막대형상을 이루고 뻗어 형성된다.
또, 상기 아암(45)은 상기 제빙용기(31)에 설치된 다수의 칸막이 사이지점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빙용기(31)의 다수 칸막이로 인해 형성된 다수의 얼음 각각을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입구턱(43)은 상기 샤프트(44)와 구동부(41) 일면의 마찰을 축소하고, 상기 구동부(41)와 제빙용기(31)가 접합되는 지점의 상기 제빙용기(31) 일면 벽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빙용기(31)의 접합부분 일면의 벽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상기 구동부(41) 일면 벽 상기 장착구(42)의 외주에서 통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 상기 입구턱(43)은 상기 샤프트(44)의 일부분 외주를 지지하도록 소정길이 이상의 길이를 이루고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걸림고리(46)는 상기 장착구(42)에 삽입되는 샤프트(44)의 일부분, 즉 상기 장착구(42)에 삽입되는 샤프트(44) 일단 부분의 외주에서 상기 샤프트(44)의 축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판형상을 이루고 돌출 형성된다.
또, 상기 걸림고리(46)는 상기 샤프트(44)의 일단 일부가 상기 장착구(42)에 삽입되면서 소정이 위치에서 걸쳐 지지되도록 상기 장착구(4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44)는 그 일단이 상기 구동부(41)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빙기(30)의 급수수단 부분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빙기(30)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41)의 회전력에 따라 진동되면서 이동되는 거리나, 상기 샤프트(44)에서 돌출된 아암(45)이 타부품과 밀착되면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하는 부품간의 이격거리와, 제품의 조립 및 제작의 편의를 위해 형성하는 유격으로 인해 상기 샤프트(44)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고리(46)는 상기 장착구(42) 또는 입구턱(43)의 선단에서 소정폭 이격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입구턱(43)의 선단에 소전간격 자유로이 이동되는 유격이 형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샤프트(44)의 걸림고리(46)와, 장착구(42)의 입구턱(43)이 이격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상기 걸리고리가 입구턱(43)에서 이격되어 상기 입구턱(43)의 장착구(42)가 개방되면 상기 장착구(42)를 통해 상기 제빙용기(31)에 수용된 물이 유입되고, 상기 장착구(42)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구동부(41) 내부의 모터 등 전기 및 전자기기에 접촉되면서 상기 구동부(41)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상기 제빙용기(31)의 물이 상기 장착구(42)로 유입되는 것은 상기 제빙기(30)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 해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상기 제빙기(30)가 수용된 냉장고(10)의 냉장실 도어(20) 등이 개/폐되면서 상기 냉장실에 가해지는 충격 등으로 인해 상기 제빙용기(31)의 물이 유동되어 상기 장착구(42)를 통해 구동부(41)로 유입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 근래에 냉장고(10)의 내부에서 비교적 활용도가 적은 저장실의 도어(20) 내측부에 상기 제빙기(30)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빙기 (30)는 상기 도어(20)가 회동되면서 개/폐되고, 상기 저장실의 전면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을 받으면서 보다 큰 힘으로 진동되어 상기 제빙용기(31)에 수용된 물이 상기 장착구(42)를 통해 구동부(41)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샤프트(44)에 걸림고리(46)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장착구(42)는 항상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빙용기(31)에 수용된 물이 더 자유로이 구동부(41)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구동부(41)가 손상됨은 물론, 상기 장착구(42) 및 구동부(41)로 유입된 물이 냉각되어 상기 구동부(41)의 작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냉장고 제빙기의 구동부에 형성되는 장착구를 덮어 막아 상기 장착구를 통해 제빙용기의 물이 상기 구동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된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고 제빙기의 장착구를 밀봉함과 더불어, 상기 장착구를 통해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장고용 제빙기의 구동부 일 측면에 형성된 장착구에 상기 구동부 일면과 접합된 제빙용기에 수용된 물이 상기 장착구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장착구의 외주에서 상기 제빙용기의 방향으로 통형상을 이루는 입구턱이 돌출되고, 상기 입구턱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됨과 더불어 상기 입구턱의 입구를 덮어 막도록 판형상을 이루는 마감판으로 이루어진 캡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의 마감판 중앙부에 상기 샤프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샤프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캡은 상기 입구턱에 밀착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및 이 회전에 의한 진동에 의해 소정폭 변형이 가능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장착구에 삽입되는 샤프트의 일단 상기 입구턱의 선단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된 판형상의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이 걸림고리와 상기 입구턱의 입구 사이에 상기 캡의 마감판이 밀착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입구턱과 걸림고리의 사이에 끼워진 캡의 마감판 자체 탄력으로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 이동에 따른 유격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 히 설명한다.
또한, 종래구조를 도시한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면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30)의 장착구(42)에 캡(50)이 추가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구(42) 입구턱(43)에 캡(50)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구턱(43)과 캡(50)과 걸림고리(46)가 상호 밀착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30)가 냉장고(10) 도어(20)의 내측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냉장고(10) 도어(20)의 내측에 설치된 제빙기(30)의 장착구(42)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10) 제빙기(30)의 구동부(41) 장착구(42)에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캡(50)이 부착된다.
상기 제빙기(30)는 제빙용기(31)와, 이빙수단(40)과, 급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빙용기(31)는 냉각될 물을 수용하도록 그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내부에 다수의 칸막이가 설치되어 상기 수용되는 물을 다수의 얼음으로 분리 냉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수수단은 상기 냉장고(10)의 외부 급수원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빙용기(31)에 이르도록 연결하며, 상기 냉장고(10) 제어기 및 제빙기(30)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빙용기(31)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빙수단(40)은, 구동부(41)와, 장착구(42)와, 입구턱(43)과, 샤프트(44)와, 아암(45)과, 걸림고리(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41)는 후술하는 샤프트(44)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등이 설치되며, 냉장고(10)의 제어기 및 전원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 및 샤프트(44)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구동부(41)는 상기 모터 등이 냉장고(10)의 저장실에 충진되는 냉기 및 습기 등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외부가 케이스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상기 장착구(42)는 상기 구동부(41)와 제빙용기(31)가 상호 접하는 면, 즉 상기 구동부(41)의 제빙용기(31) 방향 일면에 상기 샤프트(44)가 삽입되도록 개구된다.
또, 상기 장착구(42)는 상기 구동부(41)가 제빙용기(31)의 높이보다 2배 가량 높은 높이를 이루고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44)가 상기 제빙용기(31)의 상부 중앙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41)의 일면 중앙에 개구된다.
상기 입구턱(43)은 상기 장착구(42)의 외주에서 상기 제빙용기(31)의 방향으로 통형상을 이루고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44)의 외부를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구동부(41)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빙용기(31)의 일면 내부로 관통되도록 상기 제빙용기(31) 일면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조금 더 긴 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44)는 상기 장착구(42)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 등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봉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샤프트(44)는 상기 구동부(41)에서 상기 제빙용기(31)의 반대편 일단 본 실시 예에서는 급수부에 이르도록 뻗어 형성된 봉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44)는 수지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의 원통형상을 이루고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원통형상의 축이 형성되고, 그 외주에 축방향에 수직을 이루는 다수의 리브가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아암(45)은 상기 샤프트(44)의 외주에서 외측으로 판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44)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제빙용기(31)의 내부에 수용된 얼음을 제빙용기(31)의 외부로 가압하도록 막대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아암(45)은 상기 샤프트(44)의 외주에 1열로 등간격을 이루고 배열 형성되어 상기 제빙용기(31)의 내부를 구획하는 칸막이에 수용된 각각의 얼음을 제빙용기(31)의 외부로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고리(46)는 상기 구동부(41)의 장착구(42)에 삽입되는 샤프트(44)가 소정길이 이상으로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장착구(42) 방향 일단의 소정 위치에 상기 샤프트(44)의 축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판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장착구(42)의 개구 전체를 덮어 막도록 상기 장착구(4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큰 직경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본 발명의 이빙수단(40)은 캡(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캡(50)은 상기 샤프트(44)의 걸림고리(46)와 상기 장착구(42)의 입구턱 (43) 사이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며, 측벽(51)과, 마감판(52)과, 샤프트홀(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벽(51)은 상기 입구턱(43)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입구턱(43)의 외주면 형상과 유사한 원통 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마감판(52)은 상기 측벽(51)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입구턱(43)의 장착구(42)를 덮어 막도록 상기 입구턱(43)의 장착구(42) 형성과 동일한 원형판 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홀(53)은 상기 마감판(52)의 중앙부에 상기 샤프트(44)의 선단이 관통되도록 원형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캡(50)은 상기 샤프트(44) 및 걸림고리(46)를 탄력적으로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입구턱(43)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50)은 상기 샤프트(44)가 축방향으로 소정폭 이동될 수 있는 유격을 이루도록 탄력적인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샤프트(44)의 걸림고리(46)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구동부(41)의 일면에 제빙용기(31)를 접합하고, 상기 구동부(41)의 일면 중앙에 개구된 장착구(42)에 형성된 입구턱(43)에 캡(5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캡(50)의 측벽(51)이 상기 입구턱(43)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끼 워져 상기 입구턱(43)의 외주가 상기 캡(50)의 측면에 의해 둘러 씌워져 고정되고, 상기 측벽(51)이 상기 입구턱(43)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캡(50)의 마감판(52)이 상기 입구턱(43)의 장착구(42)를 덮어 막는다.
또, 상기 캡(50)이 상기 입구턱(43)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입구턱(43)의 장착구(42)에 샤프트(44)의 일단이 삽입된다.
상기 샤프트(44)의 일단은 상기 마감판(52)의 중앙에 개구된 샤프트홀(53)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장착구(42)를 관통함과 더불어 상기 구동부(41)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홀(53)은 상기 샤프트(44)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도록 되어 상기 샤프트(44)의 외주면과 상기 마감판(52)의 샤프트홀(53)은 상호 밀착된다.
상기 제빙용기(31)에 구동부(41)와 샤프트(44) 등의 이빙수단(40) 및 급수수단이 장착되어 제빙기(30)가 완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빙기(30)를 작동시키면, 상기 급수수단을 통해 냉장고(10) 외부의 물이 상기 제빙용기(31)로 급수되고, 상기 제빙용기(31)로 급수된 물은 상기 제빙용기(31)의 내부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냉장고(10)의 저장실 내부에 저장되고 냉각되어 얼음이 생성된다.
또, 상기 제빙용기(31)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빙기(30)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빙기(30)가 수용된 냉장고(10) 저장실에 충격이 가해져 상기 제빙용기(31)가 진동되는 경우, 상기 제빙용기(31)의 진동으로 인해 상기 제빙용기(3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유동되고, 상기 제빙용기(31)에서 유동되는 물은 도 6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44)가 장착된 장착구(42)의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장착구(42)로 유동된 물은 상기 입구턱(43)의 장착구(42)를 차단한 마감판(52)에 의해 상기 구동부(41) 내부로의 유입이 차단되고, 상기 입구턱(43)과 걸림고리(46) 사이의 공간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마감판(52)과 측벽(51)에 의해 상기 마감판(52)의 중앙에 개구된 샤프트홀(53)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 상기 샤프트홀(53)의 방향으로 이동된 물은 상기 샤프트홀(53)의 내주와 상기 샤프트(44)가 상호 밀착되어 접합됨에 따라 상기 샤프트홀(53)을 통해 상기 구동부(4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빙용기(31)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빙용기(31)를 이동하거나, 상기 냉장고(10) 및 도어(20)의 작동으로 인해 충격이 가해져 상기 제빙용기(31) 내부의 물이 상기 장착구(42)의 방향으로 유동되면, 상기 물이 입구틀의 장착구(42)를 덮어막고 있는 마감판(52)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장착구(42) 및 구동부(4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상기 입구턱(43)과 걸림고리(46)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되는 물론 상기 입구턱(43)과 걸림고리(46) 사이에 밀착된 마감판(52)에 의해 그 유입이 차단되며, 상기 샤프트홀(53)로 이동되는 물은 상기 샤프트홀(53)과 샤프트(44)가 밀착되면서 그 유입이 차단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30)를 비교적 활용도가 낮은 냉장고(10) 도어(20)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30)가 냉장고(10) 도어(20)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냉장고(10) 도어(20)의 내측면에 1~2개의 제빙기(30)가 상/하방향으로 배열 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빙기(30)의 제빙용기(31) 각각의 일측면에 구동부(41)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41)는 상기 냉장고(10) 도어(20)의 내측면 양단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다이크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부(41)의 제빙용기(31) 방향 일면 중앙에 장착구(42)가 개구된다.
또, 상기 장착구(42)의 외주에서 상기 제빙용기(31)의 방향으로 입구턱(4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입구턱(43)에 측벽(51)과, 마감판(52) 및 샤프트홀(53)이 개구된 캡(50)이 끼워진다.
상기 캡(50)이 입구턱(43)에 끼워지면서 상기 측벽(51)의 내주면이 상기 입구턱(43)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마감판(52)이 상기 입구턱(43)의 장착구(42) 전면을 덮어 막으며, 상기 마감판(52)의 중앙에 개구된 샤프트홀(53)을 통해 상기 샤프트(44)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홀(53)의 내주와 상기 샤프트(44)의 외주가 상호 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44)와 상기 장착구(42) 사이의 간극이 밀봉되고, 상기 입구턱(43)과 샤프트(44)의 걸림고리(46) 사이의 공간이 밀봉되며, 상기 샤프트(44)와 샤프트홀(53) 사이의 공간이 밀봉되어 상기 냉장고(10)의 도어(20)가 회동 개방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제빙용기(31)에 수용된 물이 유동되거나, 상기 도어(20)가 폐쇄되면서 상기 도어(20)와 저장실의 전면이 충격되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유동되는 물이 상기 제빙용기(31)에 수용된 물이 상기 장착구(42)를 통해 상기 구동부(4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3중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용기(31)에 수용된 물이 구동부(41)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구동부(41)의 전기기기 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물이 구동부(41)와 장착구(42)로 유입되어 냉각되면서 상기 구동부(41) 및 샤프트(44)의 동작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 제빙기의 제빙용기에 수용된 물이 유동되면서 상기 제빙용기의 일측에 부착된 구동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제빙기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제빙기의 제빙용기에 수용된 물이 제빙기의 구동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구동부 및 샤프트가 상기 물의 냉각으로 동작정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제빙기의 구동부 일측면에 개구된 입구턱의 장착구가 밀봉되고, 상기 장착구와 샤프트 사이의 공간이 밀봉되며, 상기 입구턱과 샤프트의 걸림고리 사이의 공간이 밀봉되어 상기 장착구로 향하는 물을 3중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제빙기 구동부에 형성된 입구턱에 끼워지는 캡이 탄 력적인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의 장착구에 체결되는 샤프트의 작동에 요구되는 유격의 형성을 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냉장고 도어 등의 비교적 진동이 많은 지점에 제빙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상기 냉장고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물을 수용하여 냉장고의 냉기로써 냉각하도록 된 제빙용기와, 상기 제빙용기에 생성된 얼음을 이빙시키도록 상기 제빙용기에 가로질러 설치된 샤프트 및 아암과, 상기 샤프트 및 아암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빙용기의 일측에 부착된 구동부를 구비하는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제빙용기 방향 일면에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개구된 장착구;
    상기 장착구의 외주에서 상기 제빙용기의 방향으로 통형상을 이루고 돌출된 입구턱;
    상기 입구턱의 외주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입구턱의 장착구 전면을 덮어 막음과 더불어,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입구턱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입구턱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측벽과,
    상기 입구턱의 장착구 전면을 덮어 막도록 상기 측벽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 된 판형상의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의 중앙에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개구된 샤프트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에 삽입되는 샤프트의 상기 입구턱 선단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걸림고리가 돌출되고,
    상기 캡의 마감판이 상기 입구턱의 선단과 상기 걸림고리의 일면에 상호 밀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
KR1020050094996A 2005-10-10 2005-10-10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 KR100648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996A KR100648793B1 (ko) 2005-10-10 2005-10-10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996A KR100648793B1 (ko) 2005-10-10 2005-10-10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793B1 true KR100648793B1 (ko) 2006-11-23

Family

ID=3771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996A KR100648793B1 (ko) 2005-10-10 2005-10-10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79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353B2 (en) Refrigerator door having a splash guide
CN101451782A (zh) 用于冰箱的制冰盘
US20100064716A1 (en) Refrigerator with ice maker
EP2054680B1 (en) Ice maker
JP5767050B2 (ja) 冷蔵庫
EP2886979B1 (en) Refrigerator
US20100229590A1 (en) Ice Maker
JP2005195315A (ja) 製氷装置および冷蔵庫
KR100648793B1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밀봉구조
JP2005226964A (ja) 冷蔵庫
KR101416821B1 (ko) 냉장고용 댐퍼
KR100764305B1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물 넘침 방지구조
JP4726667B2 (ja) 冷蔵庫
JP5105991B2 (ja) 冷蔵庫
CN217636384U (zh) 冰箱
KR101536442B1 (ko) 냉장고
KR100587001B1 (ko) 냉장고용 고정구
KR100565613B1 (ko) 제빙기커버장치가 부착된 냉장고의 제빙기
KR100858944B1 (ko) 냉장고용 제빙기
JP5785021B2 (ja) 冷蔵庫
JP2005257114A (ja) 冷蔵庫
JP2001280808A (ja) 冷却ユニット
KR200193962Y1 (ko) 냉장고의회전날개지지장치
KR100333587B1 (ko) 냉장고의 냉장실냉기 역류방지장치
KR100923260B1 (ko) 냉장고의 냉기복귀덕트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