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372B1 -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 잡음 제거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 잡음 제거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372B1
KR100648372B1 KR1020050118335A KR20050118335A KR100648372B1 KR 100648372 B1 KR100648372 B1 KR 100648372B1 KR 1020050118335 A KR1020050118335 A KR 1020050118335A KR 20050118335 A KR20050118335 A KR 20050118335A KR 100648372 B1 KR100648372 B1 KR 100648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oise
terminal
tdma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8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04B1/1036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with automatic suppression of narrow band noise or interference, e.g. by using tuneable notch filt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잡음 제거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전원 신호를 기준 신호로 적응 필터링을 수행하여 잡음 추정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잡음 추정 신호를 음성 신호에서 차감하여 TDMA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로부터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음성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보코더; 상기 배터리의 전원 신호를 기준신호로, 소리신호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포함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 추정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적응 필터링을 수행하는 적응 필터부; 상기 보코더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에서 상기 생성된 잡음 추정 신호를 차감하여 TDMA 잡음이 제거된 음성신호를 상기 소리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차감부;를 포함하는 TDMA 잡음 제거용 적응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적응 필터, 배터리, 전원 신호, TDMA 잡음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 잡음 제거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method for removing TDMA noise using adaptive filter in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MA 잡음 제거용 적응필터를 구비한 GSM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음성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 잡음 제거 방법의 절차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GSM 단말기 100: RF부
200: BB부 210: 음성부
211: 보코더 212: 적응 필터부
213: 차감부 214: DAC
220: 저장부 230: 제어부
300: 배터리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잡음 제거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전원 신호를 기준 신호로 적응 필터링을 수행하여 잡음 추정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잡음 추정 신호를 음성 신호에서 차감하여 TDMA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분할 다중접속)와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는 디지털 무선전화기술 중 하나로서 유럽 및 기타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디지털 이동전화 시스템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등이 TDMA 기술을 채용하고 있다.
GSM은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압축한 다음, 그것을 두 개의 다른 사용자 데이터와 함께 한 채널을 통해 보내는데, 각각의 데이터는 나름대로의 고유한 시간대에 보내진다. GSM은 900 MHz와 1800 MHz 주파수 대역에서 모두 동작할 수 있다.
한편, GSM 단말기는 TDMA의 통신 방식을 이용함에 따라, GSM 단말기에 할당된 통신 구간에서만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 수신할 때 송신 구간과 수신 구간을 번갈아 가면서 데이터를 송, 수신하게 된다. 이때, GSM 단말기는 할당된 통신 구간외의 구간에서 사용되는 소모 전력, 기지국으로의 송신 구간에서 사용되는 소모 전력 및 수신 구간에서 사용되는 소모 전력에는 큰 차이가 생기게 된다. 즉, 송신 구간에서 사용되는 소모 전력이 통신 구간 외의 구간 및 수 신 구간에서 사용되는 소모 전력보다 월등히 커진다.
종래의 GSM 단말기는 송신 구간에서 사용되는 소모 전력이 통신 구간 외의 구간 및 수신 구간에서 사용되는 소모 전력보다 월등히 커짐에 따라 일정한 주파수의 TDMA 잡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TDMA 잡음은 GSM 단말기가 송신 전력이 커지는 환경에 위치하게 되면 더욱 심해져서 통화품질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GSM 단말기의 TDMA 잡음을 방지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이러한 TDMA 잡음은 2세대 단말기인 GSM 단말기뿐만 아니라 GSM 단말기에 대한 3세대 단말기로서 비동기 방식인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에서도 발생한다.
종래의 GSM 단말기 또는 WCDMA 단말기는 소리 신호 출력단에 RC 필터를 사용하여 TDMA 잡음을 제거하거나, 배터리의 전원 신호의 변화에 따라 음성 신호 선로에 TDMA 잡음이 유기되지 않도록 CAD(computer aided design) 작업시 각 선로의 배치가 세심하게 설계되어 제작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GSM 단말기 또는 WCDMA 단말기는 RC 필터 또는 선로 배치를 통해 TDMA 잡음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고, 선로 배치를 통해 TDMA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단말기 설계에 있어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배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응 필터를 이용하여 GSM 단말기 등의 TDMA 잡음이 발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데이터를 송, 수신 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통화 품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로부터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되, 음성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보코더; 상기 배터리의 전원 신호를 기준신호로, 소리신호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포함된 TDMA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 추정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적응 필터링을 수행하는 적응 필터부; 상기 보코더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에서 상기 생성된 잡음 추정 신호를 차감하여 TDMA 잡음이 제거된 음성신호를 상기 소리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차감부;를 포함하는 TDMA 잡음 제거용 적응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전원 신호는 아날로그 전원 신호이고, 상기 적응 필터부는 상기 아날로그 전원 신호를 디지털 전원 신호로 변환하여 적응 필터링을 수행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응 필터는 LMS(least mean square) 필터, 사인 에러(sign error) LMS 필터, 사인 데이터(sign data) LMS 필터 또는 사인 사인(sign sign) LMS 필터 중 어느 하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TDMA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로부터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되, 음성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보코더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TDMA 잡음 제거 방법으로, 상기 배터리의 전원 신호를 기준신호로, 소리신호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포함된 TDMA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 추정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적응 필터링을 수행하는 적응필터링단계; 상기 보코더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에서, 상기 생성된 잡음 추정 신호를 차감하여 TDMA 잡음이 제거된 음성신호를 상기 소리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보정음성신호출력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 잡음 제거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전원 신호는 아날로그 전원 신호이고,
상기 적응필터링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전원 신호를 디지털 전원 신호로 변환하여 적응 필터링을 수행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응 필터는 LMS(least mean square) 필터, 사인 에러(sign error) LMS 필터, 사인 데이터(sign data) LMS 필터 또는 사인 사인(sign sign) LMS 필터 중 어느 하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TDMA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MA 잡음 제거용 적응필터를 구비한 GSM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잡음 제거용 적응필터를 구비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1)는 RF부(radio frequency)(100), BB(base band)부(200) 및 배터리(300)를 포함한다.
상기 RF부(100)는 상기 BB부(200)에 포함된 제어부(230)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제어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며,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특히, 상기 RF부(100)은 상기 GSM 단말기(1)에 할당된 송, 수신 구간에서 각각 데이터의 송, 수신을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해 무선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용 전력 증폭기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용 전력 증폭기는 상기 GSM 단말기(1)의 다른 모듈들에 비하여 훨씬 큰 전력을 소모하며, 이에 따라 상기 RF부(100)은 주기적으로 상기 송신 구간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상기 RF부(100)에 의한 전력 소모가 주기적으로 커짐에 따라 상기 RF부(100)에 의해 상기 배터리(300)로부터 유입되는 전원 신호가 주기적으로 커지고, 상기 배터리(300)에서 상기 RF부(100) 및 상기 BB부(200)에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전원 선로 상의 전원 신호에 주기적인 GSM 버스트 리플(GSM burst ripple)이 발생한다. 상기 GSM 버스트 리플에 의해 상기 BB부(200)의 소리 신호 선로에 TDMA 잡음이 유기되게 된다. 즉, 상기 소리 신호에 포함된 TDMA 잡음과 상기 배터리(300)에서 출 력되는 전원 신호는 높은 상관도를 가진다.
상기 BB부(200)는 상기 RF부(100)과 연동하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며, 음성부(210), 저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부(210)는 상기 배터리(300)로부터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며, 상기 RF부(100)로부터 아날로그 무선 신호를 입력받아 복호화 등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해당 음성 신호를 소리 신호 출력단을 통해 스피커(SPK) 등의 소리 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특히 상기 음성부(210)는 상기 배터리(300)의 전원 신호를 기준신호로 상기 소리 신호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포함된 TDMA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 추정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적응 필터링을 수행하며, 상기 복호화된 음성신호에서 상기 생성된 잡음 추정 신호를 차감하여 TDMA 잡음이 제거된 음성신호를 상기 소리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한다.
상기 전원 신호와 상기 TDMA 잡음은 매우 높은 상관도를 가지므로 상기 배터리(300)의 전원 신호를 기준 신호로 이용하여 상기 TDMA 잡음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복호화 및 적응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음성부(210)는 상기 아날로그 무선 신호를 디지털 무선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털 무선 신호에 대해 복호화 및 TDMA 잡음 제거 동작을 수행하고, TDMA 잡음이 제거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소리 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220)는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시에 필요한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GSM 단말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배터리(300)는 상기 GSM 단말기(1)가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RF부(100), 상기 BB부(200) 중 전원을 필요로 하는 모든 모듈들에 전원 신호를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음성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음성부(210)는 보코더(vocoder)(211), 적응 필터부(212), 차감부(213) 및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214)를 포함한다.
상기 보코더(211)는 배터리(300)로부터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음성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보코더(211)는 GSM 단말기(1)의 RF부(100)로부터 아날로그 무선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무선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털 무선 신호에 대해 복호화(decoding) 동작을 수행하여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보코더(211)는 상기 생성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차감부(213)로 출력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GSM 시스템에서는 1 프레임이 8 타임슬롯으로 이루어져 GSM 단말기(1)에 할당된 송, 수신 구간에서 데이터 송, 수신을 반복함에 따라 데이터 송, 수신이 반복되는 주기는 4.6 ms가 되고, 이를 주파수로 변환하면 가 청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약 217 Hz가 된다.
배터리(300)에서는 상기 GSM 단말기(1)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상기 GSM 단말기(1)의 송신용 전력 증폭기로 송신 전력을 출력할 때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모전류 증가로 인한 전압강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보코더(211)에서 출력하는 음성 신호에는 217 Hz 및 217 Hz의 배수의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잡음 신호가 포함되게 된다. 따라서, GSM 버스트 동안의 전원 선로 상의 전원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7 Hz, 434 Hz, 651 Hz, 868 Hz 및 1085 Hz 등의 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잡음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귀를 거슬리게 된다.
상기 적응 필터부(212)는 상기 배터리(300)의 전원 신호를 기준신호로 소리신호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포함된 TDMA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 추정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적응 필터링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미도시) 및 디지털 적응 필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적응 필터부(212)의 ADC는 상기 배터리(300)로부터 상기 전원 선로를 통해, 아날로그 전원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전원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전원 신호는 TDMA 잡음을 유발시키는 GSM 버스트 리플을 나타내어 상기 TDMA 잡음과 매우 높은 상관도를 가지므로 상기 TDMA 잡음을 추정하기 위한 기준 신호로서 매우 적합하다.
그리고 상기 적응 필터부(212)의 디지털 적응 필터는 상기 디지털 전원 신호를 기준신호로 하고, 상기 차감부(213)의 상기 소리 신호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디 지털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보코더(211)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에 포함된 TDMA 잡음의 추정치를 나타내는 잡음 추정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차감부(213)로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 적응 필터는 상기 전원 신호를 기준 신호로 상기 차감부(213)의 차감기가 출력하는 음성신호, 즉 TDMA 잡음이 제거된 음성 신호를 피드백(feedback)하여 상기 디지털 적응 필터의 계수를 갱신(update)하고, 갱신된 필터 계수에 따라 필터링을 수행하여 TDMA 잡음의 추정치를 나타내는 잡음 추정 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전원 신호의 변화에 따라 적절한 잡음 추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적응 필터는 LMS(least mean square) 적응 필터, 사인 에러(sign error) LMS 적응 필터, 사인 데이터(sign data) LMS 적응 필터 또는 사인 사인(sign sign) LMS 적응 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른 공지된 적응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LMS 적응 필터는 최소 자승법을 사용하여 상기 적응 필터의 계수를 구하며 이의 의사 코드(pseudo-code)는 아래와 같다.
for(;;)
{
X[0]=NOISE; // 새로운 잡음 샘플 (N')
D=DESIRED; // 소리+잡음 신호 (S+N)
Y=0;
for(l=0;l<=N;l++)
Y+=(W[l]*X[l]); // 필터 출력을 계산
E=D-Y // 에러 신호를 계산 (S')
for(l=N;l>=0;l--) // 계수들을 잡음 샘플들과 콘볼브(convolve)
{
W[l]=W[l]+(2*beta*E*X[l]); // 필터 계수들을 갱신
if(l!=0)
X[l]=X[l-1]; // 데이터 샘플들을 이동
}
}
상기 사인 에러 LMS 적응 필터, 상기 사인 데이터 LMS 적응 필터 또는 상기 사인 사인 LMS 적응 필터의 경우 상기 LMS 적응 필터의 변형으로서 상기 의사 코드 중 필터 계수들을 갱신하는 단계에 하기 식을 반영하여 구현할 수 있다.
1. 사인 에러 LMS 적응 필터
Wk(n+1)=Wk(n)+beta*sgn[e(n)]x(n-k)
2. 사인 데이터 LMS 적응 필터
Wk(n+1)=Wk(n)+beta*e(n)*sgn[x(n-k)]
3. 사인 사인 LMS 적응 필터
Wk(n+1)=Wk(n)+beta*sgn[e(n)]*sgn[x(n-k)]
여기서 Wk[]은 필터 계수, sgn[]은 사인(sign) 함수(즉, a>=0이면 sgn[a]=1, , a<0이면 sgn[a]=-1), x[]는 잡음 샘플, e[]는 에러 샘플, n은 시간 인덱스이다.
상기 차감부(213)는 상기 보코더(211)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에서 상기 적응 필터부(212)로부터 입력된 상기 잡음 추정 신호를 차감하여 TDMA 잡음이 제거된 음성신호를 상기 소리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하며 이를 위해 ADC(미도시) 및 차감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차감부(213)의 ADC는 상기 보코더(211)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보코더(211)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전원 선로 상의 GSM 버스트 리플로 인하여 발생한 TDMA 잡음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도 TDMA 잡음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차감부(213)의 차감기는 상기 변환된 TDMA 잡음을 포함하는 디지털 음성 신호에서 상기 적응 필터부(212)의 디지털 적응 필터로부터 입력된 잡음 추정 신호를 차감(subtract)하여, TDMA 잡음이 제거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기 소리 신호 출력단을 통해 상기 DAC(214)로 출력한다.
즉, 상기 차감기는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의 값에서 상기 디지털 잡음 추정 신호의 값을 빼는(subtract) 연산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TDMA에 잡음이 제거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연산 동작을 통해 217 Hz 및 217 Hz의 배수의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잡음 신호가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상기 DAC(214)는 상기 차감부(213)의 차감기로부터 TDMA 잡음이 제거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SPK) 등의 소리 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 잡음 제거 방법의 절차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적응 필터부(212)의 ADC는 배터리(300)로부터 아날로그 전원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전원 신호를 생성하여 적응 필터부(212)의 디지털 적응 필터로 출력한다(S100).
그 후, 상기 적응 필터부(212)의 디지털 적응 필터는 차감부(213)로부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다(S110).
그 후, 상기 적응 필터부(212)의 디지털 적응 필터는 상기 디지털 전원 신호를 기준 신호로 적응 필터링을 수행하여 잡음 추정 신호를 생성한다(S120).
그 후, 상기 차감부(213)의 ADC는 보코더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 받아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S130).
그 후, 상기 차감부(213)의 차감기는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에서 상기 생성된 잡음 추정 신호를 차감하여 TDMA 잡음이 제거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음성부(210)의 DAC(214)로 출력한다(S140).
그 후, 상기 DAC(214)는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 등의 소리 출력 장치로 출력한다(S1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GSM 단말기를 중심으로 설명했으나 TDMA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등 TDMA 잡음이 발생하는 다른 종류의 이동통신단말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전원 신호를 기준 신호로 사용하는 적응 필터를 이용하여 GSM 단말기 등의 TDMA 잡음이 발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데이터를 송, 수신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통화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배터리로부터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되, 음성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보코더;
    상기 배터리의 전원 신호를 기준신호로, 소리신호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포함된 TDMA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 추정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적응 필터링을 수행하는 적응 필터부;
    상기 보코더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에서 상기 생성된 잡음 추정 신호를 차감하여 TDMA 잡음이 제거된 음성신호를 상기 소리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차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MA 잡음 제거용 적응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원 신호는 아날로그 전원 신호이고,
    상기 적응 필터부는 상기 아날로그 전원 신호를 디지털 전원 신호로 변환하여 적응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MA 잡음 제거용 적응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응 필터는 LMS(least mean square) 필터, 사인 에러(sign error) LMS 필터, 사인 데이터(sign data) LMS 필터 또는 사인 사인 (sign sign) LMS 필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MA 잡음 제거용 적응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TDMA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MA 잡음 제거용 적응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5. 배터리로부터 전원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되, 음성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보코더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TDMA 잡음 제거 방법으로,
    상기 배터리의 전원 신호를 기준신호로, 소리신호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포함된 TDMA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 추정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적응 필터링을 수행하는 적응필터링단계;
    상기 보코더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에서, 상기 생성된 잡음 추정 신호를 차감하여 TDMA 잡음이 제거된 음성신호를 상기 소리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보정음성신호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 잡음 제거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원 신호는 아날로그 전원 신호이고,
    상기 적응필터링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전원 신호를 디지털 전원 신호로 변환하여 적응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 잡음 제거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응 필터는 LMS(least mean square) 필터, 사인 에러(sign error) LMS 필터, 사인 데이터(sign data) LMS 필터 또는 사인 사인(sign sign) LMS 필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 잡음 제거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TDMA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 잡음 제거 방법.
KR1020050118335A 2005-12-06 2005-12-06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 잡음 제거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48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335A KR100648372B1 (ko) 2005-12-06 2005-12-06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 잡음 제거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335A KR100648372B1 (ko) 2005-12-06 2005-12-06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 잡음 제거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372B1 true KR100648372B1 (ko) 2006-11-23

Family

ID=3771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335A KR100648372B1 (ko) 2005-12-06 2005-12-06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 잡음 제거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3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647A (ko) * 2003-07-03 200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잡음 제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647A (ko) * 2003-07-03 200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잡음 제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891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and cancellation of narrow-band noise
US8155302B2 (en) Acoustic echo canceller
CN106205595B (zh) 一种用于个人音频设备的自适应噪声消除框架结构
KR19980080952A (ko) 에코/잡음 제거장치 및 그의 계수 조절 방법
FI104524B (fi) Kaiunpoistojärjestelmä ja -menetelmä sekä matkaviestin
US20030031315A1 (en) Echo canceller having nonlinear echo suppressor for harmonics calculations
US7142665B2 (en) Automatic gain control for an adaptive finite impulse response and method therefore
KR20140139053A (ko) 능동 노이즈 소거 적응형 필터를 위한 사전-성형 직렬 필터
EP1208689A2 (en) Acoustical echo cancellation device
US20060222192A1 (en) Listening device
KR20000035104A (ko) 유효 신호를 필터링하고 주위 잡음이 있을 때 이를 복구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 장치, 수신기 및 필터링 방법
US8422708B2 (en) Adaptive long-term prediction filter for adaptive whitening
EP2626857A1 (en) Reverberation reduction device and reverberation reduction method
CN110731050B (zh) 控制信号路径的噪声传递函数以减少电荷泵噪声
EP1941712B1 (en) Acoustic echo canceller
EP0732838A2 (en) Acoustic echo cancellor
JP2009501501A (ja) エコー・キャンセレーションのための経路変更検出器
US8874175B2 (en) Converting samples of a signal at a sample rate into samples of another signal at another sample rate
US20040242157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ressing periodic interference signals
KR10064837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적응필터를 이용한 tdma 잡음 제거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EP1141950B1 (en) Noise suppre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WO2007027386A2 (en) Clipping detector for echo cancellation
KR20010030739A (ko) 통신 단말기
JP2011002481A (ja) 雑音除去装置および雑音除去方法
JP2007116585A (ja) ノイズキャンセル装置およびノイズキャンセ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