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131B1 -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131B1
KR100647131B1 KR1020050062760A KR20050062760A KR100647131B1 KR 100647131 B1 KR100647131 B1 KR 100647131B1 KR 1020050062760 A KR1020050062760 A KR 1020050062760A KR 20050062760 A KR20050062760 A KR 20050062760A KR 100647131 B1 KR100647131 B1 KR 100647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groove
bent
prob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1894A (ko
Inventor
이채윤
Original Assignee
리노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2683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4713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리노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노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2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131B1/ko
Publication of KR20050081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반원형 또는 일정각도로 벌어진 집게형상의 단부를 가지는 가압접속구를 좌, 우측에서 서로 대향되게 가압접속시켜 상기 좌, 우측 가압접속구 상호간의 압축력에 의해 둘레상에 일정깊이의 반원형 또는 일정각도의 직선형상으로 절곡형성된 절곡홈이 구비된 외통과; 외측둘레상에 절곡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외통 내측에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외통의 절곡홈이 상기 절곡수용홈에 함몰되며 끼워져 상기 외통에 결속고정되는 접촉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와, 그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절곡홈을 외통둘레상에 일정깊이로 연속형성시키거나 서로 대향되는 다수의 직선형상으로 가압형성시켜 접촉핀과의 충분한 걸림접속면적을 제공함으로써 외통과 접촉핀 상호간이 보다 견고한 결속구조를 가지며, 좌, 우측 한쌍의 가압접속구간의 한차례 대향접속만으로도 절곡홈을 견고한 구조로 형성시킬 수 있어, 다수의 프로브를 상호인접하게 두고 연속공급시키면서 제조가능하여 자동화로의 적용이 용이하고 작업능률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브 검사 탐침 접촉핀 외통 절곡홈

Description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pro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 -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제조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의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 도 2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요부횡단면도.
도 4 - 도 2의 종단면도.
도 5 -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의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 도 5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요부횡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컨베이어 20 : 연속공급부재
30 : 가압접속구 31 : 좌측 가압접속구
32 : 우측 가압접속구 100 : 프로브
110 : 외통 111 : 절곡홈
120 : 접촉핀 121 : 절곡수용홈
본 발명은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원형 또는 일정각도로 벌어진 집게형상의 단부를 가지는 가압접속구를 서로 대향시켜 외통 둘레상에 가압접속시킴으로써 둘레상에 일정깊이의 반원형 또는 일정각도의 직선형상으로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 내에는 다수의 칩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 칩은 전자제품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칩은 반도체의 얇고 작은 조각판 표면에 구성된 논리 소자로 인해 각각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집적회로로, 회로기판으로부터 전해진 전기적 신호 등이 버스를 통해 전송되어 이러한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은 절연체인 에폭시 또는 베이클라이트 수지 등으로 만든 얇은 기판에 전도체인 구리가 회로배선을 형성하며 도포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집적회로, 저항기 또는 스위치 등의 전기적 부품들이 회로배선상에 납땜됨으로써 이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다.
마이크로 칩(Micro-chip)은 이러한 회로기판의 전자회로가 고밀도로 집적되어 만들어진 칩으로, 전자제품에 칩이 장착되어 조립완성되기 전에 정상적인 상태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사장치에 의하여 검사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치게된다. 이러한 검사 방법으로 칩을 검사용 소켓장치에 장착함으로써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러한 소켓장치 내에서 칩의 파손없이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검사용 탐침장치가 장착되어 사용된다.
검사용 회로기판상에는 상부에 검사대상물인 마이크로 칩이 놓여져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검사용 소켓이 장착되어있다. 검사용 소켓에는 다수개의 검사용 탐침장치가 장착되어 마이크로 칩에 접촉하게 되며, 전류가 검사대상용 마이크로 칩의 여러지점에 접촉된 탐침장치의 상부말단부로부터 탐침장치 몸체부 및 탐침장치 하단부의 접촉핀을 통해 회로기판측으로 흐름으로써 검사대상용 칩의 검사가 이루어진다.
상기 검사용 탐침장치는 상부말단부 및 하단부의 접촉핀이 마이크로 칩과 회로기판에 유연하게 탄성접촉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접촉핀을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외통 상,하부에 탄성적으로 출몰가능도록 구속결합시키거나, 상기 외통의 일단부에는 일부를 외향돌출시킨 채로 고정결합시키고 상기 외통의 타단부에는 탄성적으로 출몰가능하게 구속결합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종래에는 상기 접촉핀을 상기 외통상에 구속 내지 고정결합시킴에 있어서, 상기 외통 측방향에서 뾰족한 단부를 가진 가압구로 가압하여 점형상의 절곡홈을 형성시키면서 내측의 상기 접촉핀을 협소한 절곡면적에 의해 밀착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접촉핀을 견고하게 구속 내지 고정시키기에 충분한 걸림접속면적을 제공할 수 없었으며, 점형상으로 절곡형성된 절곡홈의 내측면이 매끈한 형태를 이루게되어 상기 접촉핀이 상하방으로의 가압에 의해 이탈되기 쉬워 상기 절곡홈의 파손 및 변형이 검사용 탐침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보다 견고한 결속을 위해 상기 절곡홈 다수개를 상기 외통둘레상에 고르게 형성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외통과 접촉핀이 결속된 하나의 구조체에 사방에서 동 시에 압점을 가하거나, 좌,우양측에서 2점 압점시킨 후 회전시켜 다시 2점 압점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이루어지게 되므로, 구조체 다수를 상호 인접하게 두고 연속제조하는 자동화로의 적용이 어려우며, 각각의 검사용 탐침장치를 일일이 지정위치에 안치시키고 압점 후 제거하는 수작업이 필수로 동반되어야함에 따라 시간 및 인력의 소모가 커 작업능률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외통의 절곡에 의해 내측의 접촉핀을 견고하게 구속 내지 고정시킬 수 있으며, 다수의 프로브를 연속제조할 수 있는 자동화로의 적용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상하가 개구되고,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홈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 내측에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절곡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접촉핀이 구비된 프로브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외통과 접촉핀을 접속시켜 세운 다수를 일렬로 배치시키고, 반원형 또는 일정각도로 벌어진 집게형상의 단부를 가지고 대향설치된 가압접속구 사이로 공급시키는 배치공급단계와; 상기 가압접속구를 상기 외통의 좌, 우측에서 각각 대향되게 가압접속시켜, 상기 가압접속구 좌, 우측부 상호간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외통에 절곡홈을 형성하며 상기 접촉핀을 고정시키는 맞댐성형단계와; 상기 가압접속구를 상기 외통으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절곡홈이 형성된 상기 외통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가압접속 구를 인접한 다른 외통과 좌우 일직선상에 위치시키는 위치수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반원형 또는 일정각도로 벌어진 집게형상의 단부를 가지는 가압접속구를 좌, 우측에서 서로 대향되게 가압접속시켜 상기 좌, 우측 가압접속구 상호간의 압축력에 의해 둘레상에 일정깊이의 반원형 또는 일정각도의 직선형상으로 절곡형성된 절곡홈이 구비된 외통과; 외측둘레상에 절곡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외통 내측에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외통의 절곡홈이 상기 절곡수용홈에 함몰되며 끼워져 상기 외통에 결속고정되는 접촉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를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따라서, 절곡홈을 외통둘레상에 일정깊이로 연속형성시키거나 서로 대향되는 다수의 직선형상으로 가압형성시켜 접촉핀과의 충분한 걸림접속면적을 제공함으로써 외통과 접촉핀 상호간이 보다 견고한 결속구조를 가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좌, 우측 한쌍의 가압접속구간의 한차례 대향접속만으로도 절곡홈을 견고한 구조로 형성시킬 수 있어, 다수의 프로브를 상호인접하게 두고 연속공급시키면서 제조가능하여 자동화로의 적용이 용이하고 작업능률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제조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의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요부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 른 프로브의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요부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곡홈(111)이 형성된 프로브(100) 제조방법은,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둘레상에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홈(111)이 형성된 외통(110)과, 상기 외통(110) 내측에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외통(110)에 수용된 일부가 상기 절곡홈(111)에 끼워져 상기 외통에 고정결합되는 접촉핀(120)이 구비된 프로브(100)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절곡홈(111)을 형성시키는 과정에 관련된 것으로, 크게 배치공급단계, 맞댐성형단계, 위치수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치공급단계는 상기 외통(110) 내측에 상기 접촉핀(120)의 일부를 지정길이만큼 수용시킨 다수를 세로로 세워 좌, 우측면부를 노출시킨 채 등간격을 두고 전후방 일렬로 배치시키고, 반원형 또는 일정각도로 벌어진 집게형상의 단부를 가지고 대향설치된 한쌍의 가압접속구(30)에 의해 상기 절곡홈(111)의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가압접속구(30) 사이로 상기 외통(110)과 접촉핀(120)의 접속구조체를 공급하는 단계이다.
상기 맞댐성형단계는 상기 가압접속구(30)에 의해 상기 외통(110)의 절곡성형이 이루어지는 단계로, 상기 외통(110)의 좌, 우측에 대향설치된 좌, 우측 가압접속구(31, 32)가 상대거리를 줄이며 상기 외통(110) 중심측으로 가압이동되어, 상기 외통(110)의 좌, 우측에 상기 좌, 우측 가압접속구(31, 32) 각각의 단부가 접속된 채로 상기 외통(110)을 가압시켜, 상기 좌, 우측 상기 가압접속구(31, 32) 상호간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곡홈(111)이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며, 상기 절곡홈(111) 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외통(110) 내측의 상기 접촉핀(120)이 상기 절곡홈(111) 사이에 끼워져 상기 외통(110)과 접촉핀(120)간의 고정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위치수정단계는 상기 외통(110)을 가압하던 상기 가압접속구(30)를 다시 원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외통(110)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다음으로 절곡홈(111)이 형성된 상기 외통(110) 후방에 인접하게 위치한 다른 외통(110a)을 다시 가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절곡홈(111)이 형성된 상기 외통(110)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가압접속구(30)를 인접한 다른 외통(110a)과 좌우 일직선상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제조방법의 1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배치공급단계에서 상면에 다수의 수용홈이 등간격을 두고 일렬로 이격형성된 연속공급부재(20)의 수용홈 각각에 상기 외통(110)과 접촉핀(120)을 세로로 끼워 삽입접속시켜 다수를 일렬로 고정배치시킨 후 전방으로의 이송방향을 가지는 컨베이어(10) 상에 올려놓고, 상기 맞댐성형단계에서 상기 컨베이어(10)의 좌, 우측에 대향설치된 한쌍의 상기 가압접속구(30)를 가압이동시켜 상기 외통(110)을 상호간의 압축가압력에 의해 절곡하여 상기 절곡홈(111)을 형성시키면서 상기 접촉핀(120)을 고정시키고, 상기 위치수정단계에서 상기 가압접속구(30)는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컨베이어(10)가 상기 연속공급부재(20)를 상기 수용홈간의 이격간격에 해당되는 간격만큼 전방이송시켜 다음 가공대상물을 상기 가압접속구(30)와 좌우 일직선상에 위치시킨다.
상기 위치수정단계 후에는 다시 상기 맞댐성형단계를 거쳐 인접한 다른 외통 (110a)에 상기 절곡홈(111)을 형성시키는 것을 반복하면서, 각각의 프로브(100)를 하나씩 독립적으로 이송, 성형, 이탈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연속공급부재(20)상에 일렬로 이격설치된 다수의 가공대상물을 한꺼번에 이송하여 전방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연속성형시키고, 한꺼번에 이탈시키게 되어, 다수의 가공대상물을 상호인접하게 두고 연속공급시키면서 프로브(100)를 제조완성시키는 자동화로의 적용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제조방법은 상기 1실시예만 한정시킬 것이 아니라, 다수의 가공대상물을 일렬로 배치하여 다수의 가압접속구(30) 사이로 공급시켜 다수의 한꺼번에 동시제조시키거나, 상기 컨베이어(10) 대신 상기 가압접속구(30)를 등간격으로 후방이송시키는 등, 상기 배치공급단계, 맞댐성형단계, 위치수정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가공대상물의 배치 및 이송, 가공원리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도 당연히 그 적용범위로 보아야 할 것이다.
상기 프로브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절곡홈(111)은 반원형 또는 일정각도로 벌어진 집게형상의 단부를 가지는 상기 가압접속구(30)가 상기 외통(110)의 좌, 우측에 대향접속된 채 상기 외통(110)에 압축력을 가하여 형성됨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1실시예와 같이 상기 외통(110)의 둘레를 따라 일정깊이의 반원형상으로 함몰형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2실시예와 같이 상기 외통(110) 둘레상의 4개소에 서로 대향되는 일정각도의 직선형상으로 함몰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실시예는 반원형으로 함몰된 형상의 단부를 가지는 가압접속구(30) 한쌍을 상기 외통(110)에 대향 접속시킴으로써 간단히 형성 시킬 수 있고, 상기 2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함몰된 집게형 단부를 가지는 가압접속구(30) 한쌍을 상기 외통(110)에 대향 접속시킴으로써 간단히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접촉핀(120)에는 외측둘레상에 절곡수용홈(121)을 함몰형성시키고, 상기 절곡수용홈(121)이 형성된 단부를 상기 외통(110) 내측에 수용시켜, 상기 외통 절곡홈(111)의 함몰된 내측부가 상기 절곡수용홈(121)에 견고하게 끼워져 상기 절곡홈(111)과 절곡수용홈(121)이 상호간의 걸림턱 역할을 하면서 상기 외통(110)과 접촉핀(120)을 견고하게 결속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는 상기 외통의 절곡홈(111)이 2개소로 나뉘어 외통둘레상에 일정깊이로 연속형성되거나, 서로 대향되는 다수의 직선형상으로 4개소이상 이격형성되어, 금속재의 무리한 절곡변형에 따른 손상의 우려없이 상기 접촉핀의 절곡수용홈(121)에 끼워져 걸려지는 넓은 접속면적을 상기 외통(110) 둘레 전반에 고르게 제공함에 따라 상기 외통(110)과 접촉핀(120)이 보다 견고한 결속구조를 가진다.
반원형 내지 일정각도로 벌어진 집게형상을 가지는 상기 가압접속구(30)를 상기 외통(110)의 좌, 우측에서 한차례 대향접속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와 같이 견고한 구조의 절곡홈(111)을 형성시킬 수 있어 수작업없이 다수의 대상물을 연속하여 가공가능하여 시간과 인력소모에 따른 작업능률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절곡홈을 외통둘레상에 일정깊이 로 연속형성시키거나 서로 대향되는 다수의 직선형상으로 가압형성시켜 접촉핀과의 충분한 걸림접속면적을 제공함으로써 외통과 접촉핀 상호간이 보다 견고한 결속구조를 가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 우측 한쌍의 가압접속구간의 한차례 대향접속만으로도 절곡홈을 견고한 구조로 형성시킬 수 있어, 다수의 프로브를 상호인접하게 두고 연속공급시키면서 제조가능하여 자동화로의 적용이 용이하고 작업능률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하가 개구되고,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홈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 내측에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절곡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접촉핀이 구비된 프로브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외통과 접촉핀을 접속시켜 세운 다수를 일렬로 배치시키고, 반원형 또는 일정각도로 벌어진 집게형상의 단부를 가지고 대향설치된 가압접속구 사이로 공급시키는 배치공급단계와;
    상기 가압접속구를 상기 외통의 좌, 우측에서 각각 대향되게 가압접속시켜, 상기 가압접속구 좌, 우측부 상호간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외통에 절곡홈을 형성하며 상기 접촉핀을 고정시키는 맞댐성형단계와;
    상기 가압접속구를 상기 외통으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절곡홈이 형성된 상기 외통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가압접속구를 인접한 다른 외통과 좌우 일직선상에 위치시키는 위치수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 제조방법.
  2.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반원형 또는 일정각도로 벌어진 집게형상의 단부를 가지는 가압접속구를 좌, 우측에서 서로 대향되게 가압접속시켜 상기 좌, 우측 가압접속구 상호간의 압축력에 의해 둘레상에 일정깊이의 반원형 또는 일정각도의 직선형상으로 절곡형성된 절곡홈이 구비된 외통과;
    외측둘레상에 절곡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외통 내측에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외통의 절곡홈이 상기 절곡수용홈에 함몰되며 끼워져 상기 외통에 결속고정되는 접촉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
KR1020050062760A 2005-07-12 2005-07-12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KR100647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760A KR100647131B1 (ko) 2005-07-12 2005-07-12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760A KR100647131B1 (ko) 2005-07-12 2005-07-12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894A KR20050081894A (ko) 2005-08-19
KR100647131B1 true KR100647131B1 (ko) 2006-11-23

Family

ID=3726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760A KR100647131B1 (ko) 2005-07-12 2005-07-12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13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966B1 (ko) 2009-08-27 2010-11-08 리노공업주식회사 반도체 칩 검사용 소켓
KR101802916B1 (ko) * 2015-06-12 2017-11-29 주식회사 메디트 절삭 장치의 기하학적 에러의 보정에 사용되는 로드 및 프로브
KR20220119879A (ko) 2021-02-22 2022-08-30 (주)포인트엔지니어링 전기 전도성 접촉핀 및 그 어셈블리
KR20220119874A (ko) 2021-02-22 2022-08-30 (주)포인트엔지니어링 전기 전도성 접촉핀 어셈블리
KR20220122212A (ko) 2021-02-26 2022-09-02 (주)포인트엔지니어링 전기 전도성 접촉핀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67899A (ko) 2021-06-15 2022-12-22 (주)포인트엔지니어링 검사 소켓용 지지 플레이트, 검사 소켓용 소켓핀 및 이들을 구비하는 검사 소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581B1 (ko) * 2012-06-13 2013-11-13 리노공업주식회사 검사용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KR101869335B1 (ko) * 2016-01-29 2018-06-20 최선영 프로브 핀 및 그 제조방법
JP6969929B2 (ja) * 2017-08-24 2021-11-24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プロ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237A (ja) * 1992-11-07 1994-05-27 Mita Ind Co Ltd プリント配線検査用コンタクトピン
JPH06230062A (ja) * 1993-01-29 1994-08-19 Hioki Ee Corp 回路基板検査機のプローブピン取付装置
US5557213A (en) * 1994-12-01 1996-09-17 Everett Charles Technologies, Inc. Spring-loaded electrical contact probe
KR19990008144U (ko) * 1998-11-19 1999-02-25 이채윤 검사용 탐침장치
JP2002323515A (ja) 2001-04-25 2002-11-08 Fuji Photo Film Co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
KR20030009246A (ko) * 2002-12-04 2003-01-29 리노공업주식회사 검사용 탐침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237A (ja) * 1992-11-07 1994-05-27 Mita Ind Co Ltd プリント配線検査用コンタクトピン
JPH06230062A (ja) * 1993-01-29 1994-08-19 Hioki Ee Corp 回路基板検査機のプローブピン取付装置
US5557213A (en) * 1994-12-01 1996-09-17 Everett Charles Technologies, Inc. Spring-loaded electrical contact probe
KR19990008144U (ko) * 1998-11-19 1999-02-25 이채윤 검사용 탐침장치
JP2002323515A (ja) 2001-04-25 2002-11-08 Fuji Photo Film Co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
KR20030009246A (ko) * 2002-12-04 2003-01-29 리노공업주식회사 검사용 탐침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966B1 (ko) 2009-08-27 2010-11-08 리노공업주식회사 반도체 칩 검사용 소켓
KR101802916B1 (ko) * 2015-06-12 2017-11-29 주식회사 메디트 절삭 장치의 기하학적 에러의 보정에 사용되는 로드 및 프로브
KR20220119879A (ko) 2021-02-22 2022-08-30 (주)포인트엔지니어링 전기 전도성 접촉핀 및 그 어셈블리
KR20220119874A (ko) 2021-02-22 2022-08-30 (주)포인트엔지니어링 전기 전도성 접촉핀 어셈블리
KR20220122212A (ko) 2021-02-26 2022-09-02 (주)포인트엔지니어링 전기 전도성 접촉핀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67899A (ko) 2021-06-15 2022-12-22 (주)포인트엔지니어링 검사 소켓용 지지 플레이트, 검사 소켓용 소켓핀 및 이들을 구비하는 검사 소켓
KR20230163336A (ko) 2021-06-15 2023-11-30 (주)포인트엔지니어링 검사 소켓용 지지 플레이트, 검사 소켓용 소켓핀 및 이들을 구비하는 검사 소켓
KR20240032783A (ko) 2021-06-15 2024-03-12 (주)포인트엔지니어링 검사 소켓용 지지 플레이트, 검사 소켓용 소켓핀 및 이들을 구비하는 검사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894A (ko) 200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131B1 (ko) 절곡홈이 형성된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US20120081140A1 (en) Probe card
JP2003315408A (ja) 半導体試験用テストボード
EP2889965A1 (en) Compound cylinder PCB connection
US20100026330A1 (en) Testboard with zif connectors, method of assembling, integrated circuit test system and test method introduced by the same
JP2011013049A (ja) 回路試験用治具および回路試験方法
KR20100052520A (ko) 전기접속구조, 단자장치, 소켓, 전자부품시험장치 및 소켓의 제조방법
US20180098447A1 (en) Side clamping bga socket
KR102189303B1 (ko) 사이드 컨텍을 위한 슬라이드형 지그
KR20160128668A (ko) 엘이디검사용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콘텍장치
KR20110099298A (ko) 컴퓨터 칩용 시험 어댑터
US20060121750A1 (en) Contactor, frame comprising such a contactor, electrical measuring and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acting by means of such a contactor
US768662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shorting paths
KR20130134101A (ko) 프로브 카드
JP2010043868A (ja) 電気検査ジグおよび電気検査装置
KR101794576B1 (ko) 솔더볼 보호용 비지에이 패키지 검사장치
KR101101246B1 (ko) 조립이 쉽고 접촉이 안정적인 프로브 카드용 연결기
KR101182193B1 (ko) 프로브 카드 조립체
KR100340770B1 (ko) 프린터기판에 양호하게 접촉하는 전기커넥터
KR101729068B1 (ko) 커넥터 지그
KR101392400B1 (ko) 피검사 디바이스의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KR101173791B1 (ko) 테스트 장치용 커넥터
KR101182195B1 (ko) 프로브 카드 조립체
TWI385391B (zh) 高效率和高準確度之測試治具
KR20170119469A (ko) 전기 단자 테스트용 메쉬형 컨택 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231

Effective date: 2010102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408

Effective date: 2010102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1231

Effective date: 201010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