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065B1 - 파이프 커플링 - Google Patents

파이프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065B1
KR100647065B1 KR1020050042036A KR20050042036A KR100647065B1 KR 100647065 B1 KR100647065 B1 KR 100647065B1 KR 1020050042036 A KR1020050042036 A KR 1020050042036A KR 20050042036 A KR20050042036 A KR 20050042036A KR 100647065 B1 KR100647065 B1 KR 100647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pipe
coupling
disposed
inclin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돈
Original Assignee
홍성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돈 filed Critical 홍성돈
Priority to KR1020050042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맞닿아 있는 두 개의 파이프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 연결부의 상부를 감싸도록 그 내주면이 반원호형으로 형성된 제1부재와, 파이프 연결부의 하부를 감싸도록 그 내주면이 반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제1부재의 하측에 배치되어 그 양단부가 제1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2부재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하우징과 파이프 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부를 밀폐시키도록 이 연결부의 외주면에 끼워져 지지되는 고리형의 개스킷과,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각 일단부는, 일측이 타측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제1경사접촉부와, 제1경사접촉부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이 제1경사접촉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1a접촉부와, 그 길이가 상기 제1a접촉부의 길이보다 길며 제1경사접촉부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이 제1경사접촉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1b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각 타단부는 각 일단부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제1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제2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유동결합상태와, 제1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제2부재의 타단부와 일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결합상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커플링{Pipe coupling}
도 1은 종래의 유동식 파이프 커플링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커플링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a는 종래의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완전히 결합되기 전 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종래의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파이프 커플링이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유동적으로 결합된 유동결합상태에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고정되게 결합된 고정결합상태에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유동적으로 결합된 유동결합상태에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고정되게 결합된 고정결합 상태에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파이프 커플링 10 ... 하우징
20 ... 제1부재 21,22 ... 한 쌍의 제1플랜지부
30 ... 제2부재 31,32 ... 한 쌍의 제2플랜지부
41,42 ... 한 쌍의 볼트 51,52 ... 한 쌍의 너트
60 ... 개스킷 71,81 ... 제1경사접촉부
72,82 .. 제1a접촉부 73,83 ... 제1b접촉부
74,84 ... 제2경사접촉부 75,85 ... 제2a접촉부
76,86 ... 제2b접촉부 p1 ... 제1파이프
p2 ... 제2파이프 j ... 파이프 연결부
d ... 간격
본 발명은 2개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에 유동적으로 결합되는 유동식 파이프 커플링 및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으로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커플링은 2개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파이프 커플링은 유동식 파이프 커플링(flexible pipe cooupling)과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rigid pipe coupling)의 2종류로 대별된다. 유동식 파이프 커플링은 연결되는 두 개의 파이프에 체결된 후 이 파이프들이 진동되거나 열변형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약간 유동될 수 있는 커플링이며, 이에 반하여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은 연결되는 두 개의 파이프에 체결되면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될 수 없는 커플링을 말한다. 파이프를 계속적으로 연결할 때, 상기 고정식 커플링이 주로 사용되며, 파이프의 열변형이나 진동등에 대비하여 유동식 파이프를 설치한다. 대략 5개의 고정식 커플링이 설치된 후 하나의 유동식 커플링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유동식 커플링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동식 파이프 커플링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커플링의 개략적 측면도로서, 파이프 커플링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연결대상인 파이프는 2점 쇄선의 가상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삭제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2점 쇄선의 가상선으로 표현되어 있는 제1파이프(p1)와 제2파이프(p2)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시키고자 하는 제1파이프(p1)와 제2파이프(p2)의 양단부에는 연결부(j)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j)는 파이프들이 상호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파이프 본체에 외경에 대하여 약간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도 2에서 보면 약간의 단차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파이프(p1)에서 단차가 형성된 부분부터 상기 제2파이프(p2)에서 단차가 형성된 부분까지가 상기 연결부(j)를 형성한다.
도 1에는 종래의 유동식 커플링(1a)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어 전체적인 외관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2에는 가상선으로 표시된 제1파이프(p1)와 제2파이프(p2)의 연결부(j)에 결합되어 이 제1파이프(p1)와 제2파이프(p2)를 상호 연결시킨 종래의 유동식 커플링(1a)이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유동식 커플링(1a)은 이 연결부(j)에 결합되어 상기 제1파이프(p1)와 제2파이프(p2)를 상호 연결시킨다. 상기 유동식 커플링(1a)은 제1부재(2)와 제2부재(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부재(2)는 연결부(j)의 상측을 감싸며 배치되고 상기 제2부재(3)는 연결부(j)의 하측을 감싸며 배치된다. 상기 제1부재(2)와 제2부재(3)의 양단부에는 각각 관통공(7,8)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1부재(2)와 제2부재(2)에 형성된 관통공(7,8)에 볼트(7)가 끼워지고 이 볼트(7)에 너트(8)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부재(2)와 제2부재(3)는 상호 결합되어, 상기 제1파이프(p1)와 제2파이프(p2)는 상호 연결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j)의 외주면에는 개스킷(4)이 끼워져 두 파이프(p1,p2)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 유동식 커플링(1a)에서는 제1부재(2)의 단부와 제2부재(3)의 단부가 각각 만나는 결합선은 볼트(5)의 체결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볼트(5)를 체결시에 제1부재(2)와 제2부재(3) 사이에 상호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유동식 커플링(1a)의 길이는 상기 파이프의 연결부(j)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이 유동식 커플링(1a)이 상기 연결부(j)에 설치되면,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유동식 커플링(1a)의 일측과 연결부(j)의 일측 사이 및 유동식 커플링(1a)의 타측과 연결부(j)의 타측 사이에 각각 일정 간격(d)이 형성된다. 따라서, 유동식 커플링(1a)은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을 따라 약간의 유동이 허용된다. 이렇게 유동이 허용됨으로써, 파이프가 진동되거나 열변형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3a와 도 3b에는 종래의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종래의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완전히 결합되기 전 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종래의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종래의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1b)의 모든 구성은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유동식 파이프 커플링(1a)와 동일하다. 다만, 제1부재(2)의 단부와 제2부재(3)의 단부가 만나는 결합선(9b)은 볼트(5)의 체결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볼트(5)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부재(2)와 제2부재(3)가 동일한 직선상에 배치되지만, 볼트(5)를 완전히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부재(2)와 제2부재(3)는 상호 접촉되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2)와 제1부재(2)는 상호 미끄러져 어긋나게 배치된다. 이렇게 상기 제1부재(2)와 제2부재(3)가 어긋나게 배치되면, 상기 제1부재(2)는 상기제2파이프(p2)에 완전히 밀착되고 상기 제2부재(3)는 제1파이프(p1)에 완전히 밀착되어, 상기 고정식 커플링(1b)는 파이프의 연결부(j)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상기 유동식 커플링(1a)과는 달리, 고정식 커플링(1b)은 파이프의 연결부(j)에 고정되어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이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고정식 커플링(1b)은 파이프들 사이의 완고한 결합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동식 커플링(1a)과 고정식 커플링(1b)은 파이프의 연결을 위하여 모두 필요하며, 파이프 설치업을 하는 사용자들은 상기 유동식 커플링(1a)과 고정식 커플링(1b)을 모두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2개의 커플링을 모두 보유하고 있어야 하므로, 사용자들에게는 각각에 대한 재고가 발생하게 되고 재고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2개의 커플링들을 모두 가지고 다니며 파이프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커플링으로 유동식 커플링 및 고정식 커플링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재고관리는 물론 파이프 설치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커프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은, 상호 맞닿아 있는 두 개의 파이프의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상부를 감싸도록 그 내주면이 반원호형으로 형성된 제1부재와,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하부를 감싸도록 그 내주면이 반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의 하측에 배치되어 그 양단부가 상기 제1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2부재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를 밀폐시키도록 이 연결부의 외주면에 끼워져 지지되는 고리형의 개스킷과,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각 일단부는, 일측이 타측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제1경사접촉부와, 상기 제1경사접촉부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이 제1경사접촉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1a접촉부와, 그 길이가 상기 제1a접촉부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1경사접촉부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이 제1경사접촉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1b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각 타단부는, 타측이 일측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며 그 경사각이 상기 제1경사접촉부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형성된 제2경사접촉부와, 상기 제2경사접촉부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이 제2경사접촉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2a접촉부와, 그 길이가 상기 제2a접촉부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2경사접촉부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이 제2경사접촉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b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a접촉부와 제2a접촉부의 길이는 동일하며, 상기 제1b접촉부와 제2b접촉부의 길이는 상호 동일하고, 상기 제1a접촉부가 제1경사접촉부와 이루는 소정 각도 및 제2b접촉부가 제2경사접촉부와 이루는 소정 각도는 상호 동일하며, 상기 제1b접촉부가 제1경사접촉부와 이루는 소정 각도 및 제2a접촉부가 제2경사접촉부와 이루는 소정 각도는 상호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제2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유동결합상태와, 상기 제1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제2부재의 타단부와 일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결합상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a접촉부, 제1b접촉부, 제2a접촉부 및 제2b접촉부는 모두 평행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a접촉부는 상기 제1경사접촉부와 인접한 일측이 타측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1b접촉부는 상기 제1경사접촉부와 인접한 타측이 일측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경사져 있고, 상기 2a접촉부는 상기 제2경사접촉부와 인접한 일측이 타측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2b접촉부는 상기 제2경사접촉부와 인접한 타측이 일측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이 상기 파이프 연결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제1경사접촉부와 제2경사접촉부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은 각각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부재의 양단부로 부터 각각 연장형성되며 그 각각에는 제1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부재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며 그 각각에는 제2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플랜지부와, 상기 제1장공과 제2장공에 함께 끼워지는 한 쌍의 볼트와, 이 볼트에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파이프 커플링이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유동적으로 결합된 유동결합상태에서의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고정되게 결합된 고정결합상태에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100)은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로 이루어진 하우징(10)과 개스킷(60) 및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 커플링(100)은 상호 맞닿아 있는 두 개의 파이프의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제1파이프(p1)와 제2파이프(p2)는 상호 맞닿아 있다. 즉, 상기 제1파이프(p1)의 일단부와 상기 제2파이프(p2)의 타단부는 상호 맞닿아 있으며, 이 제1파이프(p1)와 제2파이프(p2)가 맞닿아 있는 부분에는 연결부(j)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j)는 파이프들이 상호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파이프 본체에 외경에 대하여 약간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도 6에서 보면 약간의 단차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파이프(p1)의 단차가 형성된 부분과 상기 제2파이프(p2)의 단차가 형성된 부분이 합쳐져 상기 파이프 연결부(j)를 형성한다. 이 파이프 연결부(j)의 외주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하우징(10)은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부재(20)는 상기 파이프 연결부(j)의 상부를 감싸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주면은 반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부재(30)는 상기 파이프 연결부(j) 중 상기 제1부재(20)에 의하여 감싸여 지지 않는 부분 즉, 상기 파이프 연결부(j)의 하부를 감싸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부재(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 제1부재(2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부재(20)와 마찬가지로 그 내주면은 반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는 상기 파이프 연결부(j)의 외주면을 각각 절반씩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부재(20)의 양단부와 상기 제2부재(30)의 양단부가 각각 접촉된 상태에서, 이 제1부재(20)와 제2부재(30)에 의하여 형성된 내주면, 즉 하우징(10)의 내주면은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배치되며, 이 하우징 (10)의 내주면은 상기 파이프 연결부(j)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금속소재, 예컨대 강철로 형성된다.
상기 개스킷(60)은 상기 파이프 연결부(j)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과 파이프 연결부(j)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개스킷(60)은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연결부(j)의 외주면에 끼워져 지지된다. 이 개스킷(60)은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가 상호 체결될 때, 상기 파이프 연결부(j)에 밀착되어 이 파이프 연결부(j)를 밀폐하며, 밀폐를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상기 개스킷(60)은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부재(20)의 일단부(28)는 제1경사접촉부(71)와, 제1a접촉부(72)와, 제1b접촉부(7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경사접촉부(71)는 상기 제1부재(20) 일단부(28)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일측 즉, 도 6에서 상기 제1파이프(p1)에 접근된 지점이 타측 즉, 도 6에서 상기 제2파이프(p2)에 접근된 지점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경사접촉부(71)는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30°도의 경사각을 가지며 배치된다. 상기 제1a접촉부(72)는 상기 제1경사접촉부(71)의 일측 끝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부재(20)의 끝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접촉부(71)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a접촉부(72)는 상기 제1경사접촉부(71)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제1a접촉부(72)는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경사접촉부(71)와 30°도의 각도를 이룬다. 또한, 상기 제1b접촉부(73)는 상기 제1경사접촉부(71)의 타측 끝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부재(20)의 끝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접촉부(71)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b접촉부(73)는 상기 제1경사접촉부(71)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제1b접촉부(73)는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경사접촉부(71)와 30°도의 각도 간격을 이룬다. 이에 따라, 상기 제1a접촉부(72)와 제1b접촉부(73)는 상호 단차를 가지며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부재(20)의 타단부(29)는 제2경사접촉부(74)와, 제2a접촉부(75)와 제2b접촉부(7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경사접촉부(74)는 상기 제1부재(20) 타단부(29)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타측이 일측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도 7에서 상기 제1부재(20)는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180도 회전시켜 결합된 상태이므로, 도 6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도 7에서 상기 제1부재(20) 중 제1파이프(p1)에 접근된 지점이 타측이 되며 제2파이프(p2)에 접근된 지점이 일측이 된다. 상기 제2경사접촉부(74)의 경사각은 상기 제1경사접촉부(71)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제2경사접촉부(74)의 경사각은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30°도의 각도를 이룬다. 상기 제2a접촉부(75)는 상기 제2경사접촉부(74)의 일측 끝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부재(20)의 끝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경사접촉부(74)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a접촉부(75)의 길이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 상의 길이는 상기 제1a접촉부(72)의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 상의 길이와 동일하다. 상기 제2a접촉부(75)는 상기 제2경사접촉부(74)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데, 상기 제2a접촉부(75) 가 상기 제2경사접촉부(74)와 이루는 소정 각도 및 상기 제1b접촉부(73)가 제1경사접촉부(71)와 이루는 소정 각도는 상호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제2a접촉부(75)는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경사접촉부(74)와 30°도의 각도 간격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제2b접촉부(76)는 상기 제2경사접촉부(74)의 타측 끝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부재(20)의 끝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경사접촉부(74)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b접촉부(76)의 길이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 상의 길이는 상기 제1b접촉부(73)의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 상의 길이와 동일하다. 상기 제2b접촉부(76)는 상기 제2경사접촉부(74)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데, 상기 제2b접촉부(76)가 상기 제2경사접촉부(74)와 이루는 소정 각도 및 상기 제1a접촉부(72)가 제1경사접촉부(71)와 이루는 소정 각도는 상호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제2b접촉부(76)는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경사접촉부(74)와 30°도의 각도 간격을 이룬다. 이에 따라, 상기 제1a접촉부(72)와 제1b접촉부(73)는 상호 단차를 가지며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부재(30)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각각 상기 제1부재(20)의 일단부 및 타단부와 완전히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부재(3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다.
상기 제2부재(30)의 일단부(38)는 제1경사접촉부(81)와, 제1a접촉부(82)와, 제1b접촉부(8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경사접촉부(81)는 상기 제1부재(30) 일단 부(38)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일측 즉, 도 6에서 상기 제1파이프(p1)에 접근된 지점이 타측 즉, 도 6에서 상기 제2파이프(p2)에 접근된 지점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경사접촉부(81)는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30°도의 경사각을 가지며 배치된다. 상기 제1a접촉부(82)는 상기 제1경사접촉부(81)의 일측 끝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부재(30)의 끝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접촉부(81)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a접촉부(82)는 상기 제1경사접촉부(81)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제1a접촉부(82)는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경사접촉부(81)와 30°도의 각도를 이룬다. 또한, 상기 제1b접촉부(83)는 상기 제1경사접촉부(81)의 타측 끝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부재(30)의 끝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접촉부(81)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b접촉부(83)는 상기 제1경사접촉부(81)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제1b접촉부(83)는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경사접촉부(81)와 30°도의 각도 간격을 이룬다. 이에 따라, 상기 제1a접촉부(82)와 제1b접촉부(83)는 상호 단차를 가지며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부재(30)의 타단부(39)는 제2경사접촉부(84)와, 제2a접촉부(85)와 제2b접촉부(8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경사접촉부(84)는 상기 제2부재(30) 타단부(39)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타측이 일측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2경사접촉부(84)의 경사각은 상기 제1경사접촉부(81)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제2경사접촉부(84)의 경사각은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30°도의 각도를 이룬다. 상기 제2a접촉부(85)는 상기 제2경사접촉부(84)의 일측 끝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부재(30)의 끝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경사접촉부(84)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a접촉부(85)의 길이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 상의 길이는 상기 제1a접촉부(82)의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 상의 길이와 동일하다. 상기 제2a접촉부(85)는 상기 제2경사접촉부(84)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데, 상기 제2a접촉부(85)가 상기 제2경사접촉부(84)와 이루는 소정 각도 및 상기 제1b접촉부(83)가 제1경사접촉부(81)와 이루는 소정 각도는 상호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제2a접촉부(85)는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경사접촉부(84)와 30°도의 각도 간격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제2b접촉부(86)는 상기 제2경사접촉부(84)의 타측 끝지점으로부터 상기 제부재(30)의 끝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경사접촉부(84)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b접촉부(86)의 길이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 상의 길이는 상기 제1b접촉부(83)의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 상의 길이와 동일하다. 상기 제2b접촉부(86)는 상기 제2경사접촉부(84)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데, 상기 제2b접촉부(86)가 상기 제2경사접촉부(84)와 이루는 소정 각도 및 상기 제1a접촉부(82)가 제1경사접촉부(81)와 이루는 소정 각도는 상호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제2b접촉부(86)는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경사접촉부(84)와 30°도의 각도 간격을 이룬다. 이에 따 라, 상기 제1a접촉부(82)와 제1b접촉부(83)는 상호 단차를 가지며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a접촉부(72,82)와 제1b접촉부(73,83)와, 제2a접촉부(75,85) 및 제2b접촉부(76,86)는 모두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의 제1플랜지부(21,22)와, 한 쌍의 제2플랜지부(31,32)와, 한 쌍의 볼트(41,42) 및 한 쌍의 너트(51,52)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제1플랜지부(21,22)는 상기 제1부재(20)의 일단부(28)와 타단부(29)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한 쌍의 제1플랜지부(21,22)에는 각각 제1장공(23,24)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1장공(23,24)은 각각 한 쌍의 제1플랜지부(21,22)의 상면과 하면 사이를 관통하며 형성된다. 또한, 이 제1장공(23,24)은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상의 길이가,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상의 길이와 수직한 방향상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2플랜지부(31,32)는 상기 제2부재(30)의 일단부(38)와 타단부(39)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동일 평면상에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가 파이프 연결부(j)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제2플랜지부(31,32)는 상기 한 쌍의 제1플랜지부(21,22)의 각 하부에 배치된다. 이 한 쌍의 제2플랜지부(31,32)에는 각각 제2장공(33,34)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2장공(33,34)은 각각 한 쌍의 제2플랜지부(31,32)의 상면과 하면 사이를 관통하며 형성된다. 또한, 이 제2장공(33,34)은 상 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상의 길이가,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상의 길이와 수직한 방향상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볼트(41,42)는 상호 일렬로 배치된 상기 제1장공(21)과 제2장공(31)에 함께 끼워지며, 상기 한 쌍의 너트(51,52)는 이 한 쌍의 볼트(41,42)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볼트(41,42)와 너트(51,52)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는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는 완고하게 체결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100)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한 구성으로 된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를 파이프 연결부(j)에 결합시킴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동결합상태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결합상태로 선택적으로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결합상태는 상기 파이프 커플링(100)을 이른바 유동식 파이프 커플링으로 사용하는 상태 즉, 파이프 커플링(100)이 상기 파이프 연결부(j)에 결합되었을 때 이 파이프 커플링(100)이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이 허용되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 고정결합상태는 상기 파이프 커플링(100)을 이른바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으로 사용하는 상태 즉, 파이프 커플링(100)이 상기 파이프 연결부(j)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이 허용되지 않고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말한다.
상기 파이프 커플링(100)을 유동결합상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제1부재(20)의 일단부(28)와 타단부(29)를 각각 상기 제2부재(30)의 일단부(38)와 타단부(39)에 각각 결합시키면 된다. 이렇게 유 동결합상태로 결합시키면, 상기 제1부재(20)의 제1경사접촉부(71)와 제1a접촉부(72)와 제1b접촉부(73)는 각각 상기 제2부재(30)의 제1경사접촉부(81)와 제1a접촉부(82)와 제1b접촉부(83)와 상호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를 결합시킬 때,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의 각 일단부(28,38)에 마련된 플랜지부(21,31)에 형성되어 있는 제1장공(23)과 제2장공(33)에 볼트(41)를 삽입한 후 너트(51)를 체결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의 각 타단부(29,39)에 마련된 플랜지부(22,32)에 형성되어 있는 제1장공(24)과 제2장공(34)에 볼트(42)를 삽입한 후 너트(52)를 체결하면 된다. 이렇게 체결하면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는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개스킷(60)은 파이프 연결부(j)에 압착되어 상기 제1파이프(p1)와 제2파이프(p2) 사이를 밀폐시킨다. 제1부재(20)와 제2부재(30)가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체결되면, 이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는 상호 어긋나지 않고 일렬로 배치된다. 이렇게 일렬로 배치되면,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의 일측과 상기 파이프 연결부(j)의 제1파이프(p1)측 단부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d)이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의 타측과 상기 파이프 연결부(j)의 제2파이프(p2)측 단부 사이에도 약간의 간격(d)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 커플링(100)은 파이프가 열변형 되거나 진동이 발생할 때, 이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을 따라 약간 유동이 허용된다.
반면, 상기 파이프 커플링(100)을 고정결합상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제1부재(20)를 유동결합상태에서 180°회전 시켜서 결합시킨다. 즉, 상기 제1부재(20)의 타단부(29)와 일단부(28)를 각각 상기 제2부재(30)의 일단부(38)와 타단부에 각각 결합시키면 된다. 이렇게 고정결합상태로 결합시키면, 상기 제1부재(20)의 제2경사접촉부(74)와, 제2a접촉부(75)와, 제2b접촉부(76)는 각각 상기 제2부재(30)의 제1경사접촉부(81)와, 제1b접촉부(83)와, 제1a접촉부(82)와 각각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부재(30)의 제1경사접촉부(81)와 제1부재(20)의 제2경사접촉부(74)는 상호 동일한 길이와 각도로 형성되어 완전히 일치하지만, 제2부재(30)의 제1b접촉부(83)는 제1부재(20)의 제2a접촉부(74)에 비하여 그 길이가 길고, 제1부재(20)의 제2b접촉부(76)는 제2부재(30)의 제1a접촉부(72)에 비하여 길이가 길어,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는 상호 어긋나게 결합된다. 이렇게 어긋나게 결합되면, 상기 제1부재(20)의 일측은 상기 파이프 연결부(j)의 제1파이프(p1)측과 완전히 접촉되고, 상기 제2부재(30)의 타측은 상기 파이프 연결부(j)의 제2파이프(p2)측과 완전히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상기 파이프 커플링(100)은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이 허용되지 않고 완고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부재(20)의 타측은 상기 파이프 연결부(j)의 제2파이프(p2)측과 2d 만큼의 간격이 남고, 상기 제2부재(30)의 일측은 상기 파이프 연결부(j)의 제1파이프(p1)측과 2d 만큼의 간격이 남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100)을 유동결합상태와 고정결합상태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커플링(100)으로 두 종류의 커플링을 사용하는 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지금까지, 상기 제1a접촉부(72,82), 제1b접촉부(73,83), 제2a접촉부(75,85) 및 제2b접촉부(76,86)은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이프(p1,p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실시예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유동적으로 결합된 유동결합상태에서의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파이프 커플링이 파이프에 고정되게 결합된 고정결합상태에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상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형태의 실시예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실시예와 그 구성이 모두 동일하며, 단지 상기 제1a접촉부(72,82), 제1b접촉부(73,83), 제2a접촉부(75,85) 및 제2b접촉부(76,86)의 형상만이 상이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의 각 일단부(28,38)에 형성된 제1a접촉부(72a,82a)는 상기 제1경사접촉부(71,81)와 인접한 일측이 타측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상기 제1b접촉부(73a,83a)는 상기 제1경사접촉(71,81)부와 인접한 타측이 일측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의 각 타단부(29,39)에 형성된 제2a접촉부(75a,85a)는 상기 제2경사접촉부(74,84)와 인접한 일측이 타측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상기 제2b접촉부(76a,86a)는 상기 제2경사접촉부(74,84)와 인접한 타측이 일측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시에에서도, 상기 파이프 커플링(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동결합상태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결합상태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에는 유동결합상태와 고정결합상태로 설치할 때, 그 설치방향을 쉽게 식벽할 수 있도록 표시를 해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은 유동식 커플링 및 고정식 커플링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재고관리에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하나의 커플링을 사용함으로써 파이프 설치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상호 맞닿아 있는 두 개의 파이프의 파이프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상부를 감싸도록 그 내주면이 반원호형으로 형성된 제1부재와,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하부를 감싸도록 그 내주면이 반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의 하측에 배치되어 그 양단부가 상기 제1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2부재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파이프 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를 밀폐시키도록 이 연결부의 외주면에 끼워져 지지되는 고리형의 개스킷과,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각 일단부는, 일측이 타측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제1경사접촉부와, 상기 제1경사접촉부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이 제1경사접촉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1a접촉부와, 그 길이가 상기 제1a접촉부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1경사접촉부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이 제1경사접촉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1b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각 타단부는, 타측이 일측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며 그 경사각이 상기 제1경사접촉부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형성된 제2경사접촉부와, 상기 제2경사접촉부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이 제2경사접촉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2a접촉부와, 그 길이가 상기 제2a접촉부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2경사접촉부의 경사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이 제2경사접촉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b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a접촉부와 제2a접촉부의 길이는 동일하며, 상기 제1b접촉부와 제2b접촉부의 길이는 상호 동일하고, 상기 제1a접촉부가 제1경사접촉부와 이루는 소정 각도 및 제2b접촉부가 제2경사접촉부와 이루는 소정 각도는 상호 동일하며, 상기 제1b접촉부가 제1경사접촉부와 이루는 소정 각도 및 제2a접촉부가 제2경사접촉부와 이루는 소정 각도는 상호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제2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유동결합상태와, 상기 제1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제2부재의 타단부와 일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결합상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a접촉부, 제1b접촉부, 제2a접촉부 및 제2b접촉부는 모두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a접촉부는 상기 제1경사접촉부와 인접한 일측이 타측보다 높게 위치 되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1b접촉부는 상기 제1경사접촉부와 인접한 타측이 일측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경사져 있고,
    상기 2a접촉부는 상기 제2경사접촉부와 인접한 일측이 타측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2b접촉부는 상기 제2경사접촉부와 인접한 타측이 일측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파이프 연결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제1경사접촉부와 제2경사접촉부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은 각각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부재의 양단부로 부터 각각 연장형성되며 그 각각에는 제1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부재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며 그 각각에는 제2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플랜지부와, 상기 제1장공과 제2장공에 함께 끼워지는 한 쌍의 볼트와, 이 볼트에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KR1020050042036A 2005-05-19 2005-05-19 파이프 커플링 KR100647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036A KR100647065B1 (ko) 2005-05-19 2005-05-19 파이프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036A KR100647065B1 (ko) 2005-05-19 2005-05-19 파이프 커플링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199U Division KR200391294Y1 (ko) 2005-05-19 2005-05-19 파이프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7065B1 true KR100647065B1 (ko) 2006-11-23

Family

ID=3771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036A KR100647065B1 (ko) 2005-05-19 2005-05-19 파이프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0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8466A (zh) * 2020-12-25 2021-04-09 安徽砼宇特构科技有限公司 一种顶进施工用顶管密封装置
US20220146022A1 (en) * 2020-11-06 2022-05-12 Victaulic Company Coupling Having Rotation Limited Segmen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46022A1 (en) * 2020-11-06 2022-05-12 Victaulic Company Coupling Having Rotation Limited Segments
US11624461B2 (en) * 2020-11-06 2023-04-11 Victaulic Company Coupling having rotation limited segments
CN112628466A (zh) * 2020-12-25 2021-04-09 安徽砼宇特构科技有限公司 一种顶进施工用顶管密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3424B2 (ja) 角度を有して配向されるキー表面を有している結合器
JP2011208801A (ja) 継手要素及びその組立方法
KR20180131215A (ko) 그루브드 커플러
KR101915492B1 (ko) 무용접 조립식 배관 플랜지 연결구
KR100647065B1 (ko) 파이프 커플링
KR200391294Y1 (ko) 파이프 커플링
CN113154155A (zh) 一种用于管道连接的防滑连接器
JP2017219054A (ja) 結合ホース
KR100954610B1 (ko)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
JP2976339B1 (ja) 真空用配管の継手構造
JP2002310350A (ja) 管継ぎ手
JPH08152082A (ja) 管接続装置
JP2573880Y2 (ja) ビクトリック型管継手
JP2945374B1 (ja) パイプ接合部用ガスケット
JP5296653B2 (ja) パッキン及びパッキンの装着方法
TWI703291B (zh) 波紋管裝置
JP2008082494A (ja) 管継手及びパッキン
KR100744696B1 (ko) 관이음 압착장치
JP4882827B2 (ja) 配管の継手構造
JP6739394B2 (ja) 分岐用管継手
KR100548499B1 (ko) 나선관용 이음구
KR200302176Y1 (ko) 나선관용 이음구
JP2005504221A (ja) エンジン用の排気ユニット
KR101703720B1 (ko) 이탈방지용 삽입형 링조인트 배관
KR20140126541A (ko) 유체 이송관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