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176Y1 - 나선관용 이음구 - Google Patents
나선관용 이음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2176Y1 KR200302176Y1 KR20-2002-0030693U KR20020030693U KR200302176Y1 KR 200302176 Y1 KR200302176 Y1 KR 200302176Y1 KR 20020030693 U KR20020030693 U KR 20020030693U KR 200302176 Y1 KR200302176 Y1 KR 2003021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int
- spherical
- spiral tube
- spherical part
- spir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나선관을 실링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이음구는, 내측면에는 나선관의 외형에 대응하는 나선형홈이 형성된 본체(12,22)와, 상기 본체의 외측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6,26)를 각각 구비하는 이음구상부(10) 및 이음구하부(20)로 구성되고; 상기 이음구상부 및 이음구하부는 결합되면 링형상으로 형성되도록 반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음구상부와 이음구하부의 접촉면(19,29)에는 결합핀(P)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2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체(12,22)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홈(14,24) 성형되고, 상기 홈에는, 체결밴드(3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이음구상부와 이음구하부의 접촉면(19,29) 사이에 패킹이 개재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나선관을 연결하기 위한 이음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선관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할 때 편리하면서도 패킹을 보다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나선관의 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나선관(1)은, 높은 외압강도 및 내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각종 생활 오수 등의 배출을 안내하는 용도로 흄관을 대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나선관(1)은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이음구(101)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이음구(101)는, 내부에 나선형홈이 형성되어 나선관(1)과 형합할 수 있는 링형상의 본체부분의 외측의 방사상으로 연장 성형된 플랜지부(102)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음구(101)는, 양측의 나선관(1)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 복수개의 볼트(103) 및 너트(104)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양측의 나선관(1)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이 때 상기 한쌍의 이음구(101) 사이에는, 밀폐링(105)이 사용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이음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이음구(101)는 링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나선관의 형상에 대응하는 나선형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음구(101)를 나선관(1)의 단부에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이음구(101) 전체를 나선관(1)의 단부에 삽입해야 하는데, 나선관(1)의 나선형 외관이 이음구(101)의 내측면의 나선형홈에 형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음구(101)를 전체적으로 회전시키면서 결합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나선관(1) 및 이음구(101)가 대형인 경우에는, 이와 같이 이음구(101)를 나선관(1)의 단부에 삽입하는 과정이 매우 힘들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나선관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이음구를, 나선관의 단부에 보다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본 고안의 이음구에 대한 작업성의 개선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함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나선관의 연결부분의 밀폐를 더욱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나선관용 이음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나선관의 이음구조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이음구의 분해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음구의 분해 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음구상부 12, 22 ..... 본체
14, 24 ..... 홈 16, 26 ..... 플랜지부
19, 29 ..... 접촉면 20 ..... 이음구하부
28 ..... 결합공 30 ..... 체결밴드
40 ..... 패킹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나선관 이음구는, 내측면에는 나선관의 외형에 대응하는 나선형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각각 구비하는 이음구상부 및 이음구하부로 구성되고; 상기 이음구상부 및 이음구하부는 결합되면 링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원호상으로 형성되며; 이음구상부와 이음구하부의 접촉면에는 결합핀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음구상부와 이음구하부는, 반링형상으로 성형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성형되는 홈과, 상기 홈에 결합되고 열린단부가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는 체결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음구상부와 이음구하부의 접촉면 사이에개재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이음구의 분해 상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음구는, 반링형상을 가지는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이음구상부(10)는, 반원통상의 본체(12)와, 상기 본체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성형된 플랜지부(1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음구하부(20)도, 반원통상의 본체(22)와, 상기 본체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성형된 플랜지부(2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의 본체(12,22)의 내주연에는, 나선관의 외형에 대응하는 나선형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나선관의 외측에 이음구(10,20)가 결합되면 서로 밀착됨과 동시에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의 본체(12,22) 외주연에는, 띠형상의 홈(14,24)이 각각 성형되어 있다. 상기 홈(14,24)은, 후술하는 체결밴드(30)가 삽입되어,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를 완전하게 체결된 상태로 결합하기 위하여 성형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이음구상부(10) 및 이음구하부(20)의 접촉면(19,29)에는, 복수개의 결합공(28)이 형성되어 있다. 이음구상부(10)의 접촉면(19)에 형성된 결합공은 도시되어 있지 않고 있으나, 이음구상부(10) 및 이음구하부(20)에 동시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28)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28)에는, 결합핀(P)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즉, 이음구하부(20)의 접촉면(29)에 성형된 결합공(28)에 상기 복수개의 핀(P)이 삽입되고,이러한 상태에서 이음구상부(10)의 접촉면(19)이 이음구하부(20)의 접촉면(29)과 접촉하면서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되면, 이음구상부(10)의 접촉면(19)에 성형된 결합공에는, 상기 결합핀(P)이 삽입되면서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가 서로 결합된다. 즉, 상기 결합핀(P)을 이용하여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가 결합되면, 링형상의 이음구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이음구상부(10) 및 이음구하부(20)의 결합은, 실질적으로 나선관의 단부에서 직접 결합된다. 즉, 종래의 링형상 이음구가 나선관의 단부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이음구를 나선형 외관을 따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나선관의 단부에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가 직접 결합되기 때문에, 이들을 회전시키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를, 나선관의 단부에 결합시킬 때, 상기 이음구상부(10) 및 이음구하부(20)의 내측면에, 실링제를 일정 두께로 도포한 상태에서 결합함으로써, 결합부분의 실링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상기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의 각 접촉면(19,29) 사이의 실링성을 더욱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한 탄성변형력을 가지는 소재, 예를 들면 고무 또는 압축스폰지 등으로 형성되는 패킹(4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패킹(40)은, 상기 접촉면(19,29) 사이에 삽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각각의 접촉면(19,29)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고 있으며, 상기 결합핀(P)이 관통될 수 있는 구멍(42)도 성형되어 있다. 상기 패킹(40)을 개재한 상태로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를 결합함으로써,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의 홈(14,24)은 링형상으로 연속된다. 이러한 링형상의 홈(14,24)에는, 체결밴드(30)가 체결된다. 상기 체결밴드(30)는 금속제로 형성되어, 상기 홈(14,24)에 삽입된 상태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밴드(30)의 열린단부(32)를, 볼트 및 너트(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조임으로써,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는 완전히 체결되어 임의로 분리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물론 상기 체결밴드(30)를 이용하여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를 체결하는 상태는, 상기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가 나선관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밴드(30)를 이용하여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를 결합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나선관의 단부에 이음구(10,20)를 완전하게 고정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단부가 인접하는 한쌍의 나선관에, 이음구상부(10)와 이음구하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한쌍의 이음구(A,B)가 결합되어야 실질적으로 인접하는 나선관이 서로 결합하는 상태로 된다.
상기 이음구(A,B)의 결합은, 플랜지부(16,26)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종래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16,26)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직접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양자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음구(A,B) 사이에서 내용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는 고무재 등으로 만들어지는 패킹링(Pr)을 개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패킹링(Pr)은, 예들 들면, 일측면에 박리지에 의하여 덮혀 있는 접착제층을 형성하여 둠으로써, 어느 일측의 이음구(A 또는 B)에 접착된 상태에서, 다른 일측의 이음구와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도 3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본 실시예를 보인 도 3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이음구상부(10)를 두개의 이음구상부(10a,10b)로 구분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음구하부(20)를 두개의 이음구하부(20a,20b)로 구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음구를 4개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렇게 분할되는 각각의 이음구상부 및 이음구하부(10a,10b,20a,20b)는, 각각 핀(P)에 의하여 결합됨과 동시에, 체결밴드(30)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하다.
그리고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음구를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분할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각각의 이음구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을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동일한 형상의 이음구(10a,10b,20a,20b)는, 하나의 금형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때문에, 금형의 제조 경비 측면에서 보다 유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이음구를 이음구상부와 이음구하부로 구성하고, 결합핀 및 체결밴드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서는, 이음구상부와 이음구하부는 링형상에서 거의 동일하게 이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러한 이음구상부와 이음구하부의 원호 길이에 의하여 한정될 수는 없음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이음구를 나선관의 단부에 체결상태로 고정하는 과정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손쉽게 진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음구상부 및 이음구하부, 그리고 접촉하는 이음구(A,B) 사이의 각부분에서의 실링도 충분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5)
- 내측면에는 나선관의 외형에 대응하는 나선형홈이 형성된 본체(12,22)와, 상기 본체의 외측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6,26)를 각각 구비하고, 결합되면 링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이음구(10,20,10a,10b,20a,20b)로 구성되고; 상기 이음구상부 및 이음구하부는 결합되면 링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원호상으로 형성되며; 이음구상부와 이음구하부의 접촉면(19,29)에는 결합핀(P)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28)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이음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구는, 반링형상의 이음구상부와 이음구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이음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구는, 동일한 형상의 4개의 이음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이음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2,22)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성형되는 홈(14,24)과, 상기 홈에 결합되고 열린단부(32)가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는 체결밴드(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나선관 이음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구상부와 이음구하부의 접촉면(19,29)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나선관 이음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0693U KR200302176Y1 (ko) | 2002-10-15 | 2002-10-15 | 나선관용 이음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0693U KR200302176Y1 (ko) | 2002-10-15 | 2002-10-15 | 나선관용 이음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62285A Division KR100548499B1 (ko) | 2002-10-12 | 2002-10-12 | 나선관용 이음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2176Y1 true KR200302176Y1 (ko) | 2003-01-30 |
Family
ID=4933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30693U KR200302176Y1 (ko) | 2002-10-15 | 2002-10-15 | 나선관용 이음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2176Y1 (ko) |
-
2002
- 2002-10-15 KR KR20-2002-0030693U patent/KR20030217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32160B2 (en) | Pipe clamp inner seal | |
KR200302176Y1 (ko) | 나선관용 이음구 | |
CA2458710C (en) | Improved pipe clamp inner seal | |
KR100548499B1 (ko) | 나선관용 이음구 | |
KR20030010129A (ko) | 관 연결구의 결합장치 | |
KR200302177Y1 (ko) | 나선관용 이음구 연결장치 | |
KR100597262B1 (ko) | 나선관용 이음구 연결장치 | |
KR100647065B1 (ko) | 파이프 커플링 | |
KR200390480Y1 (ko) | 앵글이 부가된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 |
KR200368081Y1 (ko) | 분기관 연결구조 | |
KR100453386B1 (ko) |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 |
KR200391294Y1 (ko) | 파이프 커플링 | |
JP6164762B1 (ja) | 配管接続構造 | |
WO2002046655A1 (en) | Pipe joint | |
KR200416930Y1 (ko) | 조립식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 |
KR200184491Y1 (ko) | 관 연결구 | |
KR200363157Y1 (ko) | 유리 섬유강화플라스틱 관체의 이음구조 | |
KR20140068406A (ko) | 관 연결구 | |
KR100574192B1 (ko) |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 | |
KR100318009B1 (ko) | 배관용 연결 소켓링 | |
KR100213407B1 (ko) | 관 이음구 | |
JPH0251789U (ko) | ||
KR100516801B1 (ko) | 합성수지 관체의 플랜지 연결구조 | |
KR100297115B1 (ko) | 배관이음용커플링 | |
KR200357231Y1 (ko) |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215 Year of fee payment: 4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