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231Y1 -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 - Google Patents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231Y1
KR200357231Y1 KR20-2004-0012102U KR20040012102U KR200357231Y1 KR 200357231 Y1 KR200357231 Y1 KR 200357231Y1 KR 20040012102 U KR20040012102 U KR 20040012102U KR 200357231 Y1 KR200357231 Y1 KR 200357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on
swivel
screw
spherical surface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구
Original Assignee
한창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구 filed Critical 한창구
Priority to KR20-2004-0012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2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2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16L19/021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comprising only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23Universal and rotating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회전되는 스위블에 의해 직선상으로 접속되지 않는 관들을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고, 접속된 관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파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기밀성이 계속 유지되며, 또한 이음 후에 관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도 교체 없이 반복 사용할 수 있는 관접속에 사용되는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관체의 일측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볼록구면이 타측에 형성된 유니언나사와; 일측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의 볼록구면과 동일한 회전중심을 가져 면접촉되는 오목구면이 타측에 형성된 스위블과; 상기 유니언나사의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볼록구면과 오목구면를 면접시켜 체결하는 가압플랜지가 타측에 형성된 유니언너트로 구성된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A swivel type union}
본 고안은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회전되는 스위블에 의해 직선상으로 접속되지 않는 관들을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고, 접속된 관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파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기밀성이 계속 유지되며, 또한 이음 후에 관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도 교체 없이 반복 사용할 수 있는 관접속에 사용되는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에 관한 것이다.
일정 길이의 관을 길게 접속시키기 위하여 그 접속부에 유니언이라는 이음쇠가 사용된다. 통상의 유니언은 두개의 연결관과 하나의 유니언너트로 구성되는데, 연결관에는 접속되는 관에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되고, 특히 어느 하나의 연결관의 외측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니언너트에는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다른 연결관을 가압하는 가압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밀을 위하여 두개의 연결관의 맞닿는 단부에 실링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접속하고자 하는 양측의 관들은 그 각각의 연결관에 나사체결되고, 유니언너트가 두개의 연결관을 가압하여 실링으로 기밀시키면서 접속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니언은 직선으로 접속되는 관의 접속에만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약간의 각도를 가지면서 접속되는 관의 이음에는 외력을 가하여 관을 구부리던가 유니언에 외력을 가하여 일정각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유니언너트의 파손은 물론이고 내부의 실링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가 없어 곧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처음 접속시에는 직선상으로 접속되더라도 관의 변형이나 관이 설치된 구조물의 변형에 따라 접속부분에도 변형이 나타나는 경우는 파손되거나 누수가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미 설치된 관의 위치를 바꾸고자 하는 경우는 설치된 유니언을 재사용할 수 없어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좁은 장소에서 다양한 각도로 접속되는 관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관을 휘게 하거나 유니언에 외력을 주어 억지로 이음하는 작업은 매우 불편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일정 각을 가지면서 관이 접속되더라도 체결이 가능하고, 접속 후 관의 변형이 있더라도 충분히 기밀이 유지되고 파손이 방지되며, 좁은 장소에서의 작업이 용이하고, 이음된 관을 교체하거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계속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니언나사와 스위블의 접속 구조를 같은 회전중심을 가지면서 면접되는 볼록구면과 오목구면으로 함으로써 스위블이 기밀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각도로 회전되는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직선 이음시의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각도 이음시의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볼록구면 2 : 유니언나사
3 : 오목구면 4 : 스위블
5 : 가압플랜지 6 : 유니언너트
7 : 삽입홈 8 : 실링
9 : 관
100 : 유니언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100)은 외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관체의 일측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볼록구면(1)이 타측에 형성된 유니언나사(2)와; 일측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의 볼록구면(1)과 동일한 회전중심을 가져 면접촉되는 오목구면(3)이 타측에 형성된 스위블(4)과; 상기 유니언나사(2)의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볼록구면(1)과 오목구면(3)를 면접시켜 체결하는 가압플랜지(5)가 타측에 형성된 유니언너트(6)로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니언나사(2)에 형성된 볼록구면(1)에는 삽입홈(7)이 환설되고, 상기 삽입홈(7)에 금속, 플라스틱, 고무, 실리콘, 테프론 등의 재질로 된 오링(O-ring) 형상의 실링(8)이 설치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9는 본 고안의 유니언(100)에 의해 접속되는 관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스위블(4)이 기밀을 이루면서 일정 각도로 회전됨에 큰 특징이 있고, 이는 접속하고자 하는 관(9)들의 위치가 일직선 상에 있지 않더라도 가능함을 뜻한다.
상기의 특징을 가진 본 고안은 도 1에 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와 도 3에 그 사용 상태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접속시키고자 하는 관(9)의 위치가 일직선 상에 놓여 있는 경우는 도 2와 같은 상태가 되는데, 양측의 관(9)은 각각 유니언나사(2)와 스위블(4)에 형성된 암나사에 체결된다. 그리고 유니언너트(6)의 가압플랜지(5)가 스위블(4)의 오목구면(3)의 반대편을 가압하면서 유니언나사(2)의 수나사에 체결된다.
따라서 유니언너트(6)를 회전시켜 조이게 되면 가압플랜지(5)는 스위블(4)을 가압하고, 스위블(4)의 오목구면(3)은 유니언나사(2)에 형성된 볼록구면(1)에 면접하게 된다.
상기의 오목구면(3)과 볼록구면(1)은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있어, 면접되면 동일한 회전중심을 가지게 되고, 오목구면(3)과 볼록구면(1)이 압착되어 면접촉되게 되면 완벽한 기밀이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의 볼록구면(1)에 삽입홈(7)을 환설시키고 이에 실링(8)을 삽입하여 기밀성을 더욱 더 증대시킬 수도 있다. 상기의 실링(8)은 고무, 플라스틱, 황동 등의 금속, 실리콘, 테프론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양측 두개의 관(9)을 이음한 본 고안의 유니언(100)은 볼록구면(1)과 오목구면(3)의 면접촉과 실링(8)에 의해 기밀성이 이루어지고, 상기와 같은 구면 접촉 구조에 의해 스위블(4)이 회전되더라도 기밀성은 그대로 유지됨에 큰 특징이 있다.
따라서, 처음에는 일직선으로 두개의 관(9)이 접속되더라도 관(9)의 변형이나 관(9)이 설치된 구조물의 변형에 의하여 관(9)과 관(9)은 일직선에서 벗어나 일정 각도를 가지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본 고안의 스위블(4)이 변형되는 각도를 따라 함께 회전되어 기밀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유니언(100)의 구성품에 파손 등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관(9)을 교체하거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유니언(100)의 교체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좁은 장소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도 간단하고 작은 힘으로 스위블(4)만을 회전시키면 다양한 각도로 접속되는 관(9)을 이음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향상된다.
이에 비하여 종래의 경우에는 일직선상의 관(9)의 접속만 가능하였고, 약간의 각을 가지고 접속되는 경우에도 유니언(100)을 바로 체결할 수 없어서 강제로 체결시키거나 관(9)에 열을 가하여 휘거나 하는 편법이 사용되었고, 특히 좁은 장소에서는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경우는 그 기밀성이 오래가지 못하고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그리고 접속된 관(9)이 변형되어 일정각을 가지거나, 일정각으로 접속되는 관(9)을 연결하는 유니언(100)의 경우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오목구면(3)과 볼록구면(1)이 면접하는 범위에서의 스위블(4)의 회전이 가능하고 이 범위에 있어서는 기밀성이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접속된 관(9)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종래의 유니언(100)은 재사용이 불가 하였으나, 본 고안은 스위블(4)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그대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회전중심이 동일한 오목구면(3)과 볼록구면(1)의 접촉으로 스위블(4)이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회전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일정 각도를 가지면서 관(9)이 접속되더라도 체결이 가능하고, 접속 후 관(9)의 변형이 있더라도 충분히 기밀이 유지되고 파손이 방지되며, 좁은 장소에서의 작업이 용이하고, 이음된 관(9)을 교체하거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계속 재사용할 수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외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관체의 일측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볼록구면(1)이 타측에 형성된 유니언나사(2)와; 일측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의 볼록구면(1)과 동일한 회전중심을 가져 면접촉되는 오목구면(3)이 타측에 형성된 스위블(4)과; 상기 유니언나사(2)의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볼록구면(1)과 오목구면(3)를 면접시켜 체결하는 가압플랜지(5)가 타측에 형성된 유니언너트(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
  2. 제 1항에 있어서, 볼록구면(1)에 삽입홈(7)이 환설되고, 상기 삽입홈(7)에 실링(8)이 설치된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
KR20-2004-0012102U 2004-04-30 2004-04-30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 KR200357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102U KR200357231Y1 (ko) 2004-04-30 2004-04-30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102U KR200357231Y1 (ko) 2004-04-30 2004-04-30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320A Division KR100574192B1 (ko) 2004-04-30 2004-04-30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231Y1 true KR200357231Y1 (ko) 2004-07-23

Family

ID=4934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102U KR200357231Y1 (ko) 2004-04-30 2004-04-30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2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12490A1 (en) * 2019-07-11 2022-12-29 Lam Research Corporation Sealing interface to adjust radial and angular offs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12490A1 (en) * 2019-07-11 2022-12-29 Lam Research Corporation Sealing interface to adjust radial and angular offset
US11920708B2 (en) * 2019-07-11 2024-03-05 Lam Research Corporation Sealing interface to adjust radial and angular offs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6586B2 (en) Double-pipe joint
CN102612620B (zh) 螺旋型柔性管连接器
JPH086848B2 (ja) 管継手の結合系
WO2015019623A1 (ja) 高圧パイプ用継手および継手構造
KR200357231Y1 (ko)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
KR100574192B1 (ko)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
US20140110934A1 (en) Fluid-tight flexural joint
KR101999928B1 (ko) 벤딩이 용이한 배관 압착 연결관
JP5030493B2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US4796927A (en) Mobile joint for connectors
EA013935B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непроницаемая для жидкости манжета
KR20080075619A (ko) 길이 가변형 관 이음 부재
JP2003021282A (ja) 曲管継手
CN219796431U (zh) 一种管路接头装置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100313235B1 (ko)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CN219159768U (zh) 一种双密封凹槽式管件
JPS62118185A (ja) 継手金具
JPH10196867A (ja) チューブ用継手
KR200196300Y1 (ko) 음료냉각기의 콕크연결부
WO2017135178A1 (ja) 配管接続構造
JP3523112B2 (ja) 石英製ハウジングを有する流体機器の樹脂管接続継手
KR200296562Y1 (ko) 가변 이음관
JP2006200617A (ja) 二重管継手
KR200363157Y1 (ko) 유리 섬유강화플라스틱 관체의 이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