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374B1 -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374B1
KR100646374B1 KR1020050087888A KR20050087888A KR100646374B1 KR 100646374 B1 KR100646374 B1 KR 100646374B1 KR 1020050087888 A KR1020050087888 A KR 1020050087888A KR 20050087888 A KR20050087888 A KR 20050087888A KR 100646374 B1 KR100646374 B1 KR 100646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진
오영
최승만
김성국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광확산판은 스티렌계 수지를 기본 베이스로 하고 있으며, 그 구체적인 구성은 스티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1 광확산제로서 실록산계 가교입자 0.1~10중량부, 제2 광확산제로서 메타아크릴계 수지 0.01~20중량부로 이루어진 기재층, 및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되며, 메타아크릴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계 광확산제 0.1~30중량부, 대전방지제 0.001~10중량부, 자외선 흡수제 0.02~2중량부로 이루어진 도포층을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유닛, 광확산판, 스티렌계 수지, 광확산제, 대전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Light diffuser plate for LCD back light unit}
도 1은 직하방식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기재층 210: 도포층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타크릴산 메틸계 수지가 아닌 스티렌계 수지를 이용하여 다층으로 광확산판을 제조하여 휨 및 내후성이 개선된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은 에지 방식과 직하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직하방식은 LCD TV와 같은 대면적을 요하는 곳에 주로 사용된다.
도 1은 직하방식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하방식 백라이트 유닛은 빛을 발생시키는 형광램프(100), 발생된 빛을 패널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반사시켜주는 반사판(110) 및 광확산판(12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10)을 직하형이라고 하는 이유는 백라이트 유닛(10)의 측면에 형광램프가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면에 수직하는 위치에 형광램프(100)가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직하방식 백라이트 유닛(10)에는 광확산판(120)이 존재하게 되는데 광확산판(120)은 형광램프(100)에서 발생한 빛을 산란(scattering)시켜 빛을 패널 전체에 있어서 균일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광확산판(120)은 주로 메타크릴계 수지(Methacrylate)에 광투과성과 광확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탄산칼슘,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유리, 활석, 운모, 화이트카본,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과 같은 무기물 미립자로된 광확산제를 첨가하여 제조된다.
광확산제는 직사광선이나 형광등에서 발생된 빛을 높은 투과율로 투과시키는 광투과 효과와 광원이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을 정도의 은폐력과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메타크릴계 수지를 베이스로 압출성형을 통해 광확산판을 제조하게 되면 압출성형시 냉각조건에 따라 변형이 심하여 제조 공정상에 어려움이 있으며,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과 같은 광원장치에 적용될 경우 광원의 점등과 소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온도 변화와 수분 흡수에 의해 쉽게 광확산판의 휨(warpage) 또는 주름(wrinkle)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메타크릴계 수지는 고분자 수지중에서 비교적 고가에 속하는 것으로 제조 단가가 비싸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메타크릴계 수지 대신 스티렌계 수지를 사용하여 광투과성 및 광산란성이 우수하고 휨 및 내후성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도 낮은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은 스티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1 광확산제로서 실록산계 가교입자 0.1~10중량부, 제2 광확산제로서 메타아크릴계 수지 0.01~20중량부로 이루어진 기재층, 및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되며, 메타아크릴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계 광확산제 0.1~30중량부, 대전방지제 0.001 내지 10중량부, 자외선 흡수제 0.02~2중량부로 이루어진 도포층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에서 층과 막 또는 영역들의 크기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기술된 것이며, 어떤 막 또는 층이 다른 막 또는 층의 "상에" 형성된다라고 기재된 경우, 상기 어떤 막 또는 층이 상기 다른 막 또는 층의 위에 직접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다른 막 또는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b는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20, 21)은 기재층(200)과 도포층(210)을 포함한다.
다만, 기재층(200)과 도포층(210)을 각각 적어도 한층 이상씩 양층 모두를 포함하고 있으면 본 발명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도 2a와 같이 기재층(200)의 양측면에 도포층(210)을 결합시킬 수도 있고, 도 2b와 같이 기재층(200)과 도포층(210)을 1:1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a 또는 도 2b에 도시된 광확산판(20, 21)을 필요에 따라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기재층(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판(20,21)이 실제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될때 지지층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티렌계 수지를 기본베이스로 광확산제가 전반에 걸쳐서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지니고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100~1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수지는 순수한 폴리스티렌일 수도 있지만, 클로로스티렌, 브로모스티렌과 같이 폴리스티렌의 벤젠고리 작용기 중 하나가 할로겐 원소로 치환되어 있거나, 비닐톨루엔, α-메틸 스티렌과 같이 벤젠고리 작용기 중 하나가 알킬족으로 치환되어 있는 물질일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스티렌계 수지는 상기 스티렌 단량체 50중량% 이상 및 이 것과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 50중량% 이하로 되는 공중합체도 가능하다.
기재층(200)을 구성하는 물질 중 광확산제는 실록산계 가교입자로 된 제1 광확산제와 메타아크릴계 수지로 된 제2 광확산제를 포함한다.
제1 광확산제로서 실록산계 가교입자는 상온에서 고체인 실리콘계 수지입자로서 가교 밀도가 낮고 유연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 및 가교 밀도가 높고 경질인 실리콘 수지를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폴리디메틸 실록산, 폴리디에틸 실록산 등의 폴리디알킬 실록산 수지, 말단기에 에폭시가 있는 실록산 등의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실리콘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실록산계 가교 입자는 내후성(weather resistance)이 우수하기 때문에, 최종 수지 조성물을 장시간 빛에 노출시켜도 노출된 부분이 노랗게 변하는 황변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실록산계 광확산제는 굴절율이 1.40~1.42로 다른 유기계 가교입자보다 낮아서 소량만 첨가하여도 다른 광확산제와 동등한 수준의 광확산성과 광투과율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광확산제로서 실록산계 가교입자는 평균 입경이 1~20㎛인 구상의 가교 미립자로서, 첨가량은 스티렌계 수지를 100중량부로 하였을때 0.1~10중량부를 첨가한다.
상기와 같은 첨가량과 입자크기를 가져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평균 입경이 0.1㎛보다 작으면 광원의 은폐성이 저하되고, 평균입경이 20㎛보다 크면 적당한 광확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과량의 광확산제를 첨가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실록산계 광확산제의 첨가량이 0.1중량부보다 작으면 최종 수지 조성물의 광확산성이 충분하지 않아 램프가 보이거나 빛의 확산을 기대하기 어렵고, 사용량이 10중량부보다 많으면 광투과성이 너무 떨어져 휘도(brightness)의 감소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제2 광확산제로서 메타아크릴계 광확산제는 스티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 여 0.01~2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균입자크기는 0.1~2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첨가량과 입자크기를 가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메타아크릴계 광확산제를 스티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빛의 산란도가 감소하여 광원 자체가 비쳐 보이는 현상, 즉 광원 은폐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광확산제를 스티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보다 많이 사용하면, 광선 투과율이 감소하게 되어 투명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광확산제의 평균 입자크기가 0.1㎛ 미만이면, 광원의 은폐성 및 광산란성이 떨어지며, 20㎛보다 크면 광투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포층(210)은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되어 있으며, 광확산판이 가져야하는 기능, 예컨대 대전방지기능, 자외선 차단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기능층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포층(210)은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기본 베이스로 하여 아크릴계 광확산제, 대전방지제, 자외선 흡수제가 메타아크릴계 수지 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도포층의 두께는 10~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브틸, 메타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 페닐, 메타크릴산 벤질, 메타크릴산 2-에틸 헥실,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과 같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브틸, 아크릴산 시클로 헥실, 아크릴산 페닐, 아크릴산 벤질, 아크릴산 2-에틸 헥실, 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과 같은 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메타크릴산, 아크릴산과 같은 불포화 산류;스티렌, α-메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무수 말렌산, 페닐 말레 아미드, 시클로 헥실 말레이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메타크릴산 메틸계 수지에는 무물 글루탄산 단위나 굴루타르이미드 단위가 포함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판의 표면에 흰색이나 불규칙한 형상의 표면을 갖는 무광 등으 촉감을 조절하고 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광투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아크릴계 광확산제를 사용한다. 아크릴계 광확산제 입자의 평균직경은 1~50㎛이며, 굴절율은 약 1.46~1.55의 범위를 가지고 있다.
아크릴계 광확산제의 첨가량은 메타크릴산 메틸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30중량부가 되도록 하여준다.
대전방지제를 첨가하는 이유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그 표면 고유저항이 높이 정전기에 대전되기 쉽기 때문에, 이로 인해 먼지등이 부착되어 광확산판의 미관이 저하되고 조명효율이 떨어져 결국 램프의 색깔이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전방지제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로는 폴리에테르이미드아미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폴리알킬렌글리콜, 도데실 벤젠술폰산 알칼리 금속, 3차아민, 4차암모늄 소금, 알킬 아민계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대전방지제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10중량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0.005~5중량부 사용된다.
자외선 흡수제는 광원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250~800nm 범위의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한데, 특별히 그 극대 흡수 파장이 250~320nm의 범위에 있는 것이 확산판의 내광성을 향상시키고, 자외선 흡수에 의한 확산판의 착색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벤조페논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사리치레토계, 니켈착염계의 자외선 흡수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메타아크릴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중량부보다 작으면 광확산판의 내광성이 충분하지 않으며, 2중량부보다 많으면 광확산판의 표면에 흡수제가 브리딩되어 광확산판의 외관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판(20, 21)에는 광확산판의 고유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첨가제로는 힌더스 아민계 광안정제, 수지의 열화에 의한 황변현상 때문에 발생하는 외관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블로잉제, 기타 가소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활제, 난연제, 충전재, 이형제, 염료, 안료, 향균제, 적하 방지제 및 핵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원료를 혼합하여 구체적으로 사용되는 광확산판의 용도에 따라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열프레스성형, 공압출성형과 같은 열가소성수지를 성형하는 방법이 모두 사 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이 광투과율, 광산란율, 휨량, 황변현상에 있어서 우수하다는 것을 구체적인 실험예들을 들어 설명한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 실험예 1>
기재층은 스티렌계 수지(Cheil Industries Co., HR2390) 100중량부에 제1 광확산제로서 평균입경이 6㎛인 실록산 가교입자(GE 도시바 실리콘, 2000B) 1중량부, 제2 광확산제로서 평균입경이 8㎛인 메타아크릴계 가교입자(Ganz, GM-O806S) 0.3중량부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도포층은 메타크릴산 메틸계 수지 100 중량부(Denka Co. TX-600XL)에 평균입경이 8㎛인 아크릴계 가교입자(Ganz, GSM-0854S) 3중량부, 대전방지제(Ciba, Atmer163) 0.5중량부, 자외선 흡수제(Ciba Tinuvin329) 0.2중량부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각각의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한 후, 피드 블록 다이에 공급하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층의 양면에 도포층이 적층되도록 도포층/기재층/도포층 적층물을 100㎛/1800㎛/100㎛ 두께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 실험예 2>
상기 실험예 1에 있어서 기재층을 제조함에 있어서 제1 광확산제로서 실록산계 가교입자를 2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다.
< 비교예 1>
기재층을 형성하는 베이스물질이 스티렌계 수지가 아니라 메타크릴산 수지(Mitsubishi Rayon Co., VH)를 사용한 것과 도포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하다.
<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에 있어서 기재층을 제조함에 있어서 제1 광확산제로서 실록산계 가교입자를 2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다.
상기 실험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성형품의 휨변화량은 2mm×300mm×400mm 샘플을 제작한 후 60℃, 75%의 조건에서 96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샘플을 정반위에 올려 놓고 휨(warpage)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성형품의 내광성은 ATLAS-UVCON을 이용하여, 6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한 후, YI(Yellow Index) 변화량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52710004-pat0000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외선 흡수제 첨가를 제외한 동일조건에서 광확산제 첨가량 변화를 주었을 때, 실험예 1~2가 비교예 1~2에 비하여 광투과율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험예 1~2에서 저가의 스티렌계 수지를 사용한 광확산판이 메타크릴산 메틸계 수지를 기초수지로 사용한 것보다 소량의 광확산제 첨가만으로 적절한 광투과율과 광산란율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험예 1~2가 비교예 1~2에 비하여 휨변화량은 적고 내광성 변화량 또한 스티렌계 수지를 기초수지로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동등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하나 또는 그 이상 존재한다.
첫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시에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고온의 열과 수분 흡수에 대한 휨 변화량이 작다.
둘째,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로 광산란성, 광투과성이 향상되어 광안정성이 증가하게 된다.
셋째, 대전방지제의 첨가로 인해 우수한 대전성능을 가진 광확산판을 얻을 수 있다.
넷째, 고가의 메타크릴산 메틸계 수지 대신에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스티렌계 수지를 베이스로 하기 때문에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다섯째, 실제로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시 여러개의 램프에서 발생하는 면상의 명암차이를 방지하고 균일한 밝기로 광을 투과하거나 확산시키고, 장시간 광에 노출되어도 황변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매우 화면표시품질이 뛰어난 액정표시장치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스티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1 광확산제로서 실록산계 가교입자 0.1~10중량부, 제2 광확산제로서 메타아크릴계 수지 0.01~20중량부로 이루어진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되며, 메타아크릴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계 광확산제 0.1~30중량부, 대전방지제 0.001 내지 10중량부, 자외선 흡수제 0.02~2중량부로 이루어진 도포층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렌계 수지는,
    순수 폴리스티렌;
    클로로 스티렌, 브로모 스티렌과 같은 할로겐화 스티렌;
    비닐톨루엔, α-메틸 스티렌과 같은 알킬화 폴리스티렌 중 하나 이상을 단량체 단위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확산제로서 실록산계 가교 입자는 평균입경이 1~20㎛인 가교미립자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확산제로서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평균입경이 0.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층에 사용되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브틸, 메타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 페닐, 메타크릴산 벤질, 메타크릴산 2-에틸 헥실,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과 같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브틸, 아크릴산 시클로 헥실, 아크릴산 페닐, 아크릴산 벤질, 아크릴산 2-에틸 헥실, 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과 같은 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메타크릴산, 아크릴산과 같은 불포화 산류;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무수 말레 산, 페닐 말레 이미드,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무수 글루타르산, 굴루타르이미드 중 하나 이상을 단량체 단위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광확산제의 평균 입경은 1~50㎛인 것을 특징을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폴리에테르이미드아미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폴리알킬렌글리콜, 도데실 벤젠술폰산 알칼리 금속, 3차아민, 4차암모늄 소금, 알킬 아민계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250~800nm 범위의 파장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9. 제 1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사리치레토계, 니켈착염계 자외선 흡수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 상기 도포층은 각각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열프레스성형, 공압출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서로 점착 또는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100~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층의 두께는 10~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13. 제 1 항의 광확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14. 제 13 항의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50087888A 2005-09-21 2005-09-21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KR100646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888A KR100646374B1 (ko) 2005-09-21 2005-09-21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888A KR100646374B1 (ko) 2005-09-21 2005-09-21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374B1 true KR100646374B1 (ko) 2006-11-23

Family

ID=3771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888A KR100646374B1 (ko) 2005-09-21 2005-09-21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872B1 (ko) * 2008-12-18 2011-05-19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깨짐이 강화된 다층 광확산판,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4684A (ja) * 1994-02-04 1995-08-15 Sumitomo Chem Co Ltd 光拡散性メタクリル系樹脂板
JPH1081829A (ja) 1996-09-05 1998-03-31 Sumitomo Chem Co Ltd 光拡散剤含有樹脂の製造法
JP2000330210A (ja) 1999-03-16 2000-11-30 Mitsubishi Rayon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
KR20060021112A (ko) * 2004-09-02 2006-03-07 제일모직주식회사 휨을 개선한 다층 광확산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4684A (ja) * 1994-02-04 1995-08-15 Sumitomo Chem Co Ltd 光拡散性メタクリル系樹脂板
JPH1081829A (ja) 1996-09-05 1998-03-31 Sumitomo Chem Co Ltd 光拡散剤含有樹脂の製造法
JP2000330210A (ja) 1999-03-16 2000-11-30 Mitsubishi Rayon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
KR20060021112A (ko) * 2004-09-02 2006-03-07 제일모직주식회사 휨을 개선한 다층 광확산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872B1 (ko) * 2008-12-18 2011-05-19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깨짐이 강화된 다층 광확산판,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33012A1 (en) Light Diffusion Pl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NL1034956C (nl) Lichtdiffusieplaat, oppervlakemissie lichtbroninrichting en vloeibaar kristal weergave inrichting.
WO2005124399A1 (ja) 異方拡散フィルム
CN100538407C (zh) 用于显示装置的光扩散片
JP2008292853A (ja) 光拡散板の製造方法および光拡散板
TW201033644A (en) Light diffusion plate, planar light source apparatus, and transmiss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654241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KR100952736B1 (ko) 광확산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액정 표시 장치
KR100665781B1 (ko) 광학특성 및 내열성과 내흡습성이 우수한 광확산판
JP2009157356A (ja) 光拡散板および光拡散板の製造方法
KR100646374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KR100858136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KR20100001582A (ko) 광확산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KR100668776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KR100578249B1 (ko) 다층 광확산판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100641841B1 (ko) 휨을 개선한 다층 광확산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730412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KR101035872B1 (ko) 내충격성 및 깨짐이 강화된 다층 광확산판,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06078954A (ja) 直下型パックライト用拡散板
KR101952833B1 (ko) 차폐성이 향상된 단일층 구조의 폴리스티렌계 고휘도 광확산판
KR100724337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
KR100813738B1 (ko) 내스크래치성과 광학특성이 우수한 광확산판 제조방법
JP4983340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
JP2000169721A (ja) 光拡散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100708900B1 (ko) 광산란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