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953B1 - 흡수제품상의 외층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재료 라미네이트 - Google Patents

흡수제품상의 외층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재료 라미네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953B1
KR100645953B1 KR1020007010630A KR20007010630A KR100645953B1 KR 100645953 B1 KR100645953 B1 KR 100645953B1 KR 1020007010630 A KR1020007010630 A KR 1020007010630A KR 20007010630 A KR20007010630 A KR 20007010630A KR 100645953 B1 KR100645953 B1 KR 100645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ing
layer
material laminate
liquid
jo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4670A (ko
Inventor
헤덴베르크페터
한슨로이
텐비안데르스
엘프스트룀안나-카린
크룩프레드릭
구스타프슨안데르스
Original Assignee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10034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three-dimensional, e.g. embossed, textured, pleated, or with three-dimensional features, like gathers or loo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발명은 평면 및 평면에 수직인 두께를 가지며, 제1액체투과성 섬유재료층(2)과 다공성 및 탄력성의 제2액체투과성 재료층(3)을 포함하고, 재료층들(2,3)중 적어도 하나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며 열가소성 재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화 또는 용융되어 두 재료층(2,3)이 함께 결합되는 결합 위치(4)를 가지는 재료 라미네이트(1)에 의해 두 재료층(2,3)이 상호 연결되는 재료 라미네이트(1)에 관한 것이다. 결합영역은 각 군(5)에 적어도 두 결합 위치(4)를 갖는 둘 이상의 군(5)으로 배열되며, 서로 인접한 두 결합 위치(4) 사이의 최장 상대 거리는 특정 군(5)에서 그 군(5)과 그것에 가장 가까운 인접한 군(5) 사이의 최단 거리 보다 작아서, 그 결과, 재료 라미네이트(1)는, 결합 군(5)들 사이에 위치하는 재료 라미네이트의 무결합 영역(9)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갖는 각 결합 군(5) 내의 결합 위치(4)들 사이의 무결합 영역(6)을 갖는다.
Figure 112000020078685-pct00001
재료 라미네이트, 부직재료, 액체 투과성 외층, 다공성 발포재료

Description

흡수제품상의 외층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재료 라미네이트{MATERIAL LAMINATE FOR USE AS AN OUTER LAYER ON ABSORBENT PRODUCTS}
발명은 기저귀, 팬티 기저귀, 실금 보호대, 생리대, 붕대 등과 같은 흡수제품상의 외층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재료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재료 라미네이트는 평면 및 평면에 수직인 두께를 가지며 제1액체투과성 섬유재료층과 다공성 및 탄력성의 제2 액체 투과성 재료층을 포함하며, 재료층들중 적어도 하나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며 두 재료층은 열가소성 재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화 또는 용융되어 두 재료층이 함께 결합되는 결합 위치를 가지는 재료 라미네이트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발명은 또한 재료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는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단독으로 사용하도록 의도된 흡수제품은 보통 제품이 사용될때 사용자의 인체에 접촉하는 액체 투과성 외층을 가진다. 상기 외층은 대개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부직재료(즉, 섬유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직에 의한 방법 외의 다른 방법으로 함께 결합된다.
외층과 제품에 포함된 흡수체 사이의 액체 이전층을 배열하는 것도 또한 알려져 있다. 상기 액체 이전층은 밑에 있는 흡수체에 의해 흡수되기 전에 다량의 액체를 빠르게 수용해서 액을 넓게 퍼지게 하고 그것을 임시로 저장하는 능력을 가져 야만 했다. 이것은 특히 요즘의 얇고 압축된 흡수체의 경우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며, 그것은 대개 높은 함량의 소위 초 흡수재를 가진다.
상기 재료는 고 흡수 능력을 갖는 반면에, 여러 경우에 있어서 방뇨와 관련하여 수초동안 배출될 수 있는 다량의 물을 순간적으로 흡수하기에는 너무 낮은 허용율을 보인다. 다공성의 비교적 두꺼운 액체 이전층, 예를 들면 섬유 덩어리 형태, 결합 또는 비결합 카딩 섬유층, 또는 일부 다른 형태의 섬유재료는 순간적으로 액체를 수용하기 위해 큰 용적을 가지며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하는 시간을 가질때까지 액체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또한 다공성 발포재료에도 적용된다. 흡수제품이 반복되는 양의 액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액체 이전층이 각각의 젖음 사이에 액체를 비울 시간을 필수적으로 가질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액체 이전층의 다공성 구조는 편의상 좀더 촘촘한 및/또는 좀더 친수성인 흡수체와 상호작용한다.
다공성의 액체 이전층을 포함하는 흡수제품의 예는 US-A-3,371,667, EP-A-0,312,118, EP-A-0,474,777, EP-A-685,214 및 WO 97/02133에서 발견된다.
설명된 흡수제품과 관련된 문제점은 액체 투과성 외층 재료가 대개 밑에있는 수용층의 중간 크기의 세공보다 더 작은 유효 중간크기의 세공을 갖는다는 점이다. 외층과 액체 이전층 사이의 액체 이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EP-A-685,214 및 WO 97/01233는 두 개의 층이 점 또는 선 형태의 결합 패턴으로 함께 용융된 층들에 의해 서로 결합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호 간에 짧은 거리에서 다수의 결합을 배열하는 것의 단점은 표면 재료 라미네이트가 부피를 잃어버리게 되고 그 결과 피부에 대한 유순함과 부드러움을 잃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그 결합은 재료 라미네이트를 비교적 뻣뻣하게 만들고, 이러한 이유때문에 피부에 접촉하여 입기에 불편하다. 상기결합이 라미네이트의 부피, 즉 그것의 두께를 감소시키므로, 제품의 흡수체와 사용자의 인체 사이의 거리가 또한 감소하게 된다. 이것은 제품으로부터 역으로 액체가 흘러나와 사용자의 인체를 적실 위험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우수한 액체 이전 능력과 낮은 재적심(rewetting)을 보이며, 동시에 피부에 대해 높은 유순함, 부드러움을 보이고 유연성을 보이는 향상된 표면재료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도입에서 규정된 형태의 재료 라미네이트를 제공한다. 발명에 따른 재료 라미네이트는 주로 결합 위치가 제1재료층 및 적어도 제2재료층의 일부를 통과해서 재료 라미네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결합 위치가 각각의 군 안에 적어도 두개의 결합 위치를 가지며, 가장 가까이 인접해 있는 군과 이웃한 군 사이의 최단 거리 보다 작은 특정 군에서 각각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두 결합 위치들 사이에 최장 상대 거리를 갖는 둘 이상의 군 내에 배열되어 있으며, 그 결과 재료 라미네이트가 결합 군들 사이에 위치하는 재료 라미네이트의 무결합 영역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갖는 각각의 결합 군 내의 결합 위치들 사이의 무결합 영역을 갖으며,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두 군 사이의 결합 위치의 최단 상대거리 x가 군 내의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두 결합 위치 사이의 최장 상대거리 y 보다 적어도 2 배라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추가의 특유한 특징 및 구체예는 뒤에 있는 특허 청구항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발명에 따르면, 낮은 섬유밀도 영역을 교호하는 높은 섬유밀도의 한정된 영역을 생성하는 결합 패턴으로 결합을 배열함으로써, 부피가 크고, 유순하며 유연성이 있는 재료 라미네이트가 얻어지며, 동시에 액체를 이전시키는 능력 및 액체를 임시로 저장하는 능력이 매우 우수해진다. 더욱이, 발명에 따른 재료 라미네이트는 매우 통풍이 잘되고 피부에 접촉하여 입기에 쾌적하며 낮은 재적심을 보인다.
아래에서, 발명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도 1은 발명에 따른 재료 라미네이트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재료 라미네이트를 관통하는 라인 II-II을 따르는 부분을 도시한다,
도 3은 제1결합 패턴을 도시한다,
도 4는 제2결합 패턴을 도시한다,
도 5는 제3결합 패턴을 도시한다,
도 6은 제4결합 패턴을 도시한다,
도 7은 제5결합 패턴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8은 발명에 따르는 재료 라미네이트를 가진 실금 보호대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재료 라미네이트(1)는 제1재료층(2) 및 제2재료층(3) 을 포함한다. 이것과 관련해서, 제1재료층(2)은 비교적 얇은 부직재료로 적절히 이루어져있다.
부직재료는 많은 서로 다른 방법, 예를 들면 섬유 뭉치를 카딩 또는 방사하고 그 후 결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섬유 매트의 형태로 짧은 섬유를 쌓기 위해 멜트-블로운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많은 여러방법들이 부직재료에서 섬유를 결합하기 위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형태의 결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재료에서 열-용융성분이 초음파 또는 가열에 의한 결합에 이용될 수 있다. 다른 결합방법은 니들링(needling) 및 히드로인탱글링(hydroentangling)이다. 더욱이, 서로 다른 결합 방법들은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재료 라미네이트가 흡수제품상에서 액체 투과성 표면 재료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제1재료층(2)이 제품의 사용자에 접촉하도록 만들어진 층이 된다. 이것과 관련해서, 사용자에게 접촉하는 제1층의 표면이 매끄럽고 부드러운 것이 중요하다.
제2재료층(3)은 유리하게 제1재료층(2)보다 더 두꺼우며 0.5-4mm의 두께를 가진 다공성의 탄력성 섬유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제2재료층(3)은 흡수제품 상에서 재료 라미네이트가 배열될때 액체 이전층으로서 작용하며, 표면재료로서 작용한다. 이와 관련해서, 제2재료층(3)은 짧은 시간동안 다량의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만 하며, 재료층의 평면에 액체를 넓게 퍼지게 하고, 재료 라미네이트(1) 아래 배열된 흡수체에 대해 전방으로 액체를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하며, 또한 흡수체가 흡수할 시간을 갖지 못하는 액체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제2재료층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재료는 합성섬유 덩어리, 결합된 또 는 결합되지 않은 카딩된 섬유층, 또는 벌크 부직재료이다. 사용될 수 있는 섬유재료의 특별한 형태는 토우(tow)이며, 그것은 주로 평행하고, 길고 또는 무한한 중간섬유, 또는 층 또는 스트랜드의 형태로 존재하는 섬유 필라멘트로 이해된다. 다공성의 친수성 발포재료는 다른 형태의 적당한 재료이다. 제2재료층은 또한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재료층 또는 같은 형태의 재료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0과 50g/m2 사이의 그래마지를 가진 합성섬유의 부직재료로 이루어진 제1재료층(2) 및 20과 100g/m2 사이의 그래마지를 가진 합성섬유 덩어리로 이루어진 제2재료층(3)을 포함하는 복합 부직재료는 예로써 언급되었으며, 발명에 따른 재료 라미네이트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적어도 제1재료층(2), 바람직하게는 층들 모두(2,3)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적당한 열가소성 재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펜 등의 폴리올레핀, 및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이다. 서로 다른 형태의 소위 2성분 섬유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두 재료층(2,3)은 다수의 결합 위치(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와 관련해서, 결합 위치(4)는 실질적으로 점 모양이며 동시에 재료 라미네이트(1)를 압축하고 에너지를 가함으로써 형성된다. 이것은 열가소성 재료를 결합 위치(4)에서 연화 또는 용융시키며 그것에 의해 재료 라미네이트(1)에 포함되는 두 층(2,3)을 함께 결합시킨다. 제1재료층 및 제2재료층(2,3)을 함께 결합시키는 것은 가열결합 또는 초음파 결합에 의해 적절하게 실시된다. 결합 위치(4)는 군(5) 내에 배열되고, 각각의 군(5) 안에 4개의 결합 위치(4)가 배열된다. 이 경우에, 4 결합은 사각형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각 군 내의 결합위치들(4) 사이의 상대거리는 군들(5) 사이의 상대거리보다 더 작다. 이 명세서에서, 군(5)들 안의 거리는 서로 인접해 있는 결합 위치들(4) 사이의 최단거리로서 결정된다. 상응하는 방법으로서, 군(5)들 사이의 거리는 서로 인접한 군(5)들 사이의 최단거리로 결정된다. 두 경우 모두, 거리는 결합 위치(4)의 가장자리로부터 측정된다. 각각의 군(5) 내의 서로 가장 가까이에 인접해 있는 결합 위치(4)들 사이에서 측정된 인접한 군들 사이의 최단거리는 바람직하게는 2-6mm이고, 군 내에서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결합 위치(4)들 사이의 최장거리는 바람직하게는 0.5-1mm이다. 그러므로, 전자는 후자의 적어도 약 2배이다.
라미네이트(1)의 용융된 또는 연화된 열가소성 재료가 냉각될때, 그것은 고화되어 재료 라미네이트에 대한 결합제로서 작용한다. 두 재료층(2,3)을 함께 결합하는 것에 추가적으로, 재료층(2,3) 중의 다공성 구조의 영구적 압축 또는 압박이 이런 방법으로 얻어진다. 가장 명백한 것은 실제 결합 위치(4)에서의 압축이다. 더욱이, 결합 위치(4)의 특정 지점은 결합된 재료 라미네이트(1)가 군(5) 내의 결합 위치(4)에 의해 둘러싸이고 군(5)들 사이의 영역(7)에서 보다 더 고도로 압축된 사각영역(6)을 갖게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재료 라미네이트(1)는 관통구멍(8)이 결합위치(4)에서 제1재료층(2)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함께 결합된다. 더욱이, 결합 위치(4) 안 및 결합 위치(4) 근접주변의 재료는 주위의 재료보다 더 미세한 모세관을 따라서 강하게 압축된다. 이로 인해 결합 위치는 제1재료층(2)으로부터 액체가 제2재료층(3) 내로 이동하는 능력이 향상된 영역을 구성한다.
제1재료층(2)에 관통구멍(8)을 가진 재료 라미네이트(1)가 도시되었더라도, 상기 설계는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결합 위치(4)가 약간의 액체 투과성 성질의 표면을 갖는 재료 라미네이트, 또는 관통구멍 및 액체투과성 결합을 둘다 가지는 재료 라미네이트가 또한 포함된다.
예를 들면, 재료 라미네이트가 용융된 고 비율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며 그 후 고화하여 막과 유사한 표면을 형성한다면, 낮은 또는 비액체 투과성을 보이는 결합 위치가 얻어진다. 실제 결합 위치(4)가 거의 완전한 액체 투과성이더라도, 결합과 관련해서 발생한 압축에 기인한 결합 위치(4) 주위에서 생긴 압축 섬유구조는 각각의 결합 위치(4)의 근접주변에서 액체를 이전할 수 있는 매우 높은 능력을 가진다.
또한, 결합 위치들의 각각의 군(5)에서의 결합 위치(4)들 내의 압축영역(6)은 향상된 액 전이 능력을 소유한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군(5)내의 결합 위치(4)들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좁고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1mm 라는 사실때문에, 결합 위치(4)에서의 압축은 결합 위치(4) 안의 영역이 또한 좀더 조밀한 구조가 얻어지도록 영향을 받게한다. 그러므로, 결합 위치(4)에 의해 한정되지 않은 압축영역(6)에서의 모세관 크기는 결합 위치(4)의 군(5)들 사이에 위치하는 재료 라미네이트(1)의 영역에서보다 평균적으로 작다. 이것은 결합 위치(4)의 조합 표면과 관련해서 재료 라미네이트(1)가 상당히 고도의 액체 전이 능력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합된 결합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총 표면의 3-11%를 구성한다. 액체를 이 송하고 이전시키는 놀랍도록 우수한 능력은 단지 결합 위치(4) 및 향상된 액체 이전 능력을 보이는 결합 위치의 근접주변 때문이 아니라, 향상된 액체이전에 기여하는 군(5) 내의 결합 위치(4)들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발명에 의하면, 좀더 조밀한 영역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결과 액체 이전능력을 향상시키면서도 재료 라미네이트(1)에서 높은 벌크, 유순함 및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발명에 따르는 재료 라미네이트(1)에 대한 결합패턴을 도시한다. 결합패턴은 각각의 군(5') 내에 4개의 결합 위치(4)가 있는 군(5')들로 배열된 마름모꼴 결합 위치(4)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도 3의 결합패턴은 각각의 경우에 4개의 결합 위치(4)를 가지는 네개의 군(5')들로 이루어진 상위의 군 구조(5")를 보인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재료 밀도가 다른 세가지 서로 다른 형태의 영역(6,7,9)은 도 3의 결합패턴면에서 동일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가장 작은 세공크기를 가진 가장 조밀한 재료 구조는 4개의 결합 위치(4)로 이루어진 군(5')들 내에서 발견된다. 약간 더 낮은 밀도를 가지며, 그래서 결과적으로 약간 더 큰 세공크기를 갖는 영역(7)은 각각의 경우에 4개의 결합 위치(4)를 가지는 군(5')들로 이루어진 상위의 군 구조(5")에서 발견된다. 최종적으로, 가장 작은 밀도영역(9)은 상위의 군 구조(5")들 사이에서 및 상위의 군 구조(5")와 상위의 군 구조(5")들 사이에 배열되는 결합 위치(4)의 각각의 군(5) 사이에서 발견된다.
도 4는 밴드에 포함된 결합 위치(4)들 사이의 거리를 초과하는 밴드들 사이의 상대 거리를 가지는 주로 평행의 밴드(5)에 배열된 짧은 대시모양의 결합(1- 1.5mm)의 형태로 결합 위치(4)를 도시한다. 밴드내에서, 압축 영역(6)은 결합 위치(4)들 사이에 존재하고, 압축 영역은 밴드(5)들 사이에 위치한 영역(7)보다 더 작은 세공크기를 가진다.
추가로 이용될 수 있는 결합패턴이 도 5-7에 도시되는데, 도 5는 주로 평행을 이루며 쌍으로 배열된 파동모양의 결합선(4)을 도시하고 있으며 각 쌍(5)의 결합선(4)들 사이의 상대 거리는 결합선(4)의 쌍(5) 사이의 거리를 초과한다. 그러므로, 도 5에 도시된 결합패턴은 재료 라미네이트가 각 쌍의 결합선(4)들 사이의 압축 액체 이전 영역을 가지게 하며, 결합 쌍(5)들 사이에 벌크하고, 거리감이 있으며, 부드럽고 통풍이 잘되는 영역(7)을 갖게한다.
밴드 또는 선의 형태로 결합 위치(4)를 배열하는 것의 이점은 표면 재료가 주로 액체를 밴드 또는 선을 따라 흐르게 하고 밴드 또는 선에 수직으로 액의 퍼짐을 상쇄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환경은 그것의 가장자리로부터 흡수제품의 누출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저밀도 영역(7)이 고리모양의 결합 위치(4) 외부의 바깥쪽에서 발견되는 반면에, 도 6은 압축영역(6)을 한정하지 않는 동심원 고리 형태의 두 결합 위치(4)로 각각 이루어진 군(5)을 가진 패턴을 도시한다.
도 7은 압축영역(6)이 각 쌍(5)의 결합선(4)들 사이에서 형성되고 덜 조밀한 영역이 결합선(4) 쌍들 사이에서 형성되도록 상대 거리에서 쌍으로 배열된 짧은 평행 결합선(4)의 패턴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실금 보호대(10)는 발명에 따르는 재료 라미네이트(1)를 포함 하며, 라미네이트는 액체 투과성 외층(2) 및 액체 투과성 액체 이전층(3)을 포함한다. 액체 불투과성 외층(11)과 함께, 액체 투과성 외층(2)은 흡수체(12)를 포함한다. 두 외층(2,11)은 흡수체(12) 보다 약간 더 큰 평면크기를 가지며 흡수체의 가장자리를 약간 넘도록 뻗어있다. 외층(2,11)은 돌출부(13)내에서, 예를 들면 열 또는 초음파로 접착 또는 용접함으로써 상호연결된다.
흡수체(12)는 종래의 어떤 형태이어도 좋다. 흡수재료의 일반적인 예는 셀룰로스 플러프 펄프, 티슈 층, 고 흡수중합체(소위 초 흡수재), 흡수 발포 재료, 흡수 부직재료 등이다. 흡수체에서 셀룰로스 플러프 펄프와 초 흡수재를 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액체를 수용하고, 넓게 펴고 저장하는 능력과 관련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서로 다른 재료층으로 이루어진 흡수체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일반적이다. 이것은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진 바이며, 그러므로 상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다. 요즘은 셀룰로스 플러프 펄프 및 초 흡수재로 이루어진 압축, 혼합 또는 층상의 구조로 구성된 예를 들면, 아기 기저귀 및 실금 보호대에서 얇은 흡수체가 일반적이다.
자기 접착성 접착제가 길이방향 영역의 형태로 있는 부착부재(14)가 액체 투과성 외층(11)의 바깥쪽에 배열된다. 사용하기 전에는, 접착영역(14)이 이형제로 처리된 페이퍼 또는 플라스틱막의 탈착가능한 보호층(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으로 적절히 덮여있다. 도시된 실금 보호대에서의 부착부재(14)는 길이방향의 접착영역을 포함하며, 후크-앤드-루프 부재, 스냅단추, 허리띠, 특수 팬츠 등의 다른 형태의 부착부재 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접착 패턴을 자연스럽게 생각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형태의 실금 보호대(10)는 무엇보다도 비교적 가벼운 실금 문제로 고통받는 개인에 의해 사용되도록 만들어졌으며 일반적인 팬츠안에 쉽게 적용된다. 이와 관련해서, 부착부재(14)는 사용하는 동안 팬츠안에 놓인 실금 보호대를 고정하도록 작용한다.
실금 보호대(10)는 넓은 단부(15,16) 및 단부들(15,16) 사이에 위치한 좁은 가랑이부(17)를 가진 모래시계 형태이다. 실금 보호대의 일부분인 가랑이부(17)는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가랑이에 오도록 되어있고 분비된 체액을 수용하는 표면으로서 작용하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다공성 및 탄력성의 액체 이전층(3), 예를 들면 섬유 덩어리, 다공성 발포층, 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재료 라미네이트의 제2재료층에 적당한 것으로 명기된 다른 재료는 액체 투과성 외층(2)과 흡수체(11) 사이에 배열된다. 액체 이전층(3)은 외층(2)을 통과하는 액체를 수용한다. 방뇨는 때때로 단기간에 배설되는 비교적 많은 양의 액체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액체가 빠르게 액체 이전층(3)으로 스며들도록 내부에서 액체 투과성 외층과 액체 이전층(3) 사이에서 접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액체 이전층이 매우 크고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4mm의 두께를 가지는 층이라는 사실때문에, 층(3)은 흡수체(11)로 점차적으로 흡수되기 전에 액체에 대한 임시 저장소로서 작용한다.
액체 이전층(3)이 도시된 예의 흡수체(11)보다 다소 더 좁은 반면에, 그것은 실금 보호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있다. 상기의 설계는 그것이 재료의 일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액체 이전층(3)을 실금 보호대의 전체 길 이에 걸쳐 뻗게 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재료를 더 절약할 수 있다. 실금 보호대에 의해 흡수된 대부분의 체액이 가랑이부(17)내의 보호대에서 흡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실금 보호대의 가랑이부(17)에 단지 액체 이전층(3)을 배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액체 이전층은 대개 매우 다공성이며 그것에 의해 종래의 액체 투과성 표면층 재료의 유효 중간세공크기보다 더 큰 유효 중간세공크기를 갖는다. 섬유재료의 유효 중간세공크기는 EP-A-0,470,392에 기재된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모세관 효과의 결과로, 액체가 다른 길로는 가지 않고 넓은 모세관으로부터 미세 모세관으로 통과하려 하기 때문에, 액체는 좀더 다공성의 액체 이전층에 의해 배출되는 대신에 표면재료의 섬유망에 잔여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외층의 표면에서 액체가 흐르고 누출될 위험이 있음을 의미한다. 더욱이, 액체는 외층의 섬유구조에 잔류하게 되고 그 결과 사용자는 외층의 표면이 축축하고 불편한 느낌을 갖게된다.
액체 투과성 외층(2)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재료 라미네이트(1)에 관련해서 설명된 액체 이전층(3)과 연결함으로써 액체 이전층(3)이 결합 위치(4)에서 압축된다. 이런 방법으로, 액체 이전층(3)은 밀도가 각각의 결합 위치(4)를 향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밀도 구배를 보인다. 결과적으로, 액체 이전층(3)은 결합 위치(4) 주위의 세공크기 구배를 포함하게 되며 유효 중간세공크기가 액체 투과성 외층(2)의 중간세공크기보다 작은 면적을 포함하게 된다. 발명에 따른 결합 위치(4)들을 그룹으로 묶음으로써, 액체 이전층(3)의 중간세공크기가 액체 투과성 외층(2)의 중 간세공크기보다 작은 외층 라미네이트(1)의 표면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이것 때문에, 액체 이전층(3)은 액체의 외층(2)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외층(2)이 각각의 결합 위치(4) 주위 영역 및 중간영역, 결합 위치의 각각의 군(5) 내의 결합 위치(4)들 사이의 조밀한 영역(6)의 액체를 배출함으로써, 이 영역에서 액체 부족이 생기며, 주위 영역과 평형을 이루게 된다.
결과적으로, 외층(2)은 액체를 전체적으로 덜 포함하게 될 것이며 그것에 의해 피부에 대해 좀더 건조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무결합 군(5) 내에 결합 위치(4)를 배열하고, 결합 위치(4)들 사이에 압축영역(6)을 배열함으로써, 비교적 적은 수의 결합으로 액체 투과성 외층(2)으로부터 액체 이전층(3)으로 매우 우수한 액체 이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무결합 영역(7)은 군(5)들 사이에 있고, 그것에 의해 사용자에 접촉되는 실금 보호대(10)의 표면에 파동형 구조를 만든다. 더욱이, 결합 군들(5) 사이의 무결합 영역(7)은 부피가 크고 부드러워서 재료 라미네이트(1)가 통풍이 잘되게 하고 편안하게 하며 동시에 우수한 거리 효과를 제공하며, 그 결과 사용자의 피부가 젖은 후에도 건조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액체 이전층(3) 및 흡수체(11) 사이의 우수한 액체 이전을 얻기 위해, 흡수체는 액체 이전층(3)보다 더 액체 친화성을 가져야 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흡수체(11)보다 덜 친수성인 액체 이전층(3)에 의해 및/또는 액체 이전층(3) 보다 좀더 미세한 모세관 구조를 가진 흡수체(11)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와 대조적으로 첨부된 특허 청구항의 범위내에서 추가의 여러 변경과 변형을 생각할 수 있다.

Claims (13)

  1. 평면 및 평면에 수직인 두께를 가지며, 제1액체투과성 섬유재료층(2)과 다공성 및 탄력성의 제2액체투과성 재료층(3)을 포함하고, 재료층들(2,3)중 적어도 하나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며 열가소성 재료가 연화 또는 용융되어 두 재료층(2,3)이 함께 결합되는 결합 위치(4)를 가지는 재료 라미네이트(1)에 의해 두 재료층(2,3)이 상호 연결되고, 결합 영역이 제1재료층(2) 및 적어도 제2재료층(3)의 일부를 통과해서 재료 라미네이트(1)의 두께 방향으로 뻗어있는 재료 라미네이트(1)에 있어서,
    상기 결합영역은 각 군(5)에 적어도 두 결합 위치(4)를 갖는 둘 이상의 군(5)으로 배열되며, 서로 인접한 두 결합 위치(4) 사이의 최장 상대 거리는 특정 군(5)에서 그 군(5)과 그것에 가장 가까운 인접한 군(5) 사이의 최단 거리 보다 작아서, 그 결과, 재료 라미네이트(1)가, 결합 군(5)들 사이에 위치하는 재료 라미네이트의 무결합 영역(7,9)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갖는 각 결합 군(5) 내의 결합 위치(4)들 사이의 무결합 영역(6)을 갖으며,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두 군(5) 사이의 결합 위치(4)의 최단 상대거리 x가 군(5) 내의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두 결합 위치(4) 사이의 최장 상대거리 y의 2배 내지 1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라미네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 위치(4)가 점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라미네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결합 위치(4)가 결합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재료 라미네이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결합 위치(4)가 직사각형 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라미네이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결합 위치가 원형 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라미네이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1 재료층(2)이 결합 위치(4)에서 압축에 의해 형성된 관통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라미네이트.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1 재료층(2)이 부직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라미네이트.
  8. 제 7 항에 있어서, 부직재료가 카딩되고 열 결합된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라미네이트.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2재료층(3)이 0.5-4mm의 두께를 가지는 섬유 덩어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라미네이트.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x가 2-6mm이고 y가 0.5-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라미네이트.
  13. 액체 투과성 외층(2), 액체 불투과성 외층(11) 및 두 외층(2,11) 사이에 둘러싸인 흡수체(12)를 포함하며, 액체 투과성 외층(2)과 흡수체(12) 사이에 배열된 액체 투과성 액체 이전층(3)을 또한 포함하는 흡수제품에 있어서, 액체 투과성 외층(2) 및 액체 투과성 액체 이전층(3)이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재료 라미네이트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KR1020007010630A 1998-03-27 1999-03-17 흡수제품상의 외층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재료 라미네이트 KR100645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1038-2 1998-03-27
SE9801038A SE9801038L (sv) 1998-03-27 1998-03-27 Materiallaminat för användning som ytskikt på absorberande al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670A KR20010034670A (ko) 2001-04-25
KR100645953B1 true KR100645953B1 (ko) 2006-11-13

Family

ID=20410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630A KR100645953B1 (ko) 1998-03-27 1999-03-17 흡수제품상의 외층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재료 라미네이트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EP (1) EP1066006B1 (ko)
JP (1) JP4312958B2 (ko)
KR (1) KR100645953B1 (ko)
AR (1) AR014775A1 (ko)
AT (1) ATE240707T1 (ko)
AU (1) AU748901B2 (ko)
CA (1) CA2326511C (ko)
CO (1) CO5050353A1 (ko)
DE (1) DE69908102T2 (ko)
DK (1) DK1066006T3 (ko)
ES (1) ES2199560T3 (ko)
GB (1) GB2335627B (ko)
HK (1) HK1019401A1 (ko)
MY (1) MY121794A (ko)
PE (1) PE20000531A1 (ko)
PL (1) PL199708B1 (ko)
RU (1) RU2218899C2 (ko)
SE (1) SE9801038L (ko)
TN (1) TNSN99043A1 (ko)
TW (1) TW501974B (ko)
WO (1) WO19990498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8130C2 (sv) 1998-10-05 2002-08-27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termoplastiska fibrer i vätske överföringsskiktet
SE512365C2 (sv) 1998-07-08 2000-03-06 Sca Hygiene Prod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fastsättning av materialstycken på en kontinuerlig bana
SE521365C2 (sv) * 1999-07-09 2003-10-28 Sca Hygiene Prod Ab Fibröst vätskegenomsläppligt materiallaminat med varierande bindningsmönster samt absorberande alster innefattande laminatet
DE19936154C2 (de) * 1999-07-31 2003-08-07 Deotexis Inc Flächiger biegsamer Schicht-Verbundstoff
SE0102035L (sv) * 2001-06-08 2002-12-09 Sca Hygiene Prod Ab Laminat av fibrösa skikt
US7919169B2 (en) 2001-06-08 2011-04-05 Sca Hygiene Products Ab Laminate made of fibrous layers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JP4558390B2 (ja) * 2004-06-30 2010-10-0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102004053469A1 (de) * 2004-11-03 2006-05-04 Paul Hartmann Ag Schlaufenbildendes Vliesstoffmaterial für ein mechanisches Verschlussmittel
WO2006093457A1 (en) * 2005-03-04 2006-09-08 Sca Hygiene Products Ab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liquid transfer layer
WO2007067100A1 (en) * 2005-12-07 2007-06-14 Sca Hygiene Products Ab Nonwoven material and absorbing article comprising nonwoven material
AU2005338968B2 (en) 2005-12-07 2012-06-07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Nonwoven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material
DE602005019637D1 (de) 2005-12-07 2010-04-08 Sca Hygiene Prod Ab Laminatmaterial für saugfähige artikel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RU2462217C2 (ru) * 2008-04-18 2012-09-27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й структуры
PL2288319T3 (pl) * 2008-04-18 2016-06-30 Essity Hygiene & Health Ab Sposób i rozmieszczenie do wytwarzania struktury warstwowej
US20100121298A1 (en) 2008-11-10 2010-05-13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Transfer layer for absorbent article
AU2010350866B9 (en) 2010-04-14 2015-10-15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Male incontinence guard
WO2012036599A1 (en) * 2010-09-14 2012-03-22 Sca Hygiene Products Ab Elastic laminate material and an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the elastic laminate
EP3215084B1 (en) 2014-11-06 2022-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strained laminat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EP4335420A3 (en) * 2017-02-16 2024-05-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substrates having repeating patterns of aperture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peat units
JP6492204B2 (ja) * 2018-03-15 2019-03-2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JP7140994B2 (ja) 2018-08-28 2022-09-22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半導体集積回路装置
WO2020219414A1 (en) 2019-04-24 2020-10-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ghly extensible nonwoven webs and absorbent articles having such web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5214A2 (en) * 1994-06-03 1995-12-06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body fluids absorbent padding
WO1997002133A2 (en) * 1995-06-30 1997-01-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and film corrugated laminat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0680A (en) * 1974-04-26 1979-10-09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Non-woven fabrics
US4333979A (en) * 1980-08-18 1982-06-08 Kimberly-Clark Corporation Soft, bulky, lightweight nonwoven web and method of producing; the web has both fused spot bonds and patterned embossments
US4493868A (en) * 1982-12-14 1985-01-15 Kimberly-Clark Corporation High bulk bonding pattern and method
US4446189A (en) * 1983-05-12 1984-05-01 Phillips Petroleum Company Textured nonwoven textile fabric laminate and process of making said
US5252374A (en) * 1992-02-18 1993-10-12 Paper-Pak Products, Inc. Underpad for incontinent patients
US5370764A (en) * 1992-11-06 1994-12-06 Kimberly-Clark Corporation Apparatus for making film laminated material
JP3091361B2 (ja) * 1994-06-07 2000-09-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US5688258A (en) * 1995-05-02 1997-1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cover for an absorbent materials
JP3091374B2 (ja) * 1994-10-27 2000-09-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IL130518A (en) * 1996-12-20 2003-11-23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 for body liquids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5214A2 (en) * 1994-06-03 1995-12-06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body fluids absorbent padding
WO1997002133A2 (en) * 1995-06-30 1997-01-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and film corrugated lamin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6006A1 (en) 2001-01-10
SE9801038D0 (sv) 1998-03-27
AR014775A1 (es) 2001-03-28
KR20010034670A (ko) 2001-04-25
MY121794A (en) 2006-02-28
ATE240707T1 (de) 2003-06-15
WO1999049825A1 (en) 1999-10-07
DK1066006T3 (da) 2003-09-01
PL199708B1 (pl) 2008-10-31
ES2199560T3 (es) 2004-02-16
PE20000531A1 (es) 2000-06-26
DE69908102D1 (de) 2003-06-26
EP1066006B1 (en) 2003-05-21
JP4312958B2 (ja) 2009-08-12
GB2335627A (en) 1999-09-29
GB2335627B (en) 2002-09-11
JP2002509816A (ja) 2002-04-02
CA2326511A1 (en) 1999-10-07
RU2218899C2 (ru) 2003-12-20
CO5050353A1 (es) 2001-06-27
AU2865999A (en) 1999-10-18
TW501974B (en) 2002-09-11
SE9801038L (sv) 1999-09-28
CA2326511C (en) 2008-01-08
TNSN99043A1 (fr) 2001-12-31
DE69908102T2 (de) 2004-02-19
GB9906187D0 (en) 1999-05-12
AU748901B2 (en) 2002-06-13
HK1019401A1 (en) 2000-02-11
PL343172A1 (en) 200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953B1 (ko) 흡수제품상의 외층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재료 라미네이트
AU740026B2 (en) Absorbent article
EP1207832B1 (en) A material laminate for use as a covering sheet in an absorbent article
KR100590456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이트
EP0481322A1 (en) Method of forming an absorbent article with variable density through the thickness
EP1093350B1 (en) Absorbent structure
AU1581299A (en) Absorbent article
US20020035352A1 (en) Absorbent article
CA2346281C (en) Absorbent product comprising at least one thermoplastic component to bond layers
MXPA01008788A (es) Patron de union resistente al rasgado.
CA2395818C (en) Incontinent 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