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726B1 -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 - Google Patents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726B1
KR100645726B1 KR1020047011577A KR20047011577A KR100645726B1 KR 100645726 B1 KR100645726 B1 KR 100645726B1 KR 1020047011577 A KR1020047011577 A KR 1020047011577A KR 20047011577 A KR20047011577 A KR 20047011577A KR 100645726 B1 KR100645726 B1 KR 100645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lor
pipe
piping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6300A (ko
Inventor
타이라시게하루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32831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30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3283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240388A/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88Lubricating oil characteristics, e.g. deteri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8Refrigerant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을 재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에 대한 간이한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은,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에 대해서 판단을 행하는 판단 방법에 있어서, 제1 스텝과, 제2 스텝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텝에서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내부에 남은 잔류물을 체크 시트(30)에 붙인다. 제2 스텝에서는, 잔류물을 붙인 체크 시트(30)의 색에 기초하여,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에 대해서 판단을 행한다.
냉매 연락 배관, 체크 시트, 채취부, 설명부, 색견본표

Description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METHOD FOR DETERMINING RECYCLABILITY OF REFRIGERANT-USE EQUIPMENT OR REFRIGERANT PIPING}
본 발명은,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 및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체크 툴에 관한 것이다.
근년, 오존층의 파괴가 문제로 된 것으로부터, 냉매로서 사용되는 HCFC의 전폐를 향한 삭감이 시작되고 있다. 향후, 세계적으로 HCFC계 냉매 (HCFC22 등)의 단계적인 삭감을 진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대신하여 HFC계 냉매 등의 대체 냉매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기설(旣設)의 냉매 사용 기기 (공기 조화기 등)를 대체 냉매를 이용한 것으로 변경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런데, 맨션이나 빌딩 등의 건물 내에 배치되어 있는 멀티 타입의 공기 조화기나, 개인 주택에서 전관 공조(空調)를 행하는 공기 조화기 (하우징 에어컨)에서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이 벽면에 매설되어 있거나, 천장 안으로 통하여 있거나 한다. 이러한 경우에, 기설의 공기 조화기를 철거하고 새로운 공기 조화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설의 냉매 배관을 새로운 공기 조화기에서 유용 (재이용) 가능한지 여부가 설치 비용상의 중요한 요인으로 되게 된다. 기설 배관을 바꾸는 공사에는, 다대한 시간과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또한, 유용할 수 있는 경우에서도, 기설의 냉매 배관의 세정이 필요로 되는지 여부가, 설치 비용 삭감의 요인으로 된다.
일반적으로, 기설 배관에는, 불순물을 포함하는 냉동기유가 배관에 부착하여 남아 있다. 이 잔유의 오염이 심하면, 새롭게 사용하는 냉매에 잔류 불순물이 용해하여, 팽창 기구인 감압기 (팽창 밸브나 모세관 튜브)가 막혀 작동하지 않게 되거나 냉동기유가 열화하거나 할 우려가 높다. 특히, HFC계 냉매에 대해서 이용되는 냉동기유는, 에테르유나 에스테르유 등의 합성유이고, 그 극성이 높기 때문에 기설 배관의 잔류 불순물을 녹이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HFC계 냉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설 배관의 잔류 불순물에 의하여 새로운 공기 조화기의 감압기에 좋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이 때문에, 현상(現狀)에 있어서는, 10년 ~ 20년간 사용하고 있는 기설 배관을 유용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세정기를 이용하여 배관 내를 세정하는 작업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기설 배관을 세정하는 세정기는 매우 고가의 것이고, 또한, 세정에 드는 비용도 싸지는 않다.
한편, 기설 배관의 오염이 적은 경우에는, 세정의 필요는 없다. 냉매 및 오일의 회수 방법에 따라서는, 기설 배관의 오염이 저감되어, 세정의 필요가 없어지 는 경우도 존재한다.
그렇지만, 기설 배관 내의 잔류물의 샘플을 취하여 연구소 등에 가져가 기설 배관 중의 오일이나 냉매를 검사하는 일은, 종래에 있어서는 세정 작업보다도 높은 비용이 드는 작업으로 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대체의 경우는, 메이커가 추천하는 바와 같이 무조건으로 세정기에 의한 기설 배관의 세정을 행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이에 대하여, 세정의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그대로 기설의 냉매 배관 (기설 배관)을 재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떼어낸 기설의 냉매 사용 기기에 대해서도, 환경을 배려하여, 재이용할 수 있는 것은 가능한 한 재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설의 기기 중에는, 세정하면 재이용할 수 있는 것이나, 압축기 등의 일부 부품만을 바꾸면 재이용할 수 있는 것 등이 존재한다.
이 발명의 목적은,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을 재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에 대해서의 간이한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관계되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은,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에 대해서 판단을 행하는 판단 방법에 있어서, 제1 스텝과, 제2 스텝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텝에서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내부에 남는 잔류물을 체크 툴에 붙인다. 제2 스텝에서는, 잔류물을 붙인 체크 툴의 색에 기초하여,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에 대해서 판단을 행한다. 체크 툴은, 잔류물을 붙이는 제1 수단과, 제2 수단을 가지고 있다. 제2 수단은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이용에 있어서 세정 처리가 불요인 정상색과,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이용에 있어서 세정 처리가 필요로 되는 경계에 있는 경계색을 나타낸다. 제1 스텝에서는 제1 수단에 잔류물을 붙이고, 제2 스텝에서는 제1 수단의 색을 제2 수단의 정상색 및 경계색과 비교하여 상기 판단을 행한다.
본 발명자는, 교환 또는 재이용하는 냉매 사용 기기나 냉매 배관 내의 잔류물의 샘플을 많이 수집하여,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이 재이용 가능한지 여부의 판단이나 세정이 필요한지 여부의 판단이, 잔유 등의 잔류물의 색에 의하여 판단 가능한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체크 툴을 이용하여, 이 체크 툴에 붙인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 내의 잔류물의 색을 샘플 등과 비교하는 것으로, 높은 정밀도로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이용 가능성의 판단이 가능한 것을 발견하였다.
이 견지에 기초하여, 여기에서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잔류물을 붙여진 체크 툴의 색으로부터,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이용 가능성에 대해서 판단을 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체크 툴을 이용하여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이용 가능성을 색에 의하여 간이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내부가 그만큼 오염되지 않아 세정의 필요가 없는 경우에 무용한 세정 작업을 행하거나, 세정해도 사용할 수 없을 정도의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내부가 오염되어 있는 것에도 불구하고 세정 작업만을 하여 재이용해 버리거나 하는 좋지 않은 경우가 억제되게 된다.
덧붙여, 체크 툴로서는, 잔류물의 색 그것을 소정의 색과 비교하여 재이용 가능성에 관한 판단을 행할 수 있는 툴을 이용해도 무방하며, 리트머스지 등으로 잔류물의 pH를 체크하여 재이용 가능성에 관한 판단을 행할 수 있는 툴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판단의 기준으로 되는 기준색을 나타내는 제2 수단이 체크 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잔류물이 붙여진 체크 툴의 제1 수단의 색과 제2 수단의 기준색을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극히 용이하게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의 가능성에 대해서 판단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불순물이 붙은 제1 수단의 색이 경계색과 비교하여 양호한 것인 경우에, 나아가 제1 수단의 색을 정상색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안심하고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을 세정 없이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서는 불순물이 붙여진 제1 수단의 색이 경계색과 비교하여 양호한 것인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제1 수단의 색을 정상색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안심하여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을 세정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용이하고 확실하게, 냉매 사용 기기나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에 대하여 판단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관계되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판단 방법에 있어서, 제2 수단에 있어서, 정상색을 나타내는 부분과 경계색을 나타내는 부분은 나누어져 있다.
삭제
삭제
청구항 3에 관계되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은, 청구항 2에 기재된 판단 방법에 있어서, 제2 수단에 있어서, 정상색을 나타내는 부분과 경계색을 나타내는 부분은 선에 의하여 나누어져 있다.
삭제
청구항 4에 관계되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은,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판단 방법에 있어서, 제2 수단에 있어서, 정상색을 나타내는 부분과 경계색을 나타내는 부분은 서로 이웃하고 있다.
삭제
청구항 5에 관계되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은,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판단 방법에 있어서, 제2 수단의 정상색을 나타내는 부분과 경계색을 나타내는 부분은, 각각, 제1 수단과 서로 이웃하고 있다.
삭제
청구항 6에 관계되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은,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에 대해서 판단을 행하는 판단 방법에 있어서, 제1 스텝과, 제2 스텝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텝에서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내부에 남는 잔류물을 체크 툴에 붙인다. 제2 스텝에서는, 잔류물을 붙인 체크 툴의 색에 기초하여,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에 대해서 판단을 행한다. 체크 툴은, 잔류물을 붙이는 제1 수단과, 제2 수단을 가지고 있다. 제2 수단은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세정이 필요한지 아닌지의 판단의 기준으로 되는 제1 경계색과,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사용이 가능한지 아닌지의 판단의 기준으로 되는 제2 경계색을 나타낸다. 제1 스텝에서는 제1 수단에 잔류물을 붙이고, 제2 스텝에서는 제1 수단의 색을 제2 수단의 제1 경계색 및 제2 경계색과 비교하여 상기 판단을 행한다.
여기에서는, 제1 수단의 색을 제2 수단의 제1 경계색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이용에 있어서 세정 작업이 필요한지 여부의 판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단의 색을 제2 수단의 제2 경계색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이용 자체가 가능한지 여부의 판단을 할 수 있다. 즉, 여기에서는, 제1 수단의 색을 제2 수단의 제2 경계색과 비교하는 것으로,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을 폐기하고 교체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판단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계되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은, 청구항 1 내지 3 또는 6에 기재된 판단 방법에 있어서, 산 또는 알칼리에 의하여 색이 변화하는 pH분석 툴을 사용하고,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이용 가능성에 대하여 보완적으로 판단을 행하는 제3 스텝을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는, 체크 툴이 pH분석 툴이기 때문에,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내부의 잔류물에 산이나 알칼리가 생겨 있는 경우에, 산이나 알칼리의 정도를 pH분석 툴의 색으로부터 판단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리고, 산이나 알칼리의 정도로부터,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내부의 잔류물의 열화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정된 잔류물의 열화 정도에 근거하면,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이용 가능성에 대해서 보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재이용에 관한 판단 대상으로 되는 냉매 연락 배관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도이다.
도 2는, 체크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색견본표의 평면도이다.
도 1에, 실외기(10) 및 실내기(11)를 가지는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도를 도시한다. 사방 전환 밸브(2)의 1차 포트에는, 압축기(1)의 토출측 및 흡입측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사방 전환 밸브(2)의 2차 포트에는, 실외 열 교환기(3), 팽창 밸브(4), 및 실내 열 교환기(5)가 순차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냉매 회로에는, 액 폐쇄 밸브(6) 및 가스 폐쇄 밸브(7)가 설치되어 있다.
실외기(10)와 실내기(11) 간에는, 냉매 연락 배관(9)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배관(9)은, 맨션, 빌딩, 전관 공조 시스템의 주택 등에서는, 벽이나 천장의 내측에 매설되어 있다.
이러한 빌딩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는, 현상에 있어서는, 냉매로서 HCFC22가 이용되고 있는 것이 많다. 이것을 HFC계 냉매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로 교체할 때에, 이하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계되는 판단 방법을 이용하면, 무용한 세정 작업을 행하여 버리는 일이 없어져, 비용의 삭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기설 배관의 재이용에서의 세정 작업의 필요 여부에 관한 판단 방법>
기설의 공기 조화기를 철거할 때에는, 우선, 펌프다운 운전 등에 의하여 액 냉매를 실외 열 교환기(3)에 모아 회수한다. 이것에 의하여 기설의 배관(9) 내에 있던 냉매나 냉동기유가 제거되지만, 배관(9)의 내면에는, 적어도 약간의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잔유가 부착하여 남는다.
이 잔유의 오염 상태를, 도 2에 도시하는 체크 시트(30)에 의하여 간이하게 체크하는 것으로, 기설의 배관(9)의 재이용에서의 세정 작업의 필요 여부에 관한 판단을 행한다.
체크 시트(30)는, 명함 사이즈의 소형의 툴이고, 기설의 배관(9)의 설치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체크 시트(30)는,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을 나타내는 제1 부(31)와, 정상유 색을 나타내는 제2 부(32)와, 잔유를 부착시키기 위한 채취부(33)와, 사용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설명부(34)가, 일체로 되어 있는 시트이다. 제1 부(31)의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은, 배관(9)을 재이용하는데 있어서 배관(9)의 세정 처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색이고, 이것보다도 잔유의 색이 진하면 세정이 필요, 얇으면 세정이 불필요라고 판단할 수 있는 기준색이다. 제2 부(32)의 정상유 색은, 배관(9)을 세정 처리 없이 재이용할 수 있는 잔유의 색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잔유의 색이 제1 부(31)의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보다 제2 부(32)의 정상유 색에 가까우면, 배관을 세정하는 일 없이 배관(9)의 재이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제1 부(31) 및 제2 부(32)는, 서로 이웃하고 있음과 함께, 각각 채취부(33)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다.
체크 시트(30)의 채취부(33)는, 탈지면 또는 직물로부터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사용자가 배관(9)의 내면을 체크 시트(30)로 닦는 동작을 하는 것으로 배 관(9) 내의 잔유가 부착한다. 이 채취부(33)에 부착한 잔유의 색을 제1 부(31)의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배관(9)을 재이용하는 것에 있어서 세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설의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10)나 실내기(11)를 철거할 때에, 이 체크 시트(30)를 현지에 가지고 가면, 간단하게 기설의 냉매 연락 배관(9)의 유용 (재이용)에 대해서 판단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우선 체크 시트(30)의 채취부(33)를 배관(9)의 내면에 꽉 누르는 등 하여 배관(9) 내의 잔유를 채취부(33)에 부착시키고, 다음으로 채취부(33)에 붙은 잔유의 색을 제1 부(31)의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이나 제2 부(32)의 정상유 색과 비교한다. 그리고, 채취부(33)의 잔유의 색이 제1 부(31)의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보다도 제2 부(32)의 정상유 색에 가까우면, 배관(9)의 재이용에 있어서 배관 세정의 필요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고, 채취부(33)의 잔유의 색이 제1 부(31)의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보다 진하면, 배관(9)의 재이용에 있어서 배관 세정의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덧붙여, 체크 시트(30)의 제1 부(31)의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이나 제2 부(32)의 정상유 색은, 수없이 축적되어 온 기설 배관 내의 잔유의 데이터로부터 결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 체크 시트(30)를 사용하면, 기설 배관의 유용에서의 배관 세정의 필요 여부를 극히 높은 정밀도로 바르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세정 작업 필요 여부의 판단 방법을 이용하는 장점>
〔1〕
종래에는, 기설 배관의 오염 상태를 확인하는데 시간이나 큰 비용이 드는 것 으로부터, 그러한 오염 상태의 확인 작업을 하는 일 없이, 무조건 기설 배관을 세정하여 재이용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판단 방법을 이용하면, 기설의 배관(9)의 설치 장소인 현지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간이한 체크 시트(30)에 의하여, 그 자리에서, 간단하고 쉽게 또한 높은 정밀도로, 냉매 연락 배관(9)의 재이용에 대한 배관 세정 작업의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체크 시트(30)를 사용하여 기존의 냉매 연락 배관(9)을 체크하는 것으로, 기설의 배관(9) 내의 잔유가 그만큼 더러워져 있지 않아 세정의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무용한 배관 세정 작업을 생략하고, 배관(9)의 재이용에 드는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여기에서는, 배관 세정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을 나타내는 제1 부(31)를 체크 시트(30)에 설치함과 함께, 정상유 색을 나타내는 제2 부(32)를 체크 시트(30)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체크 시트(30)의 사용자는, 채취부(33)에 붙인 잔유의 색이 제1 부(31)의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보다도 얇으면 보고 인식하여 배관 세정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음과 함께, 채취부(33)에 붙인 잔유의 색이 제1 부(31)의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보다도 제2 부(32)의 정상유 색에 가까우면 보고 인식하는 것으로 배관 세정의 불필요 판단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3〕
체크 시트(30)에서는, 제1 부(31)나 제2 부(32)와 채취부(33)가 근접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이나 정상유 색과 채취부(33)에 붙은 잔유의 색을 비교해 보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기설의 공기 조화기로 사용되고 있던 냉동기유의 종류에 의하여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제1 부(31)의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은 적색에 가까운 오렌지색으로 약간 검은빛이 도는 색으로 되고, 제2 부(32)의 정상유 색은 투명에 가까운 노란색에 붉은빛이 도는 색으로 된다.
<기설 배관 내의 잔유가 극도로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의 체크 시트(30)에 의하여, 채취부(33)에 붙은 잔유의 색에 기초하여 배관 세정 작업의 필요성에 대해서 판단할 수 있다. 체크 시트(30)의 사용자는, 잔유의 색이 제1 부(31)의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보다도 조금 진한 것 같다면, 기설의 배관(9)을 세정하여 재이용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채취부(33)에 붙인 잔유의 색이 매우 진하고 잔유의 열화가 심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하는 색견본표(40)를 사용하여 배관(9)이 재이용 가능한지 폐기해야 하는지 판단하게 된다. 즉, 체크 시트(30)에 더하여 색견본표(40)를 준비해 두고, 양방을 사용하여 기설의 냉매 연락 배관(9)의 재이용에 관한 판단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색견본표(40)는, ASTM(American Standard Test Method) 색부호를 인쇄한 시트이고, "1" ~ "8"의 색부호 상에 색표시부(41 ~ 48)가 배치되어 있다. 색표시부(41)에 나타나는 색은 얇은 황색이고, 색부호의 번호가 증가하는데 따라 붉 은빛이 늘어, 색표시부(44)에 나타나는 색은 오렌지색이다. 또한, 더욱 색부호의 번호가 증가하면, 붉은 빛에 더하여 검은빛이 돌게 된다. 그리고, 색표시부(48)에 나타나는 색은 검붉은 색으로 되어 있다. 덧붙여, 체크 시트(30)의 제1 부(31)의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은, 색견본표(40)의 색표시부(44)에 나타나는 색에 상당한다.
배관(9)의 재이용에 대해서 체크하는 사람은, 잔유의 색이 색견본표(40)의 색부호(1 ~ 3)의 색에 상당하는 경우에는 배관 세정 없이 배관(9)을 재이용할 수 있고, 잔유의 색이 색부호(4 ~ 8)의 색에 상당하는 경우에는 배관 세정을 시행한 다음 배관(9)을 재이용할 수 있으며, 잔유의 색이 색부호(8)의 색보다 진하게 검은빛이 강한 경우에는 배관(9)을 재이용할 수 없다고 하는 판단을 하게 된다. 즉, 체크 시트(30)의 채취부(33)에 붙인 잔유의 색이 매우 진하고 잔유의 열화가 심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색견본표(40)의 색표시부(48)의 색과 잔유의 색을 비교하고, 잔유의 색이 색표시부(48)의 색 (ASTM 색부호(8)의 색)보다도 진하면 기설의 배관(9)을 폐기하고 새로운 냉매 배관을 부설하는 것을 결정하게 된다. 이것은, 잔유의 색이 색표시부(48)의 색 (ASTM 색부호(8)의 색)보다도 진하게 흑색에 가까운 색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설의 공기 조화기에서의 압축기 접동(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직임,摺動)재 등의 윤활 불량에 의한 마모 가루 등이 잔유의 흑색의 주성분이고, 압축기, 냉매계 부품, 및 냉매 배관은 세정하여도 부착물 (이물)이 제거되지 않는 것이 많기 때문이다.
<기설의 공기 조화기의 압축기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종래에는, 압축기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있는 경우에도, 그만큼 낡지 않았으면 기설의 냉매 배관을 세정하여 재이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렇지만, 냉매가 새고 있던 것으로 배관 내의 온도가 올라가 압축기의 모터가 눌어붙어 있던 경우 등은, 배관 내에서 산화가 진행되고 있을 우려가 높기 때문에, 세정하여도 기설의 냉매 배관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것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이 잔유의 색을 색견본표(40)를 사용하여 체크하는 것이 유효하다. 배관(9) 내의 산화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잔유의 색이 ASTM 색부호(8)의 색보다도 거무스름하게 변화하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체크 시트(30)나 색견본표(40)를 사용한 판단 방법을 이용하면, 압축기(1)의 모터가 눌어붙어 배관 세정을 행하여도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기설 배관(9) 내가 산화하고 있는 것에도 불구하고 세정 작업만을 하여 기설 배관(9)을 재이용하여 버리거나 하는 좋지 않은 경우가 억제된다.
<변형예>
〔A〕
체크 시트(30)나 색견본표(40)의 대신에, 산 또는 알칼리에 의하여 색이 변화하는 리트머스지를 이용하여 기설의 배관(9)의 재이용에 관한 판단을 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리트머스지 등의 pH분석 툴을 사용하면, 배관(9) 내의 잔유의 전산가(全酸價)의 값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기준으로서 배관(9)의 재이용의 가능성이나 재이용시에 세정이 필요한지 여부의 판단을 행할 수 있다. 특히, 리트머스지 등의 pH분석 툴을 사용하면, 배관(9)의 산화 열화 (불화수소산, 포름산, 염 산 등의 발생)를 정밀도 좋고 간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리트머스지 등의 pH분석 툴을 사용한 배관(9)의 재이용에 관한 판단을, 체크 시트(30)나 색견본표(40)에 의한 판단에 대해서 보완적으로 더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잔유의 열화의 정도가 이중으로 체크되어, 배관(9)의 재이용에 관한 판단이 보다 정확한 것으로 된다.
〔B〕
상기 실시예의 체크 시트(30)나 색견본표(40)는, 배관(9)을 세정한 후에, 배관(9)이 소정의 레벨까지 깨끗하게 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검사에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 배관(9)을 세정한 후에, 체크 시트(30) 등을 이용하여 배관(9) 내의 오염 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새로운 공기 조화기를 보다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
상기의 체크 시트(30)에서는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을 나타내는 제1 부(31) 및 정상유 색을 나타내는 제2 부(32)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들에 더하여, 또는 제2 부(32)에 대신하여, 폐기 필요 여부 기준색을 나타내는 제3 부를 체크 시트(30)에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폐기 필요 여부 기준색은, 제1 부(31)의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보다도 열화한 오일의 색에 상당하는 것으로, 세정하여도 사용할 수 없을 만큼 배관(9) 내의 잔유가 열화하고 있는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세정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배관(9)을 재이용할 수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색이다. 구체적으로는, 폐기 필요 여부 기준색은, 상기의 색견본표(40)의 색표시부(48)의 색 (ASTM 색부호(8)의 색)에 가까운 색으로 된다.
이와 같이,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 및 폐기 필요 여부 기준색을 나타내는 체크 시트를 사용하면, 색견본표(40)를 사용하지 않아도, 배관(9)을 폐기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 체크 시트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채취부(33)에 부착시킨 배관(9) 내의 잔유의 색이 폐기 필요 여부 기준색보다도 진하면, 배관(9)은 세정하여도 사용할 수 없고 폐기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채취부(33)의 색이 세정 필요 여부 기준색보다도 진하고 또한 폐기 필요 여부 기준색보다도 얇으면, 배관(9)은 세정하는 것에 의하여 재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D〕
상기의 체크 시트(30)에서는 제1 부(31)나 제2 부(32)와 채취부(33)를 일체화하고 있지만, 제1 부(31)나 제2 부(32)와 채취부(33)가 별체로 되어 있는 툴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채취부(33)에 상당하는 면봉이나 웨이스트(기계등을 닦는 걸레, waste) 등을 색견본표(40)와 함께 이용하여 그들에 의하여 배관(9)의 재이용에 관한 판단을 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E〕
철거하는 기설의 공기 조화기의 리사이클이나 재사용이 가능한지 여부의 판단에, 체크 시트(30)나 색견본표(40)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철거한 공기 조화기의 배관 부분의 잔유가 격하게 산화하고 있으면 기설의 공기 조화기의 부품은 일절 리사이클할 수 없는 경우가 많지만, 잔유의 오염의 정도가 작을 때에는 압축 기를 제외하면 다른 것은 재이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열교환기 유닛을 이용하면, 체크 툴을 이용하여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이용 가능성을 색에 의하여 간이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내부가 그만큼 오염되지 않아 세정의 필요가 없는 경우에 무용한 세정 작업을 행하거나, 세정하여도 사용할 수 없을 정도의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내부가 오염되어 있는 것에도 불구하고 세정 작업만을 하여 재이용해 버리거나 하는 좋지 않은 경우가 억제되게 된다.

Claims (7)

  1. 냉매 사용 기기(10, 11) 또는 냉매 배관(9)의 재이용 가능성에 대해서 판단을 행하는 판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매 사용 기기(10, 11) 또는 냉매 배관(9)의 내부에 남은 잔류물을 체크 툴(30)에 붙이는 제1 스텝과,
    상기 잔류물을 붙인 체크 툴(30)의 색에 기초하여, 상기 냉매 사용 기기(10, 11) 또는 냉매 배관(9)의 이용 가능성에 대해서 판단을 행하는 제2 스텝
    을 구비하고,
    상기 체크 툴(30)은, 상기 잔류물을 붙이는 제1 수단(33)과, 제2 수단(31, 32)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수단(31, 32)은 상기 냉매 사용 기기(10, 11) 또는 냉매 배관(9)의 이용에 있어서 세정 처리가 불요인 정상색과, 상기 냉매 사용 기기(10, 11) 또는 냉매 배관(9)의 이용에 있어서 세정 처리가 필요로 되는 경계에 있는 경계색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스텝에서는 상기 제1 수단(33)에 상기 잔류물을 붙이고,
    상기 제2 스텝에서는 상기 제1 수단(33)의 색을 상기 제2 수단(31, 32)의 정상색 및 경계색과 비교하여 상기 판단을 행하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단(31, 32)에 있어서, 상기 정상색을 나타내는 부분과 상기 경계색을 나타내는 부분은 나누어져 있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단(31, 32)에 있어서, 상기 정상색을 나타내는 부분과 상기 경계색을 나타내는 부분은 선에 의하여 나누어져 있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단(31, 32)에 있어서, 상기 정상색을 나타내는 부분과 상기 경계색을 나타내는 부분은 서로 이웃하고 있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단(31, 32)의 상기 정상색을 나타내는 부분과 상기 경계색을 나타내는 부분은, 각각, 상기 제1 수단(33)과 서로 이웃하고 있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
  6.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에 대해서 판단을 행하는 판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내부에 남은 잔류물을 체크 툴에 붙이는 제1 스텝과,
    상기 잔류물을 붙인 체크 툴의 색에 기초하여, 상기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이용 가능성에 대해서 판단을 행하는 제2 스텝
    을 구비하고,
    상기 체크 툴은, 상기 잔류물을 붙이는 제1 수단과, 제2 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수단은 상기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세정이 필요한지 아닌지의 판단의 기준으로 되는 제1 경계색과, 상기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사용이 가능한지 아닌지의 판단의 기준으로 되는 제2 경계색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스텝에서는 상기 제1 수단(33)에 상기 잔류물을 붙이고,
    상기 제2 스텝에서는 상기 제1 수단(33)의 색을 상기 제2 수단(31, 32)의 제1 경계색 및 제2 경계색과 비교하여 상기 판단을 행하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 또는 알칼리에 의하여 색이 변화하는 pH분석 툴을 사용하고, 상기 냉매 사용 기기(10, 11) 또는 냉매 배관(9)의 이용 가능성에 대하여 보완적으로 판단을 행하는 제3 스텝
    을 더 구비하는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
KR1020047011577A 2002-02-08 2003-02-05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 KR100645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32831A JP3693023B2 (ja) 2002-02-08 2002-02-08 冷媒使用機器または冷媒配管の再利用可能性の判断方法
JP2002032832A JP2003240388A (ja) 2002-02-08 2002-02-08 既設配管の利用可能性の判断方法、および既設配管の利用可能性のチェックツール
JPJP-P-2002-00032831 2002-02-08
JPJP-P-2002-00032832 2002-02-08
PCT/JP2003/001205 WO2003067163A1 (fr) 2002-02-08 2003-02-05 Procede de determination de la capacite de recyclage d'un dispositif utilisant un frigorigene ou d'une tuyauterie a frigorigene, et outil de verification de la capacite de recyclage dudit dispositif ou de ladite tuyauter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300A KR20040086300A (ko) 2004-10-08
KR100645726B1 true KR100645726B1 (ko) 2006-11-14

Family

ID=2773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577A KR100645726B1 (ko) 2002-02-08 2003-02-05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76995B2 (ko)
EP (1) EP1473527A4 (ko)
KR (1) KR100645726B1 (ko)
CN (2) CN100575825C (ko)
AU (1) AU2003211464B2 (ko)
WO (1) WO20030671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2081B2 (ja) * 2013-11-12 2015-11-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内機
JP6690151B2 (ja) * 2015-08-03 2020-04-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判定装置
CN111122249A (zh) * 2019-12-06 2020-05-08 合肥通用机械研究院有限公司 高精度全自动取样测量制冷剂含油率装置及测量方法
CN114763951B (zh) * 2021-01-13 2024-01-05 约克(无锡)空调冷冻设备有限公司 一种检测装置及包括其的制冷系统
DE102021108216A1 (de) * 2021-03-31 2022-10-06 Ipetronik Gmbh & Co. Kg Kühl-System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8597A (en) * 1978-12-12 1981-02-03 Akzona Incorporated Time watch or depletion indicator for removable substances
US4923806A (en) * 1985-06-14 1990-05-08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igerant testing in a closed system
JPH02146588U (ko) 1989-05-12 1990-12-12
US6514765B1 (en) * 1995-04-17 2003-02-04 Mainstream Engineering Corporation Acid test kit and method of use
US5846833A (en) * 1997-01-17 1998-12-08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non-hydrocarbon refrigerant
US5831144A (en) * 1997-04-28 1998-11-03 Pastorello; John Refrigeration compressor oil testing process and apparatus
JPH11325621A (ja) * 1998-05-18 1999-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装置及び冷凍装置における既設配管利用方法
US6510698B2 (en) * 1999-05-20 2003-01-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of updating and operating the same
JP2001133566A (ja) 1999-11-01 2001-05-18 Idea Giken:Kk 生鮮食料品の賞味期限や医薬品等の有効期限などの期限を、化学物質の化学反応による色の変化や濃度、反応が進行する距離や面積で表示する方法
JP3704269B2 (ja) * 2000-02-14 2005-10-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油劣化判断装置を有する冷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7999A (zh) 2005-05-18
KR20040086300A (ko) 2004-10-08
CN100575825C (zh) 2009-12-30
US20050081606A1 (en) 2005-04-21
EP1473527A4 (en) 2015-04-29
WO2003067163A1 (fr) 2003-08-14
EP1473527A1 (en) 2004-11-03
US7076995B2 (en) 2006-07-18
CN2625892Y (zh) 2004-07-14
AU2003211464B2 (en) 2006-02-02
AU2003211464A1 (en)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0100B2 (ja) 多数の機械の流体工程を監視し分析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645726B1 (ko) 냉매 사용 기기 또는 냉매 배관의 재이용 가능성의 판단 방법
US52634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oil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simultaneously determining engine oil consumption and wear
US59642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oil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simultaneously determining engine oil consumption and wear
EP3026374B1 (en)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ing device
US63572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ushing a chiller system
JP3693023B2 (ja) 冷媒使用機器または冷媒配管の再利用可能性の判断方法
JP2003240388A (ja) 既設配管の利用可能性の判断方法、および既設配管の利用可能性のチェックツール
AU2004209934A1 (en) Refrigerant pipe washing method, air conditioner updating method, and air conditioner
KR101187752B1 (ko) 변압기 절연유의 성분분석용 시료 추출장치 및 방법
US5806329A (en) Air conditioner and washing operation thereof
WO2004008050A1 (ja) 冷凍装置
JP4425488B2 (ja) 冷凍・空調装置の施工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3329337A (ja) 冷凍装置の配管洗浄方法
US5678412A (en) Method for changing lubricant types in refrigeration or air conditioning machinery using lubricant overcharge
JPH10170504A (ja) 油中の汚染物質の測定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
JP3704608B2 (ja) 配管洗浄方法及び配管洗浄装置並びに冷凍機器
JP3700723B2 (ja) 冷凍装置
JP3600610B2 (ja) 冷暖房システムの洗浄装置
CN101634323A (zh) 用于过滤液体循环回路中液体的附加过滤器
WO201216453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enerating a refrigerant of a/c systems and for checking the lubricant content
CN1981945A (zh) 采煤机水循环系统除垢方法
Holdmeyer Fluid sampling
Ivan et al. Proactive approach to oil maintenance strategy
CN112857596A (zh) 一种带有快速清洁结构的油视镜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