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688B1 - 증착장치의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증발원 - Google Patents

증착장치의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증발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688B1
KR100645688B1 KR1020050080280A KR20050080280A KR100645688B1 KR 100645688 B1 KR100645688 B1 KR 100645688B1 KR 1020050080280 A KR1020050080280 A KR 1020050080280A KR 20050080280 A KR20050080280 A KR 20050080280A KR 100645688 B1 KR100645688 B1 KR 100645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rucible
pitch
heat
evaporation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재
강희철
김도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0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688B1/ko
Priority to TW095131095A priority patent/TWI349719B/zh
Priority to JP2006232615A priority patent/JP4454606B2/ja
Priority to US11/514,313 priority patent/US20070119849A1/en
Priority to CNA2006101277106A priority patent/CN1924080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0Deposi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on a substrate, e.g. epitaxial growth solid phase epitax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6Vacuum evaporation by resistance or inductive heating of the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4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착장치의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증발원에 관한 것으로, 도가니의 온도 균일도를 확보하여 기판에 증착되는 재료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여 소자의 수율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증발원에 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증착장치의 도가니를 가열시키기 위해 도가니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설치되는 판형의 히터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불균일한 피치로 굴절되어 형성되며, 상기 히터의 중앙부는 굴절을 생략하여 피치를 넓게 형성하고, 양측 가장자리부는 피치를 좁게 형성하는 히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발열체인 히터의 온도를 균일하게 분포시켜 히터의 중앙부와 가장자리부의 온도의 편차를 줄임과 동시에 증착재료의 증발을 균일화시켜 기판에 증착되는 재료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증발원, 증착장치, 도가니, 히터, 피치

Description

증착장치의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증발원{Heater and Vapor Deposition Source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증발원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도가니가 단독으로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히터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히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종래의 히터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히터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30 : 히터
본 발명은 증착장치의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증발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가니의 온도 균일도를 확보하여 기판에 증착되는 재료의 두께를 일정하 게 하여 소자의 수율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증발원에 대한 것이다.
기판에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진공증착법(Evaporation)과, 이온 플레이팅법(Ion-plation) 및 스퍼터링법(Sputtering)과 같은 물리증착법(PVD)과 가스반응에 의한 화학기상증착법(CVD)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나 유기전계발광소자 혹은 기타 광학코팅 등 많은 분야에서 진공증착법을 사용하여 박막(thin film)을 형성하고 있는데, 진공증착법을 이용하는 증발원으로 간접가열방식(또는 유도가열방식)의 증발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간접가열방식의 증발원은 도가니에 수용된 증착물질을 소정온도(예를 들면 Al의 경우 1200℃정도)로 가열하여 증착물질을 증발시키는 것으로, 보통 상기 도가니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구비되고, 가열된 도가니에서 방출되는 증착물질이 기판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노즐부를 구비한다.
그런데 간접가열방식의 경우 스퍼터링(Sputtering deposition)등의 경우에 비해 대면적의 증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면적 증착을 위하여 다수의 증발원을 선형으로 배치하거나, 선형의 증발원을 사용하기도 한다.
첨부한 도 1은 종래의 선형 증발원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직육면체형 도가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증발원(10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도가니(120)와, 이 도가니(120)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도시안함)와, 이 히터를 감싸는 단열 부와, 상기 도가니(120)와 연통되면서 증착물질을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노즐(140)이 구비된 노즐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가니(120)에서 증발된 증착물질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140)의 선단에는 증착물질의 열을 차단하기 위한 제1열차단판(180)이 설치되며, 이 제1열차단판(180)의 상부 및 하부에 하우징(110)의 외주면으로는 증착물질의 퍼짐과 복사열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제2열차단판(190)이 돌출되어 설치된다.
또한, 증발원(100)의 일측에는 상기 분사노즐(140)을 통해 분사된 증착물질의 증착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기(142)가 설치된다.
상기 도가니(120)는 하우징(100)에 내장되면서 최적의 수용공간을 갖기 위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140)은 기판내 성막 균일도를 확보하기 위해 임의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가니(120)는 증착물질이 수용되는 것으로, 이 도가니(120)를 가열하기 위해 도가니(120)의 주변에 히터가 배치되는데, 상기 히터는 필요에 따라 도가니(120)의 상면 및 하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면(面)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종래의 히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히터(130)는 직육면체 형상의 도가니(120)를 가열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한 폭과 높이 및 길이를 가지면서 최소한 도가니(120)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고, 필요에 따라 도가니(12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히터(130)에 전기를 인가시키기 위해 히터(130)에 접촉되는 전선 및, 이 전선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마련되며, 전원을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전원공급부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케이스(도시안함)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히터(13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피치(pitch)로 굴절되어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이러한 형상은 열전도 및 및 저항등을 고려하여 동일면적에 대해 최대한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일한 피치로 굴절되는 히터(130)의 경우, 상기 히터(130)에 외부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되는 과정에서 도가니(120)의 전체 부분에서 고른 발열이 일어나지 못하고 중앙부분의 발열량이 가장자리 부분보다 많게 됨에 의해 도가니의 중앙부분에서의 증발이 원활하게 되어 기판에 증착되는 두께의 균일도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가니의 중앙부위가 좌우측 단부보다 온도가 높게 되어 증착시 기판의 중앙부는 두껍게 증착되고 가장자리는 얇게 증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발열체인 히터의 온도를 균일하게 분포시켜 히터의 중앙부와 가장자리부의 온도의 편차를 줄임과 동시에 증착재료의 증발을 균일화시켜 기판에 증착되는 재료의 두께가 균일하게 되는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증발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증착장치의 도가니를 가열시키기 위해 도가니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설치되는 판형의 히터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불균일한 피치로 굴절되어 형성되며, 상기 히터의 중앙부는 굴절을 생략하여 피치를 넓게 형성하고, 양측 가장자리부는 피치를 좁게 형성하는 히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부의 피치(a)와, 가장자리부의 피치(b)의 비율은 a/b가 1.5~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터는 가장자리부에서 중앙부로 가면서 피치 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증발원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증착물질이 수용되는 도가니와, 상기 도가니를 가열하기 위해 도가니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설치되며, 중앙부는 굴절을 생략하여 피치를 넓게 형성하고, 양측 가장자리부는 피치를 좁게 형성하여 굴절되는 판형의 히터와, 상기 도가니에서 증발된 증착물질을 기판으로 분사하도록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노즐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증발원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상기 히터 (230)는 직육면체 형상의 도가니를 가열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한 폭과 높이 및 길이를 가지면서 최소한 도가니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고, 필요에 따라 도가니의 상면 및 하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면(面)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23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히터(230)에 전기를 인가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전원공급부(도시안함)에 의해 상기 도가니 내부의 충전된 물질을 가열시켜 증발하게 한다.
즉, 상기 히터(230)에서 발열되는 발열량이 히터(230) 전체에서 고른 분포를 가져야만 상기 도가니 내의 증착물질에 고른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되어 균일한 증발이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기판에 증착물질의 고른 증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통상 선형인 히터의 경우에는 길이방향으로 히터의 가운데 부분에서는 온도가 높고 양가장자리는 온도가 낮아지며 이러한 경향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온도차이가 더 커진다. 이것은 발열체인 히터의 양가장자리부분과 연결되어 있는 전극부분으로 열량이 빠져나가는 것이 주된 이유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형인 히터의 발열량이 가운데 부분보다는 양가장자리 부분에서 더 많이 나도록 하여 전체적인 온도의 균일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양가장자리의 온도를 증가시켜 일정한 균일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히터(23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절되는 피치(pitch) 간격을 일정하게 하지 않고, 불균일한 피치로 하여 히터(230)의 발열량이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서 더 많이 나도록 하여 전체적인 온도의 균일성을 확보하도 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히터(230)는 중앙부의 굴절을 생략하여 피치(a)를 넓게 형성하고, 양측 가장자리부는 피치(b)를 좁게 형성하는 형상으로 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부의 피치(a)와, 가장자리부의 피치(b)의 비율은 a/b가 1.5~5 인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되는 히터(230)의 재질과 특성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비율을 결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앙부의 피치(a)를 한 군데에만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의 히터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중앙부의 피치(a)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히터(230)는 히터(230)의 발열부위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도가니의 온도 균일도를 해결하고 증착되는 성막의 두께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히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시한 평면도로서, 상기 히터(330)는 가장자리부에서 중앙부로 가면서 피치 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즉,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중앙부로 가면서 피치 간격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중앙부의 피치(P1)가 가장 넓게 형성되고, 가장자리부의 피치(P3)가 가장 좁게 형성되어 피치(P1)> 피치(P2)> 피치(P3)로 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역시 히터(330)의 발열부위의 면적을 조절 함으로써 도가니의 온도 균일도를 해결하고 증착되는 성막의 두께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다.
첨부한 도 6은 종래의 히터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히터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피치를 가진 종래의 히터(130)의 경우 도가니의 최고온도(Tmax)가 1164℃이고, 최저온도(Tmin)가 1051℃로서 온도차이가 113℃이며 균일도가 5.1%인 반면, 중앙부의 피치(a)를 가장자리부의 피치(b)보다 넓게 형성한 본 발명의 경우, 최고 온도(Tmax)가 1125℃이고, 최저온도(Tmin)가 1060℃로서 온도차이가 65℃이며 균일도는 2.9%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히터(230)는 종래의 히터(130)에 비해 도가니의 최고, 최저 온도차이를 약 1/2로 줄어들게 하였으며, 균일도 역시 2.9%로 나타나서 매우 균일한 온도분포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히터는 온도 균일도에 있어서 월등한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증착재료의 증발을 균일화시켜 기판에 증착되는 재료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의 온도를 균일하게 분포시켜 히터의 중앙부와 가장자리부의 온도의 편차를 줄임과 동시에 증착재료의 증발을 균일화시켜 기판에 증착되는 재료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소자의 수율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증착장치의 도가니를 가열시키기 위해 도가니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설치되는 판형의 히터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불균일한 피치로 굴절되어 형성되며, 상기 히터의 중앙부는 굴절을 생략하여 피치를 넓게 형성하고, 양측 가장자리부는 피치를 좁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피치(a)와, 가장자리부의 피치(b)의 비율은 a/b가 1.5~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가장자리부에서 중앙부로 가면서 피치 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4.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증착물질이 수용되는 도가니;
    상기 도가니를 가열하기 위해 도가니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설치되며, 중앙부는 굴절을 생략하여 피치를 넓게 형성하고, 양측 가장 자리부는 피치를 좁게 형성하여 굴절되는 판형의 히터;
    상기 도가니에서 증발된 증착물질을 기판으로 분사하도록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노즐부;
    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증발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중앙부의 피치(a)와, 가장자리부의 피치(b)의 비율이 a/b가 1.5~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가장자리부에서 중앙부로 가면서 피치 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원.
KR1020050080280A 2005-08-30 2005-08-30 증착장치의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증발원 KR100645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280A KR100645688B1 (ko) 2005-08-30 2005-08-30 증착장치의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증발원
TW095131095A TWI349719B (en) 2005-08-30 2006-08-24 Heater and vapor deposition source having the same
JP2006232615A JP4454606B2 (ja) 2005-08-30 2006-08-29 蒸発源
US11/514,313 US20070119849A1 (en) 2005-08-30 2006-08-30 Heater and vapor deposition source having the same
CNA2006101277106A CN1924080A (zh) 2005-08-30 2006-08-30 加热器和具有该加热器的汽相沉积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280A KR100645688B1 (ko) 2005-08-30 2005-08-30 증착장치의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증발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688B1 true KR100645688B1 (ko) 2006-11-14

Family

ID=3765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280A KR100645688B1 (ko) 2005-08-30 2005-08-30 증착장치의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증발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19849A1 (ko)
JP (1) JP4454606B2 (ko)
KR (1) KR100645688B1 (ko)
CN (1) CN1924080A (ko)
TW (1) TWI349719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6247A1 (en) * 2006-08-04 2008-02-07 Soonchunhyang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Linear deposition sources for deposition processes
KR101106289B1 (ko) 2006-08-04 2012-01-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증착 공정을 위한 선형 증착 소스
KR101186609B1 (ko) * 2010-04-23 2012-09-27 (주)알파플러스 열복사 가열형 선형 증발원 장치
KR101209107B1 (ko) 2010-06-23 2012-12-06 (주)알파플러스 소스 튐 방지용 구조물을 구비한 증발원 장치
KR101255424B1 (ko) * 2008-12-24 2013-04-17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증착 장치 및 온도 조정 방법
CN103805954A (zh) * 2014-02-20 2014-05-21 江西沃格光电股份有限公司 磁控溅射镀膜系统
KR20200109603A (ko) *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박스형 선형 증발원용 도가니 및 선형 증발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430B1 (ko) * 2009-09-25 2012-06-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증착 소스 및 유기 발광 소자 제조 방법
KR101456657B1 (ko) * 2012-12-26 2014-11-04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증발원 가열 장치
KR101390413B1 (ko) * 2012-12-27 2014-04-30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증발원 가열 장치
KR101481094B1 (ko) * 2012-12-28 2015-01-14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증발원 가열 장치
KR102052074B1 (ko) * 2013-04-04 2019-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박막 형성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50004646A (ko) * 2013-07-03 2015-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원
ES2822273T3 (es) * 2014-09-05 2021-04-30 Jfe Steel Corp Chapa de acero inoxidable ferrítico laminada en frío
CN104404451A (zh) * 2014-12-16 2015-03-11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蒸镀源和蒸镀装置
MY190445A (en) * 2015-08-21 2022-04-21 Flisom Ag Homogeneous linear evaporation source
CN205443432U (zh) * 2016-04-07 2016-08-10 鄂尔多斯市源盛光电有限责任公司 一种线性蒸发源、蒸发源系统及蒸镀装置
EP3494243B1 (en) * 2016-08-05 2021-12-29 Flisom AG Homogeneous linear evaporation source with heater
CN109423631B (zh) * 2017-08-31 2020-09-01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气相沉积均匀加热装置及气相沉积炉
CN109423627B (zh) * 2017-08-31 2021-02-23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圆盘类零件一次性全表面气相沉积炉
CN108754429B (zh) * 2018-08-28 2020-1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蒸发源
KR102221552B1 (ko) * 2020-07-15 2021-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1696A (en) * 1943-07-17 1945-03-20 Cities Service Oil Co Helical electric immersion heater
US3289139A (en) * 1964-02-24 1966-11-29 Dale Electronics Film resistance unit
US3678249A (en) * 1970-10-21 1972-07-18 Arc O Vec Inc Heater element
DE2347090C3 (de) * 1973-09-19 1979-01-04 Hasco-Normalien Hasenclever & Co, 5880 Luedenscheid Anordnung eines Widerstands-Heizelements in einer Bohrung eines zu beheizenden Werkstücks
US3912908A (en) * 1974-11-12 1975-10-14 Us Energy Electric cartridge-type heater for producing a given non-uniform axial power distribution
JPS5591967A (en) * 1978-12-30 1980-07-11 Nippon Steel Corp One-side hot dipping method for steel strip
US4649368A (en) * 1985-06-03 1987-03-10 National Element, Inc. Electrical resistance heating element
JPH0529067A (ja) * 1991-07-25 1993-02-05 Rohm Co Ltd 加熱体の構造及びoa機器の加熱装置
US5412181A (en) * 1993-12-27 1995-05-02 The B. F. Goodrich Company Variable power density heating using stranded resistance wire
JPH09105677A (ja) * 1995-10-12 1997-04-22 Isuzu Ceramics Kenkyusho:Kk セラミックシース型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6259193B1 (en) * 1998-06-08 2001-07-10 General Electric Company Emissive filament and support structure
US20030221620A1 (en) * 2002-06-03 2003-12-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Vapor deposition device
KR100490537B1 (ko) * 2002-07-23 2005-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가열용기와 이를 이용한 증착장치
US7196295B2 (en) * 2003-11-21 2007-03-27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Two-wire layered heater system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6247A1 (en) * 2006-08-04 2008-02-07 Soonchunhyang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Linear deposition sources for deposition processes
KR101106289B1 (ko) 2006-08-04 2012-01-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증착 공정을 위한 선형 증착 소스
KR101255424B1 (ko) * 2008-12-24 2013-04-17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증착 장치 및 온도 조정 방법
KR101186609B1 (ko) * 2010-04-23 2012-09-27 (주)알파플러스 열복사 가열형 선형 증발원 장치
KR101209107B1 (ko) 2010-06-23 2012-12-06 (주)알파플러스 소스 튐 방지용 구조물을 구비한 증발원 장치
CN103805954A (zh) * 2014-02-20 2014-05-21 江西沃格光电股份有限公司 磁控溅射镀膜系统
CN103805954B (zh) * 2014-02-20 2016-01-13 江西沃格光电股份有限公司 磁控溅射镀膜系统
KR20200109603A (ko) *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박스형 선형 증발원용 도가니 및 선형 증발원
KR102227547B1 (ko) 2019-03-13 2021-03-15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박스형 선형 증발원용 도가니 및 선형 증발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19849A1 (en) 2007-05-31
JP2007063669A (ja) 2007-03-15
CN1924080A (zh) 2007-03-07
TWI349719B (en) 2011-10-01
TW200710268A (en) 2007-03-16
JP4454606B2 (ja) 201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688B1 (ko) 증착장치의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증발원
JP4440837B2 (ja) 蒸発源及びこれを採用した蒸着装置
KR101128267B1 (ko) 가스분사장치 및 이를 갖는 공정 챔버
KR100467805B1 (ko) 박막두께분포를 조절 가능한 선형 및 평면형 증발원
KR100703427B1 (ko) 증발원 및 이를 채용한 증착장치
KR101192951B1 (ko) 진공 증착 장치
US8557046B2 (en) Deposition source
KR20060081943A (ko) 대면적 유기박막 제작용 선형 다점 도가니 장치
KR19990010957A (ko) 플라즈마 발생부를 가지는 샤워헤드장치
CN104046961B (zh) 衬底支撑器以及包含所述衬底支撑器的衬底处理设备
US20090142489A1 (en) Linear deposition sources for deposition processes
JP7092577B2 (ja) 蒸発源及び蒸着装置
KR102201598B1 (ko) 혼합영역이 포함된 선형 증발원
KR100636509B1 (ko) 증착장치의 히터 및 이를 채용한 증발원
KR102080764B1 (ko) 리니어소스 및 그를 가지는 박막증착장치
KR20150034453A (ko) 슬릿 노즐이 구비된 선형 증발원
KR101982092B1 (ko) 증착 장비의 증발원 분배관의 히팅 장치
KR102136371B1 (ko) 리니어소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증착장치
KR102235339B1 (ko) 대면적용 선형 증발원
KR20130067086A (ko) 리니어 분사체 및 이를 포함하는 증착장치
KR101266584B1 (ko) 점증발원을 병렬연결한 대면적 증착 증발원
KR100645687B1 (ko) 진공증착장치의 도가니 및 이를 채용한 증발원
KR20190134155A (ko) 원료 물질 증발장치
KR20180125835A (ko) 증착 장비의 비히팅 영역을 갖는 증발원
KR20140119376A (ko) 히터 블럭을 갖는 증착 소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