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562B1 - 커넥터 터미널 - Google Patents

커넥터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562B1
KR100645562B1 KR1020050058070A KR20050058070A KR100645562B1 KR 100645562 B1 KR100645562 B1 KR 100645562B1 KR 1020050058070 A KR1020050058070 A KR 1020050058070A KR 20050058070 A KR20050058070 A KR 20050058070A KR 100645562 B1 KR100645562 B1 KR 100645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core wire
connector terminal
wir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욱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07Ultrasonic-, H.F.-, cold- or impact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융착을 통하여 배선과 연결하여 압착 연결보다 내구성 및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배선 연결을 이루며, 심선바렐의 외측면에는 지지돌기를 구성하여 배선과의 연결 시, 흩어진 심선 가닥을 모아주어 연결부의 미려함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배선이나 기타 전기, 전자 기기에는 전원을 연결하거나 신호선을 부품과 부품간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의 커넥터 터미널에 있어서, 커넥터의 플러그부에 연결되는 터미널부의 후방에 2개의 바렐 날개를 1조로 하여 형성되는 2조의 심선바렐부와; 상기 심선바렐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배선의 피복을 압착 고정하는 피복 압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터미널을 제공한다.
초음파 융착, 커넥터, 터미널, 배선, 심선바렐, 컨넥팅

Description

커넥터 터미널{A CONNECTOR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 터미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터미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터미널을 배선과 초음파 융착하기 위한 융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터미널과 배선의 단계별 연결 공정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터미널과 배선의 융착 후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초음파 발진기 2:컨버터
3:부스터 4:음파 전달봉
5:터미널부 6:심선바렐부
6a:제1심선바렐 6b:제2심선바렐
B:절곡부 7:피복 압착부
8:지지돌기 11:제1측부 가이더
13:수평 실린더 21:제2측부 가이더
23:승하강 실린더 29:리니어 모터의 고정자
31:상부 가이더
본 발명은 커넥터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 융착을 통하여 배선과 연결하여 압착 연결보다 내구성 및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배선 연결을 이루며, 심선바렐의 외측면에는 지지돌기를 구성하여 배선과의 연결 시, 흩어진 심선 가닥을 모아주어 연결부의 미려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커넥터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배선이나 기타 전기, 전자 기기에는 전원을 연결하거나 신호선을 부품과 부품간에 연결하는 용도로 커넥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크게 방수형과 비 방수형으로 나뉘고, 구성부품으로는 크게 나일론 재질의 하우징과 황동 또는 인청동 계열의 터미널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커넥터 터미널은 배선에 연결이 되어 전원과 신호를 전달하고 있는데, 배선과 터미널을 연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연결방식의 터미널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압착방식의 터미널(103)은 배선(101)과의 연결 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한가지 종류의 커넥터 터미널 사양에 적용되는 배선(101)의 심선 단면적 에 따라 압착부 심선바렐(105)의 길이가 다른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압착부 심선바렐(105)의 길이가 다름에 따라 정해진 성능(즉, 전압강하, 인장력 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압착폭과 압착고가 달라진다.
이와 같이, 압착폭과 압착고가 상이함에 따라 압착 금형의 형상이 틀려지고, 서로 다른 배선을 압착할 때마다 압착 설비에 금형을 교환 장착해 주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압착에 의한 연결은 배선과 터미널 연결부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하는 인자가 되며, 그 전기 전도성에 있어서도 100%의 성능을 얻어낼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음파 융착을 통하여 배선과 연결하여 압착 연결보다 내구성 및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배선 연결을 이루며, 심선바렐의 외측면에는 지지돌기를 구성하여 배선과의 연결 시, 흩어진 심선 가닥을 모아주어 연결부의 미려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커넥터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 터미널의 사양에 따른 종래 압착 설비 금형의 교환 등의 번거러움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커넥터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 터미널은 배선이나 기 타 전기, 전자 기기에는 전원을 연결하거나 신호선을 부품과 부품간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의 커넥터 터미널에 있어서, 커넥터의 플러그부에 연결되는 터미널부의 후방에 2개의 바렐 날개를 1조로 하여 형성되는 2조의 심선바렐부와; 상기 심선바렐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배선의 피복을 압착 고정하는 피복 압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조의 심선바렐부는 상기 터미널부에 인접하여 2개의 바렐 날개가 서로 벌여져 형성되는 제1심선바렐; 상기 피복 압착부에 인접하여 2개의 바렐 날개가 서로 벌여져 형성되는 제2심선바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선바렐부의 각 심선바렐 외측면에는 각각 하나씩의 지지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조의 심선바렐부는 초음파 융착기에 의해 배선의 심선과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심선바렐은 일정한 두께와 일정한 폭을 가지며, 각 내측을 향하여 심선을 모아주기 위한 절곡부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복 압착부는 상기 배선의 피복을 2부분으로 분할하여 감싸도록 2개의 반원형 날개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터미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터미널을 배선과 초음파 융착하기 위한 융착기의 사시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터미널은 기타 전기, 전자 기기에는 전원을 연결하거나 신호선을 부품과 부품간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플러그(미도시)와 결합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커넥터의 플러그부에 연결되는 터미널부(5)의 후방에 2개의 바렐 날개를 1조로 하여 2조의 심선바렐부(6)를 형성한다.
상기 2조의 심선바렐부(6)는 상기 터미널부(5)에 인접하여 2개의 바렐 날개가 서로 벌여져 형성되는 제1심선바렐(6a)과 후부의 피복 압착부(7)에 인접하여 2개의 바렐 날개가 서로 벌여져 형성되는 제2심선바렐(6b)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바렐 날개, 즉 제1,제2심선바렐(6a,6b)은 일정한 두께와 일정한 폭을 가지며, 각 내측을 향하여 심선을 모아주기 위한 절곡부(B)를 가지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2조의 심선바렐부(6)의 각 심선바렐(6a,6b) 외측면에는 각각 하나씩의 지지돌기(8)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2조의 심선바렐부(6)는 초음파 융착기에 의해 배선의 심선과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심선바렐부(6)의 단부에는 배선의 피복을 압착 고정하는 피복 압착부(7)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피복 압착부(7)는 상기 배선의 피복을 2부분으로 분할하여 감싸도록 2개의 반원형 날개(7a,7b)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터미널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초음파 융착기에 의해 배선과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합되는데, 상기 초음파 융착기의 구성은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진기(1), 컨버터(2) 및 부스터(3)를 구비하며, 초음파을 대상물에 전달하는 음파 전달봉(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음파 전달봉(4)의 상부 일측에는 제1측부 가이더(11)가 배치되며, 이 제1측부 가이더(11)는 그 후단이 수평 실린더(13)의 작동로드(15) 선단에 장착되어 수평 실린더(13)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음파 전달봉(4)의 상부면을 따라 좌우측으로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 실린더(13)는 작업실 바닥면에 브라켓(17)을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측부 가이더(11)에 대응하여 상기 음파 전달봉(4)의 반대측(도면에서 오른쪽) 측부에는 제2측부 가이더(21)가 배치되며, 이 제2측부 가이더(21)는 그 하단이 승하강 실린더(23)의 작동로드(25) 선단에 장착되어 승하강 실린더(23)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음파 전달봉(4)의 측면을 따라 승하강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 실린더(23)는 작업실 바닥면에 브라켓(27)을 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2측부 가이더(21)의 상부에는 홈을 갖는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2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측부 가이더(21)의 고정자(29)에 형성되는 홈에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자로 이루어지는 상부 가이더(31)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자(29)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넥터 터미널을 상기 초음파 융착기를 이용하여 배선과 연결하는 과정을 도 4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터미널(5)은 그 후부 2개소에 제1,제2심선바렐(6a,6b)과 피복 압착부(7)를 일체형으로 상기 각 심선바렐(6a,6b)의 외측면에는 지지돌기(8)가 구성된다.
즉, 상기 커넥터 터미널(5)의 심선바렐부(6)를 음파 전달봉(4)의 상부면 일측에 먼저, 안착시키고, 상기 심선바렐부(6) 사이에는 배선의 심선(9)을 배치해 둔다.(S10)
이 때, 상기 도 4의 S10의 도면에서와 같이, 오른쪽의 심선바렐부(6)는 제2측부 가이더(21)에 밀착시켜 지지돌기(8)에 의해 일부 내측으로 접히도록 한 상태로 안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상기 초음파 융착기의 수평 실린더(13)를 전진 구동시켜 제1측부 가이더(11)에 의해 심선(9)이 심선바렐부(6) 내측으로 모이도록 한다. 동시에 상기 초음파 융착기의 리니어 모터의 가동자로 이루어지는 상부 가이더(31)도 상기 제1측부 가이더(11) 측으로 전진 구동시켜 상호 접촉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S20)
이 때, 상기 도 4의 S20의 도면에서와 같이, 왼쪽의 심선바렐부(6)는 제1측부 가이더(11)의 이동에 따라 지지돌기(8)에 의해 지지되어 일부 내측으로 접히게 되며, 이에 따라 오른쪽 심선바렐부(6)과 함께, 심선(9)을 내측으로 모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어서, 상기 초음파 융착기의 승하강 실린더(23)를 후진 구동시켜 제2측부 가이더(21)와 함께, 상부 가이더(31)를 하강시켜 상기 심선바렐부(6)와 심선(9)을 음파 전달봉(4)의 상부면에 대하여 동시에 압착하게 된다.(S30)
이 때, 상기 양측 심선바렐부(6)은 상호 겹쳐지면서, 내부의 심선(9)을 완전히 덮개 되며, 계속해서 압착력이 제공된 상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초음파 발진기(1)가 발진하여 고전압을 출력하면, 이를 컨버터(2)와 부스터(3)를 통해 증폭시켜 상기 음파 전달봉(4)을 통하여 상기 심선바렐부(6)와 심선(9)에 초음파를 전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심선바렐부(6)와 심선(9)이 상호 용착되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이다.(S40)
이 때, 상기 융착부(P)의 형상은 초음파 융착이 용이한 사각의 납작한 형태로 형성되며, 융착부(P)의 두께는 커넥터 터미널부(5)의 단자부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배선(41)과 융착되는 커넥터 터미널부(5)은, 도 5에서와 같이, 융착 후, 2개소의 심선바렐부(6)에 의해 배선(41)의 삐침을 방지하고 흩어진 심선(9)을 모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터미널에 의하면, 초음파 융착을 통하여 배선과 연결하여 압착 연결보다 내구성 및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배선 연결을 이루며, 심선바렐의 외측면에는 지지돌기를 구성하여 배선과의 연결 시, 흩어진 심선 가닥을 모아주어 연결부의 미려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 터미널의 사양에 따른 종래 압착 설비 금형의 교환 등의 번거러움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여 배선 및 터미널의 종류에 따라 관리하던 종래 압착용 금형을 교체하지 않고도 다양한 사양을 소화할 수 있어 금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배선이나 기타 전기, 전자 기기에는 전원을 연결하거나 신호선을 부품과 부품간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의 커넥터 터미널에 있어서,
    커넥터의 플러그부에 연결되는 터미널부의 후방에 2개의 바렐 날개를 1조로 하여 형성되는 2조의 심선바렐부와;
    상기 심선바렐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배선의 피복을 압착 고정하는 피복 압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터미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조의 심선바렐부는
    상기 터미널부에 인접하여 2개의 바렐 날개가 서로 벌여져 형성되는 제1심선바렐;
    상기 피복 압착부에 인접하여 2개의 바렐 날개가 서로 벌여져 형성되는 제2심선바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터미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조의 심선바렐부의 각 바렐 날개 외측면에는 각각 하나씩의 지지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터미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조의 심선바렐부는 초음파 융착기에 의해 배선의 심선과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터미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심선바렐은
    일정한 두께와 일정한 폭을 가지며, 각 내측을 향하여 심선을 모아주기 위한 절곡부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터미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압착부는 상기 배선의 피복을 2부분으로 분할하여 감싸도록 2개의 반원형 날개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터미널.
KR1020050058070A 2005-06-30 2005-06-30 커넥터 터미널 KR100645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070A KR100645562B1 (ko) 2005-06-30 2005-06-30 커넥터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070A KR100645562B1 (ko) 2005-06-30 2005-06-30 커넥터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562B1 true KR100645562B1 (ko) 2006-11-14

Family

ID=37654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070A KR100645562B1 (ko) 2005-06-30 2005-06-30 커넥터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5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156B1 (ko) * 2007-12-05 2010-03-30 주식회사 오토닉스 연선배선용 소켓 핀 접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156B1 (ko) * 2007-12-05 2010-03-30 주식회사 오토닉스 연선배선용 소켓 핀 접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6204B2 (en) Wire connecting method and wiring harness
CN102640361A (zh) 用于插接连接装置的电触头
KR20180106946A (ko) 콘택 캐리어, 전기 콘택 유닛 및 기성품 케이블을 생성하는 방법
US5888088A (en) Electrical connection construction of electrical connection box
JP2020187997A (ja) 接続装置およびコネクタ
JP2017112031A (ja) コネクタ
KR100645562B1 (ko) 커넥터 터미널
CN205122790U (zh) 电连接器
KR20100083413A (ko) 버스바조립체
JP2014164897A (ja) 端子付き電線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09123451A (ja) 電線と端子のスポット溶接方法
CN112018543B (zh) 带端子的电线及线束
JP7359571B2 (ja) 端子付き電線、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11869010B (zh) 用于产生电连接和机械连接的缆线组件及方法
KR102153025B1 (ko)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그 연결방법 및 연결장치
KR100982942B1 (ko) 커넥터
JP6933821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N216794041U (zh) 电线接头结构
JP4106312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217607091U (zh) 一体式连接端子
JPH0487274A (ja) ワイヤハーネスの相互接続構造、接続方法および接続用装置
JP2018160360A (ja) コネクタ
KR101256460B1 (ko) 난방필름용 압착단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1131949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94889A (ko) 연성평면케이블 부스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