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349B1 -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349B1
KR100644349B1 KR1020040006103A KR20040006103A KR100644349B1 KR 100644349 B1 KR100644349 B1 KR 100644349B1 KR 1020040006103 A KR1020040006103 A KR 1020040006103A KR 20040006103 A KR20040006103 A KR 20040006103A KR 100644349 B1 KR100644349 B1 KR 100644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race
movable body
do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8009A (ko
Inventor
김형옥
Original Assignee
김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옥 filed Critical 김형옥
Priority to KR1020040006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349B1/ko
Publication of KR20050078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KRACING; RIDING SPORTS;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A63K1/00Race-courses; Race-tracks
    • A63K1/02Race-courses; Race-tracks for greyhounds or other do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KRACING; RIDING SPORTS;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A63K3/00Equipment or accessories for racing or riding sports

Landscapes

  • Toy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경견(競犬)들의 레이스를 위한 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간단한 동력전달 구조로 원활하게 레이스를 유도할 수 있으며, 제작 및 유지보수 등이 용이한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는, 레이스를 위한 영역을 구획하는 가이드레일과, 레이스 유도를 위한 더미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더미를 이동시키는 유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장치는, 이동체와, 이 이동체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원과, 상기 이동체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직접 전달받아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로울러들과,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경견(競犬), 이동식 트랙, 가이드레일, 레이스 유도장치, 더미(dummy), 로울러, 이동체, 구동원, 모터, 제어수단, 전기공급유니트, 제어유니트, 원격제어, 구동력 향상, 동력전달 효율 향상, 제작 및 유지보수성 향상

Description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track assembly for dog-ra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셋팅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의 가이드레일 및 유도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1의 유도장치가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유도장치가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의 유도장치 구동을 위한 전기 공급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견(競 犬)들의 레이스 영역을 제공함은 물론이거니와 간단한 동력전달 구조로 레이스를 유도할 수 있으며, 제작 및 유지보수 등이 용이한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견(愛犬) 문화 및 인구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견주는 물론이거니와 애견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스포츠 중의 하나로 경견(競犬)이 점차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애견 레이스는 주로 일정한 거리의 레이스 영역이 제공될 수 있는 공터나 운동장 등에 경견용 트랙을 설치하여 이 트랙을 따라 애견들이 레이스를 하는 것이며, 이때, 상기 트랙은 레이스 영역을 구획함과 아울러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견용 트랙의 일반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경주견들의 레이스 영역을 구획하는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들을 따라 이동하면서 경주견들의 레이스를 유도하는 유도장치와, 이 유도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장치와, 이 구동장치의 동력을 상기 유도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원형 또는 사각 파이프들로 이루어지고 이들 단부들이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다수개가 제작되며 원형 또는 타원 모양으로 연결되어 일정한 거리의 구획된 레이스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도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들에 의해 구획된 영역을 따라 경주견들의 레이스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가이드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 레이스 영역에 설치된 구동장치 즉, 모터와 같은 구동원 의 회전축에 와인딩이 가능하게 설치된 와이어와 같은 동력전달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원이 구동하여 와이어를 감게되면 이 와이어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에 가이드되면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유도장치에는 경주견들의 시각적 호기심을 유발하기 위한 토끼나 여우와 같은 동물 등을 형상화한 미끼 즉, 더미(dummy)가 설치되어 상기 유도장치의 이동시 더미가 함께 이동하면서 경주견들이 더미를 따라 레이스를 펼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는 유도장치는 이동 속도는 경주견들의 최대 레이스 속도보다 빠른 대략 70Km/h 이상으로 셋팅되어야만 원할한 레이스 유도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경견용 트랙은 상기 유도장치가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구동원에 의해 와인딩 동작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즉, 와이어에 의한 간접 동력전달구조로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동력전달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동력전달을 위해 상기 와이어를 상기 가이드레일들에 각각 고정하여야 하므로 트랙의 셋팅 및 해체가 어렵고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며, 그 구조상 과다한 동력 손실이 발생되어 만족할 만한 동력전달 효율을 얻기가 어렵다.
게다가, 상기 와이어가 와인딩될 때에 물리적인 마찰이 유발되어 쉽게 끊어질 뿐만 아니라 구동원 등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잦은 유지보수는 물론이거니와 과다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동원의 동력이 와이어의 와인딩 동작에 의해 유도장치에 전달되는 동력전달 구조로는 상기 유도장치가 경주견들의 최대 레이스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하기가 어려우므로 원활한 레이스 유도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스 유도를 위한 동력전달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어가 용이하고 더욱 향상된 동력전달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레이스를 위한 영역을 구획하는 가이드레일과, 레이스 유도를 위한 더미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더미를 이동시키는 유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장치는, 이동체와, 이 이동체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원과, 상기 이동체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직접 전달받아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로울러들과,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는, 레이스 영역을 구획하는 가이드레일(2)들과, 회전 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2) 구간을 따라 직접 이동하면서 레이스 유도를 위한 더미(C)를 이동시키는 유도장치(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레일(2)들이 도 1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연결되어 타원 모양으로 구획된 레이스 영역을 제공하는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은 금속이나 합성수지와 같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경량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레이스 영역의 셋팅이 가능하도록 직선 또는 곡선 구간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다수개가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레일(2)이 도 3에서와 같이 원형 모양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도 2에서와 같이 2개의 레일이 이격되어 1조로 이루어지며, 이들 가이드레일(2) 사이에는 도면에서와 같은 연결판(6)이 결합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연결판(6)은 상기와 같이 2개가 1조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레일(2)에 물리적인 외력이나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도 휘거나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의 양측단부는 도 1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연결될 때에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들면, 끼움 결합 또는 볼트나 핀과 같은 체결부재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이거니와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을 셋팅할 때에는 지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가이드레일(2)의 고정은 도 4에서와 같이 예를들 면, 상기 연결판(6)에 도면에서와 같은 지주(8)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연결된 가이드레일(2)에는 경견들의 레이스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장치(4)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유도장치(4)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도장치(4)는, 레이스 유도하기 위한 더미(C)가 설치되는 이동체(10)와, 이 이동체(10)를 상기 가이드레일(2)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동력을 직접 전달받아서 상기 가이드레일(2)을 따라 이동시키는 로울러(12)들과, 이 로울러(12)들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원(14)과, 이 구동원(14)의 구동을 제어하는 수단(1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체(10)가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박스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이동체(1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격된 2개의 가이드레일(2)을 감쌀 수 있는 크기 범위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이동체(10)의 일측면에는 내부 공간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예를들면, 미닫이 또는 여닫이 형태의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1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이 관통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영역이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이동체(10)의 이동시 상기 가이드레일(2)을 지면에 고정하는 지주(8)와 접촉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체(10)에는 레이스 유도를 위해 예를들면, 토끼나 여우와 같은 동물들을 형성화한 더미(C, dummy)가 설치되는데,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체(10)에서 상기 가이드레일(2)에 의해 형성되는 레이스 영역을 향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로드(18)에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로드(18)는 상기 이동체(10)에서 탈부착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더미(C)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예를들면, 다수개의 로드가 길이 방향으로 접혀지면서 길이가 변화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울러(12)는 상기 이동체(10) 내부에서 이격된 2개의 가이드레일(2)에 대응하는 자세로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체(10) 내부에 설치된 고정판(20)에서 상부 가이드레일(2)의 상측에 활주 가능한 상태로 2개의 상부 로울러(12)가 고정되고, 하부 가이드레일(2)의 하측에 활주 가능한 상태로 1개의 하부 로울러(12)가 고정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로울러(12)들의 외주면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의 원주면 대응하는 가이드홈(22)이 파여져서 이 홈(22)에 의해 상기 로울러(12)들이 상기 가이드레일(2) 원주면에 접촉됨과 아울러 도 6에서와 같은 자세로 걸려져서 상기 이동체(10)가 상기 가이드레일(2)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는 예를들면, 브라켓트나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로울러(12)와 가이드레일(2)의 접촉력에 의해 이 가이드레일(2)에서 탈선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체(10)를 이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22)은 상기 가이드레일(2)의 원주면에 접촉할 때에 직선의 레이스 구간은 물론이거니와 곡선의 레이스 구간을 통과할 때에도 마찰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범위내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로울러(12)는 상기 이동체(10)가 상기 가이드레일(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원(14)과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원(14)이 상기 이동체(10) 내부의 고정판(20)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상부측 2개의 로울러(12)에 대응하여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구동원(14)은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모터의 출력축이 상기 고정판(20)을 관통하고 이 축에 상기 로울러(12)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원(14)의 회전 동력이 상기 로울러(12)에 전달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2개의 구동원(14) 즉, 모터는 동일한 회전수가 출력되도록 셋팅된다.
상기와 같은 동력전달 구조는 별도의 동력 전달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구동원(14)의 회전력이 상기 로울러(12)들에 직접 전달되므로 동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향상된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구동원(14)이 상부측 가이드레일(2)에 대응하는 2개의 로울러 (12)에만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하부측 가이드레일(2)에 대응하는 로울러(12)에 상기와 같은 동력전달 구조로 설치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이동체(10) 내부에는 상기 로울러(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16)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원(14)에 회전동력 발생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유니트(24)와, 이 전기공급유니트(24)의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유니트(26)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전기공급유니트(24)는 일정량의 전기가 충전되는 충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체(10) 내부에서 상기 고정판(20)에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충전지는 1회 충전된 전기로 상기 이송체(10)가 가이드레일(2)에 의해 형성되는 트랙을 적어도 한 바퀴 이상 이동 할 수 있는 용량 범위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유니트(26)는 상기 전기공급유니트(24)에서 상기 구동원(14)에 공급되는 전기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체(10) 내부의 전기공급유니트(24)와 구동원(14)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전기공급선(W)에 연결되어 전기를 차단 또는 인가 가능하게 제어하는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어유니트(26)는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전기공급선(W)의 접지부에서 전기공급 경로를 단락시키거나 연결하는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같은 스위칭 동작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체(10) 외부에서 리모콘(R) 등으로 원격 제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유니트(26)의 스위칭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구조는 예를들면, 상기 리모콘(R)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유니트(26)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센서(S)를 설치하여 상기 리모콘(R)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S)에 의해 상기 제어유니트(26)가 스위칭 동작되면서 상기 구동원(14)에 전기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원격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격 제어구조는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전기공급유니트(24)가 상기 이동체(10) 내부에서 한정된 충전 전기로 상기 구동원(14)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 이동체(10)에서 상기 전기공급유니트(24) 즉, 충전지를 분리하여 별도의 충전 등을 행하지 않고 상기 구동원(14) 또는 전기공급유니트(24)에 지속적으로 전기가 공급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 공급구조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에 전기 공급을 위한 접지판(28)을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2)에 의해 형성되는 레이스 구간에 대응하는 무한궤도 형태의 전기공급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체(10) 측에는 상기 접지판(28)에 전기의 인가가 가능하게 접촉하는 접지아암(30)이 도면에서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판(28)은 전기 전도가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레이스 영역에 인접한 위치에 별도의 전기공급유니트를 설치하여 이 유니트로부터 전기 공급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가 흐르도록 셋팅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아암(30)은 상기 접지판(28)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이동체(10)의 정지 또는 이동 상태에서 물리적인 진동이나 충격 등이 발생되어도 상기 접지판(28)에 전기 인가가 가능한 접지 자세가 되도록 예를들면, 상기 접지판(28) 측을 향하여 일정한 탄성이 발휘되도록 셋팅됨과 아울러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접지아암(30)에 도면에서와 같은 모양의 접지로울러(32)를 설치하여 상기 이동체(10)의 정지 상태는 물론이거니와 이동시에도 접지 영역에 일체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고 원활하게 접지될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 공급 구조는 상기 유도장치(4)의 구동을 위한 전기의 공급이 특정 용량에 한정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상기 전기공급유니트(24)에 공급되므로 더욱 향상된 작동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접지아암(30)이 상기 전기공급유니트(24)에 연결되고, 이 유니트(24)를 통해서 상기 구동원(14)에 전기가 공급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접지아암(30)이 상기 구동원(14) 측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접지판(28)을 흐르는 전기가 상기 구동원(14)에 공급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접지아암(30)과 구동원(14) 사이에 제어유니트(26)가 설치되어 전기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셋팅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는 레이스 영역을 구획하는 가이드레일(2)에 설치되어 레이스 유도하는 유도장치(4)의 내부 영역에서 구동을 위한 전기가 공급됨은 물론이거니와 구동원(14)에 의해 직접 구동하는 구조이므로 간단한 동력전달 및 전기공급 구조로 최적의 레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 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는 경견들의 레이스 영역을 제공함은 물론이거니와 레이스 구간을 따라 이동하는 유도장치에 의해 원활하게 레이스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 유도장치는 구동원의 동력이 별도의 동력전달부재를 거치지 않고 이동을 위한 로울러들에 전달되는 직접 동력전달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력전달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더욱 향상된 구동력을 얻을 수 있으며, 제작 및 유지보수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유도장치는 구동원과 이 구동원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이 일체로 설치된 단일의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장치의 크기를 대폭 줄이 수 있으며,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더욱 향상된 운반 및 이동성 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장치는 내부 영역에 설치되는 제어수단은 리모콘 등과 같은 송신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더욱 향상된 조작 및 작동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레이스를 위한 영역을 구획하면서 위아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상부 가이드레일 및 하부 가이드레일과,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 및 하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더미를 이동시키면서 레이스를 유도하기 위한 이동체와,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의 상측에 활주 가능하게 위치하는 상부 로울러와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 하측에 활주 가능하게 위치하는 하부 로울러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들과 각각 걸림 상태로 접촉하면서 이 레일들을 따라 상기 이동체를 이동 가능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로울러 또는 하부 로울러가 모터로부터 동력을 직접 전달받아서 상기 각 가이드레일과 걸림 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로울러들과,
    충전지로부터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기를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공급 또는 차단하면서 상기 로울러들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레일은, 직선 및 곡선의 레이스 구간을 가지며 다수개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유한 또는 무한궤도 형태의 레이스 구간을 형성하는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로울러는,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 및 하부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걸림 접촉 상태로 2개 이상이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40006103A 2004-01-30 2004-01-30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 KR100644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103A KR100644349B1 (ko) 2004-01-30 2004-01-30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103A KR100644349B1 (ko) 2004-01-30 2004-01-30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880U Division KR200351672Y1 (ko) 2004-02-16 2004-02-16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009A KR20050078009A (ko) 2005-08-04
KR100644349B1 true KR100644349B1 (ko) 2006-11-13

Family

ID=3726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103A KR100644349B1 (ko) 2004-01-30 2004-01-30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3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0694A (en) 1980-04-18 1981-07-28 Trickel Lorn L Race track lure speed control assembly
EP0640366A1 (en) 1993-03-23 1995-03-01 James Ryan A lure device
KR20040061036A (ko) * 2001-12-14 2004-07-06 엑손모빌 리서치 앤드 엔지니어링 컴퍼니 자기장 공정을 이용하여 합금 입자를 정련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0694A (en) 1980-04-18 1981-07-28 Trickel Lorn L Race track lure speed control assembly
EP0640366A1 (en) 1993-03-23 1995-03-01 James Ryan A lure device
KR20040061036A (ko) * 2001-12-14 2004-07-06 엑손모빌 리서치 앤드 엔지니어링 컴퍼니 자기장 공정을 이용하여 합금 입자를 정련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06103 - 61384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009A (ko) 200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6241B2 (en) Controlled motion system
US103554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ce and frost removal from power lines
TWI602720B (zh) 用於運輸系統之驅動系統
KR101355103B1 (ko) 가공배전선 고정용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SE0900759A1 (sv) Ett för ett elektriskt framdrivbart fordon anpassat system
RU2499118C2 (ru) Система привода для ворот
US9732490B2 (en) Snow removal brush, vehicle, combination vehicle, and track transportation system
KR100644349B1 (ko)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
KR200351672Y1 (ko) 경견용 트랙 어셈블리
KR101300728B1 (ko) 자주식 타겟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격훈련시스템
CN202319963U (zh) 刚性接触网可断开式汇流排接头装置中的导向机构
JPH01141185A (ja) 鉄骨構造物用走行装置
AU2006267852B2 (en) A propulsion mechanism
KR20150029909A (ko) 케이블 포설장치
KR100985159B1 (ko) 흡인식 모형 자기 부상 열차 장치
CN102390289A (zh) 一种可滑动式汇流排接头
KR20180063024A (ko) 전력공급 장치
KR20160116843A (ko) 다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이동로봇
CA2210649C (en) Roll-up crowd gate
JP4301407B2 (ja) 線材・円筒状部材用自動走行ロボット
US20040083985A1 (en) Free-reign walking machine for training animals along a defined training course
KR102127472B1 (ko) 마그네트 자동 도어장치
CN112556745A (zh) 一种室内巡检装置
CN102514646B (zh) 机器蛇绳的摩擦驱动装置及其机器蛇绳
CN220797366U (zh) 一种滑动接触供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