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537B1 -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537B1
KR100643537B1 KR1020040093099A KR20040093099A KR100643537B1 KR 100643537 B1 KR100643537 B1 KR 100643537B1 KR 1020040093099 A KR1020040093099 A KR 1020040093099A KR 20040093099 A KR20040093099 A KR 20040093099A KR 100643537 B1 KR100643537 B1 KR 100643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breathalyzer
c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413A (ko
Inventor
이창주
Original Assignee
(주)엠씨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씨페이 filed Critical (주)엠씨페이
Priority to KR102004009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537B1/ko
Publication of KR20060053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53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리운전자가 배포한 음주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리운전자를 호출하는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결합되는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 송신하고, 그 송신에 응답하여 피드백되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상기 단말기 표시부상에 표시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호출정보를 가지는 단말기와 통화 요청하는 대리운전자 호출모듈과;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상기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발행한 가맹사의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측으로 피드백시키는 호출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대리운전, 음주 측정기, 호출.

Description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SYSTEM FOR CALLING A PROXY DRI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 및 정보 흐름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음주 측정기와 대리운전 이용자 통신 단말기의 결합상태 예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음주 측정기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대리운전 이용자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는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의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이동 통신 사업자망내의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대리운전 이용자 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표시 예시도.
본 발명은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리운전자가 배포한 음주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리운전자를 호출하는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망사고는 연간 약 2만 5천여건에 달하며 그로 인한 사 망자 수는 약 1000여명, 부상자수는 약 4만명에 이른다고 한 연구조사기관은 보고하고 있으며, 음주운전으로 인해 낭비되는 사회적 비용 역시 연간 약 2100억 여원에 이른다고 한다.
이와 같이 인적, 물적 피해를 양산하는 음주운전으로부터 개인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오프라인상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 대리운전자 이용이다. 대리운전자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대리운전자를 호출하기 위한 정보를 소지하거나 암기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평소 대리운전자를 이용한 경험이 없는 사람이라면 음주 현장에서 용이하게 대리운전자를 호출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음주운전을 하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한다.
한편 음주 자가 진단기 등이 보급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진단기 역시 순수하게 혈중알콜농도만을 측정하도록 고안되어 있기 때문에 음주자 측면에서 보면 자가 진단 결과에 따라 대리운전자를 호출하기 위한 정보를 소지 혹은 암기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정보 없이도 편리하게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획득하여 호출할 수 있는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음주측정이 가능함은 물론 그 측정결과에 따라 대리운전자를 편리하게 호출할 수 있는 음주측정기를 이용한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결합되는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 송신하고, 그 송신에 응답하여 피드백되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상기 단말기 표시부상에 표시하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호출정보를 가지는 단말기와 통화 요청하는 대리운전자 호출모듈과;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상기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발행한 가맹사의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측으로 피드백시키는 호출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은,
대리운전자 호출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한 메뉴 표시부와;
상기 단말기에 결합된 음주 측정기로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를 수신하기 위한 식별정보 액세스부와;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메뉴의 선택이 있으면 상기 수신된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상기 호출정보 제공 서버로 무선 송신하여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요청하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요청부와;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피드백되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수신부와;
표시된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화 요청하는 통화 요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대리운전자 호출 모듈은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액세스하여 호출정보 제공서버로 전송하여 주고 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피드백 받음으로서, 단말기 사용자는 편리하게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획득하여 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은,
음주 측정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대리운전자 호출요청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받기 위한 대리운전자 호출요청정보 수신부와;
수신된 음주 측정기 식별정보를 호출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요청부와;
상기 음주 측정기 식별정보 전송에 응답하여 피드백되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송신부와;
통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대리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간 음성 통화 채널을 형성하여 주는 음성 채널 형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 역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주 측정기 식별정보를 지정된 호출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그에 대응하는 대리운전자 호출 정보를 피드백받고 이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줌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편리하게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획득하여 통화 요청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은,
내장된 음주측정센서를 통해 감지된 혈중알콜농도와 저장된 식별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주 측정기와;
결합된 상기 음주 측정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 송신하고, 그 송신에 응답하여 피드백되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표시부상에 표시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호출정보를 가지는 단말기와 통화 요청하는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이 탑재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대리운전자 호출정보의 피드백 전송을 요청하고, 피드백 전송된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 통신사 서버와;
상기 이동 통신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발행한 가맹사의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이동 통신사 서버측으로 피드백시키는 호출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도 사용자는 음주 측정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혈중알콜농도를 자가 진단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진단 결과에 따라 대리운전자를 편리하게 호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 및 정보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음주 측정기(100)와 대리운전 이용자 통신 단말기(200)의 결합상태를,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음주 측정기(100)의 블록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대리운전 이용자 통신 단말기(200)에 설치되는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의 구성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이동 통신 사업자망(300)내의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주 측정기(100)는 내장된 음주측정센서를 통해 음주자, 즉 대리운전 이용자의 혈중알콜농도를 측정하여 결합된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출력하거나, 내부 정보 저장부(150)에 저장된 식별정보(제품번호에 해당)를 결합된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출력하여 준다. 이러한 음주 측정기(100)는 대리운전자에 의해 오프라인상에서 배포되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그 상세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2를 참조해 보면, 음주 측정기(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형성되어 있는 24핀 인터페이스 커넥터(210)에 결합 가능한 인터페이스부(110)가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 상부면에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키 조작부(120)와 음주측정 흡입구(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상부면에는 동작 상태 혹은 음주측정을 지시하기 위한 표시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외관을 가지는 음주 측정기(10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부연 설 명하면,
우선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형성되어 있는 24핀 인터페이스 커넥터(210)에 결합 가능한 인터페이스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영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부(110)는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와 혈중알콜농도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인터페이스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10)는 시리얼 인터페이스부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음주 측정기 자체를 USB 디바이스로 사용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부를 추가 포함할 수도 있다.
음주 측정부(130)는 케이스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음주측정 흡입구를 포함하며 그 음주측정 흡입구내에는 혈중알콜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음주측정센서가 내장된다.
제어부(140)는 음주 측정기(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내부에 구비한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상기 음주측정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혈중알콜농도로 환산하여 출력하거나 후술할 정보 저장부(150)에 저장된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출력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제어부(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계층부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원(API)을 원격 제어하는 외부 단말기 제원 제어계층부, 정보 저장부(150)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정보 저장부 제어 계층부 및 혈중알콜농도 환산 제어 계층부로 계층화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저장부(150)는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 즉 제품번호를 저장한다. 이러한 정보 저장부(150)는 후술할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을 다운받기 위해 필요한 컨텐츠 제공 사이트의 접속정보(URL)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사이트 접속정보는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되어 해당 사이트로의 다이렉트 접속을 요청하는데 이용되는 정보이다. 이에 사용자는 번거로운 키 조작 없이 상기 사이트로부터 용이하게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을 다운받을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해 보면, 대리운전 이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결합된 상기 음주 측정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 송신하고, 그 송신에 응답하여 피드백되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표시부상에 표시하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호출정보를 가지는 단말기와 통화 요청'하는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이 탑재된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및 PDA 등을 포괄한다.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메뉴 표시부(211)는 대리운전자 호출메뉴를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하여 준다. 이러한 메뉴의 일예가 도 6의 (a)에 도시되어 있다. 즉,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은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가진단, 대리호출, 진단조회, 도움말 등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 액세스부(21)는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결합된 음주 측정기(100)로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를 수신받는 역할을 하며,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요청부(213)는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메뉴의 선택이 있으면 상기 수신된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상기 호출정보 제공 서버로 전달되도 록 무선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대리운전자 호출모듈(210)의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수신부(214)는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피드백되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여 주며, 대리 운전자 통화 요청부(215)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된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를 요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모듈(210)은 상기 메뉴 표시부(211)에 의해 표시되는 음주 자가진단 메뉴의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음주 측정기(100)로 혈중알콜농도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혈중알콜농도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표시부상에 표시하여 주는 혈중알콜농도 표시부(21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해 보면, 이동 통신 사업자망(300)내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서버와, 왑(WAP) 게이트웨이(G/W) 및 상기 컨텐츠 서버를 통해 서비스 가능한 컨텐츠들을 다운로드하여 주기 위한 다운로드 서버 등이 포함된다. 상기 컨텐츠 서버는 이동 통신사가 운영하는 포탈 사이트로서 이동 통신사 서버로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사 서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음주 측정기(100)의 식별정보를 후술할 호출정보 제공 서버(400)로 전송하여 대리운전자 호출정보의 피드백 전송을 요청하고, 그로부터 피드백 전송되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준다.
한편 호출정보 제공서버(400)는 이동 통신 사업자망(300)내의 이동 통신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주 측정기(100)의 식별정보를 발행한 가맹사의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이동 통신사 서버측으로 피드백하여 준다. 이러한 호출정보 제공서버(400)는 가맹사별로 음주 측정기(100)의 식별정보들과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들이 맵핑되어 있는 테이블들을 구비하고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호출정보 제공서버(400)를 이동 통신 사업자망(300)내에 구비하여 이동 통신사가 직접 대리운전자의 호출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을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함으로서 다양한 실시예의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를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는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부(DB)와; 이동 통신 사업자망(300)내에 위치하는 호출정보 제공서버(400)를 포함하도록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은 우선적으로 단말기(200) 사용자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 설치될 것을 요한다. 이러한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은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통신 사업자망내에 위치하는 호출정보 제공서버(400)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만약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이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호출모듈을 실행시키면, 메뉴 표시부(211)에 의해 단말기(200) 표시부상에는 도 6의 (a)와 같은 메뉴가 표시된다. 이러한 메뉴상에서 대리 호출을 선택하면 식별정보 액세스부(212)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결합된 음주 측정기(100)로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 요청에 응답하는 음주 측정기(1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그러면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요청부(213)는 수신된 음주 측정기(100)의 식별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동 통신 사업자망(300)내의 호출정보 제공서버(400)로 무선 송신한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사업자망(300)내의 호출정보 제공서버(400)는 수신된 음주 측정기(100)의 식별정보를 발행한 가맹점의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측으로 피드백 전송함으로서, 단말기(200)내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수신부(214)는 상기 호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상에 표시하여 준다. 이에 대리운전 이용자는 통화 요청을 지시하게 되고 그 지시에 따라 대리운전자 통화 요청부(215)는 이동 통신 사업자망(300)으로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전송하여 그 호출정보를 가지는 단말기(500)와의 통화를 요청한다. 이러한 통화 요청에 대리운전자가 응답하면 대리운전 이용자와 대리운전자 양자간의 단말기(200,500) 사이에는 음성통화 채널이 형성되어 통화 가능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음주자인 대리운전 이용자는 별도의 대리운전자 호출정보의 암기 내지는 소지 없이도 편리하게 대리운전자와 통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 통신 사업자망(300)내에 위치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200)와 호출정보 제공서버(400) 사이에서 이들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동하는 시스템이다.
우선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이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음주 측정기(100)를 결합한 상태에서 대리운전 이용자가 도 6의 (a)와 같은 표시 메뉴에서 대 리 호출을 선택하면, 음주 측정기(100)내의 식별정보는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에 의해 액세스되어 이동 통신 사업자망(300)으로 전송된다. 그러면 이동 통신 사업자망(300)내의 대리운전자 호출요청정보 수신부(311)는 이를 수신하여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요청부(312)로 건네 준다. 그러면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요청부(312)는 상기 수신된 음주 측정기(100) 식별정보를 외부에 위치하는 호출정보 제공 서버(400)로 전송하여 줌으로서, 호출정보 제공서버(400)는 수신된 음주 측정기(100)의 식별정보를 발행한 가맹점의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독출하여 다시 이동 통신 사업자망(300)으로 피드백시켠 준다.
이에 이동 통신 사업자망(300)내의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수신부(313)는 피드백되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수신하여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송신부(314)로 건네 주고, 그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송신부(314)는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줌으로서, 단말기(200)내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은 수신된 대리운전자의 호출정보를 표시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리운전 이용자는 통화 요청을 지시하게 되고 그 지시에 따라 대리운전자 통화 요청부(215)는 이동 통신 사업자망(300)으로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전송하여 그 호출정보를 가지는 단말기(500)와의 통화를 요청한다. 이러한 통화 요청에 응답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망(300)에서는 대리운전자의 단말기(500)를 호출하게 되고 그 호출에 응답이 있으면, 음성 채널 형성부(315)는 대리운전 이용자와 대리운전자의 단말기(200,500) 사이에 음성통화 채널을 형성하여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서도 음주자인 대리운전 이용자는 별도의 대리운전자 호출정보의 암기 내지는 소지 없이도 편리하게 대리운전자와 통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음주자는 음주 측정기(100)릍 통해 자신의 혈중알콜농도를 체크하여 볼 수 있다. 이러한 혈중알콜농도는 단말기(200) 표시부상에 표시 가능하며, 혈중알콜농도에 따라 음주운전 가능여부 및 위험정도를 함께 표시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발행한 가맹사의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측으로 피드백시켰으나,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와 일대일 매칭되어 있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독출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측으로 피드백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리운전자 측면에서 보면 간단한 음주 측정기의 배포만으로 자신의 호출정보를 광고하여 영업이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통신사 입장에서도 역시 대리운전자의 호출정보 요청과 대리운전 호출에 따른 영업이익이 새로이 창출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해서 일반인들은 별도의 정보 없이도 편리하게 대리운전자와 통화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대리운전 이용에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대리운전 이용률을 높여 음주운전으로 인한 인적, 물적 손실을 최소화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Claims (8)

  1. 이동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설치 가능한 모듈로서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결합되는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 송신하고, 그 송신에 응답하여 피드백되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상기 단말기 표시부상에 표시하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호출정보를 가지는 단말기와 통화 요청하는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을 이동 통신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발행한 가맹사의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독출하여 다시 이동 통신 단말기 측으로 피드백시키는 호출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은,
    대리운전자 호출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한 메뉴 표시부와;
    상기 단말기에 결합된 음주 측정기로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를 수신받기 위한 음주 측정기 식별정보 액세스부와;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메뉴의 선택이 있으면 상기 수신된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상기 호출정보 제공 서버로 무선 송신하여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요청하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요청부와;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피드백되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수신부와;
    표시된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화 요청하는 통화 요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뉴 표시부는 음주 자가진단 메뉴를 더 표시하고,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 모듈은 상기 음주 자가진단 메뉴 선택시 상기 음주 측정기로 혈중알콜농도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혈중알콜농도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혈중알콜농도 표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5. 음주 측정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대리운전자 호출요청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받기 위한 대리운전자 호출요청정보 수신부와;
    수신된 음주 측정기 식별정보를 호출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요청부와;
    상기 음주 측정기 식별정보 전송에 응답하여 피드백되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대리운전자 호출정보 송신부와;
    통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대리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간 음성 통화 채널을 형성하여 주는 음성 채널 형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망내의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6. 내장된 음주측정센서를 통해 감지된 혈중알콜농도와 저장된 식별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주 측정기와;
    결합된 상기 음주 측정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 송신하고, 그 송신에 응답하여 피드백되는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표시부상에 표시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호출정보를 가지는 단말기와 통화 요청하는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이 탑재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대리운전자 호출정보의 피드백 전송을 요청하고, 피드백 전송된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 통신사 서버와;
    상기 이동 통신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를 발행한 가맹사의 대리운전자 호출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이동 통신사 서버측으로 피드백시키는 호출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음주 측정기는,
    내장된 음주측정센서와 케이스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음주측정 흡입구를 포함하는 음주 측정부와;
    상기 음주 측정기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음주측정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혈중알콜농도로 환산하고 그 값과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식별정보 및 혈중알콜농도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에는 상기 대리운전자 호출모듈을 다운받기 위해 필요한 컨텐츠 제공 사이트의 접속정보(URL)를 더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KR1020040093099A 2004-11-15 2004-11-15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KR100643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099A KR100643537B1 (ko) 2004-11-15 2004-11-15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099A KR100643537B1 (ko) 2004-11-15 2004-11-15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413A KR20060053413A (ko) 2006-05-22
KR100643537B1 true KR100643537B1 (ko) 2006-11-10

Family

ID=3715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099A KR100643537B1 (ko) 2004-11-15 2004-11-15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636B1 (ko) * 2010-03-23 2010-11-11 이경순 사용자가 대리운전 기사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146B1 (ko) * 2009-06-30 2010-07-05 (주)엔아이디에스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과 액정화면을 이용하는 음주측정기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20110116914A (ko) * 2010-04-20 2011-10-26 (주)투윈소프트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938A (ko) * 2003-08-13 2003-09-29 박희근 운전서비스시스템 및 운전서비스 제공방법
KR20040028078A (ko) * 2002-09-28 2004-04-03 주식회사 케이티 음주측정 기능을 갖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자동호출 방법
KR20050090696A (ko) * 2004-03-09 2005-09-14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알콜 농도에 따른 이동체 제어 장치및 그 방법
KR20050120430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주상태 자동통보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및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주상태를 자동으로 통보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078A (ko) * 2002-09-28 2004-04-03 주식회사 케이티 음주측정 기능을 갖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자동호출 방법
KR20030076938A (ko) * 2003-08-13 2003-09-29 박희근 운전서비스시스템 및 운전서비스 제공방법
KR20050090696A (ko) * 2004-03-09 2005-09-14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알콜 농도에 따른 이동체 제어 장치및 그 방법
KR20050120430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주상태 자동통보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및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주상태를 자동으로 통보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636B1 (ko) * 2010-03-23 2010-11-11 이경순 사용자가 대리운전 기사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1118955A2 (ko) * 2010-03-23 2011-09-29 Lee Kyung Soon 사용자가 대리운전 기사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1118955A3 (ko) * 2010-03-23 2012-03-01 Lee Kyung Soon 사용자가 대리운전 기사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413A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9226B2 (en) Weighing device and method
JP5071536B2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955002B1 (ko) 스마트카드웹서버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US20140335905A1 (en)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blood alcohol level by using a mobile device susch as a phone, tablet or laptop
CN105595838A (zh) 饮水机、电子装置和饮水提醒系统
TW200642309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between devices having different capabilities
WO2003054654A2 (en) Location-based novelty index value and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JP2007229315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送受信装置、データ管理サーバおよびデータ管理方法
US6799035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sending a wireless directional signal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CN103067588A (zh) 在移动终端显示和分享实时地图的系统及方法
JP2006134174A5 (ko)
JP2014149829A (ja) ヘルプ情報を検出及び表示するための方法、医療用機器、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及びシステム
JP2007140775A (ja) 測定器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健康管理システム
KR10087966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43537B1 (ko)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EP1093073A1 (en) Stress control system
KR100614750B1 (ko) 애완견의 감정을 알려주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110116914A (ko)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39623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156203B1 (ko) 적외선 센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센싱방법
KR20010035476A (ko) 바이오센서 내장형 웹패드를 이용한 원격 건강진단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60086638A (ko) 무선망에서 유비 쿼터스 컴퓨팅 실현을 위한 유비에이전트 방법 및 시스템
KR100618471B1 (ko) 체중계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385717Y1 (ko) 개인 휴대용 단말기로의 전송기능을 가진 신장/체중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JP7008315B2 (ja) サーバ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