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914A -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914A
KR20110116914A KR1020100036586A KR20100036586A KR20110116914A KR 20110116914 A KR20110116914 A KR 20110116914A KR 1020100036586 A KR1020100036586 A KR 1020100036586A KR 20100036586 A KR20100036586 A KR 20100036586A KR 20110116914 A KR20110116914 A KR 20110116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rogate
call
proxy
surrogate ope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훈
이한우
Original Assignee
(주)투윈소프트
김봉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투윈소프트, 김봉훈 filed Critical (주)투윈소프트
Priority to KR1020100036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6914A/ko
Publication of KR20110116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 정보가 사전 등록되어 대리운전 호출을 원하는 고객 정보 입력만으로 대리운전 호출이 가능하고, 고객의 전화번호 노출 없이 대리운전 호출이 가능한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장치는 식당, 주점, 편의점 등 매장 내에 고객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으며, 대리운전 관리 서버 및 대리기사 단말과 유/무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으로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 Call System Of Designate Driv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 정보가 사전 등록되어 대리운전 호출을 원하는 고객 정보 입력만으로 대리운전 호출이 가능하고, 고객의 전화번호 노출 없이 대리운전 호출이 가능한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장치는 식당, 주점, 편의점 등 매장 내에 고객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으며, 대리운전 관리 서버 및 대리기사 단말과 유/무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으로 적용될 수 있다.
자동차 보급이 증가하고 음주 운전 단속이 강화되면서 대리 운전 시장의 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리 운전은 고객이 이동 전화를 통해 특정 대리 운전 업체에 전화를 걸어 자신의 위치정보와 전화번호 정보를 알리게 되고, 대리 운전 업체는 상기 고객의 위치정보에 가까이 위치한 대리운전 기사가 상기 고객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고객이 있는 위치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대리 운전 호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대리 운전 호출 방식은 고객이 특정 대리운전 업체에 전화를 걸어야하므로 대리운전 업체 전화번호를 모를 경우 114 등을 통해 우회적으로 대리운전 업체 전화번호를 획득하여 전화하여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객이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야하므로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숙지하지 못할 경우 대리기사가 상기 고객의 위치를 찾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객이 자신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대리기사 업체에 전화를 걸어야 하므로 전화번호가 대리운전 업체에 노출되어 대리운전 업체로부터 고객이 원치않는 광고메세지가 수신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 정보가 사전 등록되어 대리운전 호출을 원하는 고객 정보 입력만으로 대리운전 호출이 가능하고, 고객의 전화번호 노출 없이 대리운전 호출이 가능한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은 음주 측정 기능을 제공하고, 고객으로부터 대리운전 호출을 입력받고 상기 고객의 호출정보와 식별코드 또는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와 상기 전송된 고객의 호출정보와 호출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대리운전 수락요청을 대리기사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대리운전 수락요청에 대한 수락신호를 전송한 대리기사 단말에 대리기사 운전을 허여하는 대리운전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는 체내 혈중 알콜농도를 측정하는 음주 측정부와 대리운전 호출을 위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키입력부와 고객으로부터 입력된 호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와 현재의 위치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호출정보와 위치정보를 대리운전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와 음주 측정 및 대리운전 호출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대리운전 비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 처리부는 신용카드 결제 또는 휴대폰 결제 중 하나를 선택받아 결제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신용카드 결제가 선택된 경우 신용카드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된 이용자의 신용카드 정보와 대리운전 금액정보를 신용카드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휴대폰 결제가 선택된 경우 휴대폰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된 고객의 휴대폰 번호와 대리운전 금액정보를 이동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장치에 개별적으로 부여된 전화번호인 대표번호로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는 상기 호출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상기 대표번호인 경우 대리운전을 수락한 대리기사 단말에 상기 대표번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호출 정보 중 고객의 전화번호에 대한 가상 번호를 부여하는 가상 번호 발급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는 상기 호출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가상번호인 경우 대리운전을 수락한 대리기사 단말로 상기 가상 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고객의 전화번호와 발급된 가상 번호를 이동 통신망에 전송하여 상기 대리기사 단말이 가상 번호로 호 발신시 상기 이동 통신망이 고객의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수행하여 고객의 전화번호 누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매장에 설치되고,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의 데이터 통신부와 연결되어 대리운전 접수 정보 또는 대리기사 도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는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로부터 호출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에 특정 대리운전 기사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수신된 호출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대리기사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관리부와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고, 상기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대리기사 단말로 전송하고, 특정 대리기사 단말로부터 대리운전 수락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와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 정보, 대리기사 정보, 대리운전 호출 정보, 호출 통계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 관리부는 설치된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를 관리하는 호출장치 관리모듈과 등록된 대리기사 단말을 관리하고, 상기 대리기사 단말로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대리기사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대리기사 관리모듈은 상기 대리기사 단말로부터 대리기사의 위치정보(GPS)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GPS)를 맵 상에 표시하여 대리기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대리기사 위치관리 모듈과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대리기사 단말만을 추출하여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전송하고, 대리운전 수락 신호가 수신된 특정 대리기사 단말에 대리운전을 허여하는 대리기사 매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대리기사 매칭모듈은 2 이상의 대리기사로부터 대리운전 수락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대리기사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대리운전을 허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리기사 단말은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자신의 위치정보를 위성으로 수신하여 관리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지그비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대리기사 단말이 지그비 센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는 위치 정보가 사전 등록되어 대리운전 호출을 원하는 고객 정보 입력만으로 대리운전 호출이 가능하고, 현금 지불 이외에 신용카드 결제 및 휴대폰 결제를 지원하여 고객의 편의성을 높이고, 고객의 전화번호 노출 없이 대리운전 호출이 가능하므로 고객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a는 도 1의 호출 장치의 상세 블럭도이고, 도 2b는 도 1의 대리운전 관리 서버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3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대리운전 호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리운전 호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리기사 매칭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신용카드 결제를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휴대폰 결제를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번호를 이용한 대리기사 호 연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a는 도 1의 호출 장치의 상세 블럭도이고, 도 2b는 도 1의 대리운전 관리 서버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은 음주 측정 기능을 제공하고, 고객으로부터 대리운전 호출을 입력받고 상기 고객의 호출정보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10)와 상기 전송된 고객의 호출정보와 호출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대리운전 수락요청을 대리기사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대리운전 수락요청에 대한 수락신호를 전송한 대리기사 단말에 대리기사 운전을 허여하는 대리운전 관리 서버(20) 및 상기 대리운전 수락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수락신호를 전송하는 대리기사 단말(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10)는 체내 혈중 알콜농도를 측정하는 음주 측정부(110)와 대리운전 호출을 위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키입력부(120)와 고객으로부터 입력된 호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130)와 현재의 위치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부(150)와 대리운전 비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처리부(140) 및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70)와 대리운전 호출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음주 측정부(110)는 사람이 내쉬는 숨(날 숨)의 알코올 농도를 측정해 혈액에 포함된 알코올의 양인 혈중 알콜 농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알콜 센서가 내장된 통상의 휴대용 음주 측정기가 장치에 임베디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음주 측정부(110)는 통상의 음주 측정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음주 측정기의 구체적인 구성 및 원리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일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음주를 한 사람은 자신이 음주 단속 범위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객관적으로 알 수 없기 때문에 대리운전 호출 여부에 대해 고민을 할 수밖에 없지만, 본 발명과 같이 장치 내에 음주 측정부가 구비될 경우 대리운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주 측정부(110)가 경찰 등의 유관기관으로부터 인증된 음주 측정기가 설치될 경우 음주 측정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120)는 대리운전 호출을 위한 키 데이터를 입력받는 역할을 담당하고, 통상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키패드나 키보드 형태 또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130)는 고객으로부터 상기 키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대리 운전 관리 서버(20)로 전송하고, 상기 대리 운전 관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부(130)는 이동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대리 운전 관리 서버(20)를 통해 지정된 대리기사와 이동 통신망(50)을 통해 호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의 전화번호가 대리운전 업체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대리운전 호출 장치가 설치되는 지역의 위치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위치정보는 GPS좌표, 주소 등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이면 무엇이나 가능하다.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150)를 통해 장치가 설치되는 지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면 고객의 대리기사 호출시 별도로 위치정보를 입력할 필요없이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위치정보가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고객의 호출정보와 함께 대리 운전 관리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150)는 GPS모듈이 내장되어 장치가 설치되는 지역의 위치정보를 직접 측정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으나, 장치는 특정 지역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장치의 식별코드만을 저장 관리하고, 대리운전 서버에 상기 장치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20)에 장치의 식별코드에 대응된 위치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경우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150)는 고객의 호출정보와 함께 장치의 식별번호만 대리 운전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제 처리부(140)는 고객의 대리운전 비용의 결제 수단으로 휴대폰 결제 또는 신용카드 결제를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고객이 대리운전 호출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공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장치의 각 부를 제어하고,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대리운전 호출을 위한 환경 설정 및 대리운전 호출을 위한 각종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는 장치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는 장치 주변의 상황을 상시 감시 및 녹화하여 장치가 설치된 지역 뿐만 아니라, 장치에 대한 비상 상황 발생시 녹화된 영상을 재생하여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대리호출 장치는 특정 지역이나 매장 내의 감시 카메라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의 음주 측정부(110)는 경찰 등의 유관기관으로부터 인증된 음주 측정기가 설치될 수 있으며, 고객의 상기 음주 측정부를 통한 측정 기록과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고객의 영상을 매핑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이 음주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결과가 단속범위 이하여서 자가 운전을 수행하였으나, 경찰이 소지한 음주 측정기의 오차로 인해 단속범위를 초과한 경우 상기 장치를 이용한 고객의 음주 측정 기록을 활용하여 단속에 대한 소명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음주측정 및 대리운전 호출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뿐만 아니라, 각종 광고를 출력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는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경찰청 등이 제작한 공익 광고뿐만 아니라, 장치가 설치된 지역이나 매장의 광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대리운전 호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20)는 매장의 포스(POS) 화면, 내부에 설치되는 TV, 컴퓨터 모니터 등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60)와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장은 식당, 주점 등 음주가 가능한 모든 시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를 통해, 대리운전 호출을 한 고객이 매장 내의 자리에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60)를 통해 대리기사가 도착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대리기사를 기다릴 필요가 없으므로 고객의 편의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60)가 POS, 컴퓨터 단말 등 고객이 볼 수 없고 매장의 관리자만이 볼 수 있는 경우 특정 고객에 대한 대리기사가 도착했음을 확인하여 상기 특정 고객에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20)는 인터페이스부(220), 시스템 관리부(230), 데이터 통신부(210) 및 데이터 베이스(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20)는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10)로부터 호출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에 특정 대리운전 기사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관리부(230)는 수신된 호출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대리기사 단말로 멀티캐스팅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관리부(230)는 설치된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10)를 관리하는 호출장치 관리모듈과 등록된 대리기사 단말을 관리하고, 상기 대리기사 단말로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대리기사 관리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호출장치 관리모듈은 특정 지역에 설치된 호출장치의 식별코드, 위치정보, 대표번호 등 호출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대리기사 관리모듈은 상기 대리기사 단말로부터 대리기사의 위치정보(GPS)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GPS)를 맵 상에 표시하여 대리기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대리기사 위치관리 모듈과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대리기사 단말만을 추출하여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전송하고, 대리운전 수락 신호가 수신된 특정 대리기사 단말에 대리운전을 허여하는 대리기사 매칭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된 범위는 임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위치정보로부터 확인된 호출장치의 위치로부터 반경 300m가 범위로 설정되었을 경우 상기 호출장치로부터 반경 300m내에 위치한 대리기사 단말에게만 상기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리기사 매칭모듈은 2 이상의 대리기사로부터 대리운전 수락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대리기사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대리운전을 허여하거나, 고객으로부터 요청조건이 입력된 경우 요청조건을 만족하는 순서대로 우선권을 부여하여 대리운전을 허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여성 운전자여서 고객의 호출 정보에 "여성 운전자 지정"이 포함될 경우, 대리운전 관리 서버의 대리기사 매칭모듈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대리기사 정보와 상기 대리기사 위치관리 모듈을 통해 획득된 대리기사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설정된 범위 이내에 여성 대리기사가 위치하고 상기 여성 대리기사가 대리운전 수락 신호를 전송한 경우, 남성 대리기사가 더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서 대리운전 수락 신호를 전송했다 하더라도 상기 여성 대리기사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대리운전을 허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210)는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10), 결제 서버(신용카드 서버 또는 이동 통신망), 대리기사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를 담당하고, 특히 상기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대리기사 단말로 전송하고, 특정 대리기사 단말로부터 대리운전 수락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240)는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 정보(호출장치 식별코드, 설치위치, 대표번호 등), 대리기사 정보(성별, 나이대, 경력 등), 대리기사 단말 정보(단말 식별코드, 단말 전화번호 등), 대리운전 호출 정보, 호출 통계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대리기사 단말(30)은 대리기사가 소지하는 단말로, 자신의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GPS 모듈과 상기 위치정보 전송 및 대리운전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리운전 서버(20)와 대리기사 단말(30)과의 통신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지그비 통신 등을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대리기사 단말(30)이 센서 네트워크를 형성할 경우 대리기사 단말은 근거리에 위치한 대리기사 단말과 소규모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소규모 네트워크 사이에 통신을 수행하여 대리기사 단말과 대리운전 서버 사이에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대리기사 단말의 통신모듈은 지그비 모듈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대리운전 호출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리운전 호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음주 측정기 이용을 원할 경우 음주 측정부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고객의 음주 측정 결과인 혈중 알콜 농도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한다. 이를 통해 고객이 대리운전을 호출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음주 측정 결과 혈중 알콜 농도가 음주운전 단속 범위에 해당할 경우 자동으로 대리운전 호출 메뉴로 넘어가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고객이 대리운전 호출을 원할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이 제공하는 대리운전 호출 메뉴를 선택하고 고객 정보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고객은 키입력부를 통해 대리운전 호출을 위한 호출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호출 정보는 목적지 정보, 고객의 휴대전화 번호, 희망 가격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희망 가격 또는/및 요청 조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요청 조건은 성별, 나이대별, 경력별 등 대리기사를 세부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만일, 고객이 자신의 휴대전화 번호가 노출되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경우를 위해 데이터 통신부에 이동 통신 모듈이 장착될 수 있으며, 장치에 하나의 전화번호(대표번호)가 부여될 수 있으며, 고객의 전화번호 대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대표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고객이 호출정보 입력을 완료할 경우 호출정보를 전송하면, 위치관리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정보와 상기 호출정보가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대리운전 관리 서버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호출정보는 대리운전 서버와 연동된 콜 센터를 통해 대리운전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콜 센터는 통화원이 직접 상기 대리운전 서버에 호출 정보를 전송하는 유인 콜센터 또는 서버에서 자동으로 호출정보를 대리운전 서버로 전송하는 무인 콜센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무인 콜센터는 상기 대리운전 서버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호출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가 대리운전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경우 호출장치의 상기 호출정보와 호출장치의 식별코드만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는 상기 호출정보와 위치정보(또는 호출장치 식별코드)가 수신되면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대리기사가 소지한 단말에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멀티스트림으로 전송한다.
특정 대리기사가 자신의 대리기사 단말을 통해 상기 대리기사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통해 고객의 목적지와 희망가격, 대리기사 요청조건(대리기사 성별, 경력, 나이대 등),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에 대리운전 수락을 전송하면 대리운전 서버는 대리운전을 허여하고 고객의 전화번호 또는 대표번호를 상기 대리기사에게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리기사 매칭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의 대리기사 위치관리 모듈은 대리기사 단말로부터 위치정보(GPS)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GPS)를 GIS 맵으로 변환하여 맵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대리기사 매칭모듈이 맵 지도 상에 호출장치의 위치로부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대리기사 단말만을 추출하여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호출장치로부터 지나치게 먼거리에 위치하는 대리기사가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함으로써 고객의 대리운전 대기 시간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고객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대리기사로부터 동시에 대리운전 수락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대리기사 매칭모듈은 2 이상의 대리기사 중 상기 호출장치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대리기사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대리운전을 허여할 수 있다.
또한, 고객으로부터 대리기사 요청사항(예를 들어, 성별, 나이대, 경력 등)이 있는 경우 상기 대리기사 매칭모듈은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대리기사 중 상기 고객의 대리기사 요청사항을 만족하는 대리기사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대리운전을 허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대리기사가 지정되면,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는 대리운전 호출이 완료되었음을 대리운전 호출 장치로 전송하고 고객이 휴대폰 또는 신용카드 결제를 원할 경우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6은 신용카드 결제를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신용카드 결제가 선택된 경우 결제 처리부는 신용카드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고객으로부터 신용카드 번호와 패스워드(신용카드 정보)를 입력받는다(S11). 여기서, 안심결제를 위한 공인인증 절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용카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결제 처리부는 입력된 신용카드 정보와 결제 금액(대리운전 금액)을 신용카드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S12)하고,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는 신용카드 번호와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대리운전 비용에 대한 결제를 처리(S13)한다.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는 상기 결제 처리부를 통해 결제 완료 정보를 전송(S14)하여 결제 처리가 완료된다.
결체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는 상기 대리운전 비용을 대리운전 업체가 지정한 계좌로 송금하여 대리운전 비용 송금을 완료한다.
도 7은 휴대폰 결제를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폰 결제가 선택된 경우 결제 처리부가 휴대폰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고객으로부터 휴대폰 번호를 입력(S21)받는다.
휴대폰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결제 처리부는 입력된 휴대폰 번호와 결제 금액(대리운전 금액)을 이동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S22)하고,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는 결제 요청에 따라 인증번호를 생성(S23)하여, 상기 휴대폰 번호로 인증번호를 전송(S24)한다.
고객은 자신의 휴대폰에 전송된 인증번호를 키입력부를 통해 대리운전 호출 장치에 입력(S25)하여 결제 처리부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 처리부는 수신된 인증번호를 이동통신사 서버로 전송(S26)하고, 이동통신사 서버는 생성된 인증번호와 전송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대리운전 금액에 대한 결제를 처리(S27)한다.
이어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는 결제 처리부가 지정한 계좌로 대리운전 금액을 송금(S28)하여 절차를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고객의 전화번호 또는 대표번호를 수신한 대리기사는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로 가서 상기 고객의 전화번호 또는 대표번호로 전화를 걸어 고객과 통화하여 고객을 확인하여 대리운전을 수행한다.
또한, 도 8과 같이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가상번호 발생모듈을 구비하여 고객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가상번호를 발급하여 고객의 전화번호 대신 대리운전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가상번호 발생모듈을 통해 발생된 가상번호와 고객의 전화번호를 이동통신망에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은 고객의 전화번호에 매핑하여 상기 가상번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이동통신망은 대리기사로부터 가상번호로 호 발신이 있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에 저장된 가상번호에 대응되는 고객의 전화번호로 호 착신을 수행하여 대리기사 또는 대리운전 관리 서버에는 고객의 전화번호가 노출되지 않고 고객의 단말로 호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를 통한 광고 송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는 광고 송출을 제어하는 광고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고 관리 서버는 광고주로부터 광고 요청을 접수받아 관리하는 광고 접수 관리모듈과 상기 접수된 광고를 편성하고, 편성된 광고의 송출 스케줄을 제어하는 스케줄러 모듈과 송출될 광고를 저장 관리하는 광고 컨텐츠 저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는 음주 운전의 위험성을 숙지하기 위해 경찰청 등 유관기관에서 제작된 공익 광고와 특정 업체나 상품 및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한 상업적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업적 광고는 장치가 설치되는 지역에 인근한 업체의 광고 또는 장치가 설치되는 매장의 광고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광고는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송출되고, 제어부는 음주 측정 또는 대리 운전 호출 메뉴가 활성화될 경우 상기 송출되는 광고를 차단하고 인터페이스 화면을 송출하거나, 디스플레이 창을 구분하여 상기 송출되는 광고와 동시에 인터페이스 화면이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러 모듈은 지역과 관계없이 송출가능한 광고와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정보를 토대로 지역 기반 광고를 구분하여 광고를 편성할 수 있으며, 지역에 따라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마다 다른 광고가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광고주가 희망하는 시간대에 광고를 배치하여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관리 서버는 대리운전 관리 서버에 기능이 통합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 110 : 음주 측정부
120 : 키 입력부 130 : 데이터 통신부
140 : 결제 처리부 150 : 위치 정보 관리부
160 : 제어부 170 : 디스플레이부

Claims (25)

  1. 음주 측정 기능을 제공하고, 고객으로부터 대리운전 호출을 입력받고 상기 고객의 호출정보와 식별코드 또는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와;
    상기 전송된 고객의 호출정보와 호출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대리운전 수락요청을 대리기사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대리운전 수락요청에 대한 수락신호를 전송한 대리기사 단말에 대리기사 운전을 허여하는 대리운전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채내 혈중 알콜농도를 측정하는 음주 측정부와;
    대리운전 호출을 위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키입력부와;
    고객으로부터 입력된 호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와;
    장치의 식별코드 또는 현재의 위치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호출정보와 위치정보를 대리운전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와;
    음주 측정 및 대리운전 호출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대리운전 비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 처리부는
    신용카드 결제 또는 휴대폰 결제 중 하나를 선택받아 결제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신용카드 결제가 선택된 경우 신용카드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된 고객의 신용카드 정보와 대리운전 금액정보를 신용카드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휴대폰 결제가 선택된 경우 휴대폰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된 고객의 휴대폰 번호와 대리운전 금액정보를 이동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장치에 개별적으로 부여된 전화번호인 대표번호로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는
    상기 호출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상기 대표번호인 경우 대리운전을 수락한 대리기사 단말에 상기 대표번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호출 정보 중 고객의 전화번호에 대한 가상 번호를 부여하는 가상 번호 발급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는
    상기 호출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가상번호인 경우 대리운전을 수락한 대리기사 단말로 상기 가상 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고객의 전화번호와 발급된 가상 번호를 이동 통신망에 전송하여 상기 대리기사 단말이 가상 번호로 호 발신시 상기 이동 통신망이 고객의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수행하여 고객의 전화번호 누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매장에 설치되고,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의 데이터 통신부와 연결되어 대리운전 접수 정보 또는 대리기사 도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는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로부터 호출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에 특정 대리운전 기사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수신된 호출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대리기사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관리부와;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고, 상기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대리기사 단말로 전송하고, 특정 대리기사 단말로부터 대리운전 수락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와;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 정보, 대리기사 정보, 대리운전 호출 정보, 호출 통계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부는
    설치된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를 관리하는 호출장치 관리모듈과;
    등록된 대리기사 단말을 관리하고, 상기 대리기사 단말로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대리기사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대리기사 관리모듈은
    상기 대리기사 단말로부터 대리기사의 위치정보(GPS)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GPS)를 맵 상에 표시하여 대리기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대리기사 위치관리 모듈과;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대리기사 단말만을 추출하여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전송하고, 대리운전 수락 신호가 수신된 특정 대리기사 단말에 대리운전을 허여하는 대리기사 매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대리기사 매칭모듈은
    2 이상의 대리기사로부터 대리운전 수락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대리기사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대리운전을 허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리기사 단말은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자신의 위치정보를 위성으로 수신하여 관리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지그비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대리기사 단말이 지그비 센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로 광고를 편성하여 송출하는 광고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관리 서버는
    광고주로부터 광고 요청을 접수받아 관리하는 광고 접수 관리모듈과;
    상기 접수된 광고를 편성하고, 편성된 광고의 송출 스케줄을 제어하는 스케줄러 모듈과;
    송출될 광고를 저장 관리하는 광고 컨텐츠 저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15. (a)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음주 측정 또는 대리운전 호출 하나의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와;
    (b) 대리운전 호출이 선택된 경우 호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호출 장치의 식별코드 또는 위치정보와 함께 대리운전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가 대리 기사 단말로 상기 호출 정보(고객에 연락할 전화번호 제외)와 호출 장치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대리운전 수락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대리운전 수락요청에 대해 수락 신호를 전송한 특정 대리기사 단말에 대리운전을 허여하고, 상기 호출 정보에 포함된 고객에 연락할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음주 측정이 선택된 경우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의 음주 측정부가 고객의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혈중 알콜 농도가 단속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이 자동으로 대리운전 호출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의 시스템 관리부가 대리기사 단말로부터 위치정보(GPS)를 수신하여 실시간 지도 맵을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 장치의 위치로부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대리기사 단말을 추출하여 추출된 대리기사 단말에만 상기 대리운전 수락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시스템 관리부는 상기 대리운전 수락요청에 대해 수락 신호를 전송한 특정 대리기사 단말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호출 장치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대리기사 단말에 대리운전을 허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시스템 관리부는 상기 대리운전 수락요청에 대해 수락 신호를 전송한 특정 대리기사 단말이 2 이상이고 호출 정보에 고객 요청 조건이 포함된 경우 상기 고객 요청 조건을 만족하는 대리기사 단말에 대리운전을 허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방법.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에 연락할 전화번호는
    고객의 전화번호, 호출장치의 대표번호 및 가상 번호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대리기사 단말이 상기 호출장치의 대표번호로 호 발신시
    호출장치와 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대리기사 단말이 가상번호로 호 발신시
    이동 통신망이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가상번호에 매핑된 고객의 전화번호로 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방법.
  23.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장치와 대리운전 관리 서버의 결제 처리부를 통해 대리운전 비용에 대한 신용카드 결제 또는 휴대폰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가 신용카드 결제인 경우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의 결제 처리부가 신용카드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고객으로부터 신용카드 번호와 패스워드(신용카드 정보)를 입력받아 대리운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신용카드 정보와 결제 금액(대리운전 금액)을 신용카드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가 신용카드 번호와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대리운전 비용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가 휴대폰 결제인 경우
    상기 무인 대리운전 호출 장치의 결제 처리부가 신용카드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고객으로부터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아 대리운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휴대폰 번호와 결제 금액(대리운전 금액)을 이동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결제 요청에 따라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폰 번호로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폰 번호로 전송된 인증번호가 대리운전 호출 장치에 입력되어 상기 대리운전 관리 서버를 통해 이동통신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생성된 인증번호와 전송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대리운전 금액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운전 호출 방법.
KR1020100036586A 2010-04-20 2010-04-20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16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586A KR20110116914A (ko) 2010-04-20 2010-04-20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586A KR20110116914A (ko) 2010-04-20 2010-04-20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914A true KR20110116914A (ko) 2011-10-26

Family

ID=4503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586A KR20110116914A (ko) 2010-04-20 2010-04-20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69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538A (ko) * 2014-05-12 2015-11-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연락처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76229A (ko) * 2016-12-27 2018-07-05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자동판매기 및 그의 음주 측정 방법
KR102521659B1 (ko) * 2022-04-22 2023-04-14 이후시스(주) 음주 측정을 통한 대리운전 연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357A (ko) * 2000-05-09 2001-11-23 이종기 지역 종합정보 제공 시스템
KR20060053413A (ko) * 2004-11-15 2006-05-22 (주)엠씨페이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KR20090000799A (ko) * 2007-04-04 2009-01-08 김동근 24시편의점 pos시스템을 이용한 대리운전기사의 호출방법
KR20090001960A (ko) * 2007-05-28 2009-01-09 임종민 포스단말기를 이용한 대리운전 중계 시스템
KR100879111B1 (ko) * 2008-04-25 2009-01-19 (주)에어포스 포스시스템을 이용한 대리콜시스템 구축방법
KR20090028658A (ko) * 2007-08-24 2009-03-19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Pos시스템과 연동한 요식업소의 대리운전 콜시스템과 그방법
KR20090036485A (ko) * 2007-10-09 2009-04-14 김선홍 카드 결제단말기를 이용하여 대리운전 호출을 위한 서비스시스템
KR20090050514A (ko) * 2007-11-16 2009-05-20 김순동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가맹점 단말
KR20090093906A (ko) * 2009-06-30 2009-09-02 (주)엔아이디에스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과 액정화면을 이용하는 음주측정기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20090093354A (ko) * 2008-02-29 2009-09-02 (주)웰컴투 멀티 콜 접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357A (ko) * 2000-05-09 2001-11-23 이종기 지역 종합정보 제공 시스템
KR20060053413A (ko) * 2004-11-15 2006-05-22 (주)엠씨페이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KR20090000799A (ko) * 2007-04-04 2009-01-08 김동근 24시편의점 pos시스템을 이용한 대리운전기사의 호출방법
KR20090001960A (ko) * 2007-05-28 2009-01-09 임종민 포스단말기를 이용한 대리운전 중계 시스템
KR20090028658A (ko) * 2007-08-24 2009-03-19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Pos시스템과 연동한 요식업소의 대리운전 콜시스템과 그방법
KR20090036485A (ko) * 2007-10-09 2009-04-14 김선홍 카드 결제단말기를 이용하여 대리운전 호출을 위한 서비스시스템
KR20090050514A (ko) * 2007-11-16 2009-05-20 김순동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가맹점 단말
KR20090093354A (ko) * 2008-02-29 2009-09-02 (주)웰컴투 멀티 콜 접수 시스템
KR100879111B1 (ko) * 2008-04-25 2009-01-19 (주)에어포스 포스시스템을 이용한 대리콜시스템 구축방법
KR20090093906A (ko) * 2009-06-30 2009-09-02 (주)엔아이디에스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과 액정화면을 이용하는 음주측정기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538A (ko) * 2014-05-12 2015-11-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연락처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76229A (ko) * 2016-12-27 2018-07-05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자동판매기 및 그의 음주 측정 방법
KR102521659B1 (ko) * 2022-04-22 2023-04-14 이후시스(주) 음주 측정을 통한 대리운전 연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2199B1 (en) Location triggering for prescription ready notifications
US99069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US86660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itizen requests for assistance
KR20110133884A (ko) 무인 콜 택시 호출 시스템
US20140052607A1 (en) Secure payment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payment method using same
US20170372387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Push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US20080287142A1 (en) Location Dependent Content Provision
KR101230127B1 (ko) 원격지 대기순번 발급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134641A (ja) 携帯端末を用いたタクシー車両の呼び寄せシステム
JP5003307B2 (ja) 混雑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60060185A (ko) 음식 주문 방법
KR101771572B1 (ko) 이동경로 정보 제공장치, 제공단말 및 제공방법
KR20110116914A (ko)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3342281U (zh) 乘客信息处理系统
JP5921833B2 (ja) 広告配信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携帯通信機器
KR100820027B1 (ko) 위치 기반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2680206A2 (en) Secure payment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payment method using same
KR20210127890A (ko) 콜백 및 결제 플랫폼을 지원하는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US20120009975A1 (en)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Electronic Apparatus Associating System and Portable Terminal-Electronic Apparatus Associating Method
KR20110116911A (ko) 무인 대리 운전 호출 장치
KR20110137061A (ko) 모바일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방법 및 장치
KR20170001787A (ko) 비콘을 이용한 자동판매기 시스템
KR101424202B1 (ko)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실시간 상담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210028366A (ko) 실시간 온라인 여행 가이드 공유경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43537B1 (ko) 대리운전자 호출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