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364B1 -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 Google Patents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364B1
KR100643364B1 KR1020050088774A KR20050088774A KR100643364B1 KR 100643364 B1 KR100643364 B1 KR 100643364B1 KR 1020050088774 A KR1020050088774 A KR 1020050088774A KR 20050088774 A KR20050088774 A KR 20050088774A KR 100643364 B1 KR100643364 B1 KR 100643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tundish
plug device
support bar
bas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08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3/00Mechanical cleaning, e.g. skimming of molten 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연속 주조 공정에서 턴디쉬로부터 용강을 출강하는 노즐을 개폐시키기 위한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노즐에 장착가능한 크기를 갖는 차단 봉; 상기 차단 봉의 하단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베이스 부; 상기 베이스 부의 가이드 레일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돌기 부를 일측에 갖는 가이드 관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중량 추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 부와의 무게 균형을 맞추도록 된 지지 바; 및 상기 베이스 부의 일측과 상기 지지 바의 일측을 서로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턴디쉬 노즐로부터 차단 봉을 이동시켜 노즐을 개폐시키는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연속 주조 제품 내에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여 제품 실수율의 하락을 방지하고, 제품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턴디쉬 노즐, 차단 봉, 연속 주조 기, 래들,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필러

Description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A PLUG APPARATUS FOR A TUNDISH NOZZLE}
도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연속 주조 공정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연속 주조 공정에서 턴디쉬 노즐에 필러가 충진되어 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연속 주조 공정에서 턴디쉬 노즐이 개공되어 용강과 필러가 연속 주조 기의 몰드 내로 유입되어 주편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종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에서 지지 바와 베이스 부의 결합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의 동작 설명도로서,
a)도는 턴디쉬 노즐을 차단 봉이 막은 단면도,
b)도는 턴디쉬 노즐로부터 차단 봉이 하부로 빠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c)도는 턴디쉬 노즐이 개공되어 용강이 연속 주조 기의 몰드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에 따른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10.... 차단 봉 12.... 중심 봉
14.... 숫 나사 부 16.... 암나사 부
20.... 베이스 부 22.... 가이드 레일
40.... 지지 바 42.... 걸림 편
46.... 중량 추 50.... 가이드 관
52.... 돌기 부 54.... 선단 부 홈
70.... 고정 구조물 72.... 후크 부
80.... 탄성 수단 82.... 브라켓트(bracket)
100.... 연속주조 공정 110.... 래들(ladle)
120.... 턴디쉬(tundish) 122.... 턴디쉬 노즐(nozzle)
124.... 필러(Filler) 128.... 용강
130.... 몰드(mold) 140.... 주편
본 발명은, 연속 주조 공정에서 턴디쉬로부터 용강을 출강하는 노즐을 개폐시키기 위한 플러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턴디쉬 노즐을 쉽게 개폐 시킬 수 있고, 연속 주조 제품 내에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여 제품 실수율의 하락을 방지하며, 신속한 노즐 개방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속주조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연속주조 공정(100)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강을 담은 래들(ladle)(110)이 턴디쉬(120)의 상부로 이동하여 용강(128)을 턴디쉬(120) 내에 담고, 상기 턴디쉬(120)로부터 연속 주조 기의 몰드(130)로 용강(128)을 출강하여 연속적으로 슬라브 또는 브룸(Bloom) 등의 연속 주조 제품인 주편(140)을 생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속주조 공정(100)에서 턴디쉬(120)는 작업 초기에 그 내부에 용강(128)을 담기 위해서 상기 턴디쉬 노즐(122)을 필러(Filler)(124)로서 막아야 하고, 턴디쉬(120) 내에 용강(128)을 가득 채운 다음에는 상기 필러(124)를 개방하여 연속 주조 기의 몰드(130)로 용강(128)을 흘러 내려 보내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작업 과정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턴디쉬(120)는 그 하부 바닥면에 출강 노즐(122)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노즐(122)에는 대략의 조성비로 모래(Sand) 80% 와 카본(Carbon) 20%로 이루어진 필러(124)가 그 노즐(122)을 막도록 충진된다.
이와 같은 필러(124)가 노즐(122)을 막은 상태로 용강(128)이 턴디쉬(120) 내에 가득 차게 되면, 이를 개공시켜 턴디쉬(120) 하부의 연속 주조 기 몰드(130)로 용강(128)을 출강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는 대략 Γ자형으로 생긴 개공 기구(126)를 상기 노즐(122)의 하부 측으로 이동시키고, 노즐(122)의 하부로부터 필러(124)를 향하여 밀어 올려서 상기 필러(124)가 노즐(122)을 막을 상태를 터서 노즐(122)로부터 하부로 용강(128)을 출강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개공 방식은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상기 개공 기구(126)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것이 어렵고, 그에 따라서 턴디쉬 노즐(122)로부터 필러(124)를 개방시키는 작업이 힘든 작업이어서 개공 작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개공 기구(126)를 이용하여 필러(124)를 제거하고 턴디쉬(120)의 노즐(122)이 개방되면, 용강(128)은 필러(124)와 함께 연속 주조 기의 몰드(130) 내부로 하강되며, 연속 주조 기의 몰드(130) 내에서 주편(140)으로 응고된다.
그와 같은 과정이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주편(140) 내에 혼입된 필러(124)는 불순물로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불순물들은 주편(140)의 결함으로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속 주조 기로부터 배출되는 작업 초기 주편(140)의 대략 1000mm 이상을 절단하여야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필러(124)가 혼입된 주편(140) 제품을 절단하는 것은 별도의 절단 공정을 추가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이어서 그 작업 공정이 번거로운 것이고, 또한 매번 주편(140) 제품마다 이와 같이 1000mm 이상을 절단한다는 것은 완제품의 실수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종래의 필러(124)를 이용한 노즐(122)의 개폐 방식은 작업 공정상의 불리함은 물론, 제품 실수율도 낮아지게 되며, 그에 따른 제품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필러(124)를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필러(124)는 종종 턴디쉬(120)를 예열시키는 과정에서 덩어리 상태로 변환되어 노즐(122)을 폐쇄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필러 덩어리는 개공 기구(126)로는 좀처럼 노즐(122)로부터 제거시킬 수 없어서, 이러한 경우에는 장시간에 걸쳐서 산소 화염 등으로 필러 덩어리를 용해 제거시켜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필러(124) 방식은 턴디쉬 노즐(122)을 개방시키는 데에도 장시간이 소요되어 연속 주조 작업의 생산성을 저하되는 문제점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속 주조 제품 내에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여 제품 실수율의 하락을 방지하고, 제품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목적으로서, 턴디쉬 노즐을 쉽게 개폐시킬 수 있고, 신속한 노즐 개방을 안전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속주조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속 주조 공정에서 턴디쉬로부터 용강을 출강하는 노즐을 개폐시키기 위한 플러그 장치에 있어서,
노즐에 장착가능한 크기를 갖는 차단 봉;
상기 차단 봉의 하단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베이스 부;
상기 베이스 부의 가이드 레일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돌기 부를 일측에 갖는 가이드 관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중량 추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 부와의 무게 균형을 맞추도록 된 지지 바; 및
상기 베이스 부의 일측과 상기 지지 바의 일측을 서로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턴디쉬 노즐로부터 차단 봉을 이동시켜 노즐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1)는 연속 주조 공정(100)에서 턴디쉬(120)로부터 용강(128)을 출강하는 노즐(122)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22)에 장착가능한 크기를 갖는 차단 봉(10)을 갖는다.
상기 차단 봉(10)은 노즐(122)의 직경에 해당하는 외경을 갖추고, 그 재질은 내열성이 높은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에는 세라믹 재료를 지탱하기 위한 중심 봉(12)이 내장되며, 상기 중심 봉(12)의 하단은 숫 나사 부(14)를 형성하고, 상기 숫 나사 부(14)에는 직경이 확대된 암나사 부(16)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차단 봉(10)은 상기 노즐(122) 내부로 삽입되어 노즐(122)을 폐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차단 봉(10)의 하단이 상부 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는 가이드 레일(22)을 구비한 베이스 부(20)를 갖는다.
즉, 상기 베이스 부(20)는 일정크기의 몸체를 갖는 강재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부 면에는 상기 차단 봉(10)의 하단에 장착된 암나사 부(16)가 측면으로부터 삽입가능한 ⊥형의 홈(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는 상하 방향으로 ┏ ┓형의 가이드 레일(22)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22)의 하부 측으로는 이후에 설명 예정인 지지 바(40)의 걸림 편(42)이 삽입 가능한 홈(26)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부(20)의 가이드 레일(22)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돌기 부(52)를 일측에 갖는 가이드 관(50)에 끼워지고, 타측에는 중량 추(46)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 부(20)와의 무게 균형을 맞추도록 된 지지 바(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바(40)는 그 선단에 걸림 편(42)을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 부(20) 의 일측 하단에 형성된 홈(26)에 끼워질 수 있고, 또한 상기 가이드 관(5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관(50)은 중공 원통형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 부 내측에는 상기 지지 바(40)의 걸림 편(42)이 삽입가능한 홈(54)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선단 부의 외부 양측으로는 각각 돌기 부(52)들을 형성하여 그 돌기 부(52)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 부(20)의 가이드 레일(22)을 따라서 활주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돌기 부(52)들은 상기 베이스 부(20)의 측면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22) 내에서 상하로 활주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크기를 갖는 것이어서, 상기 가이드 관(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2)의 하부 측으로부터 그 내부로 끼워지게 되면 상기 돌기 부(52)들에 의해서 가이드 관(50)은 베이스 부(20)의 가이드 레일(22)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가이드 관(50)이 베이스 부(20)의 가이드 레일(22)을 따라서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 바(40)의 선단 걸림 편(42)이 베이스 부(20)의 홈이 아닌, 가이드 관(50)의 선단 부 홈(54)에 삽입되어야 가능한 것이며, 상기 지지 바(40)의 걸림 편(42)이 상기 베이스 부(20)의 홈(26)으로 삽입된다면, 지지 바(40)의 걸림 편(42)으로 인하여 상기 가이드 관(50)은 가이드 레일(22)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 바(40)는 그 중간 부분이 상기 가이드 관(50)의 내부에서 활주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이고, 걸림 편(42)의 반대측 단부는 중량 추(46)를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지지 바(40)는 그 중간 후방 측 지점이, 고정 구조물(70)에 연결된 후크 부(72)의 내측에 걸려서 그 전,후로의 이동, 즉 베이스 부(20)에 대하여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지만 상하로의 이동, 즉 높낮이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부(20)의 일측과 상기 지지 바(40)의 일측을 서로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탄성 수단(80)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수단(80)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일단, 즉 상단은 상기 베이스 부(20)의 상부 측으로부터 돌출된 브라켓트(82)에 고정되고, 그 타단, 즉 하단은 상기 가이드 관(50)의 상부 연결구(86)에 고정된 구조이며, 이들을 서로 당기는 견인력을 작용시킨다. 즉, 상기 지지 바(40)가 상기 브라켓트(82) 측으로 상승된 상태가 코일 스프링의 정상적인 위치이며, 지지 바(40)가 하강된 상태는 코일 스프링이 인장되어 이들을 서로 당기는 작용력을 가하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디쉬 노즐(122)에 차단 봉(10)을 삽입하여 노즐(122)을 임시적으로 폐쇄시키거나, 또는 노즐(122)을 쉽게 개방시켜 연속 주조 기의 몰드(130)로 용강(128)을 배출한다.
먼저 용강(128)이 채워질 턴디쉬(120)의 노즐(122)에 차단 봉(10)을 하부로부터 힘을 주어 밀어 넣으면, 노즐(122)에 차단 봉(10)이 끼워져서 노즐(122)을 폐쇄시킨다. 그 다음, 상기 차단 봉(10)의 하단에 마련된 암나사 부(16)를 베이스 부(20)의 ⊥형 홈(24)으로 삽입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지지 바 (40)는 그 중간 부분을 후크 부(72)에 끼워서 배치하면, 상기 지지 바(40)는 그 전단의 베이스 부(20)와 그 후단의 중량 추(46)가 상기 후크 부(72)를 기준으로 전,후가 중량 평형을 이루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지지 바(40)의 선단 걸림 편(42)이 베이스 부(20)의 일측 하부에 마련된 홈(26)에 삽입된 상태이다. 즉, 상기 탄성 수단(80)의 코일 스프링을 길게 인장시킨 상태에서 지지 바(40)를 가이드 관(50)의 전방 측으로 다소 전진시키면 상기 지지 바(40)의 걸림 편(42)은 가이드 관(50)의 선단부 홈(54)으로부터 나와서 베이스 홈(26) 측으로 돌출하여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바(40)가 베이스 부(20)의 하단 부분에 연결되고, 가이드 관(50)의 선단 양측 돌기 부(52)들이 베이스 부(20)의 가이드 레일(22) 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차단 봉(10)의 하부를 베이스 부(20)에 연결시키고, 지지 바(40)를 후크 부(72)에 걸어 놓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그 다음, 턴디쉬(120)의 내부로 용강(128)을 주입하여 가득 차게 되면, 상기 차단 봉(10)을 하강시켜 노즐(122)을 열게 되는바,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지지 바(40)를 중량 추(46) 방향으로 당겨서 지지 바(40)의 선단 걸림 편(42)이 베이스 부(20)의 홈(26)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걸림 편(42)이 베이스 부(20)의 홈(26)으로부터 빠지게 되면 탄성 수단(80)의 코일 스프링은 당김 력을 작용시켜 지지 바(40)를 내장한 가이드 관(50)과 베이스 부(20)의 브라켓트(82)를 서 로 당기게 되며, 지지 바(40)의 상승이 후크 부(72)에 의해서 억제되면, 상기 베이스 부(20)의 하강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베이스 부(20)가 지지 바(40) 측으로 하강하고, 상기 가이드 관(50)의 선단 양측 돌기 부(52)들은 가이드 레일(22)을 따라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지지 바(40)의 상향이동이 이루어지는 대신에 베이스 부(20)의 하향이동이 이루어져서 상기 베이스 부(20)에 연결된 차단 봉(10)이 턴디쉬 노즐(122)로부터 하향으로 빠지고, 이와 같이 차단 봉(10)이 빠짐과 동시에 지지 바(40)는 더욱 중량 추(46)가 위치된 방향으로 작업자에 의해서 당겨지게 되어 노즐(122)로부터 배출되는 용강(128)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용강(128)은 턴디쉬(120)로부터 그 하부 측의 몰드(130)로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하여 턴디쉬 노즐(122)을 개방시키는 과정이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종래의 개공 기구(126)를 동작시킬 필요 없이 단지 지지 바(40)를 후방 측으로 당기기만 하면 베이스 부(20)의 하강과 함께 차단 봉(10)이 노즐(122)로부터 빠지므로 장소가 협소한 공간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필러(filler)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 에, 연속 주조 제품 내에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여 제품 실수율의 하락을 방지하고, 제품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에서 지지 바를 후방으로 당기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턴디쉬 노즐을 쉽게 개폐시킬 수 있고, 신속한 노즐 개방을 언제나 안전하게 이룰 수 있음으로써 연속주조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이며,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 구조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 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8)

  1. 연속 주조 공정에서 턴디쉬로부터 용강을 출강하는 노즐을 개폐시키기 위한 플러그 장치에 있어서,
    노즐에 장착가능한 크기를 갖는 차단 봉;
    상기 차단 봉의 하단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베이스 부;
    상기 베이스 부의 가이드 레일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돌기 부를 일측에 갖는 가이드 관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중량 추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 부와의 무게 균형을 맞추도록 된 지지 바; 및
    상기 베이스 부의 일측과 상기 지지 바의 일측을 서로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턴디쉬 노즐로부터 차단 봉을 이동시켜 노즐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봉은 노즐의 직경에 해당하는 외경을 갖추고, 그 재질은 내열성이 높은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에는 세라믹 재료를 지탱하기 위한 중심 봉이 내장되며, 상기 중심 봉의 하단은 직경이 확대된 크기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는 일정크기의 몸체를 갖고, 상부 면에는 상기 차단 봉의 하단이 삽입가능한 ⊥형의 홈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는 가이드 레일의 하부 측으로 상기 지지 바의 걸림 편이 삽입 가능한 홈을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관은 중공 원통형의 구조를 갖는 것이고, 그 선단 부 내측에는 상기 지지 바의 걸림 편이 삽입가능한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선단 부의 외부 양측으로는 각각 돌기 부들을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 부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활주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부들은 상기 베이스 부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 내에서 상하로 활주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크기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 로 하는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그 상단은 상기 베이스 부의 상부 측으로부터 돌출된 브라켓트에 고정되고, 그 하단은 상기 가이드 관의 상부 연결구에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는 그 중간 지점이, 고정 구조물에 연결된 후크 부의 내측에 걸려서 그 전,후로의 이동은 가능하지만 상하로의 이동은 제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KR1020050088774A 2005-09-23 2005-09-23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KR100643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774A KR100643364B1 (ko) 2005-09-23 2005-09-23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774A KR100643364B1 (ko) 2005-09-23 2005-09-23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3364B1 true KR100643364B1 (ko) 2006-11-10

Family

ID=3765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774A KR100643364B1 (ko) 2005-09-23 2005-09-23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3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955A (ko) * 1997-09-18 1999-04-26 얀 윌리암 파 금속 스트립 주조장치 및 방법
JPH11129065A (ja) 1997-10-31 1999-05-18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ンディッシュノズ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955A (ko) * 1997-09-18 1999-04-26 얀 윌리암 파 금속 스트립 주조장치 및 방법
JPH11129065A (ja) 1997-10-31 1999-05-18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ンディッシュノズ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949B1 (ko) 야금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더미 플레이트를 가진 노즐 튜브 교환기
CN106457376B (zh) 用于浇铸金属的钢包长水口、用于将所述钢包长水口联接到钢包的联接组件的成套零件、金属浇铸设备和联接方法
KR100643364B1 (ko) 턴디쉬 노즐용 플러그 장치
PL178460B1 (pl) Sposób i urządzenie do wymiany rury wylewowej kadzi instalacji do ciągłego odlewania płaskich wlewków
JP3031541B2 (ja) 連続鋳造機のタンディッシュノズル交換装置
KR100739633B1 (ko) 더미바 헤드
JP2012020294A (ja) 浸漬ノズルの浸漬深さ変更方法
US2060224A (en) Die casting machine
KR100773834B1 (ko) 연속주조장치의 용강 비산 방지 장치
KR100654891B1 (ko) 용강 유출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유출 차단방법
WO2002004143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igenden giessen mit einem auf den giesstisch aufgesetzten schieberverschluss
KR100959142B1 (ko) 연속주조장치의 스토퍼
KR100840284B1 (ko) 연속주조설비의 더미바
KR101518585B1 (ko) 서트 실린더의 록킹장치
CN208375032U (zh) 金刚石刀头夹具的刀头推送装置
CN205289728U (zh) 一种用于浇注座包的拔塞装置
KR20080001842A (ko) 응고잔탕 분리기능을 갖는 연속주조기의 슬래그유입방지장치
CN215966290U (zh) 一种钢包滑动水口防刮开装置
CN213826930U (zh) 纺织机配件生产用的模具
KR200177638Y1 (ko) 연속주조설비 주형의 용강 비산 방지장치
KR20150108175A (ko) 용융금속 토출용 노즐 장치
CN217412435U (zh) 一种防止芯杆脱落的连铸中间包塞棒组件
KR100797836B1 (ko) 래들의 용강 유출 차단장치
KR100605680B1 (ko) 연속주조 주편의 수축공 저감장치
CN213353403U (zh) 一种导光条车灯模具潜伏式自动断浇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