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175B1 -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 - Google Patents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175B1
KR100643175B1 KR1020060044317A KR20060044317A KR100643175B1 KR 100643175 B1 KR100643175 B1 KR 100643175B1 KR 1020060044317 A KR1020060044317 A KR 1020060044317A KR 20060044317 A KR20060044317 A KR 20060044317A KR 100643175 B1 KR100643175 B1 KR 100643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uspended solids
hole
cylindric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호
Original Assignee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4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시료 측정에 대한 데이타값 전달과 제어를 유무선방식으로 선택하여 사용가능하며, 각 구성요소를 조립과 분리가 되는 구조로 형성하여 수리와 교체가 간단하고, 활성오니 및 미생물과 현탁고형물의 선택적 측정 또는 동시 측정이 가능하며, 센서부의 잔상제거와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외부의 빛에 대한 간섭이 제거되는 한편, 침적형식, 유통형식, 삽입형식으로 시료에 함유된 부유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정값을 표시하고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에 무선방식으로 전기적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가 연결된 피씨비기판이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감싸져 이루어지는 송신부와; 송신부의 하부케이스에 나선체결되며, 고정을 위해 설치된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지지홀더가 형성되고, 지지홀더의 하부로 체결되며 고정판이 형성된 지지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고정판에 체결되며, 중앙에는 케이블글란드가 고정된 원판형의 밀봉덮개와, 밀봉덮개의 하부에 위치되어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원통수용체와, 원통수용체의 하부로 삽입되며 송신부의 피씨비기판에 연결잭이 양단에 형성된 전선케이블로 연결되는 피씨비기판과, 피씨비기판에 전선케이블로 연결되는 모터의 축에 연결된 회전축 끝단에서 편심회전하는 세정브러시로 형성된 세정부와, 상부면에는 피씨비기판이 고정되고, 중앙에는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세정브러시가 회전축에 체결되며 관통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실링캡의 하부에는 관통홀 주변으로 원형돌기 가 형성된 실링캡부와, 실링캡부의 실링캡이 고정되고, 하부는 원통수용체의 하부에고정되는 셀블럭의 상부에는 실링캡이 고정되는 볼트홀이 형성되며, 볼트홀 사이의 중앙에는 실링캡이 안치될 수 있도록 단차단을 이루며 일정하게 관통되되, 하부 끝단이 넓어지는 측정공간에 연통되게 상부 원통을 관통하여 단차진 센서홀이 형성되며, 센서홀의 상부에는 케이블홈이 형성된 셀블럭몸체와, 셀블럭몸체의 센서홀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실링캡의 상부에 고정된 피씨비기판에 연결잭으로 연결되는 전선케이블이 형성된 각각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로 형성되어 측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유물질, 활성오니(MLSS), 현탁고형물(SS), 센서부, 측정부

Description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On-line Measurement sensor system Consistency of suspended solids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발명에 따른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의 A-A선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덮개의 케이블글란드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셀블럭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의 렌즈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를 이용한 침적형방식의 측정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를 이용한 유통형방식의 측정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를 이용한 삽입형방식의 측정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오니 및 미생물을 측정하는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현탁고형물을 측정하는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성오니 및 미생물과 현탁고형물을 동시측정하는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컨트롤러 20 : 송신부
30 : 지지부 40 : 측정부
41 : 밀봉덮개 42 : 원통수용체
43, 230 : 피씨비기판 44 : 세정부
45 : 실링캡부 46 : 셀블럭몸체
47 : 센서부
본 발명은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료 측정에 대한 데이타값 전달과 제어를 유무선방식으로 선택하여 사용가능하며, 각 구성요소를 조립과 분리가 되는 구조로 형성하여 수리와 교체가 간단하고, 활성오니 및 미생물과 현탁고형물의 선택적 측정 또는 동시 측정이 가능하며, 센서부의 잔상제거와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외부의 빛에 대한 간섭이 제거되는 한편, 침적형식, 유통형식, 삽입형식으로 시료에 함유된 부유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유물질(浮游物質, suspended solids)이란, 입자 지름이 2mm 이하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로서, 오염된 물의 수질을 표시하는 지표로서 대표적으로 현탁고형물(懸濁固形物)이라고도 한다.
아울러, 도시폐수공장 폐수 중에는 유기질 및 무기질의 고형물이 현탁상태로 포함되어 있는 상태로 하천, 호소, 해역 등의 자연수역에 방류되면 물의 탁도를 높이고 외관을 더럽히며, 생물이 분해 가능한 유기물질인 용존산소를 감소시키는 등 자연수질을 오염시킨다.
그리고, 부유물질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면 첫째로, MLSS(Mixed Liquid Supended Solids)는 활성오니 부유물질 또는 폭기조 혼합액의 부유물질을 약칭하는 폭기조내의 미생물을 말하며, 활성오니량의 지표로 이용되는 하,폐수처리시설의 중요한 인자이다.
아울러, MLSS는 활성오염법의 폭기조내의 미생물량 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오니량을 표시하는 지표이다. 단위는 ppm 또는 mg/ℓ로 표시한다. 혼합액의 부유물질인 무기성 부유물 또는 생물활성이 없는 유기성 부유물이 계량되는 MLSS는 엄밀히 폭기조내 생명체의 양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측정이 간단하고 생명체량의 개략치를 알게되어 활성오니법의 오니관리상 필요한 지표이다. 더욱 폭기조내의 생물 존재량을 정확히 나타내는 지표로서 MLVSS(Miguor Volatile Suspended Solids)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MLSS는 활성 오니 처리 공정에서 폭기조중의 부유물질농도로서, 주로 활성 오니(폭기조중에서 생긴 활성 오니와 침전지로부터의 반송 오니의 혼합 오니) 로 표준 활성 오니법의 경우 MLSS는 1,500∼2,000ppm으로 운전되고 있다.
둘째로, SS(Suspended Solids)는 입경 2mm이하의 것으로 물에 용해되지 않고 수중에 현탁되어 있는 유기물과 유기물을 함유하는 고형물질을 말하며, 시료를 공극이 0.1%인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시킬 때 여과되지 않는 부유물질을 지칭하는 것이다. 즉, Suspended Solids 또는 현탁물질이라고 하며 지표로 ㎎/ℓ로 표시한다.
이러한, MLSS와 SS의 차이점은 간단히 살펴보면 MLSS는 폭기조내의 미생물량 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오니량을 표시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오니관리상 필요한 지표이고, 반면, SS는 현탁물질의 지표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부유물질 측정법은 현장온라인형태의 방식으로 시료를 여과시켜서 고형물을 포집하고 건조시킨 후, 그 전후의 무게차에 의해서 고형물의 농도를 구하고 mg/ℓ 또는 ppm으로 나타내는 기초적인 방법이 있으며, 측정 장비의 자체부피가 크고 복잡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MLSS와 SS를 각각 측정하기 위해 각기 기능을 갖는 측정기기만을 사용하여 교체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측정을 위해 발광센서와 수광센서가 결합된 셀블럭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고장이나 파손으로 인한 교체나 수리가 어려우며, 이에 따른 교체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방식의 부유물질 측정법은 휴대가 가능한 프로브 방식으로 구성요소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고장으로 인한 수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MLSS와 SS를 동시에 측정은 편리하나 각각을 측정하는데는 제약적인 문제점이 발생 되는 한편, 측정을 위하여 별도의 기구물을 이용하여 고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아울러, 종래의 센서부는 렌즈와 적외선을 조사하는 엘이디램프를 제작당시 고정결합형으로 제조하여 고장으로 인하여 수리작업이 요구될 때 분해가 되지 않아 하나의 구성요소가 고장나더라도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교체비용의 증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의 렌즈와 적외선을 조사하는 엘이디램프가 밀착되어 잔상현상이 발생되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과, 추운기온 상태에서의 시료를 측정시 시료와 직접 접촉하는 렌즈를 통해 수분이 침투되어 결빙 및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송신부를 전선케이블을 이용한 유선방식과 전파를 송수신하는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시료를 측정하는 장소나 거리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측정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연질고무재질로 형성된 세정브러시를 구성시켜 렌즈의 표면에 긁힘을 방지하며 렌즈표면에 침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며, 렌즈를 통해 조사되는 적외선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멈춰지도록 구조가 개선된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셀블럭몸체의 센서홀이 두 개로 대응되도록 일직선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중심점이 45°로 접하도록 두 개로 형성시키며, 그리고, 세 개의 센서홀을 형성하되, 두 개의 센서홀은 일직선상으로 대응되고 한개의 센서홀은 45°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각 센서홀에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각각 한 개씩의 센서부를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방식을 이용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한 개의 발광센서와 두 개의 수광센서의 센서부를 각각 설치하여 시료속에 부유하는 활성오니나 미생물 및 현탁고형물을 각각 측정할 수도 있으며, 동시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부의 렌즈와 적외선을 조사하는 엘이디램프의 간격을 2~4mm로 이격시켜 엘이디램프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의 잔상을 제거하고, 렌즈의 일측 단면에 수막코팅을 하여 저온의 시료측정시 수분이 센서부로 침투하여 결빙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정부의 밀봉덮개, 원통수용체, 실링캡, 셀블럭은 외부로부터 작용되는 빛을 차단하고 간섭을 받지 않도록 검은색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측정부를 T형배관이나 Y형배관에 설치하여 배관을 따라 흐르는 시료의 부유물질을 여러 형태로 장착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료수의 부유물질을 측정한 전기적신호를 무선방식으로 수신받아 측정데이타에 대한 값을 디스플레이하고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에 무선방식으로 전기적신호를 송신하며, 사각형상의 상부케이스 하부로 삽입시켜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며 내부에는 송신기능이 형성된 피씨비기판이 삽입고정되고, 하부에는 피씨비기판에 연결된 안테나가 형성되며, 안테나가 형성된 반대편에는 내부에 연통되며 하부 내주면에 나선이 구비된 원통홀더가 하부로 돌출된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송신부와;
송신부의 원통홀더에 상부가 삽입되어 나선체결되며, 고정을 위해 설치된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되, 상하부는 동일한 원통 구조이며 중앙은 큰 직경의 원통으로 구성된 지지홀더가 형성되고, 지지홀더의 하부로 삽입되어 나선체결되며, 하부에는 원판형의 고정판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고정판 하부에 누수방지를 위한 고무링이 끼워져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며, 중앙에는 케이블의 외부면을 밀착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케이블글란드가 고정된 원판형의 밀봉덮개와, 밀봉덮개의 하부에 위치되어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되, 누수방지를 위한 고무링이 상부에 안치되어 체결되는 원통수용체와, 원통수용체의 하부로 삽입되며 송신부의 피씨비기판에 연결잭이 양단에 형성된 전선케이블로 연결된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피씨비기판과, 피씨비기판의 관통홀 중앙에 위치되어 연결잭이 양단에 형성된 전선케이블로 피씨비기판에 연결되는 모터가 형성되고, 모터의 축에 연결된 회전축 끝단에 볼트를 이용하여 편심되게 고정되어 편 심회전하는 세정브러시로 형성된 세정부와, 피씨비기판 및 세정부의 모터가 나사결합되도록, 상부는 작고 하부가 큰 직경인 원통이 2단으로 형성된 실링캡이 구성되되, 상부면에는 피씨비기판이 고정되고, 중앙에는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세정브러시가 회전축에 체결되며 관통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실링캡의 하부는 관통홀 주변으로 원형돌기가 형성된 실링캡부와, 실링캡부의 실링캡이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작은 원통이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원통수용체의 하부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게 큰 직경인 원통을 이루며 셀블럭이 형성되되, 셀블럭의 상부에는 실링캡이 고정되는 볼트홀이 형성되며, 볼트홀 사이의 중앙에는 실링캡의 원형돌기가 방수를 위한 고무링을 외부로 감싸져 안치될 수 있도록 단차단을 이루며 일정하게 관통되되, 하부 끝단이 넓어지는 측정공간이 형성되고, 측정공간에 연통되게 상부 원통을 관통하여 단차진 센서홀이 형성되며, 센서홀의 상부에는 케이블홈이 형성된 셀블럭몸체와, 셀블럭몸체의 센서홀에 삽입되어 볼트로 체결되고, 센서홀의 케이블홈을 따라 유도되어 실링캡의 상부에 고정된 피씨비기판에 연결잭으로 연결되는 전선케이블이 형성된 각각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로 형성되어 측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러는 시료수의 온도, 측정값, 시간에 따른 측정값을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부는 상부에는 'ㄱ'형상의 손잡이가 형성된 상부케이스 및 지지부의 지지홀더에 나선체결되는 나선홀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부케이스의 하부로 삽입되어 나선 결합되며, 일측에는 전선케이블이 배출되며 케이블글란드가 체결 된 케이블홀이 구성되되, 상부에는 피씨비기판이 고정된 하부케이스로 대체시켜 컨트롤러와 피씨비기판을 전선케이블을 이용하여 유선방식으로 연결시켜 측정데이타에 대한 값을 디스플레이하고 각종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세정부의 세정브러시는 세로 방향으로 길며 연질의 고무재로 형성된 삼각형상이며, 외측의 꼭지점에는 얇은 판형상의 고무가 연장되어 셀블럭몸체의 측정공간에 위치된 상태로 센서부의 표면을 닦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정부의 세정브러시는 모터의 작동으로 1회전 이상으로 회전하며 센서부의 세정작업을 수행하고, 대응되는 센서부의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멈춰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아울러, 상기 셀블럭몸체는 센서홀이 일직선상으로 대응되게 형성된 2개의 센서홀에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체결시켜 활성오니 및 미생물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셀블럭몸체는 센서홀의 중심점이 서로 45°의 각도로 접해지도록 2개의 센서홀에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체결시켜 현탁고형물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셀블럭몸체는 센서홀이 일직선상으로 대응되게 형성하는 한편, 센서홀의 중심점이 서로 45°의 각도를 유지되며 접해지도록 3개의 센서홀중 대응 되는 하나의 센서홀에 발광센서 및 나머지 두 개의 센서홀에 수광센서를 각각 체결시켜 활성오니 및 미생물과 현탁고형물을 동시에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센서부는 전선케이블에 단자접점으로 연결된 적외선을 조사 및 수광하는 엘이디램프가 형성되며, 엘이디램프는 중앙이 관통된 원통과 원판이 일체로 결합되어 단면이 'ㅛ'형상인 고정틀의 원판측으로 삽입되어 실리콘실링으로 방수처리되게 고정되며, 고정틀의 원통측으로 원기둥형상의 적외선을 평행하게 투과되는 평행광방식을 이용하는 렌즈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고정틀의 원통외측으로 방수를 위한 고무링이 끼워져 셀블럭몸체의 센서홀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셀블럭과 착탈방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센서부의 렌즈는 고정틀에 삽입되어 엘이디램프와 2~4mm사이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의 렌즈는 한 개의 렌즈를 2개로 분리하여 마주보는 단면에 수막코팅과 일정한 파장의 적외선 주파수만이 투과되는 주파수코팅을 각각 코팅 후 접합시켜 단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센서부의 렌즈는 일단에는 수막코팅을 코팅하고, 타단에는 일정한 파장의 적외선 주파수만이 투과되는 주파수코팅이 코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의 렌즈는 일단에는 수막코팅을 코팅하고, 중앙에는 화학적 처리방식을 이용하여 일정한 파장의 적외선 주파수만이 투과되는 주파수코팅이 내부에 코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측정부는 배관을 따라 흐르는 시료수의 측정을 위해 T형배관에 설치하여 유통형으로 측정하거나, 측정부를 Y형 배관에 설치하여 삽입형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부를 구성하는 밀봉덮개, 원통수용체, 실링캡, 셀블럭몸체는 외부로부터 작용되는 빛을 차단하며 간섭을 받지 않도록 검은색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발명에 따른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의 A-A선 결합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덮개의 케이블글란드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셀블럭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의 렌즈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를 이용한 침적형방식의 측정개념도 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를 이용한 유통형방식의 측정개념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를 이용한 삽입형방식의 측정개념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오니 및 미생물을 측정하는 개념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현탁고형물을 측정하는 개념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성오니 및 미생물과 현탁고형물을 동시측정하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는 무선의 신호를 받아 측정값과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0)와; 컨트롤러(10)에 무선방식으로 전기적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23)가 연결된 피씨비기판(22)이 상부케이스(21) 및 하부케이스(24)로 감싸져 이루어지는 송신부(20)와; 송신부(20)의 하부케이스(21)에 나선체결되며, 고정을 위해 설치된 고정플레이트(200)에 결합되는 지지홀더(31)가 형성되고, 지지홀더(31)의 하부로 체결되며 고정판(32a)이 형성된 지지파이프(32)로 이루어지는 지지부(30)와; 지지부(30)의 고정판(32a)에 체결되며, 중앙에는 케이블글란드(41a)가 고정된 원판형의 밀봉덮개(41)와, 밀봉덮개(41)의 하부에 위치되어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원통수용체(42)와, 원통수용체(42)의 하부로 삽입되며 송신부(20)의 피씨비기판(22)에 연결잭이 양단에 형성된 전선케이블(43a)로 연결되는 피씨비기판(43)과, 피씨비기판(43)에 전선케이블(44a)로 연결되는 모터(44b)의 축에 연결된 회전축(44c) 끝단에서 편심회전하는 세정브러시(44d)로 형성된 세정부(44)와, 상부면에는 피씨비기판(43)이 고정되고, 중앙에는 회전축(44c)이 관통되는 관통홀(45b)이 형성되어 세정브러시(44d)가 회전축(44c)에 체결되며 관통홀(45b)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 며, 실링캡(45a)의 하부에는 관통홀(45b) 주변으로 원형돌기(45c)가 형성된 실링캡부(45)와, 실링캡부(45)의 실링캡(45a)이 고정되고, 하부는 원통수용체(42)의 하부에 고정되는 셀블럭(46a)의 상부에는 실링캡(45a)이 고정되는 볼트홀이 형성되며, 볼트홀 사이의 중앙에는 실링캡(45a)이 안치될 수 있도록 단차단(46b)을 이루며 일정하게 관통되되, 하부 끝단이 넓어지는 측정공간(46c)에 연통되게 상부 원통을 관통하여 단차진 센서홀(46d)이 형성되며, 센서홀(46d)의 상부에는 케이블홈(46e)이 형성된 셀블럭몸체(46)와, 셀블럭몸체(46)의 센서홀(46d)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실링캡(45a)의 상부에 고정된 피씨비기판(43)에 연결잭으로 연결되는 전선케이블(47a)이 형성된 각각 발광센서(47b) 및 수광센서(47c)로 이루어진 센서부(47)가 형성된 측정부(40)로 부유물질측정장치(100)가 구성된다.
이러한, 컨트롤러(10)는 시료수의 부유물질을 측정한 전기적신호를 무선방식으로 수신받아 측정데이타에 대한 값을 디스플레이하고 각종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컨트롤러(10)는 시료수의 온도, 측정값, 시간에 따른 측정값을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컨트롤러(10)는 전체의 형상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전면에는 전자적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표시부가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표시부의 일측에는 각종 세팅(Setting) 및 교정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상하좌우 방향 버튼,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버튼, 센서부의 렌즈를 교정하기 위한 버튼, 온도 및 농도값을 설정하는 파라메타버튼, 측정값을 그래프로 표시하도록 하는 트랜드버튼 등으로 구 성되어 시료의 탁도,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량, 활성오니(MLSS), 현탁고형물(SS), 전기전도도, 잔류염소량 등의 측정항목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컨트롤러(10)는 하부에 유선방식을 사용하기 위한 전선케이블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무선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 내부에는 수신기능이 구성된 피시비기판이 설치되며, 외부에는 주파수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로 구성된다.
그리고, 컨트롤러(10)는 후방에 설치를 위한 브래킷을 연결하고,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에 브래킷을 걸어서 사용하는 걸이방식으로 고정설치하여 사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송신부(20)는 컨트롤러(10)에 무선방식으로 전기적신호를 송신하며, 사각형상의 상부케이스(21) 하부로 삽입시켜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며 내부에는 송신기능이 형성된 피씨비기판(22)이 삽입고정되고, 하부에는 피씨비기판(22)에 연결된 안테나(23)가 형성되며, 안테나(23)가 형성된 반대편에는 내부에 연통되며 하부 내주면에 나선이 구비된 원통홀더(24a)가 하부로 돌출된 하부케이스(24)로 구성된다.
이러한, 송신부(20)는 부유물질측정장치(100)를 이동을 위하여 측정자가 손잡이로 사용가능하며, 전체가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로서, 송신부(20)는 상부에는 'ㄱ'형상의 손잡이(210a)가 형성된 상부케이스(210) 및 지지부(30)의 지지홀더(31)에 나선체결되는 나선홀(220a)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부케이스(210)의 하부로 삽입되어 나선 결합되며, 일측에는 전선케이블(220b)이 배출되며 케이블글란드(220c)가 나선 체결되도록 내 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케이블홀(220d)이 구성되되, 상부에는 피씨비기판(230)이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하부케이스(220)로 구성된다.
아울러, 송신부(20)은 컨트롤러(10)와 피씨비기판(230)을 전선케이블(220b)을 이용하여 유선방식으로 연결시켜 측정데이타에 대한 값을 디스플레이하고 각종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30)는 송신부(20)의 원통홀더(24a)에 상부가 삽입되어 나선체결되며, 고정을 위해 설치된 고정플레이트(200)에 결합되되, 상부는 내,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고, 하부는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동일한 원통 구조이며 중앙은 큰 직경의 원통으로 구성된 지지홀더(31)가 형성되고, 지지홀더(31)의 하부로 삽입되어 나선체결되며, 하부에는 원판형의 고정판(32a)이 일체로 형성된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재질의 금속이나 강도가 강한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 지지파이프(32)로 구성된다.
아울러, 고정플레이트(200)는 집게형상으로 형성되되, 탄성력이 강한 금속이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구조로 지지홀더(31)의 하부원통을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플레이트(200)는 측정할 시료가 저장된 장소나 위치의 외부에 설치되어 부유물질측정장치(100)를 지지하며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측정부(40)는 지지부(30)의 고정판(32a) 하부에 누수방지를 위한 고무링(O)이 끼워져 고정판(32a)을 관통한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며, 중앙에는 케이블의 외부면을 밀착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케이블글란드(41a)가 고정된 원판형의 밀봉덮개(41)로 구성된다.
아울러, 고정판(32a)의 하부면 및 밀봉덮개(41)의 상부면에는 고무링(O)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고무링홈(도면 및 도면번호 미도시)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케이블글란드(41a)는 상부는 돔형상으로 중앙이 중공되며, 하부는 육각너트형상으로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캡(411a)이 구성되고, 캡(411a)의 하부로 누수를 방지하는 띠형상으로 고무재질의 띠링(412a)이 형성되며, 띠링(412a) 및 캡(411a)이 순차적으로 체결되되, 상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원주를 따라 절단된 내주면에 연질고무재질로 형성된 원통형의 압착고무(413a)가 삽입되어진 조임편(414a')이 형성되고, 조임편(414a')의 하부에는 나선 및 위치고정 위한 너트가 일체로 고정되고, 너트의 하부로 지지를 위한 나선이 형성된 몸체(414a)가 구성되며, 몸체(414a)의 최하부 나선에 체결되는 고정너트(415a)로 구성된다.
즉, 케이블글란드(41a)는 밀봉덮개(41)의 중앙상부로 몸체(414a)의 하부가 끼워진 후, 밀봉덮개(41)의 하부로 고정너트(415a)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몸체(414a)의 상부로 띠링(412a) 및 캡(411a)이 순차적으로 체결하여 조립하여, 케이블글란드(41a)의 중앙으로 케이블을 관통시킨 후, 캡(411a)을 조이게 되면 캡(411a)의 내부 상부면에 형성된 압착돌기(도면 미도시)가 조임편(414a')를 압박하여 압착고무(413a)가 케이블의 표면에 밀착하게 되어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측정부(40)는 밀봉덮개(41)의 하부에 위치되어 밀봉덮개(4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되, 누수방지를 위한 고무링(O)이 상부에 안치되어 체결되는 원통수용체(42)로 구성된다.
아울러, 원통수용체(42)는 중앙이 중공된 구조이며, 상부면에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홈이 형성되되, 밀봉덮개(41)의 볼트홀의 주변과 원통수용체(42)의 볼트홈의 주변으로 고무링(O)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고무링홈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측정부(40)는 원통수용체(42)의 하부로 삽입되며 송신부(20)의 피씨비기판(22)에 연결잭이 양단에 형성된 전선케이블(43a)로 연결된 중앙에는 관통홀(43b)이 형성된 피씨비기판(43)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측정부(40)는 피씨비기판(43)의 관통홀(43b) 중앙에 위치되어 연결잭이 양단에 형성된 전선케이블(44a)로 피씨비기판(43)에 연결되는 모터(44b)가 형성되고, 모터(44b)의 축에 연결된 회전축(44c) 끝단에 볼트를 이용하여 편심되게 고정되어 편심회전하는 세정브러시(44d)가 형성된 세정부(44)로 구성된다.
이러한, 세정부(44)의 세정브러시(44d)는 세로 방향으로 길며 연질의 고무재로 형성된 삼각형상이며, 외측의 꼭지점에는 얇은 판형상의 고무가 연장되어 셀블럭몸체(46)의 측정공간(46c)에 위치된 상태로 센서부(47)의 표면을 닦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세정부(44)의 세정브러시(44d)는 컨트롤러(10)에 구성된 세정기능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모터(44b)의 작동으로 1회전 이상으로 회전하며 센서부(47)의 세정작업을 수행하고, 대응되는 센서부(47)의 발광센서(47b) 및 수광센서(47c)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멈춰지도록 하여 발광센서(47b)에서 조사된 적외선 파장이 시료에 함유된 부유물질에 부딪혀 수광센서(47c)로 조사되는 것을 방해받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세정브러시(44d)는 상부면에 얇은 금속재 판이 접착방식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모터(44b)의 회전축(44c)에 볼트를 이용하여 금속재 판과 회전축(44b)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측정부(40)는 피씨비기판(43) 및 세정부(44)의 모터(44b)가 나사결합되도록, 상부는 작고 하부가 큰 직경인 원통이 2단으로 형성된 실링캡(45a)이 구성되되, 상부면에는 피씨비기판(43)이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고, 중앙에는 회전축(44c)이 관통되는 관통홀(45b)이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은 형태의 홀로 형성되어 세정브러시(44d)가 회전축(44c)에 체결되어 관통홀(45b)의 넓은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실링캡(45a)의 하부에는 관통홀(45b) 주변으로 원형돌기(45c)가 형성된 실링캡부(45)로 구성된다.
이러한, 실링캡부(45)의 실링캡(45a)은 하부에 형성된 원형돌기(45c)의 주변으로 고무링(O)이 끼워지는 고무링홈이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측정부(40)는 실링캡부(45)의 실링캡(45a)이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작은 원통이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원통수용체(42)의 하부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게 큰 직경인 원통을 이루며 셀블럭(46a)이 형성되되, 셀블럭(46a)의 상부에는 실링캡(45a)이 고정되는 볼트홀이 형성되며, 볼트홀 사이의 중앙에는 실링캡(45a)의 원형돌기(45c)가 방수를 위한 고무링(O)을 외부로 감싸져 안치될 수 있도록 단차단(46b)을 이루며 일정하게 관통되되, 하부 끝단이 넓어지는 측정공간(46c)이 형성되고, 측정공간(46c)에 연통되게 상부 원통을 관통하여 단차진 센서홀(46d)이 형성되며, 센서홀(46d)의 상부에는 케이블홈(46e)이 형성된 셀블럭몸 체(46)로 구성된다.
그리고, 셀블럭몸체(46)는 센서홀(46d)이 일직선상으로 대응되게 형성된 2개의 센서홀(46d)에 발광센서(47b)와 수광센서(47c)을 체결시켜 활성오니 및 미생물(MLSS)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셀블럭몸체(46)는 센서홀(46d)의 중심점이 서로 45°의 각도로 접해지도록 2개의 센서홀(46d)에 발광센서(47b)와 수광센서(47c)을 체결시켜 현탁고형물(SS)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셀블럭몸체(46)는 센서홀(46d)이 일직선상으로 대응되게 형성하는 한편, 센서홀(46d)의 중심점이 서로 45°의 각도를 유지되며 접해지도록 3개의 센서홀(46d)중 대응되는 하나의 센서홀(46d)에 발광센서(47b) 및 나머지 두 개의 센서홀(46d)에 수광센서(47c)을 각각 체결시켜 활성오니 및 미생물(MLSS)과 현탁고형물(SS)을 동시에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측정부(40)는 셀블럭몸체(46)의 센서홀(46d)에 삽입되어 볼트로 체결되고, 센서홀(46d)의 케이블홈(46e)을 따라 유도되어 실링캡(45a)의 상부에 고정된 피씨비기판(43)에 연결잭으로 연결되는 전선케이블(47a)이 형성된 각각 발광센서(47b) 및 수광센서(47c)로 이루어진 센서부(47)로 구성된다.
아울러, 측정부(40)는 배관(300)을 따라 흐르는 시료수의 측정을 위해 T형배관에 설치하여 유통형으로 측정하거나, 측정부(40)를 Y형 배관에 설치하여 삽입형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측정부(40)를 구성하는 밀봉덮개(41), 원통수용체(42), 실링캡(45a), 셀블럭몸체(46)는 외부로부터 작용되는 빛을 차단하며 간섭을 받지 않도록 검은색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어 발광센서(47b)에서 조사되는 적외선 파장이 시료의 부유물질에 부딪혀 산란된 산란광을 수광센서(47c)가 수광할 수 있도록 적외선 파장만이 측정공간(46c)에 존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센서부(47)는 전선케이블(47a)에 단자접점으로 연결된 적외선을 조사 및 수광하는 엘이디램프(47d)가 형성되며, 엘이디램프(47d)는 중앙이 관통된 원통과 원판이 일체로 결합되어 단면이 'ㅛ'형상인 고정틀(47e)의 원판측으로 삽입되어 실리콘 실링으로 방수처리되게 고정되며, 고정틀(47e)의 원통측으로 원기둥형상의 적외선을 평행하게 투과되는 지름이 35mm내외의 직경인 평행광방식을 이용하는 렌즈(47f)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고정틀(47e)의 원통외측으로 방수를 위한 고무링(O)이 끼워져 셀블럭몸체(46)의 센서홀(46d)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센서부(47)는 셀블럭(46a)과 볼트를 이용하여 착탈방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고장 등으로 인한 교체작업이 간단하며 수리에 대한 비용이 절감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센서부(47)의 렌즈(47f)는 고정틀(47e)에 삽입되어 엘이디램프(47d)와 2~4mm사이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성하여 엘이디램프(47d)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의 잔상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저온상태의 시료를 측정시 센서부(47)의 내부의 온도와 시료의 온도차로 인한 결빙 및 결로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센서부(47)의 렌즈(47f)는 한 개의 렌즈를 2개로 분리하여 마주보는 단면에 수막코팅(47f')과 일정한 파장의 적외선 주파수만이 투과되는 주파수코팅(47f")을 각각 코팅 후 접합시켜 단일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센서부(47)의 렌즈(47f)는 일단에는 수막코팅(47f')을 코팅하고, 타단에는 일정한 파장의 적외선 주파수만이 투과되는 주파수코팅(47f")이 코팅되어 구성된다.
또한, 센서부(47)의 렌즈(47f)는 일단에는 수막코팅(47f')을 코팅하고, 중앙에는 화학적 처리방식을 이용하여 일정한 파장의 적외선 주파수만이 투과되는 주파수코팅(47f")이 내부에 코팅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수막코팅(47f)은 시료의 측정시 렌즈(47f)의 일측 단면이 시료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시료의 침투로 인한 수분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주파수코팅(47f")은 규정된 적외선 파장 또는 880nm 외에 다른 적외선 파장의 빛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시료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물질측정장치(100)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측정부(40)를 측정할 시료에 침적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는 침적형방식, T형상의 배관을 따라 흐르는 시료를 측정하는 유통형방식, Y형상의 배관을 따라 흐르는 시료를 측정하는 삽입형방식으로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침적형방식은 측정할 시료가 담겨진 정수조나 현장에서 측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부유물질측정장치(100)의 지지부(30)의 지지홀더(31)을 정수조나 현 장 외부에 설치된 고정플레이트(200)에 설치하는 동시에 측정부(40)는 시료에 담궈지도록 침전시켜 측정하게 되며, 측정을 위한 설치 및 이동이 자유롭고, 위치나 장소의 제약을 적게 받으며 측정가능하다.
그리고, 유통형방식과 삽입형방식은 침적형과는 달리 측정부(40)를 측정할 시료에 침적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단지 측정부(40)의 센서부(47)가 위치된 측정공간(46c)에 시료가 충진되어 시료의 부유물질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유통형방식은 시료가 흐르는 배관에 직각으로 설치가 되며, 삽입형방식은 시료가 배관을 따라 흐르는 방향으로 측정공간(46c)가 설치되도록, 즉, 측정부(40)가 시료가 흐르는 방향으로 30°정도 기울여져 설치되어 시료가 흐르는 저항과 적은 마찰을 받으며 측정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침적형, 유통형, 삽입형 방식을 이용하여 시료에 함유된 부유물질을 측정하는 방식은 활성오니 및 미생물(MLSS)을 단독으로 측정하는 방식과 현탁고형물(SS)을 측정하는 방식, MLSS와 SS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방식이 있다.
먼저, 활성오니 및 미생물(MLSS)을 측정하는 방식은 컨트롤러(10)에서 측정기능을 선택하게 되며 센서부(47)의 발광센서(47b)에서 엘이디램프(47d)를 통해 880nm 또는 규정된 적외선 파장이 발광되며, 적외선 파장은 평행광방식의 렌즈(47f)를 통해 적외선이 수평으로 조사된다.
이후, 렌즈(47f)를 통해 조사된 적외선 파장은 시료속에 함유된 활성오니 및 미생물(MLSS)에 부딪혀 다른 방향으로 산란되는 산란광을 제외한 수평으로 조사되는 적외선 파장만이 수광센서(47c)로 조사되게 되어, 최초의 발광센서(47b)에서 조 사된 적외선 파장의 양과 활성오니 및 미생물(MLSS)를 함유한 시료속을 통과한 적외선 파장의 감소량을 파악하여 활성오니 및 미생물(MLSS)을 측정값을 컨트롤러(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현탁고형물(SS)을 측정하는 방식은 컨트롤러(10)에서 측정기능을 선택하게 되며 센서부(47)의 발광센서(47b)에서 엘이디램프(47d)를 통해 880nm 또는 규정된 적외선 파장이 발광되며, 적외선 파장은 평행광방식의 렌즈(47f)를 통해 적외선이 수평으로 조사된다.
이후, 렌즈(47f)를 통해 조사된 880nm 또는 규정된 적외선 파장은 시료속에 함유된 현탁고형물(SS)에 부딪혀 45°의 각도로 산란되는 산란광이 발광센서(47b)와 45°로 접하는 수광센서(47c)로 조사되게 되어, 45°로 산란되는 적외선 파장의 양을 측정하여 현탁고형물(MLSS)의 측정값을 컨트롤러(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활성오니 및 미생물(MLSS)과 현탁고형물(SS)을 동시에 측정하는 방식은 셀블럭몸체(46)에 형성된 하나의 센서홀(46d)에 발광센서(47b)가 체결되며, 이러한, 발광센서(47b)에 대하여 수평으로 위치된 센서홀(46d)에 수광센서(47c) 및 발광센서(47b)에 대하여 45°로 접하도록 위치된 센서홀(46d)에 수광센서(47c)가 체결되어 구성된 것으로, 컨트롤러(10)를 통해 활성오니 및 미생물(MLSS)과 현탁고형물(SS)의 측정을 동시에 시행 가능하며, 활성오니 및 미생물(MLSS) 및 현탁고형물(SS)을 개별 측정가능한 한편, 하나의 측정부(40)을 이용하여 활성오니 및 미생물(MLSS) 및 현탁고형물(SS)을 측정용도에 맞게 동시측정이 가능하여 측정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며, 컨트롤러(10)를 통해 측정값을 수치 및 그래프로 표시하여 다양한 측정값에 대한 데이터를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송신부를 전선케이블을 이용한 유선방식과 전파를 송수신하는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시료를 측정하는 장소나 거리의 제약을 받지 않아 다양한 측정장소나 거리에서 시료의 부유물질을 측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연질고무재질로 형성된 세정브러시를 구성시켜 렌즈의 표면에 긁힘을 방지하며 렌즈표면에 침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점이 있으며, 렌즈를 통해 조사되는 적외선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멈춰지도록 하여 측정값에 변화나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셀블럭몸체의 센서홀이 두 개로 대응되도록 일직선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중심점이 45°로 접하도록 두 개로 형성시키며, 그리고, 세 개의 센서홀을 형성하되, 두 개의 센서홀은 일직선상으로 대응되고 한개의 센서홀은 45°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각 센서홀에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각각 한 개씩의 센서부를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방식을 이용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한 개의 발광센서와 두 개의 수광센서의 센서부를 각각 설치하여 시료 속에 부유하는 활성오니 및 미생물이나 현탁고형물을 각각 측정할 수도 있으며, 동시측정이 가능하여 시료에 따라 선택적인 측정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켰으며, 수리 및 교체작업이 간단하고 이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되도록 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부의 렌즈와 적외선을 조사하는 엘이디램프의 간격을 2~4mm로 이격시켜 엘이디램프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의 잔상을 제거하는 이점이 있으며, 렌즈의 일측 단면에 수막코팅을 하여 겨울철의 시료측정시 수분이 센서부로 침투하여 결빙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측정부의 밀봉덮개, 원통수용체, 실링캡, 셀블럭은 외부로부터 작용되는 빛을 차단하고 간섭을 받지 않도록 검은색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측정부를 T형배관이나 Y형배관에 설치하여 배관을 따라 흐르는 시료의 부유물질을 여러 형태로 장착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시료수의 부유물질을 측정한 전기적신호를 무선방식으로 수신받아 측정데이타에 대한 값을 디스플레이하고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0)와;
    컨트롤러(10)에 무선방식으로 전기적신호를 송신하며, 사각형상의 상부케이스(21) 하부로 삽입시켜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며 내부에는 송신기능이 형성된 피씨비기판(22)이 삽입고정되고, 하부에는 피씨비기판(22)에 연결된 안테나(23)가 형성되며, 안테나(23)가 형성된 반대편에는 내부에 연통되며 하부 내주면에 나선이 구비된 원통홀더(24a)가 하부로 돌출된 하부케이스(24)로 이루어지는 송신부(20)와;
    송신부(20)의 원통홀더(24a)에 상부가 삽입되어 나선체결되며, 고정을 위해 설치된 고정플레이트(200)에 결합되되, 상하부는 동일한 원통 구조이며 중앙은 큰 직경의 원통으로 구성된 지지홀더(31)가 형성되고, 지지홀더(31)의 하부로 삽입되어 나선체결되며, 하부에는 원판형의 고정판(32a)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파이프(32)로 이루어지는 지지부(30)와;
    지지부(30)의 고정판(32a) 하부에 누수방지를 위한 고무링(O)이 끼워져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며, 중앙에는 케이블의 외부면을 밀착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케이블글란드(41a)가 고정된 원판형의 밀봉덮개(41)와, 밀봉덮개(41)의 하부에 위치되어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되, 누수방지를 위한 고무링(O)이 상부에 안치되어 체결되는 원통수용체(42)와, 원통수용체(42)의 하부로 삽입되며 송신부(20)의 피씨비 기판(22)에 연결잭이 양단에 형성된 전선케이블(43a)로 연결된 중앙에는 관통홀(43b)이 형성된 피씨비기판(43)과, 피씨비기판(43)의 관통홀(43b) 중앙에 위치되어 연결잭이 양단에 형성된 전선케이블(44a)로 피씨비기판(43)에 연결되는 모터(44b)가 형성되고, 모터(44b)의 축에 연결된 회전축(44c) 끝단에 볼트를 이용하여 편심되게 고정되어 편심회전하는 세정브러시(44d)로 형성된 세정부(44)와, 피씨비기판(43) 및 세정부(44)의 모터(44b)가 나사결합되도록, 상부는 작고 하부가 큰 직경인 원통이 2단으로 형성된 실링캡(45a)이 구성되되, 상부면에는 피씨비기판(43)이 고정되고, 중앙에는 회전축(44c)이 관통되는 관통홀(45b)이 형성되어 세정브러시(44d)가 회전축(44c)에 체결되어 관통홀(45b)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실링캡(45a)의 하부에는 관통홀(45b) 주변으로 원형돌기(45c)가 형성된 실링캡부(45)와, 실링캡부(45)의 실링캡(45a)이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작은 원통이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원통수용체(42)의 하부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게 큰 직경인 원통을 이루며 셀블럭(46a)이 형성되되, 셀블럭(46a)의 상부에는 실링캡(45a)이 고정되는 볼트홀이 형성되며, 볼트홀 사이의 중앙에는 실링캡(45a)의 원형돌기(45c)가 방수를 위한 고무링(O)을 외부로 감싸져 안치될 수 있도록 단차단(46b)을 이루며 일정하게 관통되되, 하부 끝단이 넓어지는 측정공간(46c)이 형성되고, 측정공간(46c)에 연통되게 상부 원통을 관통하여 단차진 센서홀(46d)이 형성되며, 센서홀(46d)의 상부에는 케이블홈(46e)이 형성된 셀블럭몸체(46)와, 셀블럭몸체(46)의 센서홀(46d)에 삽입되어 볼트로 체결되고, 센서홀(46d)의 케이블홈(46e)을 따라 유도되어 실링캡(45a)의 상부에 고정된 피씨비기판(43)에 연결잭으 로 연결되는 전선케이블(47a)이 형성된 각각 발광센서(47b) 및 수광센서(47c)로 이루어진 센서부(47)가 형성된 측정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0)는 시료수의 온도, 측정값, 시간에 따른 측정값을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20)는 상부에는 'ㄱ'형상의 손잡이(210a)가 형성된 상부케이스(210) 및 지지부(30)의 지지홀더(31)에 나선체결되는 나선홀(220a)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부케이스(210)의 하부로 삽입되어 나선 결합되며, 일측에는 전선케이블(220b)이 배출되며 케이블글란드(220c)가 체결된 케이블홀(220d)이 구성되되, 상부에는 피씨비기판(230)이 고정된 하부케이스(220)로 대체시켜 컨트롤러(10)와 피씨비기판(230)을 전선케이블(220b)을 이용하여 유선방식으로 연결시켜 측정데이타에 대한 값을 디스플레이하고 각종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44)의 세정브러시(44d)는 세로 방향으로 길며 연질의 고무재로 형성된 삼각형상이며, 외측의 꼭지점에는 얇은 판형상의 고무가 연장되어 셀블럭몸체(46)의 측정공간(46c)에 위치된 상태로 센서부(47)의 표면을 닦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44)의 세정브러시(44d)는 모터(44b)의 작동으로 1회전 이상으로 회전하며 센서부(47)의 세정작업을 수행하고, 대응되는 센서부(47)의 발광센서(47b) 및 수광센서(47c)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멈춰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블럭몸체(46)는 센서홀(46d)이 일직선상으로 대응되게 형성된 2개의 센서홀(46d)에 발광센서(47b)와 수광센서(47c)를 체결시켜 활성오니 및 미생물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블럭몸체(46)는 센서홀(46d)의 중심점이 서로 45°의 각도로 접해지도록 2개의 센서홀(46d)에 발광센서(47b)와 수광센서(47c)를 체결시켜 현탁고형물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블럭몸체(46)는 센서홀(46d)이 일직선상으로 대응되게 형성하는 한편, 센서홀(46d)의 중심점이 서로 45°의 각도를 유지되며 접해지 도록 3개의 센서홀(46d)중 대응되는 하나의 센서홀(46d)에 발광센서(47b) 및 나머지 두 개의 센서홀(46d)에 수광센서(47c)를 각각 체결시켜 활성오니 및 미생물과 현탁고형물을 동시에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47)는 전선케이블(47a)에 단자접점으로 연결된 적외선을 조사 및 수광하는 엘이디램프(47d)가 형성되며, 엘이디램프(47d)는 중앙이 관통된 원통과 원판이 일체로 결합되어 단면이 'ㅛ'형상인 고정틀(47e)의 원판측으로 삽입되어 실리콘 실링으로 방수처리되게 고정되며, 고정틀(47e)의 원통측으로 원기둥형상의 적외선을 평행하게 투과되는 평행광방식을 이용하는 렌즈(47f)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고정틀(47e)의 원통외측으로 방수를 위한 고무링(O)이 끼워져 셀블럭몸체(46)의 센서홀(46d)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47)는 셀블럭(46a)과 착탈방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47)의 렌즈(47f)는 고정틀(47e)에 삽입되어 엘이디램프(47d)와 2~4mm사이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47)의 렌즈(47f)는 한 개의 렌즈를 2개로 분리하여 마주보는 단면에 수막코팅(47f')과 일정한 파장의 적외선 주파수만이 투과되는 주파수코팅(47f")을 각각 코팅 후 접합시켜 단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47)의 렌즈(47f)는 일단에는 수막코팅(47f')을 코팅하고, 타단에는 일정한 파장의 적외선 주파수만이 투과되는 주파수코팅(47f")이 코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47)의 렌즈(47f)는 일단에는 수막코팅(47f')을 코팅하고, 중앙에는 화학적 처리방식을 이용하여 일정한 파장의 적외선 주파수만이 투과되는 주파수코팅(47f")이 내부에 코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40)는 배관(300)을 따라 흐르는 시료수의 측정을 위해 T형배관에 설치하여 유통형으로 측정하거나, 측정부(40)를 Y형 배관에 설치하여 삽입형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40)를 구성하는 밀봉덮개(41), 원통수용체(42), 실링캡(45a), 셀블럭몸체(46)는 외부로부터 작용되는 빛을 차단하며 간섭을 받지 않도록 검은색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 장치.
KR1020060044317A 2006-05-17 2006-05-17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 KR100643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317A KR100643175B1 (ko) 2006-05-17 2006-05-17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317A KR100643175B1 (ko) 2006-05-17 2006-05-17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3175B1 true KR100643175B1 (ko) 2006-11-10

Family

ID=37653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317A KR100643175B1 (ko) 2006-05-17 2006-05-17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17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18B1 (ko) 2007-09-21 2009-05-26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온라인 부유물질 측정기
KR100904032B1 (ko) * 2008-11-06 2009-06-22 정종덕 포기조의 부유물 농도측정장치 및 방법
KR100904918B1 (ko) 2007-09-21 2009-06-29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온라인 탁도 측정기
KR100944941B1 (ko) 2008-03-19 2010-03-02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온라인 부유물질 측정기
KR101005084B1 (ko) * 2008-10-16 2010-12-30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부유물질 농도계
KR101445533B1 (ko) 2013-06-05 2014-09-30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멀티센서를 이용한 부유물질 측정시스템
KR101676228B1 (ko) * 2016-07-13 2016-11-14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부유물질 측정기
CN110208477A (zh) * 2019-06-01 2019-09-06 重庆工商大学融智学院 一种用于水资源监控的数据分析反馈系统
CN110611515A (zh) * 2019-10-17 2019-12-24 郑州轻工业学院 一种用于应急场景可抛布设的无线传感器节点及使用方法
KR102266332B1 (ko) 2020-12-31 2021-06-18 김정환 중량법 연속자동 부유물질 측정장치
KR102337436B1 (ko) * 2021-07-26 2021-12-10 주식회사 삼광산전 신속 설치가 가능한 분리형 적외선센서 모듈을 이용한 이상 통합 감시 및 불량예측 기능을 구비한 인공지능 배전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1477A (en) 1978-01-16 1980-05-06 Fmc Corporation Suspended solids meter
JPH11169840A (ja) 1997-12-10 1999-06-29 Nippon Kankyo Gijutsu Kk 排水処理分析方法及びその装置
US6386017B1 (en) 1999-11-24 2002-05-14 Mt. Fury Company,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and control of suspended solids in a fluid
KR20030066073A (ko) * 2002-02-04 2003-08-09 주식회사 에코아이티이십일 부유물질 농도 분석기와 소프트웨어 센서기술을 이용한수처리시설 방류수 유기물질농도 예측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1477A (en) 1978-01-16 1980-05-06 Fmc Corporation Suspended solids meter
JPH11169840A (ja) 1997-12-10 1999-06-29 Nippon Kankyo Gijutsu Kk 排水処理分析方法及びその装置
US6386017B1 (en) 1999-11-24 2002-05-14 Mt. Fury Company,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and control of suspended solids in a fluid
KR20030066073A (ko) * 2002-02-04 2003-08-09 주식회사 에코아이티이십일 부유물질 농도 분석기와 소프트웨어 센서기술을 이용한수처리시설 방류수 유기물질농도 예측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18B1 (ko) 2007-09-21 2009-05-26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온라인 부유물질 측정기
KR100904918B1 (ko) 2007-09-21 2009-06-29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온라인 탁도 측정기
KR100944941B1 (ko) 2008-03-19 2010-03-02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온라인 부유물질 측정기
KR101005084B1 (ko) * 2008-10-16 2010-12-30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부유물질 농도계
WO2010053312A2 (ko) * 2008-11-06 2010-05-14 곽정필 포기조의 부유물 농도측정장치 및 방법
WO2010053312A3 (ko) * 2008-11-06 2010-08-05 곽정필 포기조의 부유물 농도측정장치 및 방법
KR100904032B1 (ko) * 2008-11-06 2009-06-22 정종덕 포기조의 부유물 농도측정장치 및 방법
KR101445533B1 (ko) 2013-06-05 2014-09-30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멀티센서를 이용한 부유물질 측정시스템
KR101676228B1 (ko) * 2016-07-13 2016-11-14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부유물질 측정기
CN110208477A (zh) * 2019-06-01 2019-09-06 重庆工商大学融智学院 一种用于水资源监控的数据分析反馈系统
CN110611515A (zh) * 2019-10-17 2019-12-24 郑州轻工业学院 一种用于应急场景可抛布设的无线传感器节点及使用方法
KR102266332B1 (ko) 2020-12-31 2021-06-18 김정환 중량법 연속자동 부유물질 측정장치
KR102337436B1 (ko) * 2021-07-26 2021-12-10 주식회사 삼광산전 신속 설치가 가능한 분리형 적외선센서 모듈을 이용한 이상 통합 감시 및 불량예측 기능을 구비한 인공지능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175B1 (ko) 온라인 부유물질 농도 측정센서장치
EP0576501B1 (en) Organic pollutant monitor
KR100643176B1 (ko) 온라인 탁도 측정장치
US10119952B2 (en) Inline water contaminant detector and filter
KR101743860B1 (ko) 전류측정식 센서 시스템
US202003409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power measurement of a liquid-quality parameter
KR20100008809A (ko) 원격 자동 수질 감시시스템
KR101445533B1 (ko) 멀티센서를 이용한 부유물질 측정시스템
KR200448858Y1 (ko) 부유물질 측정용 렌즈방식센서의 구조
GB2295232A (en) Continuous multi-parameter monitoring of liquids with a novel sensor cleaning and calibration system
CN209952337U (zh) 一种用于水质监测的在线自动过滤装置
KR100944941B1 (ko) 온라인 부유물질 측정기
KR101005084B1 (ko) 부유물질 농도계
CN2555504Y (zh) 水质总磷在线自动监测仪
GB2256043A (en) Organic pollutant monitor
KR20090017902A (ko) 탁도계
KR102318169B1 (ko) 투과 산란광을 이용한 탁도 및 부유물질 측정센서
WO2023079322A2 (en) Water analysing device, the system associated with it, and its use
CN216283789U (zh) 一种水利工程用水位监测装置
CN109959629A (zh) 一种浊度物质监测装置及其工作方法
CN102262065B (zh) 一种在线测定水中硝酸盐氮的仪器
CN207662794U (zh) 一种浊度物质监测装置
CN113687045A (zh) 一种稳定型水质监测装置
KR100899418B1 (ko) 온라인 부유물질 측정기
KR101676228B1 (ko) 부유물질 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