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826B1 -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826B1
KR100642826B1 KR20050024573A KR20050024573A KR100642826B1 KR 100642826 B1 KR100642826 B1 KR 100642826B1 KR 20050024573 A KR20050024573 A KR 20050024573A KR 20050024573 A KR20050024573 A KR 20050024573A KR 100642826 B1 KR100642826 B1 KR 100642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cutting
housing
layer
cutt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2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703A (ko
Inventor
박상태
박길홍
Original Assignee
(주)엠프로
주식회사 엠타임
주식회사 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프로, 주식회사 엠타임, 주식회사 엠텍 filed Critical (주)엠프로
Priority to KR2005002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826B1/ko
Priority to PCT/KR2006/001018 priority patent/WO2006112610A1/en
Publication of KR20060102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7/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5/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nly by their periphery;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5/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nly by their periphery;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변속기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변속기어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절삭날뭉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에서, 상기 절삭날뭉치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서 외주면이 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구비된 개구부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상기 절삭날뭉치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다수 개의 절삭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 모터, 변속기어부, 절삭날뭉치

Description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Concrete surface neutralized layer and painted layer removing device}
도1은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의 하부사시도이다.
도2는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의 상부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모터, 변속기어부 및 절삭날뭉치의 결합상태도이다.
도4는 도1의 A-A 단면도(a) 및 구동바퀴와 절삭날의 배열상태도(b)이다.
도5는 절삭날뭉치의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a), 절삭날의 사시도(b), 절삭날의 전개도(c) 및 절삭날뭉치의 단면도(d)이다.
도6은 도5의 절삭날뭉치에서 절삭날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전개도(a) (b)(c)이다.
도7은 절삭날뭉치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a), 절삭날의 전개도(b) 및 절삭날 전개도 각 부분의 단면도(c)(d)이다.
도8은 도7의 절삭날뭉치에서 절삭날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전개도(a)(b)(c)(d)(e)이다.
도9는 절삭날뭉치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a), 절삭날뭉치를 구성하는 원반의 양측 밑면에서 본 각각의 사시도(b)(c), 절삭날뭉치를 구성하는 원반 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양측 밑면에서 본 각각의 사시도(d)(e)이다.
도10은 절삭날의 다양한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냉각구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a) 및 냉각구가 구비되는 경우(b)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11은 종래의 연마기(a) 및 연마기에 사용되는 연삭날(b)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하우징
110:개구부 120:구동바퀴
130:손잡이 140:슬로트
150:집진호스연결구
200:모터
300:변속기어부
400:절삭날뭉치
410:절삭날 415:절삭날냉각구
420:통풍구 430:축삽입구
440:외주면냉각구
450:원반
451:절삭날 452:냉각홈
453:원반냉각구 454:스페이서(Spacer)
455:축삽입구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섬유판 등의 보강재를 콘크리트구조물 표면에 접착제로 시공할 때, 접착제가 도포되는 콘크리트 표면을 연삭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도색되어 있는 페인트층 또는 중성화층을 벗겨냄과 아울러 콘크리트 표면에 적절한 표면 거칠기를 부여하는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이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되는 콘크리트 표면을 연삭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도색되어 있는 페인트층 또는 중성화층을 벗겨냄과 아울러 콘크리트 표면에 적절한 표면 거칠기를 부여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연마기(1)가 도11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연마기(1)에 사용되는 연삭날(2)이 도11(b)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연삭날(2)은 원판(4)의 평면에 다수 개의 절삭날(3)을 일체화한 구조이다.
종래의 연마기(1)는 도11(a)와 같이 그라인더에 연삭날(2)을 결합한 후, 연삭날(2)이 콘크리트(6) 표면과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연삭날(2)을 회전시켜 콘크리트(6) 표면에 다수 개의 절삭날(3)이 접촉되도록 하여 콘크리트(6) 표면의 페인트(5)를 연마제거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6) 표면을 처리할 경우, 연삭날(2)의 회전에 의해 페인 트(5) 층이 점진적으로 연마 제거된다.
즉 일정 장소의 페인트(5)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그 장소에서 연삭날(2)을 다수 회 회전시켜야 한다.
그러나 페인트(5)의 경우 점성이 있어 쉽게 연마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바, 콘크리트(6) 표면처리는 매우 어려운 공정 중의 하나이며, 또한 공사기간을 연장시키는 요소가 되며, 페인트(5)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시공불량을 초래하기 쉽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연삭(또는 절삭)할 때, 많은 분진이 발생하며, 이는 작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또한 연삭날(또는 절삭날)에 다량의 마찰열이 발생하는데, 이는 연삭장치(또는 절삭장치)를 장시간 연속 사용치 못하는 원인이 된다. 연삭날(또는 절삭날)은 생크(shank)에 날(diamond tip)이 접합된 구조인데, 연삭날(또는 절삭날)에 다량의 마찰열이 도입될 경우, 상기 접합부위가 분리되어 날(diamond tip)이 생크(shank)에서 떨어져 나가버림으로써 해당 연삭날(또는 절삭날)을 더 이상 사용치 못하는 불상사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즉 분진발생, 마찰열에 의한 날(diamond tip) 분리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삭날(또는 절삭날)에 통상 냉각수가 투입된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의 문제점은 일부 해소되지만 작업부위의 콘크리트가 냉각수에 의해 젖은 상태가 되어 접착제 도포 및 보강재 시공 등과 같은 후속공정을 곧 바로 시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대두된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현장에서 습기에 의한 접착불량 등과 같은 시공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콘크리트 표면의 페인트층 또는 중성화층을 건식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콘크리트 표면의 페인트층 또는 중성화층을 건식으로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셋째, 페인트층 또는 중성화층의 제거와 동시에 콘크리트 표면에 적절한 표면 거칠기를 부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변속기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변속기어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절삭날뭉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에서, 상기 절삭날뭉치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서 외주면이 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구비된 개구부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상기 절삭날뭉치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다수 개의 절삭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검토한다.
도1은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의 하부사시도이고, 도2는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의 상부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모터(200), 변속기어부(300) 및 절삭날뭉치(400)의 결합상태도이다.
하우징(100)은 전체적인 몸체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도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절삭날뭉치(400)가 콘크리트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모터(200)와 변속기어부(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도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20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변속기어부(300)가 모터(200)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절삭날뭉치(400)가 변속기어부(3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변속기어부(300)는 모터의 회전력과 회전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절삭날뭉치(400)에 전달함과 아울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벨기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회전축 방향을 90°전환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도1 및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구동바퀴(12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바퀴(120)를 장착하기 위하여 형성된 슬로트(14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슬로트(140)는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바퀴(120)의 회전축이 상기 슬로트(140) 내부 소정의 위치에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바퀴(120)의 회전축이 슬로트(140) 내부의 어느 위치에 고정되는가에 의하여 구동바퀴(120)가 콘크리트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우징(100) 하부면의 지상고가 결정된다. 왜냐하면 슬로트(140)가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구동바퀴(120)의 고정위치에 따라 하우징 하부면의 지상고가 결정되는 바, 하우징(100) 하부의 개구부(110)에 설치되는 절삭날뭉치(400)가 콘크리트 표면을 파쇄하여 파고들 수 있는 깊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도4(a)는 도1의 A-A단면도로서 절삭날뭉치(40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4(b)에는 구동바퀴(120)보다 어느 정도 절삭날(410)이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절삭날(410)이 구동바퀴(120)보다 소정의 거리(s)만큼 돌출되어 있지 않으면 구동바퀴(120)가 콘크리트 표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절삭날뭉치(400)를 구동시켜도 콘크리트 표면을 파쇄할 수가 없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손잡이(130)가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손잡이(13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인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한다.
즉, 손잡이(13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의 운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절삭날뭉치(400)가 설치된 부분과 외부를 연통하는 집진호스연결구(150)가 구비되어 있는 바, 집진호스연결구(150)를 통하여 절삭날뭉치(400)가 회전하면서 콘크리트 표면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절삭날뭉치(40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서 외주면이 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면에 구비된 개구부(110)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상기 절삭날뭉치(40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다수 개의 절삭날(410)이 형성되는데, 도5 내지 도11에는 절삭날뭉치(400)의 구체적 실시예 및 절삭날(410)의 구체적 배열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5에 도시된 절삭날뭉치(400)의 구체적 실시예에 의하면, 절삭날뭉치(400)는 그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서, 양측 밑면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통풍구(420), 양측 밑면 중심부를 관통하는 축삽입구(430), 상기 절삭날(410)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절삭날냉각구(415) 및, 상기 절삭날냉각구(415)와 대응하는 위치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외주면냉각구(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절삭날뭉치(400)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절삭날(410)이 구비되어 있고 각각의 절삭날에 형성되어 있는 절삭날냉각구(415) 및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외주면냉각구(440)를 통하여 절삭날뭉치(4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통풍이 가능하고, 양측 밑면에도 다수 개의 통풍구(420)가 구비되어 있어 이를 통하여도 절삭날뭉치(4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통풍이 가능하다.
즉 절삭날냉각구(415), 외주면냉각구(440) 및 통풍구(420)가 구비되어 있는 바, 절삭날뭉치(400)가 회전하면서 콘크리트 표면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도5(a)는 절삭날뭉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5(b)는 절삭날뭉치(400)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절삭날(410)의 사시도로서 절삭날냉각구(415)가 절삭날(410)의 중앙부분에 관통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5(c)는 절삭날뭉치(400)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절삭날(410)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로서, 다수 개의 절삭날(410)이 외주면을 따라 종횡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5(d)는 도5(a)의 단면 A-A를 도시하고 있는데 절삭날냉각구(415)와 외주면냉각구(440)를 통하여 절삭날뭉치(40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형상을 보여준다.
통상 절삭날뭉치는 강재로 된 생크(shank)에 절삭날(diamond tip)을 접합한 구조를 하고 있다. 이 절삭날뭉치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건식으로 절단 또는 절삭시 다량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생크(shank)와 절삭날(diamond tip)의 접합부위가 파손되어 절삭날(diamond tip)이 생크(shank)로부터 떨어져 나감으로써 절삭날뭉치를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함은 물론 공정이 수시로 중지되는 불상사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절삭날(diamond tip) 중심부에 냉 각구를 관통 형성하고, 이것이 접합된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의 생크(shank)에도 대응하는 냉각구를 형성하여둠으로써, 절삭날뭉치가 회전시 이 관통된 냉각구로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되게 하여 절삭날(diamond tip)과 이것이 접합된 생크(shank) 부분에 도입되는 마찰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함으로써, 절삭날(diamond tip)이 생크(shank)로부터 탈락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도6에도 절삭날뭉치(400)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절삭날(410)의 배열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6(a)는 절삭날뭉치(400)의 축방향을 따라 절삭날(410)이 지그재그로 배열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6(b) 및 도6(c)는 절삭날뭉치(400)의 축방향을 따라서는 절삭날(410)이 나란히 일렬로 배열되나 원호 방향을 따라서는 절삭날(410)이 지그재그로 배열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절삭날(410)의 구체적 배열 상태는 도6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배열을 할 수가 있다.
도7에 도시된 절삭날뭉치(400)의 구체적 실시예에 의하면 외주면에서 상기 절삭날(410)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부분에 구비되는 외주면냉각구(440)가 구비되어 있다.
왜냐하면 도7의 경우에는 절삭날(410)에 별도의 절삭날냉각구(415)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바, 절삭날(410)이 구비되지 않는 부분에 외주면냉각구(440)가 구비되어야만 절삭날뭉치(4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통풍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7의 경우에는 외주면냉각구(440)와 통풍구(420)를 통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냉각할 수 있다.
도7(a)에는 절삭날뭉치(4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7(b)는 절삭날뭉치(400)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절삭날(410)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로서, 다수 개의 절삭날(410)이 외주면을 따라 종횡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외주면냉각구(440)가 절삭날(410)이 구비되지 않은 부분에 종횡으로 나란히 배열된 상태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7(c)는 도7(a)의 단면 A-A를 도시하고 있는데 절삭날냉각구(415)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은 절삭날의 단면을 확인할 수 있다.
도7(d)는 도7(b)의 단면 B-B를 도시하고 있는데 외주면냉각구(440)를 통하여 절삭날뭉치(40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도8에도 절삭날뭉치(400)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절삭날(410)의 배열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8(a)는 절삭날뭉치(400)의 축방향을 따라 절삭날(410)이 지그재그로 배열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8(b), 도8(c), 도8(d) 및 도8(e)는 절삭날뭉치(400)의 축방향을 따라서는 절삭날(410)이 나란히 일렬로 배열되나 원호 방향을 따라서는 절삭날(410)이 지그재그로 배열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특히 도8(e)는 절삭날(410)의 형상이 서로 다른 2 종류가 원호 방향을 따라 교차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8에도 절삭날냉각구(415)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외주면냉각구(440)가 절삭날(410)이 구비되지 않은 부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됨을 알 수 있다.
절삭날(410)의 구체적 배열 상태는 도8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배열을 할 수가 있다.
도9에 도시된 절삭날뭉치(400)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절삭날뭉치(4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다수 개의 원반(450)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원반(450)은 각각,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절삭날(451), 상기 절삭날(451)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외주면이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냉각홈(452), 양측 밑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원반냉각구(453), 밑면의 중앙부분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스페이서(454), 및 상기 스페이서(454)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축삽입구(455)를 포함하고 있다.
도9에 도시된 절삭날뭉치(400)는 속이 비워있는 원기둥 형태가 아니라 다수 개의 원반(450)의 결합으로 원기둥 형상을 만든 것이다.
절삭날뭉치(400)을 구성하는 각각의 원반(450)에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절삭날(410)이 형성되어 있고 절삭날(410)과 절삭날(410) 사이에는 외주면이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냉각홈(452)이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원반(450)의 양측 밑면을 관통하는 원반냉각구(45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원반냉각구(453)와 냉각홈(452)을 이용하여 절삭날뭉치(400)의 마찰열을 냉각하게 된다.
한편 밑면의 중앙부분에는 수직으로 돌출된 스페이서(454)가 구비되어 있어 다수 개의 원반(450)을 축삽입구(455)를 통하여 축결합하는 경우 원반(450) 사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원반(450) 사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격되도록 하여 절삭날 (451) 사이의 거리도 유지할 수 있고 원반(450) 사이로 통풍이 가능하여 절삭날뭉치(400)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도9(a)는 절삭날뭉치(4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원반(45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9(b) 및 도9(c)는 절삭날뭉치(400)를 구성하는 원반(450)의 양측 밑면에서 본 각각의 사시도이고, 도9(d) 및 도9(e)는 절삭날뭉치를 구성하는 원반(450)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양측 밑면에서 본 각각의 사시도이다.
도9(b) 및 도9(c)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원반(450)의 외주면을 따라 절삭날(451)과 냉각홈(452)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밑면의 일측에는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454)가 구비되어 있다.
도9(d) 및 도9(e)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원반(450)의 외주면을 따라 냉각홈(452), 절삭날(451), 및 냉각홈(452)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면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밑면의 일측에는 도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454)가 구비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외주면에 절삭날(451) 구비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삭날(451)을 드문드문 구비함으로써 냉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10은 절삭날(410, 451)의 다양한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절삭날냉각구(415)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a) 및 절삭날냉각구(415)가 구비되는 경우(b)를 각각 도시하고 있는데, 절삭날(410, 451)의 구체적인 형태는 도10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절삭날(410, 451)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규격에 따라 사용범위가 달라질 수 있 다. 다시 말하면 소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천정 또는 벽체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중형 또는 대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바닥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콘크리트 표면의 페인트 층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절삭날뭉치(400)가 회전하면서 절삭날뭉치(400)의 외주면에 구비된 절삭날(410)이 콘크리트 표면에 충격을 가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파쇄하는 원리로서 보다 신속하게 콘크리트 표면에 도색되어 있는 페인트 층을 제거할 수 있다.
둘째, 콘크리트 표면의 페인트 층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연마기와는 달리 콘크리트 표면을 파쇄해 내는 효과가 탁월하여 콘크리트 표면의 페인트 층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페인트의 점성에 의한 장비의 기능저하를 배제하여 콘크리트 표면의 페인트 층을 보다 신속하고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셋째, 페인트 층의 제거와 동시에 콘크리트 표면에 적절한 표면 거칠기를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절삭날(410)이 지속적으로 콘크리트 표면에 접촉되어 연마하는 것이 아니라 절삭날(410)이 회전하면서 콘크리트 표면에 충격을 가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점진적으로 파쇄해 나가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바, 페인트 층이 제거됨과 동시에 콘크리트 표면에 적절한 표면 거칠기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표면에 적절한 표면 거칠기를 부여하는 경우 접착제의 접착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든 공정이 건식으로 진행되므로, 처리된 콘크리트 표면이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표면처리가 완료됨과 동시에 곧 바로 후속공정인 접착제 도포 및 섬유판과 같은 보강재 부착 시공이 가능하여 공기단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습기에 의한 접착불량 등과 같은 시공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200);
    상기 모터(20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변속기어부(3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변속기어부(3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절삭날뭉치(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에서,
    상기 절삭날뭉치(40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서 외주면이 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면에 구비된 개구부(110)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상기 절삭날뭉치(40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다수 개의 절삭날(410, 4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0)은,
    하부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구동바퀴(120);
    상기 구동바퀴를 장착하기 위하여 형성된 슬로트(140); 및,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13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슬로트(140)는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바퀴(120)의 회전축이 상기 슬로트(140) 내부 소정의 위치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절삭날뭉치(400)는,
    그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서,
    양측 밑면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통풍구(420);
    양측 밑면 중심부를 관통하는 축삽입구(430);
    상기 절삭날(410)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절삭날냉각구(415); 및,
    상기 절삭날냉각구(415)와 대응하는 위치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외주면냉각구(4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절삭날뭉치(400)는,
    그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서,
    양측 밑면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통풍구(420);
    양측 밑면 중심부를 관통하는 축삽입구(430); 및,
    외주면에서 상기 절삭날(410)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부분에 구비되는 외주면냉각구(4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
  6. 제3항에서, 상기 절삭날뭉치(4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다수 개의 원반(450)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원반(450)은 각각,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상기 절삭날(451);
    상기 절삭날(451)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외주면이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냉각홈(452);
    양측 밑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원반냉각구(453);
    밑면의 중앙부분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스페이서(454); 및,
    상기 스페이서(454)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축삽입구(455);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절삭날(410, 451)이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절삭날뭉치(400)가 설치된 부분과 외부를 연통하는 집진호스연결구(1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
KR20050024573A 2005-03-24 2005-03-24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 KR100642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4573A KR100642826B1 (ko) 2005-03-24 2005-03-24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
PCT/KR2006/001018 WO2006112610A1 (en) 2005-03-24 2006-03-21 Concrete surface neutralized layer and painted layer remov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4573A KR100642826B1 (ko) 2005-03-24 2005-03-24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703A KR20060102703A (ko) 2006-09-28
KR100642826B1 true KR100642826B1 (ko) 2006-11-03

Family

ID=3711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24573A KR100642826B1 (ko) 2005-03-24 2005-03-24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42826B1 (ko)
WO (1) WO20061126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3675B (zh) * 2018-12-18 2020-12-22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组合式轴向旋转脉动热管砂轮及其制备方法
KR102482584B1 (ko) * 2020-12-02 2022-12-2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에 혼입된 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시료 채취 장치 및 시료 채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3759A (ja) * 1986-02-21 1987-08-25 Y K Trading Kk 進退動可能な研削体を有する表面研削仕上装置
KR100337655B1 (ko) * 1999-09-03 2002-05-23 김인호 세그먼트 타입 절삭팁을 갖는 다이아몬드 공구
US6533650B2 (en) * 2000-04-05 2003-03-18 Sankyo Diamond Industrial Co., Ltd. Grinding stone
KR200263416Y1 (ko) * 2001-10-23 2002-02-04 임슬기 콘크리트 연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703A (ko) 2006-09-28
WO2006112610A1 (en)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6215B2 (en) Polishing tool and polish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same
EP1549460B1 (en) Drill sharpener
KR100864333B1 (ko) 툴 유닛, 절삭 또는 톱머신 및 절삭 또는 톱질 방법
JPH04226850A (ja) 吸引機構を有するドリル/たがね装置
CN109159306B (zh) 一种玻璃钻孔工艺
KR100642826B1 (ko) 콘크리트 표면 중성화층 및 도장층 건식제거장치
CN206383008U (zh) 一种建筑工地用抛光机
KR20100123073A (ko) 집진구조를 갖는 핸드 그라인더
JP2010529883A (ja) 床面処理での塵埃収集を改良する装置と方法
KR101842214B1 (ko) 도로 난간대와 콘크리트벽 사이 틈새 공간부 면삭용 콘크리트벽 면삭기
WO2022186346A1 (ja) 加工工具およびその加工工具を用いた加工装置
KR102006709B1 (ko) 노면 절삭 장치
KR100569242B1 (ko) 집진구조를 갖는 그라인더
US1648888A (en) Portable surface-cleaning tool
JP4165606B1 (ja) ボルト端部処理装置
JP4822421B2 (ja) アスファルト面取装置のグラインダー
TW201121694A (en) Processing device
JP2005305390A (ja) 粉砕装置のハンマナイフ
KR200356304Y1 (ko) 그라인더용 연마헤드
JP2001090022A (ja) 穴あけ加工方法
CN114346807B (zh) 一种拖鞋磨边装置
JP3246504U (ja) 木材粉砕装置
KR101531600B1 (ko) 절단장치
CN212240397U (zh) 一种玻璃生产用打磨装置
KR20010094089A (ko) 집진이 용이한 그라인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