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171B1 - 모터의 로크 보호 회로, 집적 회로 및 모터의 로크 보호방법 - Google Patents

모터의 로크 보호 회로, 집적 회로 및 모터의 로크 보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171B1
KR100642171B1 KR1020040060048A KR20040060048A KR100642171B1 KR 100642171 B1 KR100642171 B1 KR 100642171B1 KR 1020040060048 A KR1020040060048 A KR 1020040060048A KR 20040060048 A KR20040060048 A KR 20040060048A KR 100642171 B1 KR100642171 B1 KR 100642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drive coil
lock
moto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4735A (ko
Inventor
사이또가즈히꼬
오까다노리아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4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2Monitoring commutation; Providing indication of commutation fail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32Preventing damage to the motor, e.g. setting individual current limits for different drive cond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02P6/18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 H02P6/182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using back-emf i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20Arrangements for star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24Arrangements for stopp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2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Protection Of Generators And Motors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구동 코일로 전류가 공급되고 있는 모터가 정지한 로크 상태에 있어서 기동 펄스를 출력하는 기동 펄스 출력 회로를 갖는 로크 보호 회로이며, 기동 펄스를 계수하는 기동 펄스 계측 수단과, 계수의 결과에 따라서 로크 상태를 검출하는 로크 상태 검출 수단과, 로크 상태가 검출되면 구동 코일에의 전류를 차단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구동 코일 전류 차단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기동 펄스 출력 회로, 기동 카운터, 펄스 카운터, 로크 상태 검출 수단

Description

모터의 로크 보호 회로, 집적 회로 및 모터의 로크 보호 방법{LOCK PROTECTING CIRCUIT OF MOTO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PROTECTING LOCK OF MOTOR}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 구동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로크 보호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펄스 카운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 블럭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로크 보호 동작을 실현하는 회로의 논리치를 나타내는 도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U상 구동 코일
4 : V상 구동 코일
6 : W상 구동 코일
52 : 무센서 로직 회로
58 : 기동 카운터
60 : 펄스 카운터
본 발명은 모터의 로크 보호 회로 및 집적 회로 및 모터의 로크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각용 팬 등에 이용되는 모터가 로크 상태(회전 정지의 상태)에 빠진 경우, 모터 구동 코일의 전류를 차단하는 로크 보호 회로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57793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로크 보호 회로에 있어서는, 상기 공보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부착의 콘덴서를 이용하고 있다. 즉, 로크 상태에 빠지면, 외부 부착 콘덴서가 충전되어 그 단자 전압이 소정치에 도달하면, 로크 상태로 판정되어 로크 보호 동작이 실행된다.
이 로크 보호 동작으로서는, 단순히 모터 구동 코일의 전류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이 전류 차단 후의 재기동 동작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즉, 전류를 차단한 후 재기동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후, 단순히「오프 기간」이라 칭함)도 외부 부착 콘덴서의 시정수에 따른 방전 시간을 갖고 설정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57793호 공보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특히 모터를 냉각용 팬 등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긴 시간의 오프 기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비교적 대용량의 콘 덴서를 외부 부착해야만 하고, 기판 면적이 커지는 동시에 비용 상승을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콘덴서의 용량이나 충전 전류 등의 변동에 의해 오프 기간이 불규칙해져 버려 정밀도가 좋은 오프 기간을 설정할 수 없는 문제점도 생기고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주된 발명에서는, 구동 코일로 전류가 공급되고 있는 모터가 정지한 로크 상태에 있어서 기동 펄스를 출력하는 기동 펄스 출력 회로를 갖는 로크 보호 회로이며, 상기 기동 펄스를 계수하는 기동 펄스 계측 수단과, 상기 계수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로크 상태를 검출하는 로크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로크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구동 코일에의 상기 전류를 차단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구동 코일 전류 차단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모터의 로크 상태의 검출에 있어서, 외부 부착 콘덴서의 충방전 동작에 상관없이 기동 펄스를 계측함으로써 검출한다. 외부 부착 콘덴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회로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 및 본 명세서의 기재에 의해 명백하게 한다.
=== 모터 구동 회로의 전체 구성 ===
도1의 회로 블럭도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의 구동 회로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 이 구동 회로는 집적 회로의 형태로 실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모터라 함은, 회전자 및 고정자의 상대 위치를 검지 하기 위한 소자(예를 들어, 홀 소자)를 갖지 않는 무센서 모터인 것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상 구동 코일(2), V상 구동 코일(4), W상 구동 코일(6)은 스타 결선되는 동시에, 120도의 전기각을 갖고 있어 무센서 모터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U상 구동 코일(2)을 통전(전류의 공급)하기 위해, N 채널형 MOSFET(8)는 소스측의 트랜지스터이고, N 채널형 MOSFET(10)는 싱크측의 트랜지스터이다. N 채널형 MOSFET(8, 10)의 드레인 소스는 전원 Vp와 접지 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동시에, 이 드레인 소스 접속부는 U상 구동 코일(2)의 일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V상 구동 코일(4)을 통전하기 위해 N 채널형 MOSFET(12)는 소스측의 트랜지스터이고, N 채널형 MOSFET(14)는 싱크측 트랜지스터이다. N 채널형 MOSFET(12, 14)의 드레인 소스는 전원 Vp와 접지 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동시에, 이 드레인 소스 접속부는 V상 구동 코일(4)의 일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W상 구동 코일(6)을 통전하기 위해 N 채널형 MOSFET(16)는 소스측의 트랜지스터이고, N 채널형 MOSFET(18)는 싱크측의 트랜지스터이다. N 채널형 MOSFET(16, 18)의 드레인 소스는 전원 Vp와 접지 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동시에, 이 드레인 소스 접속부는 W상 구동 코일(6)의 일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N 채널형 MOSFET(8, 10, l2, 14, 16, 18)를 적절한 타이밍에 온 오프시킴으로써, U상 구동 코일(2), V상 구동 코일(4), W상 구동 코일(6)에 구동 전류가 흘러 무센서 모터의 회전자가 예를 들어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 동작에 있어서, U상 구동 코일(2), V상 구동 코일(4), W상 구동 코일(6)의 일단부에는 전기각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구동 전압 Vu, Vv, Vw가 나타나는 동시에, U상 구동 코일(2), V상 구동 코일(4), W상 구동 코일(6)의 공통 접속부에는 중성점 전압 Vcom이 나타난다. 또, 구동 트랜지스터로서는, MOSFET 대신에 바이폴러 트랜지스터가 사용 가능하다.
절환 회로(20)는 U 단자, V 단자, W 단자를 갖고, U 단자, V 단자, W 단자에는 구동 전압 Vu, Vv, Vw가 공급된다. 절환 회로(20)는 U 단자, V 단자, W 단자를 전기각 60도의 타이밍에서 절환하여 구동 전압 Vu, Vv, Vw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한다. 절환 회로(20)는 무센서 모터가 정회전할 때, U 단자, W 단자, V 단자의 순서로 반복하여 절환해 가는 한편, 무센서 모터가 역회전할 때에는 U 단자, V 단자, W 단자의 순서로 반복하여 절환해 간다.
콤퍼레이터(22)는 이 절환 회로(20)로부터 얻을 수 있는 구동 전압 Vu, Vv, Vw 중 어느 하나(+단자)와 중성점 전압 Vcom(-단자)을 비교한다. 이에 의해, 콤퍼레이터(22)로부터는 전기각 60도의 타이밍에서 변화하는 직사각형의 비교 신호(CP)가 출력된다.
분배 회로(32)는 U 단자, V 단자, W 단자를 갖고, U 단자, V 단자, W 단자를 절환 회로(20)와 동일한 타이밍에서 절환하여 비교 신호(CP)를 출력한다. 또, 분배 회로(32)는 무센서 모터가 정회전할 때, U 단자, W 단자, V 단자의 순서로 반복하여 절환해 가는 한편, 무센서 모터가 역회전할 때에는 U 단자, V 단자, W 단자의 순서로 반복하여 절환해 간다.
분배 회로(32)의 U 단자로부터는 전기각 60도의 단편적인 신호를 얻을 수 있을 뿐이며, U상 구동 코일(2)을 통전하기 위한 전기각 120도의 신호가 결락하고 있 다. 마찬가지로, 분배 회로(32)의 V 단자로부터도 전기각 60도의 단편적인 신호를 얻을 수 있을 뿐이며, V상 구동 코일(4)을 통전하기 위한 전기각 120도의 신호가 결락하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분배 회로(32)의 W 단자로부터도 전기각 60도의 단편적인 신호를 얻을 수 있을 뿐이며, W상 구동 코일(6)을 통전하기 위한 전기각 120도의 신호가 결락하고 있다.
마스크 회로(34)는 분배 회로(32)의 U 단자로부터 얻게 되는 전기각 60도의 신호로부터 킥백 펄스에 대응하는 소음을 제거한다. 이 전기각 60도의 신호를 이용하여 U상 구동 코일(2)을 구동하기 위한 연속하는 마스크 신호(Umask)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분배 회로(32)의 V 단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전기각 60도의 신호로부터 킥백 펄스에 대응하는 소음을 제거한다. 이 전기각 60도의 신호를 이용하여 V상 구동 코일(4)을 구동하기 위한 연속하는 마스크 신호(Vmask)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분배 회로(32)의 W 단자로부터 얻게 되는 전기각 60도의 신호로부터 킥백 펄스에 대응하는 소음을 제거한다. 이 전기각 60도의 신호를 이용하여 W상 구동 코일(6)을 구동하기 위한 연속하는 마스크 신호(Wmask)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 마스크 신호(Umask, Vmask, Wmask)는 전기각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다.
합성 회로(38)는 마스크 회로(34)로부터 얻을 수 있는 마스크 신호(Umask, Vmask, Wmask)를 합성하여 전기각 60도의 타이밍에서 변화하는 직사각형의 합성 신호(FG)를 출력한다. 즉, 합성 신호(FG)는 비교 신호(CP)로부터 킥백 펄스를 기초로 하는 중량 펄스를 제거한 것이 된다.
위상 비교기(40), 필터(42), 버퍼(44), 전압 제어 발진기(46), 1/N 분주기(48)는 PLL 회로를 구성한다. 위상 비교기(40)는 합성 회로(38)로부터 얻을 수 있는 합성 신호(FG)와, 1/N 분주기(48)로부터 얻을 수 있는 분주 신호(DV)와의 위상차에 따른 펄스 폭을 갖는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위상 비교기(40)는 합성 신호(FG)의 위상이 분주 신호(DV)의 위상보다 진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정(正)의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합성 신호(FG)의 위상이 분주 신호(DV)의 위상보다 늦은 상태에서는 부(負)의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이 전압 신호는 필터(42)로 적분된 후, 버퍼(44)를 거쳐서 전압 제어 발진기(46)에 공급된다. 이 전압 제어 발진기(46)는 버퍼(44)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전압 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신호(VCO)를 출력하여 1/N 분주기(48)에 공급한다.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합성 신호(FG)의 위상과 분주 신호(DV)의 위상은 일치한다.
무센서 로직 회로(52)는 U상 구동 코일(2), V상 구동 코일(4), W상 구동 코일(6)을 적절한 타이밍으로 통전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무센서 로직 회로(52)는 무센서 모터 자체가 초기 상태에서의 회전자 및 고정자 사이의 상대 위치를 추정할 수 없는 것을 고려하여, 마스크 신호(Umask, Vmask, Wmask)의 미리 정해진 초기 레벨부터 동작한다. 그리고, 무센서 로직 회로(52)는 통전 신호(Ulogic1)가 "M" 레벨이 되는 기간, 절환 회로(20)의 U 단자와 분배 회로(32)의 U 단자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무센서 로직 회로(52)는 통전 신호(Vlogic1)가 "M" 레벨이 되는 기간, 절환 회로(20)의 V 단자와 분배 회로(32)의 V 단자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무센서 로직 회로(52)는 통전 신호(Wlogic1)가 "M" 레벨이 되는 기간, 절환 회로(20)의 W 단자와 분배 회로(32)의 W 단자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무센서 로직 회로(52)는 통전 신호(Ulogic1, Vlogic1, Wlogic1)에 대해 지연되는 통전 신호(Ulogic2, Vlogic2, Wlogic2)를 작성하여 출력한다.
정역 회로(54)는 무센서 모터의 브레이크 및 회전 방향의 역전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정역 회로(54)는 외부 장치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 지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역전 토크 브레이크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기동 카운터(58)(기동 펄스 출력 회로)는 무센서 모터가 로크 상태(회전자의 회전 정지의 상태)에 빠진 경우 등, 소정의 회전수에 이르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합성 신호의 전기각 60도의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여 계수를 행하고, 소정치를 계수하였을 때, 기동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이 기동 펄스를 펄스 카운터(기동 펄스 계측 수단)(60)가 받는다. 펄스 카운터(60)는 기동 펄스를 계수하고, 그 결과를 무센서 로직 회로(52)에 출력한다. 이 무센서 로직 회로(로크 상태 검출 수단)(52)는 받은 계수 결과에 따라 로크 상태인 것을 검출한다.
=== 로크 보호 ===
종래 기술의 항에서 설명한 무센서 모터가 로크 상태(회전자의 회전 정지 상태)에 빠진 경우 등, 원하는 회전수에 이르지 않는 상태의 검출 및 보호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도2의 흐름도에 따라서 도1의 회로 블럭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자가 회전 정지의 상태가 되면 기동 카운터(58) 는 기동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한다(S100 : 예 → S200). 이 기동 펄스를 펄스 카운터(60)가 계수한다(S300). 이 기동 펄스의 수(n)(n은 자연수)가 예를 들어 10 미만이면, 비로크(언로크) 상태로서 펄스 카운터(60)는 기동 펄스의 계수를 속행한다(S400 : 예 → S300). 반대로, 기동 펄스의 수(n)가 10을 초과한 경우(S400 : 아니오)에는 무센서 로직 회로(구동 코일 전류 차단 제어 수단)(52)는 로크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U상 구동 코일(2), V상 구동 코일(4), W상 구동 코일(6)에의 전류를 차단하는 등 로크 보호의 제어를 실행한다. 즉, 무센서 로직 회로(52)는 각 구동 코일(2, 4, 6)을 통전하기 위한 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펄스 카운터(60)의 구성을 설정함으로써, 로크 상태라 판단하는 지표가 되는 시간[기동 펄스의 수(n) = 10]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이 로크 보호 제어를 실행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즉 기동 펄스의 수(n)가 100에 이른 경우(S600 : 예)에는, 무센서 로직 회로(52)(재기동 수단)는 로크 해제 상태에 이르렀다고 일단 추정을 행하는 동시에, 로크 상태가 되어 가열한 가능성이 있는 무센서 모터가 충분히 차가워졌다고 간주하여, 각 구동 코일(2, 4, 6)에의 전류의 공급을 재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즉, 무센서 로직 회로(52)는 각 코일(2, 4, 6)을 통전하기 위한 신호의 출력을 재개하여 상술한 S100의 처리로 복귀된다. 구체적으로는, 무센서 로직 회로(52)는 마스크 신호(Umask, Vmask, Wmask)의 레벨을 다음의 전기각 60도의 레벨로 변경한다. 이에 의해, 무센서 모터는 재기동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펄스 카운터(60)의 구성을 설정함으로써, 각 코일(2, 4, 6)에의 전류를 차단하는 원하는 로크 보호 시간[재기동까지 의 오프 시간, 기동 펄스의 수(n) = 10O]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 펄스 카운터의 구성예 ===
상술한 펄스 카운터(60)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예에 대해 참고로 하며, 도3의 블럭도를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편의상, 파선으로 둘러싸인 펄스 카운터(60)와 협동하는 무센서 로직 회로(52)의 일부 구성 회로 부분[인버터, AND 회로, 정전류 회로, 풀 업 저항(R) 및 NPN형 바이폴러 트랜지스터]도 도3에 기재되어 있다. 펄스 카운터(60)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동 펄스나 리셋트 신호가 입력되는 D형 플립플럽이 복수개 접속되어 구성된다. 즉, D 단자와 반전 Q 단자를 단락한 D형 플립플럽이 캐스케이드 접속되어 있고, 분주 회로로서 동작한다. 도2를 참조하여 상술한 로크 상태라 판단하는 지표가 되는 시간[기동 펄스의 수(n) = 10]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도3의 D형 플립플럽을 J개(J는, 예를 들어 "8" 등의 자연수) 준비한다. 또한, 각 코일(2, 4, 6)에의 전류를 차단하는 원하는 로크 보호 시간[기동 펄스의 수(n) = 100]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도3의 D형 플립플럽을 (J+ K)개(K는, 예를 들어 "64" 등의 자연수) 준비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버터에 입력되는 신호 A, AND 회로에 입력되는 2개의 신호 B, C, 및 AND 회로의 출력 신호 D는 도4의 논리치를 나타내는 도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셋트 상태, 로크 상태 및 기동(재기동)에 따른 값("H" 혹은 "L")이 된다. 이들 신호 A 내지 D의 값에 따라서 NPN형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로부터 각 코일(2, 4, 6)에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공급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그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음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모터의 로크 상태의 검출에 있어서, 외부 부착 콘덴서의 충방전 동작에 관계없이 기동 펄스를 계측함으로써 검출한다. 따라서, 외부 부착 콘덴서가 불필요해진다.
외부 부착 콘덴서를 이용하지 않고 기동 펄스를 계측한다. 따라서, 기동 펄스의 계측 결과에 대한 소정치를 갖고 재기동까지의 오프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부착 콘덴서의 아날로그치인 방전 시간을 갖고 재기동까지의 오프 시간을 결정하는 경우에 비해 정밀도가 높은 오프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기동 펄스의 계측 결과에 대한 소정치를 갖고, 재기동까지의 오프 시간이 설정 가능하다. 따라서, 외부 부착 콘덴서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오프 시간의 설정 변경이 간편해진다.
외부 부착 콘덴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회로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구동 코일로 전류가 공급되고 있는 모터가 정지한 로크 상태에 있어서 기동 펄스를 출력하는 기동 펄스 출력 회로를 갖는 로크 보호 회로이며,
    상기 기동 펄스를 계수하는 기동 펄스 계측 수단과,
    상기 계수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로크 상태를 검출하는 로크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로크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구동 코일에의 상기 전류를 차단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구동 코일 전류 차단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로크 보호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코일에의 상기 전류를 차단하는 상기 제어를 실행 후, 상기 기동 펄스 계측 수단에 의한 상기 계수의 결과가 소정치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 코일에의 상기 전류의 공급을 재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재기동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로크 보호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치는 상기 구동 코일에의 상기 전류를 차단하는 원하는 시간에 따라서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로크 보호 회로.
  4. 모터의 구동 코일로의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로서의 집적 회로이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로크 보호 회로가 집적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5. 구동 코일로 전류가 공급되고 있는 모터가 정지한 로크 상태에 있어서 출력되는 기동 펄스를 계수하고,
    상기 계수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로크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로크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구동 코일에의 상기 전류를 차단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로크 보호 방법.
KR1020040060048A 2003-07-31 2004-07-30 모터의 로크 보호 회로, 집적 회로 및 모터의 로크 보호방법 KR100642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04277A JP2005051870A (ja) 2003-07-31 2003-07-31 モータのロック保護回路、及び集積回路、並びにモータのロック保護方法
JPJP-P-2003-00204277 2003-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735A KR20050014735A (ko) 2005-02-07
KR100642171B1 true KR100642171B1 (ko) 2006-11-03

Family

ID=3426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048A KR100642171B1 (ko) 2003-07-31 2004-07-30 모터의 로크 보호 회로, 집적 회로 및 모터의 로크 보호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051870A (ko)
KR (1) KR100642171B1 (ko)
CN (1) CN1284296C (ko)
TW (1) TWI2752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9645B2 (ja) * 2005-07-12 2012-02-22 ローム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KR100811659B1 (ko) * 2007-01-17 2008-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를 포함한 압축기의 기동제어방법
JP4972439B2 (ja) * 2007-03-26 2012-07-11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モータ拘束検出回路
JP5405840B2 (ja) * 2009-01-23 2014-02-05 セミコンダクター・コンポーネンツ・インダストリ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モータ速度制御装置
CN102820842B (zh) * 2011-06-10 2015-01-14 尼克森微电子股份有限公司 马达驱动装置及用于该装置的锁定保护与待机控制电路
JP2015070727A (ja) * 2013-09-30 2015-04-13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モータドライバ
CN105846755B (zh) * 2015-01-14 2019-04-19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电动工具以及电机的控制方法
JP6633024B2 (ja) * 2017-05-24 2020-01-22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モータ駆動制御装置及びモータの駆動制御方法
TWI731413B (zh) * 2019-09-11 2021-06-21 茂達電子股份有限公司 具有拴鎖保護模式的馬達驅動裝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152A (ko) * 1992-04-16 1993-11-22 이헌조 식기세척기의 세척모터 구속감지방법
KR960023409A (ko) * 1994-12-10 1996-07-20 구자홍 세탁기의 세탁조 회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18530A (ko) * 1997-08-27 1999-03-15 윤종용 세탁기의 모터고장 검사방법
JP2001057793A (ja) 1999-08-16 2001-02-27 Calsonic Kansei Corp ロック判定機能付き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装置
JP2001145380A (ja) 1999-11-15 2001-05-25 Fuji Xerox Co Ltd モータ異常時停止装置およびモータ異常検出装置
KR20010048542A (ko) * 1999-11-27 2001-06-15 구자홍 세탁기의 수류패턴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152A (ko) * 1992-04-16 1993-11-22 이헌조 식기세척기의 세척모터 구속감지방법
KR960023409A (ko) * 1994-12-10 1996-07-20 구자홍 세탁기의 세탁조 회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18530A (ko) * 1997-08-27 1999-03-15 윤종용 세탁기의 모터고장 검사방법
JP2001057793A (ja) 1999-08-16 2001-02-27 Calsonic Kansei Corp ロック判定機能付き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装置
JP2001145380A (ja) 1999-11-15 2001-05-25 Fuji Xerox Co Ltd モータ異常時停止装置およびモータ異常検出装置
KR20010048542A (ko) * 1999-11-27 2001-06-15 구자홍 세탁기의 수류패턴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75239B (en) 2007-03-01
CN1284296C (zh) 2006-11-08
CN1581672A (zh) 2005-02-16
JP2005051870A (ja) 2005-02-24
TW200507436A (en) 2005-02-16
KR20050014735A (ko) 2005-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1091A (en) Motor controlle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otor
EP1209805B1 (en) A drive control device for a motor-driven blower and an electric vacuum cleaner including the same
JP2974646B2 (ja) センサレス・ブラシレスdcモータ
KR100404782B1 (ko) 모터구동방법및그것을사용한전기기기
US6218795B1 (en) Rotor magnetic pole position detection device
US7706111B2 (en) Motor lock detection circuit
JP4623150B2 (ja) モータ制御装置
TWI405401B (zh) 馬達驅動電路
KR100642171B1 (ko) 모터의 로크 보호 회로, 집적 회로 및 모터의 로크 보호방법
JP2007116858A (ja) 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5663618A (en) Driving apparatus for a commutatorless DC motor
US6512342B2 (en) Brushless motor driving device
KR20140057336A (ko) 전자적으로 정류된 다위상 dc 모터를 제어하는 방법
JP3975809B2 (ja) 温度検出装置
JP4938467B2 (ja) モータ駆動用の電力変換装置、モータ駆動装置、モータおよびモータ駆動方法
JP2003284374A (ja) ブラシレスモータ制御装置
JP2002119083A (ja) モータ制御装置
JP3692923B2 (ja) モータドライバ
JP4015368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装置
JP4170054B2 (ja) 保護回路を備えたdc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回路
JP4386681B2 (ja) モータ駆動装置、モータ駆動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2005176457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位置検出回路
JP4566551B2 (ja) 電動機駆動回路
JP2004173360A (ja) Dcブラシレスモータの回転数検出回路
Sahu et al. Improved Speed Range Brushless DC Motors: A Low-Cost Sensorless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