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981B1 -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 및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 및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981B1
KR100641981B1 KR1020050064679A KR20050064679A KR100641981B1 KR 100641981 B1 KR100641981 B1 KR 100641981B1 KR 1020050064679 A KR1020050064679 A KR 1020050064679A KR 20050064679 A KR20050064679 A KR 20050064679A KR 100641981 B1 KR100641981 B1 KR 100641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r
panel
bottom plate
plate
concrete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우
김제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Priority to KR1020050064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6Concrete reinforced with fibres other than steel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2방향으로 콘크리트 거더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 바닥판이 설치되는 잔교식 교량 구조물에서, 다각형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공장에서 제작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판을 제작, 거치하고, 상기 바닥판과 2방향 콘크리트 거더를 신규한 전단연결재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잔교식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판, 하부판 및 복부판으로 구성된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 튜브 형태의 섬유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튜브(1)를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판형구조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6)이,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 위에 거치하고 순차적으로 연결 접합되어 이루어진 잔교식 교량 구조물로서, 상기 바닥판 패널(6)에는 전단연결재(30)가 삽입되는 전단포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 패널(6)이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 위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단포켓이 형성되는 위치의 바닥판 패널(6)에 형성된 홀(34)을 통하여 전단연결재(30)를 상기 전단포켓 내로 삽입하여 상기 전단연결재(30)가 상기 전단포켓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단연결재(30)가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의 상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단연결재(30)는 판부재(31)와, 상기 판부재(31)의 하면에 돌출 설치된 하부 매립부재(32)와, 상기 판부재(31)의 상면에 돌출 설치된 상부 매립부재(32)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매립부재(32)는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의 상면에 박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전단포켓 내에 전단연결재(30)가 위치한 상태에 서 상기 전단포켓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양생됨으로써 상기 상부 매립부재(33)가 충진재 속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와 바닥판 패널(6)이 합성형 연결구조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섬유, 복합소재, 제형 중공단면, 교량 바닥판, 프리캐스트, 잔교식

Description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Bridge Using Fiber Reinforced Composites Decks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바닥판용 섬유 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을 구성하는 섬유 강화 복합소재 바닥판 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바닥판 튜브를 상호 연결 접합하여 제작되는 교량 바닥판용 섬유 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또다른 형태의 바닥판 튜브에 의하여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이 제작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원A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바닥판 패널과 2방향 콘크리트 거더가 일체로 합성되도록 합성형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도 5a는 도 4에서 선B-B에 따른 부분단면도이고, 도 5b는 동일한 위치에서 선C-C에 따른 부분단면도이 며, 도 5c는 도 5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2방향 콘크리트 거더의 폭이 넓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서 새로이 제안한 전단연결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바닥판 튜브 2 상부판
3 하부판 4 복부판
10 거더 30 전단연결재
본 발명은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하부에 2방향으로 콘크리트 거더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 바닥판이 설치되는 잔교식 교량 구조물에서, 다각형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공장에서 제작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판을 제작하고, 상기 바닥판과 2방향 콘크리트 거더를 신규한 전단연결재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잔교식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잔교식 교량 구조물은, 기둥 위에 설치되는 상부 구조물을 2방향의 콘크리트 거더와 그 위에 설치되는 바닥판으로 구성한 구조물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바닥판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주로 해상에 설치되는 잔교식 교량 구조물의 경우, 콘크리트 바닥판은 쉽게 열화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내구성이 우수한 바닥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며, 더 나아가 바닥판과 2방향 콘크리트 거더가 견고하에 일체로 합성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업계의 요구에 부응하여 경량, 고강도, 고내구성 특성을 보유한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상부 구조로 가지는 잔교식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2방향의 콘크리트 거더와 결합함에 있어서, 바닥판과 콘크리트 거더 사이에서 신규한 방식으로 전단연결재를 설치함으로써 바닥판과 콘크리트 거더를 용이한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잔교식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판, 하부판 및 복부판 으로 구성된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 튜브 형태의 섬유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튜브를 상호 연결하여 판형구조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을 제작하고; 상기 바닥판 패널을 현장으로 이송하여 2방향 콘크리트 거더 위에 거치하고 순차적으로 연결 접합하므로써 잔교식 교량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바닥판 패널에는 전단연결재가 삽입되는 전단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 패널이 2방향 콘크리트 거더 위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단포켓이 형성되는 위치의 바닥판 패널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전단연결재를 상기 전단포켓 내로 삽입하여 상기 전단연결재가 상기 전단포켓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단연결재를 2방향 콘크리트 거더의 상면에 일체로 설치하는데; 상기 전단연결재는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하면에 돌출 설치된 하부 매립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상면에 돌출 설치된 상부 매립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매립부재는 2방향 콘크리트 거더의 상면에 박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전단포켓 내에 전단연결재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전단포켓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양생시켜 상기 상부 매립부재가 충진재 속에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2방향 콘크리트 거더와 바닥판 패널이 합성형 연결구조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부판, 하부판 및 복부판으로 구성된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 튜브 형태의 섬유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튜브를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판형구조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이, 2방향 콘크리트 거더 위에 거치하고 순차적으로 연결 접합되어 이루어진 잔교식 교량 구조물로서, 상 기 바닥판 패널에는 전단연결재가 삽입되는 전단포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 패널이 2방향 콘크리트 거더 위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단포켓이 형성되는 위치의 바닥판 패널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전단연결재를 상기 전단포켓 내로 삽입하여 상기 전단연결재가 상기 전단포켓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단연결재가 2방향 콘크리트 거더의 상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단연결재는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하면에 돌출 설치된 하부 매립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상면에 돌출 설치된 상부 매립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매립부재는 2방향 콘크리트 거더의 상면에 박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전단포켓 내에 전단연결재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전단포켓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양생됨으로써 상기 상부 매립부재가 충진재 속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2방향 콘크리트 거더와 바닥판 패널이 합성형 연결구조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을 구성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 튜브(1)의 개략도로서, 도 1a는 상기 바닥판 튜브(1)의 일측 상하부에서 동일한 방향의 외부로 연장되는 채널형 연결부(7)가 구비되어 있는 형태의 바닥판 튜브(1)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상기 바닥판 튜브(1)의 일측 상부와 타측 하부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Z형 연결부(7')가 구비 되어 있는 형태의 바닥판 튜브(1)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바닥판 튜브를 상호 연결 접합하여 제작되는 바닥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6)의 단면도로서, 도 2a는 도 1a의 채널형 연결부가 구비된 바닥판 튜브(1)를 연결 접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6)의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1b의 Z형 연결부가 구비된 바닥판 튜브(1)를 연결 접합한 패널(6)의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 튜브(1)는 상부 하중의 지지 및 전달에 유리하도록 상부판(2), 하부판(3) 및 복부판(4)으로 구성되어 복수 개의 사다리꼴 형상의 튜브형 단면을 가진다. 상기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튜브는,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패놀 또는 에폭시로부터 선택되는 수지와, 섬유로 제작된다.
위와 같은 단면 구성을 가진 바닥판 튜브(1)가 그 측면에서 병렬로 일체 연결되어 조립되므로써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6)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바닥판 튜브(1)의 측면에는 연결부(5, 5')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부(5, 5')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 튜브(1)의 일측에서 상기 상부판(2)과 하부판(3)에서 각각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거나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 튜브(1)의 일측에서는 상부판(2)에서 연장되고 타측에서는 하부판(3)에서 연장되어 영문자 Z자와 같은 형태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바닥판 튜브(1)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일한 형태의 이웃하는 바닥판 튜브가 그 측면으로 나란하게 끼워 맞추어져 결합된다. 이때, 바닥판 튜브간의 일체화된 접합을 위하여 연결부(5, 5')의 내면 등과 같이 이웃하는 바닥판 튜브와 접촉하는 면에 에폭시 또는 우레탄계 접착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한편, 이웃하는 바닥판 튜브의 외면에는 상기 연결부(5, 5')와 완전하게 끼워 맞추어지도록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 튜브(1)를 결합하여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6)을 제작하는 공정은 주로 공장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도 2c에는 또다른 형태의 바닥판 튜브(1)에 의하여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6)이 제작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닥판 튜브(1)는 스냅-핏 형태의 결합구조를 가지고 있어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되어 서로 결합됨으로써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6)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바닥판 튜브(1)가 조립되어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6)이 제작되면, 이러한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6)이 현장으로 이송되어 2방향의 콘크리트 거더(10) 위에 거치되어 서로 일체로 연결되므로써 잔교식 교량 구조물의 바닥판을 구성하게 된다.
도 3은 상기한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는 중앙분리대를 포함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의 일측 부분만이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진 잔교식 교 량 구조물은 앞서 설명한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튜브(1)의 조립으로 제작된 바닥판 패널(6)을 2방향의 콘크리트 거더(10)에 설치하여 서로 연결되어 교량 바닥판을 이루게 된다. 상기 바닥판에는 콘크리트 방호벽(20), 중앙분리대(21) 등이 설치되고 바닥판의 상부에는 아스팔트 포장(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포설된다.
다음에서는 위와 같이 바닥판 튜브(1)의 조립으로 제작된 바닥판 패널(6)을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에 설치하여 서로 연결하는 구조 및 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서 원A 부분의 평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바닥판 패널(6)과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가 일체로 합성되도록 합성형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도 5a는 도 4에서 선B-B에 따른 부분단면도이고, 도 5b는 동일한 위치에서 선C-C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의 폭이 넓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이다.
바닥판 패널(6)을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 위에 거치하기 전에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의 상부 플랜지에 소정 높이의 간격부재(15)를 설치하고, 그 위에 바닥판 패널(6)을 거치하므로써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6)과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바닥판 패널(6)이 놓여지면 상기 바닥판 패널(6)과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를 합성하기 위하여 상기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에는 전단연결재(30)가 설치된 다. 도 6에는 본 발명에서 새로이 제안한 전단연결재(3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전단연결재(30)는 판부재(31)와, 상기 판부재(31)의 하면에 돌출 설치되어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에 매립되는 하부 매립부재(32)와, 상기 판부재(31)의 상면에 돌출 설치되어 후술하는 것처럼 충진재(35)에 매립되는 상부 매립부재(3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전단연결재(30)는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 위에 거치된 바닥판 패널(6) 상부에 형성된 홀(34)을 통하여 전단포켓 내에 삽입되어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의 상면에 일체로 설치된다. 즉, 상기 전단연결재(30)의 판부재(31)는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의 상면에 놓여지고 하부 매립부재(32)가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에 매립되어, 상기 전단연결재(30)가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단연결재(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홀(34)을 통하여 전단포켓 내에 무수축 몰탈 등의 충진재(35)를 주입하여 양생시킴으로써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와 바닥판 패널(6)을 합성형으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충진재(35)를 담아 두는 전단포켓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판 패널(6)의 바닥판 튜브 내에는 양측으로 폼댐(50)이 사전에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25는 바닥판 위에 시공되는 포장(25)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홀(34)은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의 종방향과 횡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전단연결재(30)도 이에 따라 설치된다.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전 단연결재(30)를 복수로 배치하고, 그에 맞추어 전단포켓도 복수로 형성하여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와 바닥판 패널(6)을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는 레벨 조절 부재(16)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바닥판 패널(6)을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 위에 거치할 때, 현장 여건에 따라서는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의 상면 레벨이 고르지 못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와 그 위에 거치되는 바닥판 패널(6) 사이에 틈이 생길 수 있고, 이 틈에 의하여 전단포켓에 채워지는 충진재(35)가 누설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간격부재(15) 위쪽으로 소프트한 재질의 레벨 조절 부재(16)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판 패널(6)이 거치되었을 때, 어느 정도 압축되어 레벨을 맞출 수 있도록 상기 레벨 조절 부재(16)는 간격부재(15)보다 더 부드러운 재질 즉, 더 압축이 잘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간격부재(15)보다 압축성이 더 좋은 재질로 이루어진 레벨 조절 부재(16)를 간격부재(15) 위쪽에 더 설치함으로써,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의 레벨이 고르지 못한 경우라도, 바닥판 패널(6)이 거치되었을 때 압축되어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와 바닥판 패널(6)의 하면 사이에서 충진재(35)가 누설될만한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위의 레벨 조절 부재(16)는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뿐만 아니라, 도 5a 및 도 5b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형 단면형상으로 구성된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튜브를 상호 연결하여 바닥판 패널을 제작하고, 이를 신규한 구성의 전단연결재를 이용하여 2방향 콘크리트 거더와 결합함으로써 잔교식 교량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형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은 내부식, 고내구성 특성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철근 콘크리트 및 강재판을 바닥판으로 이용하는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 즉, 콘크리트 열화 및 철근 부식과 같은 내구성 및 구조안전성 측면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 교량 바닥판의 내구수명을 종래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 공법 보다 2∼3배 이상 연장할 수 있다. 또한, 고내구성 특성으로 공용중 유지관리비 지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전체 교량의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을 고려할 때 종래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에 비해 현격한 유지관리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판부재, 상기 판부재의 하면에 돌출 설치되어 2방향 콘크리트 거더에 매립되는 하부 매립부재, 및 상기 판부재의 상면에 돌출 설치되어 후술하는 것처럼 충진재에 매립되는 상부 매립부재로 구성된 전단연결재를 2방향 콘크리트 거더 위에 거치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 상부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전단포켓 내에 삽입되어 2방향 콘크리트 거더의 상면에 일체로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을 2방향 콘크리트 거더와 일체로 연결하게 되므로, 그 연결작업이 용이하고 거더와 패널이 완전한 연결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 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자유로운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3)

  1. 상부판, 하부판 및 복부판으로 구성된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 튜브 형태의 섬유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튜브(1)를 상호 연결하여 판형구조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6)을 제작하고; 상기 바닥판 패널(6)을 현장으로 이송하여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 위에 거치하고 순차적으로 연결 접합하므로써 잔교식 교량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바닥판 패널(6)에는 전단연결재(30)가 삽입되는 전단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 패널(6)이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 위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단포켓이 형성되는 위치의 바닥판 패널(6)에 형성된 홀(34)을 통하여 전단연결재(30)를 상기 전단포켓 내로 삽입하여 상기 전단연결재(30)가 상기 전단포켓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단연결재(30)를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의 상면에 일체로 설치하는데;
    상기 전단연결재(30)는 판부재(31)와, 상기 판부재(31)의 하면에 돌출 설치된 하부 매립부재(32)와, 상기 판부재(31)의 상면에 돌출 설치된 상부 매립부재(32)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매립부재(32)는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의 상면에 박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전단포켓 내에 전단연결재(30)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전단포켓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양생시켜 상기 상부 매립부재(33)가 충진재 속에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와 바닥판 패널(6)이 합성형 연결구조에 의하여 일체 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의 시공방법.
  2. 상부판, 하부판 및 복부판으로 구성된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 튜브 형태의 섬유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튜브(1)를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판형구조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6)이,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 위에 거치하고 순차적으로 연결 접합되어 이루어진 잔교식 교량 구조물로서,
    상기 바닥판 패널(6)에는 전단연결재(30)가 삽입되는 전단포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 패널(6)이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 위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단포켓이 형성되는 위치의 바닥판 패널(6)에 형성된 홀(34)을 통하여 전단연결재(30)를 상기 전단포켓 내로 삽입하여 상기 전단연결재(30)가 상기 전단포켓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단연결재(30)가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의 상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단연결재(30)는 판부재(31)와, 상기 판부재(31)의 하면에 돌출 설치된 하부 매립부재(32)와, 상기 판부재(31)의 상면에 돌출 설치된 상부 매립부재(32)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매립부재(32)는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의 상면에 박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전단포켓 내에 전단연결재(30)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전단포켓에 충 진재가 충진되어 양생됨으로써 상기 상부 매립부재(33)가 충진재 속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와 바닥판 패널(6)이 합성형 연결구조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6)이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 위에 거치되었을 때, 상기 섬유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 바닥판 패널(6)의 하면과 2방향 콘크리트 거더(10) 사이에는, 밀봉된 간격이 형성되도록 간격부재(15)와 레벨 조절 부재(16)가 아래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교식 교량 구조물.
KR1020050064679A 2005-07-18 2005-07-18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 및그 시공방법 KR10064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679A KR100641981B1 (ko) 2005-07-18 2005-07-18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 및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679A KR100641981B1 (ko) 2005-07-18 2005-07-18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 및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1981B1 true KR100641981B1 (ko) 2006-11-02

Family

ID=3764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679A KR100641981B1 (ko) 2005-07-18 2005-07-18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 및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291B1 (ko) * 2015-11-19 2017-02-07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교량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거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291B1 (ko) * 2015-11-19 2017-02-07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교량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거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4251B1 (ko) 스냅-핏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섬유강화 복합소재교량 바닥판
US6591567B2 (en) Lightweight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modular panel
KR100549649B1 (ko) 프리캐스트 조립구조에 의한 교각 구조물
CN104594190B (zh) 一种桥梁无缝化伸缩装置及其施工方法
KR101762148B1 (ko) 프리캐스트 psc 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10396919B (zh) 一种装配式钢结构-混凝土组合桥梁及其施工方法
CN104762873A (zh) 一种桥台处隐式伸缩装置及其施工方法
JP4797184B2 (ja) 耐震壁構造及び耐震壁の築造方法
KR100641981B1 (ko) 섬유강화 복합소재 바닥판을 이용한 잔교식 교량 구조물 및그 시공방법
KR101118029B1 (ko) 접합에 의해 결합력을 보강하도록 측면으로 연장된 확장부를 구비한 수직결합방식 복합소재 튜브 및 이를 이용한 복합소재 바닥판
KR100421770B1 (ko) 자유선형의 일체 접착식 섬유강화 복합소재 교량 바닥판,그 제조방법 및 연결구조
KR100563718B1 (ko) 제형 중공단면의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 프리캐스트바닥판 패널을 이용한 거더 교량의 바닥판 시공방법
KR100555433B1 (ko) 콘크리트 충진 섬유강화 복합소재 말뚝을 이용한 무조인트일체식 교대구조
CN114108813A (zh) 一种装配式钢连接器梁柱及柱基础拼接结构
KR100638165B1 (ko) 유지관리 및 교체가 용이한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과거더의 합성 연결구조 및 연결시공방법
KR100880022B1 (ko) 조립식 pc 펌프장 맨홀
KR100796716B1 (ko) 섬유강판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하는 개착식 터널구조 및터널공법
KR100780167B1 (ko) 섬유보강 플라스틱재로 된 혼합형 주거더 모듈
KR100768257B1 (ko) 곡면패널 라이닝
CN103225262B (zh) 一种混合型人行道结构及其施工方法
JP2011032862A (ja) 水平スリット材を用いた外壁の施工方法および外壁構造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CA2547700A1 (en)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deck of tubular profile having vertical snap-fit connection
KR10216771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KR100496443B1 (ko) 절곡된 형태를 갖는 패널 조립식 의지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