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133B1 -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133B1
KR100641133B1 KR1020030050247A KR20030050247A KR100641133B1 KR 100641133 B1 KR100641133 B1 KR 100641133B1 KR 1020030050247 A KR1020030050247 A KR 1020030050247A KR 20030050247 A KR20030050247 A KR 20030050247A KR 100641133 B1 KR100641133 B1 KR 100641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mobile terminal
emergency
function
cal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240A (ko
Inventor
임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0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133B1/ko
Priority to CNB2004100317183A priority patent/CN1321539C/zh
Publication of KR20050011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은 음성 통화를 이용한 신고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을 부가하거나 기존의 휴대 단말기 기능에 부가적으로 비상호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전원 소모가 많으므로 위급 상황이 해소되기 전에 휴대 단말기 전원이 부족해 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쉬우며, 납치등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타인이 피해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을 쉽게 인지할 수 있어 휴대 단말기 사용을 차단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소정의 휴대 단말기 조작으로 비상 호출 기능을 제외한 모든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차단하여 전원 소모를 극단적으로 줄이면서 비상 상황 해제 전까지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꺼진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조난의 경우 비상 상황이 해제될때 까지 최대한 오랜 시간 동안 비상 호출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납치나 부상과 같이 사용자가 음성 통화로 신고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비상 호출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납치등과 같은 범죄의 상황에서 타인이 비상 호출 상황을 알 수 없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원차단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EMERGENCY CALLING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난이나 납치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비상 호출에 관련없는 기능의 전원을 모두 차단하고 비상 호출 신호만을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것으로 비상 신호 발생시간을 연장하고 비상 호출 동작을 확인하지 못하도록 하여 은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이용이 급증하고, 각종 통신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위치 추적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휴대 단말기는 이제 지갑이나 시계등과 같은 고전적인 휴대품 보다 휴대 확률이 높은 품목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조난자의 위치 확인은 물론이고 납치등과 같은 강력범죄에서 피해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범인을 검거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게 되기에 이르렀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생활을 영위하는 가운데, 다양한 위급 상황에 직 면할 수 있게 되는데, 조난이나 고립등의 경우는 장마철이나 휴가 기간 동안 발생 확률이 높은 상황으로 빠른 위치 확인이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 심각한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 특히 생소한 환경에서 이러한 조난이나 고립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휴대 단말기로 조난을 신고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정확한 위치 설명 등이 어려워 빠른 구조가 힘들어지게 된다. 특히, 이러한 경우 조난자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게 되면 구조가 빨라지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라 할지라도 조난이나 고립등의 경우 악천후나 지리적 위치의 문제로인해 통신환경이 정상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으므로 통화를 원활히 하기 어려우며, 통화 감도가 낮아 베터리의 소모가 극심하게 된다. 특히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경우라도 악천후, 산속, 섬, 건물 안 등과 같이 통화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위치에서 오랫동안 휴대 단말기를 켜놓는 경우 베터리가 급속도로 소모되기 때문에 실제 구조를 요청한 다음부터 구조가 이루어지는 사이에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모두 소모되어 위치 추적이 어려워지는 상황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경제 상황이 어려워지고 신용카드 연체등에 의한 경제적인 압박이 사회 전반에 팽배해지게 됨에 따라 납치등의 강력 범죄가 잇따르고 있다. 이러한 경우 종종 휴대 단말기를 통한 위치 확인으로 범인을 검거하는 성과를 올리고 있지만, 이미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고 있는 범인이 피해자의 휴대 단말기 상태를 확인하여 전원을 꺼버리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어 그 실효성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의 음성 통화를 이용한 사고의 신고를 통해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부상을 당한 경우에도 신속한 처리가 가능해질 수 있지만, 통화가 어려울 정도로 부상이 심한 경우에는 사고의 신고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위치 추적 전에 배터리가 소모될 수 있다.
종래에 선보인 비상호출 기능을 탑재한 휴대 단말기에서는 비상 호출 기능을 통해 빠른 신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단축 키를 통해 비상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음성으로 사고를 신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있으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성 통화를 할 수 없는 납치/부상등의 상황에서는 효율성이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 전체의 전원이 평상시와 동일하게 소모되므로 위급 상황이 해소 되기 전에 휴대 단말기 전원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 단축키 등을 눌러 자동적으로 비상 상황에 대한 호출을 시도하는 기능이 있지만, 이 경우 역시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기능이 모두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비상 상황에 대한 호출을 시도하므로 베터리의 소모가 크며, 이러한 비상 호출 상황을 휴대 단말기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납치와 같은 범죄 발생 상황에서는 범인에 의한 전원 차단이 우려된다. 특히, 비상 호출이 이루어지는 동안 휴대 단말기에 착신이 발생하면 착신 알림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므로 납치등의 경우 피해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 중임을 범인이 알 수 있게 되어 휴대 단말기 사용을 중단시켜 피해자 위치 확인이 어려워지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보다 은밀하고 오랜 시간동안 비상 상황임을 지속적으로 알릴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은 음성 통화를 이용한 신고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을 부가하거나 기존의 휴대 단말기 기능에 부가적으로 비상호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전원 소모가 많으므로 위급 상황이 해소되기 전에 휴대 단말기 전원이 부족해 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쉬우며, 납치등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타인이 피해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을 쉽게 인지할 수 있어 휴대 단말기 사용을 차단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소정의 단축키 등을 이용하여 비상 호출 기능을 선택하면 비상 호출 기능을 제외한 모든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차단하여 전원 소모를 극단적으로 줄이면서 상기 비상 상황 기능의 해제 전까지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꺼진 것처럼 보이도록 하여 타인이 비상 호출 기능의 사용여부를 알 수 없도록 하는 것으로 조난이나 납치등과 같은 비상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여 비상 호출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와; 비상호출 기능을 제외한 모든 기능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비상 호출 기능이 해제되기 전까지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비상 호출 신호를 반복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 호출 기능을 제외한 기능을 차단하는 단계는 비상 호출에 필수적인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비상 호출 기능의 해제를 위한 키 입력을 제외한 모든 키 입력을 차단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실시되거나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간단한 실시예를 보이는 순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비상 상황에 직면하여 비상 호출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이루어지는 절차를 보이는 것이다.
사용자가 소정의 단축키나 키 조합을 이용하여 비상 호출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비상 호출 기능에 필수적인 부분을 제외한 모든 휴대 단말기의 기능부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즉, 표시부 기능, 송수신 기능등을 차단하게 되는데, 그 외에도 다양한 내부 알람이나 일반적인 운영체체등의 동작을 차단하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출력 역시 차단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일반적으로 전원을 소비하던 부분들의 전원 소비를 극단적으로 억제하여 비상 호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기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든 기능들의 사용이 억제되어 있으므로 타인이 휴대 단말기를 확인한다 할지라도 현재 비상 호출 기능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없게 되며, 실제 휴대 단말기의 상태는 전원이 완전히 방전된 상태와 유사하게 보이게 된다.
이후 상기 설정된 비상 호출 기능이 해제될때 까지 비상 호출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하게 되며, 비상 호출 기능이 해제되면 차단되었던 모든 기능을 정상 상 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비록, 상기 설정된 비상 호출 기능의 해제를 위해 별도의 키 조합이나 기능키를 할당해 둘 수 있으나, 타인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하면서 완전히 베터리가 방전된 것 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 모든 키 조작을 차단하고 전원 베터리의 분리에 의한 비상 호출 기능 해제만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는데 주의한다.
또한, 비상 호출 신호는 기지국이 단말기 상태 및 위치를 인지할 수 있는 가장 짧은 정보를 포함한 신호로서, 기지국과 기 설정된 채널을 통해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대단히 짧은 정보 만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원의 소모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기지국이 해당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대나 경찰이 요청하는 경우 통신 사업자가 해당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제공해 줄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정보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비상 호출 신호는 비상 호출임을 알리는 플래그만이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과의 전력 제어등을 통해 전원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며 통신 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도 비상 호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최대 송신 전력으로 해당 비상 호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라도 소정의 긴 지연시간을 단위로 반복하여 송신하도록 한다면 전력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0초 혹은 1분을 단위로 비상 호출 신호를 송신하도록 한다면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사용 시간에 비해 수십배의 사용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송신 전력 제어 부분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내용은 아니라는데 주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 호출은 조난의 경우 비상 상황이 해제될 때 까지 최대한 오랜 시간 동안 비상 호출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납치나 부상과 같이 사용자가 음성 통화로 신고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비상 호출을 비밀스럽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소정의 휴대 단말기 조작으로 비상 호출 기능을 제외한 모든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차단하여 전원 소모를 극단적으로 줄이면서 비상 상황 해제 전까지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꺼진 것처럼 보이도록 함으로써, 조난의 경우 비상 상황이 해제될때 까지 최대한 오랜 시간 동안 비상 호출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납치나 부상과 같이 사용자가 음성 통화로 신고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비상 호출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납치등과 같은 범죄의 상황에서 타인이 비상 호출 상황을 알 수 없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원차단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여 비상 호출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와;
    비상호출 기능을 제외한 모든 기능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비상 호출 기능이 해제되기 전까지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비상 호출 신호를 반복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호출 기능을 제외한 기능은 표시부 기능, 수신 기능, 각종 알람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호출 기능이 선택되면 비상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제외한 모든 부분의 전원을 차단하고, 비상 호출 기능의 해제를 위한 키 입력을 제외한 모든 키 입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호출 기능의 해제는 베터리의 제거를 통한 전원 리셋 또는 비상호출기능의 해제를 위한 키입력으로 수행되며, 비상 호출 기능이 해제되기 전까지는 휴대 단말기의 모든 외부적인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호출 신호는 휴대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통신 주기보다 더 긴 시간 주기로 반복적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
KR1020030050247A 2003-07-22 2003-07-22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 KR100641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247A KR100641133B1 (ko) 2003-07-22 2003-07-22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
CNB2004100317183A CN1321539C (zh) 2003-07-22 2004-03-24 利用便携终端的紧急呼叫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247A KR100641133B1 (ko) 2003-07-22 2003-07-22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240A KR20050011240A (ko) 2005-01-29
KR100641133B1 true KR100641133B1 (ko) 2006-11-02

Family

ID=3458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247A KR100641133B1 (ko) 2003-07-22 2003-07-22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41133B1 (ko)
CN (1) CN132153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077B1 (ko) 2020-05-19 2021-10-14 주식회사 코밴 호출 방법 및 호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700B1 (ko) * 2005-07-01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긴급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7054B1 (en) * 1998-07-30 2002-05-28 Ericsson Inc. Features for emergency calling and short messaging system
US6427072B1 (en) * 1998-12-30 2002-07-30 Ericsson Inc. Reserve power system for any battery operated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077B1 (ko) 2020-05-19 2021-10-14 주식회사 코밴 호출 방법 및 호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240A (ko) 2005-01-29
CN1321539C (zh) 2007-06-13
CN1578511A (zh) 200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6311U (ja) 個人携帯型救援要請システム
US6226510B1 (en) Emergency phone for automatically summoning multiple emergency response services
WO2006080967A2 (en) Triggering an emergency mode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of
CA2617923A1 (en) Remote tracking and communication device
GB2318672A (en) Radiotelephone proximity detector
EP1220556A1 (en) Remote disabling of a mobile phone device
KR20110055732A (ko) 비상경보수단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WO2001088872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larm systems
WO2008018728A1 (en) Danger signal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anger management system used thereof
KR20070077695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긴급상황 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5151392A (ja) 紛失・不正使用防止機能を備えた携帯通信端末
KR20080101609A (ko) 감시 시스템, 장치 및 그 감시 방법
CN201130416Y (zh) 紧急救援实时报警装置
US20110275343A1 (en) Wireless emergency breaker beacon for use with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KR100678262B1 (ko) 비상호출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호출 방법
KR100641133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
KR100365152B1 (ko) 위급상황시 p.c.s 및 g.p.s를 이용하여 구난신호발생 및 그 위 치를 파악할수 있는 장치
AU200233946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device, in particular an emergency-call device, emergency-call system and an emergency-call device
US20130052979A1 (en) Initiative notification apparatus and the notifying method thereof
JPWO2009057182A1 (ja) 置き忘れ防止システム、置き忘れ防止方法、および携帯端末
KR100323763B1 (ko) 휴대폰의분실또는도난방지방법
KR100291199B1 (ko) 경비 시스템의 단말장치
JP2005210298A (ja) 防犯および防災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2002152061A (ja) 緊急信号発信装置付き携帯電話
KR20030041566A (ko) 휴대폰에서의 위급상황 알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