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882B1 -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녹화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녹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882B1
KR100640882B1 KR1020040113937A KR20040113937A KR100640882B1 KR 100640882 B1 KR100640882 B1 KR 100640882B1 KR 1020040113937 A KR1020040113937 A KR 1020040113937A KR 20040113937 A KR20040113937 A KR 20040113937A KR 100640882 B1 KR100640882 B1 KR 100640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recording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4943A (ko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882B1/ko
Priority to CNB2005100773000A priority patent/CN100438587C/zh
Publication of KR2006007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 에러율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에러율 검출수단과;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상기 에러율 검출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에러율 정보에 따라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의 저장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위성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위성 방송 녹화방법.
디지털 위성 방송, 에러율, 녹화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recoding function and the recod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형 위성 방송 수신기의 녹화 기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화 기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디지털 위성 방송의 녹화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화 기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디지털 위성 방송의 녹화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중단 및 재개의 동작 결정 시기를 나타내는 히스테리시스 루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된 위성방송의 녹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다중화기(De-multiplexer)(11); 프로세서(12); A/V 복호기(Audio/Video Decoder)(13); 저장매체 제어기(14) 및 저장매체(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매체(15)로서 하드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가 사용된다.
영상과 음성을 포함한 데이터는 MPEG-2 압축 알고리즘에 의해 압축된다. 이후, 디지털 위성 방송 데이터로 변환된 후,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DMB)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 전송된다. 전송된 DMB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기저대역으로 하향 변환되어 역다중화기(11)에 전달된다. 역다중화기(11)는 기저 대역으로 하향 변환된 MPEG-2 전송 스트림을 선택하고자 하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분리한다. 이후, A/V 복호기(13)에 의해 분리되어 영상과 음성 데이터가 재생된다. 즉, 전송된 영상과 음성 데이터는 MPEG-2 방식으로 압축되어 있으므로, A/V 복호기(13)를 통해 복원되고, 복원된 영상과 음성 데이터가 TV와 같은 영상 기기로 출력되어 시청자가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프로세서(12)는 필요로 하는 패킷만을 분리할 수 있도록 역다중화기(11)를 제어한다. 또한, 매체저장 제어기(14)를 제어하여 별도의 저장장치(15)에 A/V 신호를 저장하거나, 복호하기 전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위성 방송 수신기는 고정형 단말기(예를 들어, 셋탑박스 등)를 위한 것이다. 그런데, 고정형 수신기는 이동형 수신기보다 수신환경이 우수하다. 한편, 위성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중에 수신하므로 방송 수신 환경이 시시각각 변하게 된다. 결국, 고정형 수신기에 비해 평균적인 수신 품질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동형 수신기에서는 수신환경에 따라 위성방송 녹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성 방송을 수신하고 이를 녹화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 품질에 따라 녹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성 방송 신호의 녹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 품질이 낮은 위성 방송 신호의 녹화에 불필요한 단말기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성 방송 신호의 녹화 시에 이동 통신 단말기 내의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 에러율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에러율 검출수단과;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상기 에러율 검출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에러율 정보에 따라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의 저장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주파수 하향 변환된 위성 방송 데이터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변환하는 기저대역 복호기와; 상기 기저대역 복호기로부터 전달되는 다중화된 영상과 음성데이터를 분리하는 역다중화기와; 상기 역다중화기에 의해 분리된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복호시키는 A/V 복호기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와; 상기 기저대역 복호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의 비트 에러율(Bit Error Rate: BER) 정보를 제공받아 수신된 데이터의 녹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역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위해 저장매체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저장매체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패킷 내에 비트 오류의 유무를 나타내기 위한 BER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저장매체는 단말기 내에 내장된 플래쉬 메모리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될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가 될 수 있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은 위성 방송 데이터 스트림을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복조하는 과정과; 복조된 신호를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는 역다중화과정과; 복조된 신호에 포함된 BER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BER 상태에 따라 상기 역다중화 과정을 거친 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BER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녹화를 중단하고, 일정 수준이하로 떨어지면 녹화를 재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녹화의 중단과 재개의 결정지점(Threshold)은 비디오 품질을 고려하여 히스테리시스루프의 형태로 동작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의 다른 특징은 위성 방송 데이터 스트림을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복조하는 과정과; 복조된 신호를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는 역다중화 과정과; 복조된 신호에 포함된 BER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BER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과정과; BER 정보를 수신한 프로세서에서 BER 상태에 따라 저장매체 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매체 제어기에서 상기 역다중화 과정을 거친 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화 기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그 구성은 살펴보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기저대역으로 하향변환하기 위한 하향변환기(21)와, 상기 하향변환기(21)에 의해 주파수 하향 변환된 위성 방송 데이터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변환하는 기저대역 복호기(22)와, 상기 기저대역 복호기(22)로부터 전달되는 다중화된 영상과 음성데이터를 분리하는 역다중화기(23)와, 상기 역다중화기(23)에 의해 분리된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복호시키는 A/V 복호기(24)와, 상기 기저대역 복호기(24)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의 비트 에러율(Bit Error Rate: BER) 정보를 제공받아 수신된 데이터의 녹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27)와, 상기 프로세서(27)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역다중화기(23)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매체(26)에 저장하기 위해 저장매체의 구동신호를 출 력하는 저장매체 제어기(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매체(26)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반도체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쉬 메모리가 사용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의 디지털 위성 방송 녹화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흐름도를 이용하여 도 2의 구성에 따른 녹화 기능부를 이용하여 디지털 위성 방송을 녹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에 설정된 기능 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 동작을 취하게 된다. 이때, 특정 방송 데이터에 대하여 녹화를 원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로 설정된 신호입력수단 또는 임의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녹화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한다(S31).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디지털 위성방송은 위성을 통해 단말기에 전달된다. 위성에서는 직교특성을 갖는 왈쉬코드(Walsh code)로 여러 채널을 다중화하여 전송한다. 이때, 단말기에서도 왈쉬코드(Walsh code)를 이용하여 복조하여 이를 시분할(Time division)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한다. 즉, 디지털 위성 방송 데이터 스트림(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Stream)을 수신한 단말기의 하향변환기(21)에서 고주파를 기저대역으로 하향 변환한다(S32).
이어,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복조한다(S33). 이때,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포함된 에러율(Bit Error Rate: BER)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S34).
프로세서(27)에서는 복조된 신호에 포함된 에러율의 크기에 따라(S35), 역다중화 과정을 거쳐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된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제어 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S36).
위와 같은 녹화 과정은 사용자에 의한 녹화 중지 신호가 입력되었거나, 녹화 대상 방송 데이터에 종료 신호가 포함되어 입력될 때까지 이루어진다(S37).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화 기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서는 위성 방송을 단말기 내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을 통해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방법을 구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즉, 에러율의 크기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I/O인터페이스 장치(예를 들어, 리셉터클)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녹화용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를 감안한 녹화방법은 도 5의 흐름도를 통해 설명한다. 외부로 전송 여부의 설정 상태를 확인하고(S56), 외부 전송으로 설정된 경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로 인터페이스 하게 된다(S58). 물론, 외부 전송이 아닌 경우에는 단말기 내의 플래쉬 메모리에 복호화되기 이전의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영상 및 음성 데이터는 A/V 복호기에 입력시키기 전에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즉, 역다중화를 거쳐 분리된 다음, 저장매체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된다. 이는 A/V 복호전의 데이터 량이 복호한 후의 데이터 량보다 적어 단말기의 메모리 공간확보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녹화가 진행되는 동안 기저 대역 복조기에서는 수신된 데이터의 에러율을 측정하여 프로세서에 전달한다. 프로세서는 수신된 데이터의 에러율이 일정 수준이 상으로 올라가면 수신 상태가 안 좋은 것으로 판단하여 녹화를 잠시 중단시키고, 수신 상태가 좋아져서 다시 에러율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녹화를 재개한다.
녹화의 중단과 재개를 결정하는 지점(Threshold)은 비디오 품질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수신신호의 에러율이 쓰레스홀드(Threshold)근처에서만 있을 경우 중단과 재개가 짧은 시간 내에 반복될 것이다. 따라서, 그 결정 시기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히스테리시스 루프의 형태를 따르면서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쓰레스홀드(Threshold 1, Threshold 2)의 값은 실험을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을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은 수신되는 위성 방송 데이터의 품질에 따라 녹화동작을 중단 또는 재개함으로써, 단말기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3)

  1.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 에러율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에러율 검출수단과;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상기 에러율 검출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에러율 정보에 따라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의 저장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복호화되기 전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반도체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플래쉬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6. 주파수 하향 변환된 위성 방송 데이터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변환하는 기저대역 복호기와;
    상기 기저대역 복호기로부터 전달되는 다중화된 영상과 음성데이터를 분리하는 역다중화기와;
    상기 역다중화기에 의해 분리된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복호시키는 A/V 복호기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와;
    상기 기저대역 복호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의 비트 에러율(Bit Error Rate: BER) 정보를 제공받아 수신된 데이터의 녹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역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위해 저장매체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저장매체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패킷 내에 비트 오류의 유무를 나타내기 위한 BER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단말기 내에 내장된 플래쉬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는 하드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과정과;
    수신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 에러율 정보를 추출하는 에러율 검출과정과;
    검출된 에러율에 따라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저장여부를 제어하는 제어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과정은 검출된 에러율이 임계값보다 작을 때 저장을 위한 제어신호를, 검출된 에러율이 임계값보다 클 때 저장 동작 중지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
  14. 위성 방송 데이터 스트림을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복조하는 과정과;
    복조된 신호를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는 역다중화 과정과;
    복조된 신호에 포함된 BER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BER 상태에 따라 상기 역다중화 과정을 거친 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제어과정은,
    BER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녹화를 중단하고, 일정 수준이하로 떨어지면 녹화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의 중단과 재개의 결정지점(Threshold)은 비디 오 품질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의 중단과 재개의 결정은 히스테리시스루프의 형태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제어과정은,
    상기 역다중화 과정을 거친 데이터가 단말기의 리셉터클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제어과정은, 상기 역다중화 과정을 거친 데이터를 단말기 내부의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
  20. 위성 방송 데이터 스트림을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복조하는 과정과;
    복조된 신호를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는 역다중화 과정과;
    복조된 신호에 포함된 BER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BER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과정과;
    BER 정보를 수신한 프로세서에서 BER 상태에 따라 저장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역다중화 과정을 거친 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제어과정은,
    BER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녹화를 중단하고, 일정 수준이하로 떨어지면 녹화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의 중단과 재개의 결정지점(Threshold)은 비디오 품질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의 중단과 재개의 결정은 히스테리시스루프의 형태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녹화방법.
KR1020040113937A 2004-12-28 2004-12-28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녹화방법 KR100640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937A KR100640882B1 (ko) 2004-12-28 2004-12-28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녹화방법
CNB2005100773000A CN100438587C (zh) 2004-12-28 2005-06-16 具备数字广播记录功能的移动通信终端以及记录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937A KR100640882B1 (ko) 2004-12-28 2004-12-28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녹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943A KR20060074943A (ko) 2006-07-03
KR100640882B1 true KR100640882B1 (ko) 2006-11-02

Family

ID=3681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937A KR100640882B1 (ko) 2004-12-28 2004-12-28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녹화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40882B1 (ko)
CN (1) CN10043858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654B1 (ko) * 2005-12-13 2006-12-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Dmb 녹화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에러정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6170A (en) * 1995-07-12 1997-09-0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signals encoded in different formats
JPH10285098A (ja) * 1997-04-10 1998-10-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伝送装置
US6996077B1 (en) * 1997-07-03 2006-02-07 Kabushiki Kaisha Toshiba Satellite broadcasting system
JP4078503B2 (ja) * 2000-07-25 2008-04-2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端末
JP3743411B2 (ja) * 2002-09-30 2006-02-08 三菱電機株式会社 衛星放送方法、その方法に用いる基地局及び移動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8288A (zh) 2006-07-05
CN100438587C (zh) 2008-11-26
KR20060074943A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56486A1 (fr) Recepteur, terminal mobile et systeme de reception
JP200823666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EP28948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layered coded contents
US8035743B2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 terminal with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070352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위한 다채널 영상 수신 장치 및방법
US20060236145A1 (en) Contents reproduction device
CN101193299A (zh) 解码电路
KR100640882B1 (ko) 디지털 방송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녹화방법
CN100463507C (zh) 视听显示设备和方法
US20070022461A1 (en) Auxiliary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065074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홈서버
JP486613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CN1856073B (zh) 用于在数字广播接收器中存储数据的装置和方法
CN102802072A (zh) 广播接收器及广播接收器控制方法
JP200623846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0067805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영상의 퀵 뷰어 실행방법
KR100709419B1 (ko) Dmb 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20044572A1 (en) Multiplexing apparatus and method, image output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8606082B2 (en)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US8837916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provide adaptive recording
US82903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transport stream
JP2011015175A (ja) 録画再生装置、録画装置及び再生装置
JPH11275475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方法とディジタル放送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方法
JP2010206715A (ja) 放送受信装置
JP520050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