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152B1 -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및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및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152B1
KR100640152B1 KR1020040083253A KR20040083253A KR100640152B1 KR 100640152 B1 KR100640152 B1 KR 100640152B1 KR 1020040083253 A KR1020040083253 A KR 1020040083253A KR 20040083253 A KR20040083253 A KR 20040083253A KR 100640152 B1 KR100640152 B1 KR 100640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mage
display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4114A (ko
Inventor
오창석
Original Assignee
오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석 filed Critical 오창석
Priority to KR1020040083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152B1/ko
Publication of KR20060034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을 회전시키기 위해 기존에 디스플레이부를 물리적으로 회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과정을 단순화시키고 이를 슬라이드식, 폴더식, 플립식 등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영상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시키는 영상회전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의 액정화면(6)상에 출력시키는 영상신호처리부(20)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4)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4)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스위치를 개폐시키는 중력감지스위치부(10)와; 상기 중력감지스위치(10)의 스위치 개폐여부에 따라 영상신호를 90°회전시켜 액정화면(6)에 출력시키는 X-Y컨버터(30)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4)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5)의 액정화면(6)상의 영상이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 디스플레이 고정형, 디스플레이부, 영상회전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IMAGE ROTATION APPARATUS OF MOBILE PHONE WITH FIXED-DISPLAY TYP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영상회전장치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회전형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력감지스위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세로보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기울이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가로보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2 실시예인 원터치버튼 조작에 의해 메인제어장치에서 영상 회전을 수행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3 실시예인 원터치버튼 조작에 의해 영상회전명령을 수행하는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7 : 이동통신단말기 5 : 디스플레이부
6, 9 : 액정화면 10 : 중력감지스위치
11 : 구 12 : 전해액
13 : 신호제어부 14 : 전원부
15 : 비교기 20 : 영상신호처리부
30 : X-Y컨버터 40 : 회전버튼
50, 60 : 메인제어장치 51 : 세로보기모드
52 : 가로보기모드 70 : 커넥터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가 고정된 형태의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의 액정화면으로 출력되는 영상이 사용자의 특정 조작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다양한 모바일 컨텐츠들이 급속도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컨텐츠들 중에서도 특히 VOD와 같은 동영상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동영상 데이타를 간편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지원되는 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물리적으로 회전(회동)시키고 이에 상응하여 액정화면의 영상도 함께 회전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선보이고 있는데 공개번호 특2003-000166의 '디스플레이부를 수직 및 수평으로 변환가능한 이동단말기'에서 이와 같은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2)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의 물리적 회동에 따라 액정화면(3)에 표시되는 영상의 방향도 함께 회전시켜 사용자가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발명은 디스플레이부(2)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액정화면(3)에 표시되는 수평신호와 수직신호의 입력방향을 변환시키는 신호변환수단에 의해 영상의 방향도 상응하여 회전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를 독립적으로 회전(회동)시킬 수 있는 폴더형 단말기에만 적용되는 것으로서, 동일한 기술을 디스플레이부 회동이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슬라이드식 혹은 플립식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적 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가 회전(회동)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상기 발명은 그러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조적인 특성상 디스플레이부의 회동 회수가 반복됨에 따라 신호접촉면이 마모되거나 부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신호변환수단으로 정확한 신호가 전달되지 못해 영상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회전(회동)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한 문제점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구조적인 취약성으로 인해 내구성 및 기기신뢰도에 문제를 안고 있으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한 형태의 단말기라 볼 수 없고, 동일한 이유로 디스플레이가 고정된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미래형 단말기로서 인정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별도로 구비된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가짐으로써 필요에 따라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세로보기 형태를 취하고 또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가로보기 형태를 취하는 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선보이고 있으나,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별도로 구비함에 따른 제조원가의 증대 및 구조상의 복잡성을 갖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가 회전(회동)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만 적용되던 영상회전이 디스플레이가 고정된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를 물리적으로 회전(회동)시켜야만 영상회전이 이루어지던 번거로운 작업과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순발력 있는 화상전환을 가능토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영상회전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영상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시키는 영상회전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액정화면상에 출력시키는 영상신호처리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스위치를 개폐시키는 중력감지스위치부와; 상기 중력감지스위치의 스위치 개폐여부에 따라 영상신호를 90°회전시켜 액정화면에 출력시키는 X-Y컨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액정화면상의 영상이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력감지스위치부는 균일한 곡면의 내부공간과 외표면을 가지는 구와 상기 구의 내부공간에 소정의 분량으로 채워져 있어 전기신호를 통전시키는 전해액과 상기 구 외부의 균일한 간격의 4지점에 배선되어 있는 전선과 연결되어 있어 중력의 감지에 따라 스위치의 개폐를 작동시키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호제어부는 상기 구의 4지점에 전기신호를 교대로 입력시키는 전원부와 입력된 전기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구의 4지점에서 출력되는 값을 입력받아 스위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영상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시키는 영상회전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액정화면상에 출력시키는 영상신호처리부와; 상기 액정화면의 영상회전을 원하는 사용자가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상의 버튼들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조작부 소정의 위치에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버튼과;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의 영상신호를 회전시키도록 세로보기모드와 가로보기모드의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메인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신호처리부가 상기 메인제어장치에서 생성된 회전영상을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액정화면상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버튼이 1회 선택될 때마다 액정화면의 영상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90°씩 번갈아가며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영상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시키는 영상회전장치에 있어서, 영 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액정화면상에 출력시키는 영상신호처리부와; 상기 액정화면의 영상회전을 원하는 사용자가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상의 버튼들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조작부 소정의 위치에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버튼과; 상기 회전버튼의 선택을 감지하여 상기 영상신호처리부의 영상신호가 회전되어 출력되도록 회전명령을 생성하는 메인제어장치와; 상기 메인제어장치의 회전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액정화면에 주사방향을 변경시키는 스위칭장치로 영상신호를 회전시켜 출력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버튼이 1회 선택될 때마다 액정화면의 영상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90°씩 번갈아가며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슬라이드식, 폴더식 및 플립식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구성을 갖는 영상회전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력감지스위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세로보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기울이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가로보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2 실시예인 원터치버튼 조작으로 영상회전을 하는 메인제어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3 실시예인 원터치버튼 조작으로 영상회전명령을 수행하는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의미는 주로 폴더식으로서 디스플레이가 회전(회동)가능한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비되는 개념이며,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예로서 슬라이드식 휴대폰이 도시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가 고정된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라면 슬라이드식 뿐만 아니라 폴더식, 플립식 등의 이동통신단말기 모두에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 제 1 실시예 >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의 제 1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는 크게 영상신호처리부(20), 중력감지스위치(10) 및 X-Y컨버터(30)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영상신호처리부(20)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액정화면상에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X-Y컨버터(30)는 상기 영상신호처리부(20)에 전달된 영상신호를 액정화면상에서 90°씩 회전되어 출력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회전은 기존 액정화면의 공통전극, X-전극, Y-전극에서 X-전극과 Y-전극을 바꾸어줌으로써 가능하게 되며 이는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서 하드웨어적으로 X-시그날과 Y-시그날을 교차전송하여 출력시키는 것이다.
상기 중력감지스위치(10)는 3접점 스위치장치로 이동통신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른 중력을 감지하며 일측이 X-Y컨버터(30)와 연결되어 있어 감지된 중력에 따른 ON/OFF 신호를 상기 X-Y컨버터(30)로 전달한다.
상기 중력감지스위치(10)는 구(11), 전해액(12) 및 신호제어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구(11)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4) 본체 중앙의 소정 공간에 장착되어 있으며 폴리아미드 등의 기재 위에 회로패턴이 형성된 기판으로 3차원 입체 구조의 배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구(11)의 폐쇄공간 내부에는 전해액(12)이 항상 동일한 형상으로 수용되며 외부에는 3지점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선되어 장착되기 위해 내부 및 외부 모두 균일한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전해액(12)은 전기적 특성이 좋은 통전체이며, 그 상태가 물리적인 중력에 반응하여 쉽게 유동할 수 있는 점성이 거의 없는 액체이다.
또한 상기 전해액(12)은 상기 구(11)체적의 3/5을 차지하도록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휴대폰을 배치하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중력방향으로 작용하므로 20°~ 70°정도 범위의 예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기울이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전기신호의 입력에 대해 2지점의 출력을 내어 영상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화살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른 중력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신호제어부(13)는 전원부(14)와 비교기(15)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부(14)는 상기 구(11)의 4지점에 교대로 전기신호를 보내며 그에 따른 출력신호를 비교기(15)가 입력받아 1지점 출력과 2지점 출력을 판단한다.
이동통신단말기 소정의 내부에는 전기가 통하는 전해액(12)이 들어 있는 구(11)형태의 스위칭 구조가 장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세로보기' 혹은 '가로보기'의 보고자 하는 방향으로 기울이게 되면 상기 전해액(12)이 중력의 방향으로 기울게 된다.
이때 신호제어부(13)의 전원부(14)에서는 4지점에서 교대로 전기신호를 보내 출력신호를 1지점 혹은 2지점에서 나타나도록 한다.
1지점 출력의 경우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약 20°~ 70°의 경사로 비스듬히 누 워있는 상태에서 입력된 신호가 1지점에서만 출력되는 것이며 1지점 출력신호를 받은 상기 신호제어부(13)의 비교기(15)는 양단자의 전기신호 유무를 판별하게 된다.
그리하여 1개의 전기신호만을 받은 비교기(15)는 OFF신호를 X-Y컨버터(30)로 전달하여 현재의 보기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또한 2지점 출력의 경우는 이동통신단말기(4)의 기울기가 70°~ 90°로 기운 상태에서 입력된 신호가 2지점으로 출력되는 것이며 2지점 출력신호를 받은 상기 신호제어부(13)의 비교기(15)는 양 단자의 전기신호 유무를 판별한다
그리하여 상기 비교기(15)는 양 단자에 전기값이 동시에 들어옴을 감지하고 ON 신호를 X-Y컨버터로 전달하여 영상회전을 위한 시그날을 교차전송하여 출력시키도록 한다.
비교기(15)에서 출력된 ON 혹은 OFF신호는 영상회전을 위한 명령신호이며 상기 명령신호는 X-Y컨버터(30)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부(5)의 액정화면(6)에 출력될 영상의 X-전극, Y-전극을 바꾸어 출력시키도록 한다.
이로 인해 X-Y컨버터(30)는 액정화면(6)에 출력될 영상신호의 전환작동을 수행하게 되고 액정화면(6)의 영상을 사용자가 보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출력시킨다.
즉, 사용자가 영상전환을 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4)를 90°회전시키면 입력신호가 2지점으로 되어 보기변환이 자연스럽게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세로보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4)는 휴대폰뿐만 아니라 PDA와 같은 이동통신기능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를 통칭하며 영상 및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5)를 가진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4)의 디스플레이부(5)에는 SN-LCD, TFD-LCD, TFT-LCD, OLED와 같은 액정화면(6)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액정화면(6)은 가로와 세로길이가 각기 다른 비율을 가지는데 보통 가로 대비 세로가 2:3 혹은 3:4 비율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비율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액정화면(6)으로 출력되는 영상을 길게 보거나 넓게 보기 위한 선택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4) 본체 하단(통상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용 잭이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아래로 하여 세워서 들거나 바닥면에 세워놓는 '세로보기' 상태가 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4)에 장착되어 있는 중력감지스위치부(10)의 전해액(12)도 중력의 방향으로 기울게 된다.
예시적으로 도 3과 같이 이동통신단말기(4)의 '세로보기'상태에서는 구(11)의 A, B, C, D의 4지점으로 계속적인 전기신호가 교대로 입력되며 이때 상기 구(11)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전해액(12)이 통전되어 전기신호가 입력된 지점을 제외한 전해액(12)이 닿는 나머지 3지점 중 2지점으로 전기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전해액(12)은 각각의 지점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비교기(15)의 (+)단자와 (-)단자에 입력시켜 비교하게 된다.
A지점에서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전해액(12)이 닿지 않으므로 전해액 (12)이 통전되지 않아 출력되는 전기신호가 없다.
B지점에서 전기신호가 입력이 되면 전해액(12)은 통전되어 C지점과 D지점으로 전기신호를 출력시키며, C지점에서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B지점과 D지점으로 전기신호를 출력시키고, D지점에 전기신호를 입력시키면 B지점과 C지점으로 전기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즉, B지점, C지점, D지점의 전기신호 입력에 대해 모두 2지점에서 전기신호를 출력시키게 되어 출력된 전기신호를 입력받는 비교기(15)는 '세로보기' 상태임을 감지하여 스위치를 ON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이동통신단말기(4)의 액정화면(6)상의 영상이 '세로보기'에 적합하도록 회전되어 출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기울이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지점과 D지점에서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전해액(12)이 닿지 않으므로 전해액(12)이 통전되지 않아 출력되는 전기신호가 없다.
B지점에서 전기신호를 입력하면 전해액(12)이 통전되어 C지점으로 전기신호를 출력시키고, C지점에서 전기신호를 입력시키면 B지점으로 전기신호를 출력시킨다.
즉, B지점과 C지점의 전기신호 입력에 대해 모두 1지점에서 전기신호를 출력시키게 되어 출력된 전기신호를 입력받는 비교기(15)는 이동통신단말기(4)가 경사지게 기울어져 있음을 감지하고 스위치를 OFF시켜 영상회전이 수행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기존의 상태(여기서는 '세로보기'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가로보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D지점에서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전해액(12)이 닿지 않으므로 전해액(12)이 통전되지 않아 출력되는 전기신호가 없다.
A지점에서 전기신호가 입력이 되면 전해액(12)은 통전되어 B지점과 C지점으로 전기신호를 출력시키며, B지점에서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A지점과 C지점으로 전기신호를 출력시키고, C지점에 전기신호를 입력시키면 A지점과 B지점으로 전기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즉, A지점, B지점, C지점의 전기신호 입력에 대해 모두 2지점에서 전기신호를 출력시키게 되어 출력된 전기신호를 입력받는 비교기(15)는 '가로보기' 상태임을 감지하여 스위치를 ON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이동통신단말기(4)의 액정화면(6)상의 영상이 '가로보기'에 적합하도록 회전되어 출력된다.
< 제 2 실시예 >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2 실시예인 원터치 버튼조작에 의해 메인제어장치에서 영상이 회전되도록 처리하여 액정화면에 출력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실시예와 제 3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5)와 영상신호처리부(20)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와 제 3 실시예의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7)는 슬라이드식, 플립식 PDA등과 같은 모든 이동통신단말기에 원터치 버튼 조작방식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회전함 없이 보고자 하는 방향에서 원터치의 회전버튼(40)을 조작함으로써 '세로보기' 혹은 '가로보기'가 가능한 단말기이다.
상기 회전버튼(40)은 출력영상의 회전을 선택 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7)의 외부 조작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버튼(40)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방향으로 영상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는 회전버튼(40), 영상신호처리부(20) 및 메인제어장치(5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버튼(40)은 1회 선택될 때마다 액정화면(6)의 영상을 시계 방향과 반 시계 방향으로 90°씩 번갈아가며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제어장치(50)는 세로보기모드(51)와 가로보기모드(52)의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세로보기모드(51)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세로보기'에 적합한 영상이 출력되도록 영상신호를 변환환다.
또한 가로보기모드(52)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가로보기'에 적합한 영상이 출력되도록 영상신호를 변환한다.
액정화면(6)의 영상을 회전시키기 위해 1회 내지는 다수회 회전버튼(40)을 선택하게 되면, 메인제어장치(50)에서는 상기 영상신호처리부(20)의 영상신호를 전 달받아 세로보기모드(51) 혹은 가로보기모드(52) 프로그램에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며 입력시켜 회전영상을 생성시킨다.
그리하여 생성된 회전영상은 액정화면(6)에 그대로 출력되고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7)의 원터치 버튼조작에 따른 적합한 회전 영상을 보게 되는 것이다.
< 제 3 실시예 >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에 대한 제 3 실시예인 원터치버튼 조작으로 영상회전 명령을 수행하는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는 회전버튼(40), 영상신호처리부(20), 메인제어장치(60), 커넥터부(70) 및 디스플레이부(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버튼(40)은 액정화면(9)의 영상회전을 원하는 사용자가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7)의 통상의 버튼들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조작부 소정의 위치에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버튼(40)은 1회 선택될 때마다 액정화면의 영상을 시계방향과반시계방향의 90°씩 번갈아가며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제어장치(60)는 상기 회전버튼(40)의 선택을 감지하며 상기 영상신호처리부(20)에서 전달된 영상신호가 커넥터부(70)에서 주사방향이 변경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커넥터부(70)에 회전명령을 보낸다.
상기 커넥터부(70)는 상기 메인제어장치(60)의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5)의 액정화면(9)에 주사방향을 변경시키는 스위칭장치를 가지고 있어 영상신호를 회전시켜 출력되도록 한다.
액정화면(9)은 상기 커넥터부(70)와 연결되어 있으며 변경된 주사신호 방향에 따라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액정화면(9)의 영상을 회전하기 위해 회전버튼(40)을 1회 혹은 다수회 선택하게 되면, 회전버튼(40)이 1회 선택될 때마다 메인제어장치(60)에서 회전버튼(40)의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커넥터부(70)에 회전명령을 보내게 된다.
커넥터부(70)로 전달된 회전명령은 상기 영상신호처리부(20)에서 전달된 영상신호를 회전하기 위한 스위칭장치를 작동시킨다.
상기 스위칭장치에 의해 영상신호의 주사방향이 변경되며 변경된 주사신호 방향으로 영상신호가 액정화면(9)으로 출력되어 회전되어 보이도록 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는 디스플레이가 회전(회동)가능한 폴더식 이동통신단말기 구조에서만 적용되던 영상회전을 슬라이드식, 폴더식 혹은 플립식 등 형태에 무관하게 디스플레이가 고정된 형태의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PDA와 같은 멀티미디어 장비에서도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는 기울이기 또는 원터치 버튼조작 등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디스플레이의 액정화면상의 영상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물리적으로 회전(회동)시켜야만 영상회전이 이루어지던 번거로운 작업과정을 거치지 않고 순발력 있는 화상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시각적 편의성과 조작편의성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영상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시키는 영상회전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의 액정화면(9)상에 출력시키는 영상신호처리부(20)와;
    상기 액정화면(9)의 영상회전을 원하는 사용자가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7)의 통상의 버튼들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조작부 소정의 위치에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버튼(40)과;
    상기 회전버튼(40)의 선택을 감지하여 상기 영상신호처리부(20)의 영상신호가 회전되어 출력되도록 회전명령을 생성하는 메인제어장치(60)와;
    상기 메인제어장치(60)의 회전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5)의 액정화면(9)에 주사방향을 변경시키는 스위칭장치로 영상신호를 회전시켜 출력하는 커넥터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버튼(40)이 1회 선택될 때마다 상기 액정화면(9)의 영상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90°씩 번갈아가며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8. 제 6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4, 7)는 슬라이드식, 폴더식 및 플립식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9. 제 6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영상회전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40083253A 2004-10-18 2004-10-18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및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40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253A KR100640152B1 (ko) 2004-10-18 2004-10-18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및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253A KR100640152B1 (ko) 2004-10-18 2004-10-18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및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114A KR20060034114A (ko) 2006-04-21
KR100640152B1 true KR100640152B1 (ko) 2006-11-01

Family

ID=3714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253A KR100640152B1 (ko) 2004-10-18 2004-10-18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및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0959A (zh) * 2017-02-28 2018-09-07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图像旋转控制装置及数码相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956B1 (ko) * 2005-12-13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배경화면 표시 방법
KR101482112B1 (ko) 2008-06-02 2015-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0959A (zh) * 2017-02-28 2018-09-07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图像旋转控制装置及数码相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114A (ko) 200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45396B (zh) 一种触摸屏输入方法及电子设备
KR100876754B1 (ko) 작동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
JP3816839B2 (ja) ディスプレイ部を垂直及び水平に変換可能な移動端末機
JP2009516280A (ja) パラメータ状態情報を表示する方法並びに関連する携帯用電子装置及びパラメータ
JP4450092B2 (ja) 携帯情報端末
US7239898B2 (en)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1033877A1 (ja) 携帯情報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20130229324A1 (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3019519B (zh) 一种触控终端应用图标的显示控制方法及其触控终端
US20100265269A1 (en) Portable terminal and a display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KR2010002186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JP2010237619A (ja)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22951A (ja) 表示装置
TWI528232B (zh) 電子裝置的使用方法、電子裝置及電子設備
JP2002268622A (ja) 携帯端末装置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2004302734A (ja) 情報端末並びにその動作切替え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08258805A (ja) 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電話機
JP2006505840A (ja) 可動パネルを有する移動通信デバイスのソフトキー
JP2000250434A (ja) 携帯型情報機器および重力方向検出器
KR100640152B1 (ko)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및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JP2006191548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4355229A (ja) 携帯端末装置
JP2009110155A (ja) 静電パッド付携帯情報端末
JP2002051124A (ja) 無線電話装置
CN108958376B (zh) 显示装置及显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