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112B1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112B1
KR101482112B1 KR20080051706A KR20080051706A KR101482112B1 KR 101482112 B1 KR101482112 B1 KR 101482112B1 KR 20080051706 A KR20080051706 A KR 20080051706A KR 20080051706 A KR20080051706 A KR 20080051706A KR 101482112 B1 KR101482112 B1 KR 101482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area
portable terminal
contents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51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544A (ko
Inventor
강래훈
정하양
김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3804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8211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51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112B1/ko
Priority to US12/463,980 priority patent/US8078134B2/en
Publication of KR2009012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력 가속도 방향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에 제1 방향으로 표시된 제1 및 제2 컨텐츠를 각각 표시하는 단계, 가속도센서에서 출력되는 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이 일정한 상태로 제1 위치로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 제1 및 제2 컨텐츠를 각각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하 종배열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보기 편하도록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회전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회전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방향, 순서 및 크기 등을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2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용하여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표시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여러 컨텐츠를 보기위해 사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방향이 있다. 예를 들어, 보통 사용자는 상 측 디스플레이 영역을 본 후 하측 디스플레이 영역을 보며, 좌측 디스플레이 영역을 본 후 우측 디스플레이 영역을 본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이 용이하도록 컨텐츠의 순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표시한 휴대 단말기가 회전하게 되는 경우, 회전에 따라 컨텐츠의 방향, 순서 및 크기 등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방향, 순서 및 크기 등 자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반복적인 입력 없이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디스플레이 영역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으로서 중력 가속도 방향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방향으로 표시된 제1 및 제2 컨텐츠를 각각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센서에서 출력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이 일정한 상태로 제1 위치로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를 각각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하 종배열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으로서,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표시된 제1 및 제2 컨텐츠를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각각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센서에서 출력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이 일정한 상태로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방향으로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로서, 제1 방향으로 표시된 제1 및 제2 컨텐츠를 각각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중력 가속도의 방향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출력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방향이 일정한 상태로 제1 위치로 회전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를 각각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하 종배열되도록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로서, 제1방향으로 표시된 제1 및 제2 컨텐츠를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각각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방향이 일정한 상태로 회전한 경우,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가속도센서에서 출력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방향으로 확대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보기 편하도록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 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가속도 센서(14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3)는 어 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143)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143)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 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 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2개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 및 리어 케이스(100A-2)는 폴더 타입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타입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제1 음향 출력 모듈(153a), 제1 카메라(121a)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배치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A-2)의 측면에서는 제1 사용자 입력부(130c),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키패드 등의 제2 사용자 입력부가 프론트 케이스(100A-1),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 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2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c)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입력부는 시작, 종료, 통화, 및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다.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A-2)의 측면에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및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A-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거울(125)과 플래쉬(126)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6)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5)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00A-2)에는 제2 음향 출력 모듈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 출력 모듈은 제1 음향 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100A-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A-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 측면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시야에 모두 들어오는 경우,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에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한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가 한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에 제1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고,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에 제2디스플레이 영역을 디스 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제1컨텐츠를 표시된 제1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고, 제2컨텐츠를 표시된 제2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한다(S400). 즉, 좌우로 횡배열된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가 각각 제1방향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1방향이란 사용자가 바라보는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바라볼 수 있는 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일 수 있으며, 가상키패드(virtual keypad), 단말기 메뉴 또는 아이콘 등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는 모든 컨텐츠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좌측, 우측, 상측, 하측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를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며, 각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이다.
다음, 가속도 센서(143)는 휴대 단말기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5).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방향이 일정하도록 회전한다. 즉, 휴대 단말기(100)가 정립된 상태이거나, 지면과 평행한 상태이더라도,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휴대 단말기가 회전된다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가 회전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S400 단계와 같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51)를 유지한다(S400). 여기서 회전각도는 0도에서 360도까지 모두 가능하며, 제어부(180)는 가속도 센서(143)로부터 검출된 회전방향 및 회전각를 이용하여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4가지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일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휴대 단말기가 회전된 경우, 가속도 센서(143)로부터 출력되는 결과값을 이용하여, 제어부(180)는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상측에 제1디스플레이 영역이 표시되고,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하측에 제2디스플레이 영역이 표시되는지 판단한다(S410).
S410 단계 판단결과,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상측에 제1디스플레이 영역이 표시된 경우, 제1컨텐츠를 상측에 표시된 제1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고, 제2컨텐츠를 하측에 표시된 제2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한다(S415). 즉,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가 상하로 종배열된다. 다음, 가속도 센서(143)는 휴대 단말기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S420 단계 판단결과, 휴대 단말기가 회전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S415 단계와 같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51)를 유지한다(S415). S420 단계 판단결과, 휴대 단말기가 회전한 경우, 제어부(180)는 S410 단계 내지 S450 단계를 반복한다.
한편, S410 단계 판단결과,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상측에 제1디스플레이 영역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상측에 제2디스플레이 영역이 표시되고,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하측에 제1디스플레이 영역이 표시되는지 판단한다(S425).
S425 단계 판단결과,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상측에 제2디스플레이 영역이 표 시된 경우, 제1컨텐츠를 상측에 표시된 제2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고, 제2컨텐츠를 하측에 표시된 제1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한다(S430). 즉,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가 상하로 종배열된다. 다음, 가속도 센서(143)는 휴대 단말기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35). S435 단계 판단결과, 휴대 단말기가 회전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S430 단계와 같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51)를 유지한다(S430). S435 단계 판단결과, 휴대 단말기가 회전한 경우, 제어부(180)는 가속도 센서(143)로부터 출력되는 결과값을 이용하여 S410 단계 내지 S450 단계를 반복한다.
한편, S425 단계 판단결과,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상측에 제2디스플레이 영역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에 제2디스플레이 영역이 표시되고,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에 제1디스플레이 영역이 표시되는지 판단한다(S450).
S450 단계 판단결과,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에 제2디스플레이 영역이 표시된 경우, 제1컨텐츠를 좌측에 표시된 제2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고, 제2컨텐츠를 우측에 표시된 제1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한다(S445). 즉,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가 좌우로 횡배열된다. 다음, 가속도 센서(143)는 휴대 단말기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50). S450 단계 판단결과, 휴대 단말기가 회전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S445 단계와 같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51)를 유지한다(S445). S450 단계 판단결과, 휴대 단말기가 회전한 경우, 제어부(180)는 S410 단계 내지 S450 단계를 반복한다.
한편, S450 단계 판단결과,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에 제2디스플레이 영역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을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에 표시하고, 제2디스플레이 영역을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에 표시하여, 제1컨텐츠를 좌측에 표시된 제1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고, 제2컨텐츠를 우측에 표시된 제2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한다(S400). 즉,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가 좌우로 횡배열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180)는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에 제1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고,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에 제2디스플레이 영역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제1컨텐츠를 표시된 제1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고, 제2컨텐츠를 표시된 제2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한다(S500).
다음, 가속도 센서(143)는 휴대 단말기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5). 휴대 단말기가 회전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S500 단계와 같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51)를 유지한다(S500). 여기서 회전각도는 0도에서 360도까지 모두 가능하며, 제어부(180)는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가 회전한 경우,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표시되면, 가속도 센서(143)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나타내는 결과를 이용하여,제어부(180)는 상측에 표시된 디스플레 이 영역에 표시되었던 컨텐츠를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510).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우측으로 회전한 경우, 좌측에 표시된 제1디스플레이 영역이 상측에 표시되므로, 제어부(180)는 S50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었던 제1컨텐츠를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 전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한편, 휴대 단말기가 좌측으로 회전한 경우, 우측에 표시된 제2디스플레이 영역이 상측에 표시되므로, 제어부(180)는 S500 단계에서 제2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었던 제2컨텐츠를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 전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제1컨텐츠 또는 제2컨텐츠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 전체를 통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S510 단계 다음, 제어부(180)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 전체에 표시된 컨텐츠를 종료하는 선택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515). S515 단계 판단결과, 컨텐츠를 종료하는 선택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S510 단계에서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51)를 유지한다(S510).
한편, S515 단계 판단결과, 컨텐츠를 종료하는 선택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이 상측, 하측으로 나뉘어 표시되는 경우인지, 좌측, 우측으로 나뉘어 표시되는 경우인지 판단한다(S520). 상하측 또는 좌우측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하나가 선택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에 의해 자동적으로 하나가 선택될 수도 있다.
S520 단계 판단결과,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이 좌측, 우 측에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좌측의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우측의 제2디스플레이 영역에 각각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표시한다(S500).
한편, S520 단계 판단결과,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이 상측, 하측에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측의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하측의 제2디스플레이 영역에 각각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표시한다(S525).
다음, 가속도 센서(143)는 휴대 단말기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30). 휴대 단말기가 회전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S525 단계와 같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51)를 유지한다(S525).
한편, 휴대 단말기가 회전한 경우, 회전 결과,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가 상대적으로 좌측에 표시되면, 제어부(180)는 좌측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었던 컨텐츠를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535).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우측으로 회전한 경우, 하측에 표시된 제2디스플레이 영역이 좌측에 표시되므로, 제어부(180)는 S525 단계에서 제2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었던 제2컨텐츠를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 전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한편, 휴대 단말기가 좌측으로 회전한 경우, 상측에 표시된 제1디스플레이 영역이 좌측에 표시되므로, 제어부(180)는 S525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었던 제1컨텐츠를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 전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제1컨텐츠 또는 제2컨텐츠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 전체를 통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S535 단계 다음, 제어부(180)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 전체에 표시된 컨텐츠를 종료하는 선택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540). S540 단계 판단결과, 컨텐츠를 종료하는 선택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S535 단계에서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51)를 유지한다(S535).
한편, S540 단계 판단결과, 컨텐츠를 종료하는 선택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S520 단계로 돌아가, 제1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이 상측, 하측으로 나뉘어 표시되는 경우인지, 좌측, 우측으로 나뉘어 표시되는 경우인지 판단하여(S520), S500 단계 내지 S540 단계를 반복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고되는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1개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의 화면(600)은 좌측에 제1디스플레이 영역(610), 우측에 제2디스플레이 영역(620), 제1디스플레이 영역(610)에 표시된 페이지1,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620)에 표시된 페이지2를 포함한다. 즉,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가 좌우로 횡배열된다. 휴대단말기(100)가 정립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길이방향이 지면과 수평하다. 여기서, 길이방향이란, 직사각형에서 길이가 더 긴 방향을 의미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부(151)가 표시된 정면을 기준으로 -90도 회전한 경우, 제2디스플레이 영역(620)이 제1디스플레이 영역(610)보다 상측에 위치하므로, 제2디스플레이 영역(620)에 페이지1이 표시되고, 제1디스플레이 영역(610)에 페이지2가 표시된다. 즉,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가 상하로 종배열된다. 휴대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부(151)가 표시된 정면을 기준으로 90도 회전한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 영역(610)이 제2디스플레이 영역(620)보다 상측에 위치하므로, 제1디스플레이 영역(610)에 페이지1가 표시되고, 제2디스플레이 영역(620)에 페이지2가 표시된다. 회전한 경우,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가 정립된 상태라면, 디스플레이부(151)의 길이방향이 지면과 수직하다.
도 7은 2개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본 발명이 적용된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700)는 2개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좌측의 제1디스플레이부의 화면(705)은 제1디스플레이 영역(720), 및 제1디스플레이 영역(720)에 표시된 페이지1을 포함한다. 우측의 제2디스플레이부의 화면(710)은 제2디스플레이 영역(730),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730)에 표시된 페이지2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700)가 -90도 회전한 경우, 제2디스플레이부의 화면(710)이 상측에 위치하여 제2디스플레이 영역(730)이 제1디스플레이 영역(720)보다 상측에 위치하므로, 제2디스플레이 영역(730)에 페이지1이 표시되고, 제1디스플레이 영역(720)에 페이지2가 표시된다. 휴대 단말기(700)가 90도 회전한 경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부의 화면(705)이 상측에 위치하여 제1디스플레이 영역(720)이 제2디스플레이 영역(730)보다 상측에 위치하므로, 제1디스플레이 영역(720)에 페이지1가 표시되고, 제2디스플레이 영역(730)에 페이지2가 표시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3은 도 6과 같이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800)은 상측에 제1디스플레이 영역(810), 하측에 제2디스플레이 영역(820), 제1디스플레이 영역(810)에 표시된 페이지1,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820)에 표시된 페이지2를 포함한다. 즉,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가 상하로 종배열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90도 회전한 경우, 제1디스플레이 영역(810)이 제2디스플레이 영역(820)보다 좌측에 위치하므로, 제1디스플레이 영역(810)에 페이지1이 표시되고, 제2디스플레이 영역(820)에 페이지2가 표시된다. 휴대 단말기(100)가 90도 회전한 경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디스플레이 영역(820)이 제1디스플레이 영역(810)보다 좌측에 위치하므로, 제2디스플레이 영역(820)에 페이지1가 표시되고, 제1디스플레이 영역(810)에 페이지2가 표시된다. 즉,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가 좌우로 횡배열된다. 도 8은 휴대단말기(100)가 정립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길이방향이 지면과 수직한 상태에서, 회전 결과, 디스플레이부(151)의 길이방향이 지면과 수평한 상태로 변경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900)은 좌측에 제1디스플레이 영역(910), 우측에 제2디스플레이 영역(920), 제1디스플레이 영역(910)에 표시된 페이지1,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920)에 표시된 페이지2를 포함한다. 즉,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가 좌우로 횡배열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90도 회전한 경우, 제2디스플레이 영역(920)에 페이지1이 표시되고, 제1디스플레이 영역(910)에 페이지2가 표시된다. 즉,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가 상하로 종배열된다. 여기서, 회전 전, 세로가 가로보다 긴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었던 페이지1 및 페이지2를, 회전 후 세로가 가로보다 짧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기 위하여, 페이지1을 위한 스크롤바(925) 및 페이지2를 위한 스크롤바(915)가 각각 제1디스플레이 영역(910)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920)에 표시된다. 휴대 단말기(100)가 90도 회전한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 영역(910)에 페이지1 및 페이지1을 위한 스크롤바(925)가 표시되고, 제1디스플레이 영역(910)에 페이지2 및 페이지2를 위한 스크롤바(915)가 표시된다.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1000)은 상측에 제1디스플레이 영역(1010), 우측에 제2디스플레이 영역(1020)을 포함한다. 제1디스플레이 영역(1010)에는 페이지1 및 페이지1을 위한 스크롤바(1015)가 표시되고, 제2디스플레이 영역(1020)에는 페이지2 및 페이지2를 위한 스크롤바(1025)가 표시된다. 휴대 단말기(100)가 -90도 회전한 경우, 제1디스플레이 영역(1010)에 페이지1이 표시되고, 제2디스플레이 영역(1020)에 페이지2가 표시된다. 여기서, 회전 전, 세로가 가로보다 짧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었던 페이지1 및 페이지2는, 회전 후 세로가 가로보다 긴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므로, 페이지1을 위한 스크롤바(1015) 및 페이지2를 위한 스크롤바(1025)는 각각 제1디스플레이 영역(1010)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1020)에서 사라진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고되는 도면이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1100)은 좌측에 제1디스플레이 영역(1120), 우측에 제2디스플레이 영역(1130), 제1디스플레이 영 역(1120)에 표시된 페이지1,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1130)에 표시된 페이지2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90도 회전한 경우, 제2디스플레이 영역(1130)이 제1디스플레이 영역(1120)보다 상측에 표시되므로, 회전 전, 제2디스플레이 영역(1130)에 표시되었던 페이지2가, 회전 후 제1디스플레이 영역(1120)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1130) 전체를 통해 표시된다. 휴대 단말기(100)가 90도 회전한 경우,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 영역(1120)이 제2디스플레이 영역(1130)보다 상측에 표시되므로, 회전 전, 제1디스플레이 영역(1120)에 표시되었던 페이지1이, 회전 후 제1디스플레이 영역(1120)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1130) 전체를 통해 표시된다. 도 11에서 휴대단말기(100)가 정립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길이방향이 지면과 수평한 상태에서, 회전 결과, 디스플레이부(151)의 길이방향이 지면과 수직한 상태로 변경된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11의 (a)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전환은 먼저, 좌측의 제1디스플레이 영역(1120)에 페이지1이 표시되고, 우측의 제2디스플레이 영역(1130)에 페이지2가 표시된 휴대 단말기(100)가 -90도 회전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회전에 의해 페이지2가 표시된 제2디스플레이 영역(1130)은 상측에 표시되고, 페이지1이 표시된 제1디스플레이 영역(1120)이 하측에 표시된다. 상측의 제2디스플레이 영역(1130)에 표시된 페이지2가 하측의 제1디스플레이 영역(1120)으로 확장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제2디스플레이 영역(1130)과 경계를 이루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1120)부터 페이지2가 표시되는 영역이 조금씩 확장되어 제1디스플레이 영역(1120) 전체에 페이지2가 표시된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1300)은 상측에 제1디스플레이 영역(1310), 하측에 제2디스플레이 영역(1320), 제1디스플레이 영역(1310)에 표시된 페이지1,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1320)에 표시된 페이지2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90도 회전한 경우, 제1디스플레이 영역(1310)이 제2디스플레이 영역(1320)보다 좌측에 표시되므로, 회전 전, 제1디스플레이 영역(1310)에 표시되었던 페이지1이, 회전 후 제1디스플레이 영역(1310)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1320) 전체를 통해 표시된다. 휴대 단말기(100)가 90도 회전한 경우,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디스플레이 영역(1320)이 제1디스플레이 영역(1310)보다 좌측에 표시되므로, 회전 전, 제2디스플레이 영역(1320)에 표시되었던 페이지2가, 회전 후 제1디스플레이 영역(1310)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1320) 전체를 통해 표시된다. 여기서, 제1디스플레이 영역(1310)에 표시되었던 페이지1이, 회전 후 제1디스플레이 영역(1310)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1320) 전체를 통해 표시되는 경우, 도 12와 마찬가지로, 제1디스플레이 영역(1310)과 경계를 이루는 제2디스플레이 영역(1320)부터 페이지1이 표시되는 영역이 조금씩 확장되어, 제2디스플레이 영역(1320) 전체에 페이지1이 표시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 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고되는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고되는 도면이다.

Claims (34)

  1.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센싱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이 일정한 상태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제1 위치로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하 종 방향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를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이 일정한 상태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제2 위치로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를 좌우 횡 방향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를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정립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이 지면에 수직인 방향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정립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이 지면에 수평인 방향이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의 표시 위치를 교환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의 표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는 별개의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90도 또는 -90도 회전된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의 표시 위치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를 스크롤하기 위한 제1 스크롤 바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 경계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스크롤하기 위한 제2 스크롤 바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 경계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1.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센싱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1 표시단계;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이 일정한 상태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된 경우, 상기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 중 하나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제2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방향이 세로 방향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방향이 가로 방향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를 상하 종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4.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단일 디스플레이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5.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는 텍스트, 동영상, 이미지, 가상 키패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6.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중력 가속도 방향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7.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센싱부에서 출력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회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8.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휴대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이 일정한 상태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제1 위치로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하 종 방향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를 회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이 일정한 상태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제2 위치로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를 좌우 횡 방향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를 회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정립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이 지면에 수직인 방향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정립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이 지면에 수평인 방향이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의 표시 위치를 교환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의 표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는 별개의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90도 또는 -90도 회전된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의 표시 위치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를 스크롤하기 위한 제1 스크롤 바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 경계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스크롤하기 위한 제2 스크롤 바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 경계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8.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컨텐츠를 표시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휴대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이 일정한 상태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된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 중 하나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확대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방향이 세로 방향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방향이 가로 방향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를 상하 종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1. 제18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단일 디스플레이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2. 제18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는 텍스트, 동영상, 이미지, 가상 키패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3. 제18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중력 가속도 방향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4. 제18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출력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회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20080051706A 2008-06-02 2008-06-02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101482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1706A KR101482112B1 (ko) 2008-06-02 2008-06-02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US12/463,980 US8078134B2 (en) 2008-06-02 2009-05-11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1706A KR101482112B1 (ko) 2008-06-02 2008-06-02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544A KR20090125544A (ko) 2009-12-07
KR101482112B1 true KR101482112B1 (ko) 2015-01-21

Family

ID=4138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51706A KR101482112B1 (ko) 2008-06-02 2008-06-02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78134B2 (ko)
KR (1) KR101482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6818A (ja) * 2006-09-22 2008-04-03 Fujitsu Ltd 携帯端末装置
CN101964838A (zh) * 2009-07-23 2011-02-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使用模式自动转换功能的通讯装置及方法
US20110148934A1 (en) * 2009-12-18 2011-06-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osition of an Information Item
CN102147672A (zh) * 2010-02-04 2011-08-10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手持式电子装置
CN101800816B (zh) * 2010-04-08 2012-10-17 华为终端有限公司 移动终端的触摸屏的横竖屏切换方法及移动终端
KR101626301B1 (ko) * 2010-05-28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20120034953A1 (en) * 2010-08-06 2012-02-09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handset having combined multiple displays
US9052800B2 (en) 2010-10-01 2015-06-09 Z124 User interface with stacked application management
US20130050265A1 (en) * 2011-08-31 2013-02-28 Z124 Gravity drop
EP2622443B1 (en) 2010-10-01 2022-06-01 Z124 Drag move gesture in user interface
WO2012071479A2 (en) * 2010-11-22 2012-05-31 Andy Turudic Moveable camera for mobile computing and phone devices
JP5815275B2 (ja) 2011-04-26 2015-11-1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805428B2 (ja) 2011-04-26 2015-11-0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150361B (zh) * 2013-02-27 2017-02-08 优视科技有限公司 一种网页显示方法及装置
US9389692B2 (en) * 2013-12-04 2016-07-12 Vizio, Inc Display screen orientation lock removed by the angle between the display screen and the keyboard or bottom of the computing device exceeding a predetermined angle
KR102348947B1 (ko) 2014-10-30 2022-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70036317A (ko) * 2015-09-24 2017-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697491B2 (en) * 2017-12-21 2020-06-30 Fluke Corporation Camera with dual rotational joint
WO2021010525A1 (ko) * 2019-07-18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세트 및 그 제어방법
US20220027041A1 (en) * 2020-07-27 2022-01-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raphical user interface control for dual displays
TWI763574B (zh) * 2021-08-02 2022-05-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折疊式電子裝置及其輸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0133A (ja) * 2003-10-22 2005-05-1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KR20080009627A (ko) * 2006-07-24 2008-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드 표시부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5684A (en) * 2000-05-26 2002-02-20 Nokia Mobile Phones Ltd Displaying a table
JP4061473B2 (ja)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7339600B2 (en) 2004-04-26 2008-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icture in a wireless terminal
US7774029B2 (en) * 2004-07-10 2010-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wireless terminal
KR100640152B1 (ko) 2004-10-18 2006-11-01 오창석 디스플레이 고정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회전장치 및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89487B1 (ko) 2004-12-10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의 회전에 따라 화면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어하는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55851B1 (ko) 2005-10-14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방법,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이동 단말기용 크래들
JP4583344B2 (ja) 2006-07-10 2010-11-1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0133A (ja) * 2003-10-22 2005-05-1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KR20080009627A (ko) * 2006-07-24 2008-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드 표시부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78134B2 (en) 2011-12-13
US20090298550A1 (en) 2009-12-03
KR20090125544A (ko) 200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1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10145390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25160B1 (ko)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51301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8839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8127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90210810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54039B1 (ko) 웹페이지 병합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22882B1 (ko)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67702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9003255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386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2681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27502A (ko) 플렉서블 디스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754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0894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5031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2964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7948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7375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2122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90364B1 (ko)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681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06489B1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동작 제어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1160A (ko) Iptv 단말기와 연동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