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038B1 - 일회용 착용 물품의 연속적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착용 물품의 연속적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038B1
KR100640038B1 KR1020057001124A KR20057001124A KR100640038B1 KR 100640038 B1 KR100640038 B1 KR 100640038B1 KR 1020057001124 A KR1020057001124 A KR 1020057001124A KR 20057001124 A KR20057001124 A KR 20057001124A KR 100640038 B1 KR100640038 B1 KR 100640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web
composite
machine direction
blad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3449A (ko
Inventor
시오미아키히사
니노미야아키히데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56Applying tabs, strips, tapes, loops; Knotting the ends of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84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of continuous or running length bonded we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89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of discrete laminae to single face of additional lamina
    • Y10T156/1092All laminae planar and face to face
    • Y10T156/1097Lamina is running length we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17Means feeding plural workpieces to be joi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일회용 착용 물품(1)의 외면을 형성하는 시트 부재가 가로 방향으로 연속되고 있는 제1 웹(65)을 제1 기계 방향(MD1)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점착성 테이프 조각을 형성하여야 할 폭 방향 단면 형상이 Ω자형을 띠는 제2 웹(367)을 제1 기계 방향(MD1)에 직교하는 제2 기계 방향(MD2)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소요 경과 시간마다 이 제2 웹(367)을 제2 기계 방향(MD2)에 직교하는 제2 교차 방향(CD2)으로 절단하여 점착성 테이프 조각의 복합체(67)를 얻는다. 복합체(67)를 제2 기계 방향(MD2)으로부터 공급하여 제1 웹(65)에 부착한 후에, 복합체(67)의 길이가 이등분되도록 제1 웹(65)과 함께 절단한다. 절단된 복합체(67)로부터는 점착성 테이프 파스너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일회용 착용 물품의 연속적 제조 방법{PROCESS FOR CONTINUOUSLY MAKING DISPOSABLE WEARING ARTICLES}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나 일회용 트레이닝 팬츠, 일회용 팬츠 등의 일회용 착용 물품의 연속적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1 132 325 A2에는 한 방향으로 주행하는 기저귀의 연속체에 점착성 테이프 조각을 그 한 방향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점착성 테이프 조각의 연속체인 웹이 커터용 롤과 앰빌용 롤 사이로 유도되어 절단되어, 개별적인 점착성 테이프 조각으로 된다. 점착성 테이프는 앰빌용 롤에 의해서 한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는 일회용 기저귀의 연속체에까지 운반되어, 그 연속체에 부착된다. 점착성 테이프 조각의 연속체의 공급 속도와 앰빌용 롤의 회전 속도는 거의 동일하며, 이들 속도는 일회용 기저귀의 연속체가 주행하는 속도보다도 느리다. 앰빌용 롤은 일회용 기저귀의 연속체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이 연속체가 주행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하고 있다. 점착성 테이프 조각은 기저귀의 연속체와 동일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그 연속체에 접합된다.
일본 특허 공개 소61-287645호 공보에는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주행하고 있는 웹에, 일정 길이의 테이프를 그 주행 방향으로 진행시키면서 접착하는 테이프 애플리케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테이프는 웹의 주행 방향에 대한 횡단 방향으로 일단 공급된 후에, 웹의 주행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그 웹에 접착된다. 이 애플리케이터에 의하면, 복수의 테이프가 웹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 평행한 상태로 접착된다. 테이프가 웹의 주행 방향으로 진행하는 속도는 웹의 주행 속도와 같다.
상기 양 공지 기술에서는 점착성 테이프 또는 테이프가 웹의 주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공급되어 그 웹에 접합된다. 웹이 일회용 기저귀의 그것이며, 그 기저귀의 측부에 점착성 테이프를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지 기술이라면, 기저귀의 가로(폭) 방향으로 직교하는 세로 방향을 웹의 주행 방향으로 해야만 한다. 바꿔 말하면, 상기 공지 기술은 기저귀의 가로 방향을 웹의 주행 방향으로 했을 때에, 그 기저귀의 측부에 점착성 테이프를 효율적으로 부착하는 수단을 개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기저귀 등의 일회용 착용 물품이 폭 방향으로 연속되는 상태의 웹에 대하여, 그 착용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에 점착성 테이프를 효율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착용 물품의 제조 방법의 제공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며, 특징으로 하는 것은, 피부에 접촉하는 내면과 착의에 접촉하는 외면을 지니며, 서로 직교하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 중의 상기 가로 방향이 몸통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회용 착용 물품의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 외면에,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지니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장 전개 가능하게 거의 Z자형과 거의 역 Z자형으로 접어 포개진 테이프 조각의 각각이 상기 길이 방향을 상기 가로 방향을 향해 부착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테이프 조각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정상부와 바닥부와 이들 양부를 잇는 중간부에 의해 상기 Z자형과 역 Z자형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외면에 박리 불가능하게 접합되는 부위이며, 그 하면에 점착 영역을 지니고, 상기 정상부는 상기 외면의 소요 부위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되는 부위로서, 그 하면에 고착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점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일회용 착용 물품의 연속적인 제조 공정에 하기 공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의 연속적 제조 방법이다.
즉, (1) 상기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시트 부재를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속시켜 이루어지는 제1 웹이 제1 기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공정, (2) 상기 Z자형과 역 Z자형으로 접어 포개져,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정상부 및 바닥부의 어느 한 쪽의 선단 부분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 있는 1쌍의 상기 테이프 조각이 상기 선단 부분끼리 이어지는 한 쪽, 상기 한 쪽에 대한 또 한 쪽끼리를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테이프 조각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압축된 상태의 Ω자형을 띠는 테이프 복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프 복합체는 그 복수가 상기 테이프 조각의 폭 방향에 있어서 이어져 상기 폭 방향으로 연속되는 제2 웹을 형성하며, 이러한 상기 제2 웹이 상기 제1 기계 방향으로 직교하는 제2 기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공정, (3) 상기 제2 기계 방향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2 웹은 상기 제2 기계 방향에 직교하는 제2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의 둘레에서 상기 제2 기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부 블레이드 롤과 상기 상부 블레이드 롤에 평행하고 상기 제2 기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하부 블레이드 롤과의 사이에, 상기 정상부의 상면이 상기 하부 블레이드 롤 둘레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도되어, 소요 경과 시간마다 상기 제2 교차 방향으로 절단되어, 상기 상면이 상기 둘레면에 밀착된 상태로 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늘어서는 상기 복합체를 형성하는 공정, (4) 상기 하부 블레이드 롤 둘레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기 복합체는 상기 하부 블레이드 롤이 회전하여 상기 복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의 하면이 상기 제1 기계 방향으로 주행하는 중의 상기 제1 웹과 마주 보는 시점에, 상기 복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와 상기 제1 웹이 상기 하부 블레이드 롤과 상기 하부 블레이드 롤에 소요 경과 시간마다 접근하는 누름 수단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1 웹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시트 부재와 시트 부재에 상기 복합체가 거의 등분으로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가 상기 점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웹에 접합되는 공정, (5) 그러한 후에, 상기 복합체의 상기 제1 기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거의 2등분되도록 상기 제1 웹이 상기 복합체와 함께 상기 제1 기계 방향에 직교하는 제1 교차 방향으로 절단되어 상기 제1 기계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에 상기 Z자형과 역 Z자형을 띠는 테이프 조각이 접합된 상기 시트 부재가 얻어지는 공정.
본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있다.
(1) 상기 착용 물품이 일회용 기저귀, 일회용 트레이닝 팬츠 및 일회용 팬츠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착용 물품의 전방 몸통 둘레 영역 및 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어느 한 쪽 외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웹은 상기 시 트 부재가 상기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 어느 한 쪽의 옆 가장자리끼리가 이어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2) 상기 하부 블레이드 롤은 상기 제2 기계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것으로, 매분당 상기 회전 속도와 상기 제1 웹의 상기 제1 기계 방향으로의 매분당 주행 속도의 비가 1:2∼1:40의 범위에 있다.
(3) 상기 누름 수단이 상기 제1 기계 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는 서로 평행한 1쌍의 해머 롤이다.
(4) 상기 고착 영역은 상기 테이프 조각이 상기 외면의 소요 부위에 박리 가능하게 고착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프 조각에 도포된 점착제를 포함한다.
(5) 상기 고착 영역은 상기 테이프 조각을 상기 외면의 소요 부위에 박리 가능하게 고착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프 조각에 부착된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 부재를 포함한다.
(6) 상기 테이프 조각의 상기 중간부는 상기 테이프 조각이 Z자형 및 역 Z자형으로 접어 포개졌을 때에 상기 정상부의 상기 고착 영역과 접촉하는 부위가 상기 고착 영역을 박리 가능하게 가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7) 상기 테이프 조각은 상기 정상부, 상기 바닥부, 상기 중간부 중 적어도 상기 중간부가 상기 정상부에 있어서의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 부재를 이탈 가능하게 가고정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파단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테이프 파스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b)는 테이프 파스너의 (a)와는 다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기저귀의 제조 공정의 부분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공정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장치를 화살표 Q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2와는 다른 형태의 테이프 파스너를 예시하는 도 5와 같은 식의 도면이다.
도 10은 복합체(테이프 파스너)의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5와 같은 식의 도면이다.
도 11은 복합체(테이프 파스너)의 형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 10과 같은 식의 도면이다.
도 12는 복합체(테이프 파스너)의 형태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 10과 같은 식의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테이프 파스너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의 연속적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일회용 기저귀(1)의 부분 파단 평면도와, 동 도면의 II-II선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저귀(1)는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접촉면을 형성하는 투액성 내면 시트(2)와, 착용자의 착의에 대한 접촉면을 형성하는 불투액성 외면 시트(3)와, 이들 양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4)를 지니고, 이 기저귀(1)가 도 1에서는 외면 시트(3)가 위가 되고, 내면 시트(2)가 아래가 되도록 나타나 있다. 기저귀(1)는 폭 방향(도 1의 가로 방향)으로 서로 병행되어 연장되는 전단 가장자리(11)와 후단 가장자리(12)와, 폭 방향으로 직교하는 세로 방향으로 서로 병행되어 연장되는 1쌍의 옆 가장자리(13)에 의해 외형이 구획되고, 그 세로 방향으로는 가랑이 영역(8)을 중심으로 전단 가장자리(11) 측에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이 형성되고, 후단 가장자리(12) 측에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이 형성되고, 가랑이 영역(8)에 있어서 옆 가장자리(13)가 만곡되어 있다. 내/외면 시트(2, 3)는 코어(4)의 주연부로부터 뻗어 나와 서로 겹쳐져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서로 접합하여, 전방부 플랩(16), 후방부 플랩(17), 측부 플랩(18)을 형성하고 있다. 전방부 플랩(16)과 후방부 플랩(17)에서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19)가 내/외면 시트(2, 3)의 적어도 한 쪽의 내면에 신장 상태로 접합하고 있다. 측부 플랩(18)에서는 다리 둘레 탄성 부재(21)가 옆 가장자리(13)의 만곡된 부위를 따라서 신장되어, 내/외면 시트(2, 3)의 적어도 한 쪽의 내면에 접합하고 있다.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에 있어서의 외면 시트(3)에는 옆 가장자리(13) 각각의 근방에 점착성 테이프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프 파스너(30)가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파스너(30)는 옆 가장자리(13)를 넘어 기저귀 (1)의 바깥쪽으로 신장 전개될 수 있게 접어 포개어져 있다.
도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테이프 파스너(30)는 정상부 테이프(31)와, 바닥부 테이프(32)와, 이들 양 테이프(31, 32)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 테이프(33)를 갖는다. 정상부 테이프(31)는 기저귀(1)의 안쪽에 위치하는 내단부(36)와,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단부(37)와, 중간부(38)를 지니고, 내단부(36)와 중간부(38)의 하면에는 약한 점착성의 제1 점착제(39)가 도포되어 있다. 외단부(37)는 중간부 테이프(33)보다도 기저귀(1)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적지(摘持)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바닥부 테이프(32)는 내단부(41)와, 외단부(42)와, 중간부(43)를 지니고, 이들 각 부(41∼43)의 하면에는 강한 점착성의 제2 점착제(44)가 도포되어 있다. 중간부 테이프(33)는 내단부(46)와, 외단부(47)와, 중간부(48)를 지니고, 이들 하면에 약한 점착성의 제3 점착제(49)가 도포되어 있다. 정상부 테이프(31)는 내단부(36)와 중간부(38)에 형성된 제1 점착제(39)에 의한 약한 점착 영역에 있어서 중간부 테이프(33)의 하면(33a)에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가고정되어 있다. 바닥부 테이프(32)는 제2 점착제(44)에 의해 형성된 강한 점착 영역에 있어서 외면 시트(3)의 외면(도 2의 상면)에 박리되는 일이 없도록 접합하고 있다. 중간부 테이프(33)는 정상부 테이프(31)로 이어지는 내단부(46)와, 바닥부 테이프(32)로 이어지는 외단부(47)를 제외한 중간부(48)가 바닥부 테이프(32)의 상면(32a)에 대하여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가고정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일련의 정상부 테이프(31)와 중간부 테이프(33)와 바닥부 테이프(32)는 Z자형으로 접어 포개진 상태에 있으며, 정상부 테이프(31)의 외단부(37)를 적지하여 화살표 P로 나타내는 기저귀(1)의 바깥쪽을 향해 잡아 당겨지면, 용이하게 박리하도록 가고정되어 있던 각 부분이 떼어져 테이프 파스너(30)가 가상선과 같이 길게 연장된다. 제1 점착제(39)를 바닥부 테이프(32)나 중간부 테이프(33)로부터 박리를 용이하게 하거나, 제3 점착제(49)를 바닥부 테이프(32)로부터 박리를 용이하게 하거나 하기 위해서, 이들 테이프(32, 33)의 소요 부위에 실리콘 오일 등의 이형제를 도포해 둘 수 있다.
도 3의 (a), (b)는 테이프 파스너(30)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a)에서는 기저귀(1)가 착용 상태에 있고,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으로부터 길게 연장된 테이프 파스너(30)가 제1 점착제(39)에 의해서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에 박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도 3의 (b)에서는 사용이 끝난 기저귀(1)가 뭉쳐져, 테이프 파스너(30)에 의해서 그 뭉쳐진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테이프 파스너(30)는 제1 점착제(39)가 도포되어 있는 부위를 기저귀(1)의 외면이나 내면에 대한 고착 영역으로 하여, 도시한 예와 같이 기저귀(1)를 착용할 때에도 기저귀(1)를 뭉쳐서 폐기할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기저귀(1)가 도시한 예와는 다른 팬츠형의 것인 경우에도 테이프 파스너(30)에 의해서 몸통 둘레의 치수를 작게 하거나, 더러워진 것을 뭉치거나 할 수 있다(도 12, 도 13 참조).
도 4는 도 1의 기저귀(1)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공정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아래쪽에 도시된 일련의 공정 (1)∼(3)에 있어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이 제1 기계 방향(MD1)이며, 이 방향(MD1)에 직교하는 것이 제1 교차 방향(CD1 )이다. 공정 (1)에서는, 기저귀(1)의 내면 시트(2)로 되어야 할 것이 연속된 상태에 있는 투액성 웹(62)을 아래로 하고, 외면 시트(3)로 되어야 할 것이 연속된 상태에 있는 불투액성 웹(63)을 위로 하여, 이들 양 웹(62, 63) 사이에 코어(4)가 제1 기계 방향(MD1)으로 소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 복합 웹(65)이 제1 기계 방향(MD1)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양 웹(62, 63)은 코어(4)의 외측에 있어서 서로 겹쳐져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서로 접합되고 있다. 제1 복합 웹(65)은 제1 교차 방향(CD1)의 치수가 기저귀(1)의 세로 방향의 치수와 동일하며, 도면에서 제1 교차 방향(CD1)으로 연장되는 가상선(A)은 기저귀(1)의 옆 가장자리(13)에 상당하는 부위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양 웹(62, 63)에서는 복수의 내면 시트(2)가 서로의 옆 가장자리(13)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이어지고, 복수의 외면 시트(3)가 서로의 옆 가장자리(13)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이어진 상태에 있다. 인접하는 가상선(A)과 A의 중간에는 코어(4)가 배치되어, 서로 겹치는 양 웹(62, 63)이 가상선 (A)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폭 방향의 거의 중앙에 있어서 둥글게 절취되어, 개공(66)이 형성되어 있다.
공정 (2)에서는, 도면의 위쪽에 도시된 일련의 공정 (a)∼(c)로부터 테이프 파스너의 복합체(67)가 공급되고, 그 복합체(67)가 길이를 가상선(A)에 의해서 이등분되도록 가상선(A)을 넘어서 제1 복합 웹(65)에 부착된다. 복합체(67)는 도 2에 있어서 정상부 테이프(37)의 선단 부분(37a)을 통과하는 수선 B-B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치한 1쌍의 테이프 파스너(30)를 그 선단 부분(37a)끼리 잇는 한편, 바닥부 테이프(32)를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시킨 상태의 측면 형상을 갖는 것으 로, 상하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의 Ω자형을 띠고 있다.
공정 (3)에서는, 제1 복합 웹(65)이 복합체(67)와 함께 가상선(A)을 따라서 절단되어, 도 1에 도시된 개별 기저귀(1)로 된다. 제1 복합 웹(65)에 있어서의 개공(66)의 가장자리는 기저귀(1)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8)의 만곡된 옆 가장자리(13)로 된다.
도 4의 위쪽에 도시된 일련의 공정 (a)∼(c)에서는, 복합체(67)가 만들어진다. 공정 (a)에서는, 복합체(67)로 되어야 할 것의 연속체인 제2 복합 웹(367)이 제1 기계 방향(MD1)에 직교하는 제2 기계 방향(MD2)으로부터 공급된다. 공정 (b)에서는 제2복합 웹(367)이 그 폭 방향이며 제2 기계 방향(MD2)에 직교하는 제2 교차 방향(CD2)으로 절단되어, 복합체(67)가 된다. 공정 (c)에서는 복합체(67)가 제1 복합 웹(65)에 공급된다. 제2 복합 웹(367)은 복수의 복합체(67)가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어진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복합체(67)를 포함하는 제1 복합 웹(65)의 V-V선을 따른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복합체(67)는 가상선(A)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이 되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이지만, 가상선(A)의 좌측 부분은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복합체(67)는 가상선(A)을 넘어서 제1 기계 방향(MD1)의 전후 방향으로 등분으로 연장되는 제1 테이프(131)와, 가상선(A)의 양측 각각에 있어서 불투액성 웹(63)에 제2 점착제(44)를 통해 접합되고 있는 바닥부 테이프(32)와, 마찬가지로 가상선(A)의 양측 각각에 있어서 제3 점착제(49)를 통해 바닥부 테이프(32)의 상면 (32a)에 가고정되어 있는 중간부 테이프(33)를 갖는다. 제1 테이프(131)는 제1 점착제(39)를 통해 중간부 테이프(33)에 위쪽으로부터 가고정되며, 가상선(A)의 근방에 제1 점착제(39)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중앙 영역(137)을 갖는다. 이들 제1 복합 웹(65)과 복합체(67)는 가상선(A)을 따라서 절단되면 도 1에 도시된 개별 기저귀(1)와, 그것에 부착된 테이프 파스너(30)로 되며, 투액성 웹(62)과 불투액성 웹(63)이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로 된다. 복합체(67)에 있어서의 제1 테이프(131)와 제1 점착제(39)와 중앙 영역(137)은 가상선(A)을 따라서 이등분되면 도 2의 테이프 파스너(30)의 정상부 테이프(31)와 제1 점착제(39)와, 적지 영역을 형성하는 외단부(37)로 된다. 복합체(67)의 바닥부 테이프(32)와 제2 점착제(44)는 기저귀(1)의 바닥부 테이프(32)와 제2 점착제(44)로 되고, 중간부 테이프(33)와 제3 점착제(49)는 기저귀(1)의 중간부 테이프(33)와 제3 점착제(49)가 된다. 도 5에 있어서 하나의 복합체(67)로부터 얻어지는 2개의 테이프 파스너(30)는 가상선(A-A)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이 거의 Z자형으로 접어 포개어진 상태에 있고, 좌측에 위치하는 것이 거의 역 Z자형으로 접어 포개어진 상태에 있다. 도 1에 있어서, Z자형으로 접어 포개어진 테이프 파스너(30)는 기저귀(1)의 좌측에 위치하고, 역 Z자형으로 접어 포개어진 테이프 파스너(30)는 기저귀(1)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개별 기저귀(1)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기저귀(1)의 연속체인 제1 복합 웹(65)과 그것에 부착된 복합체(67)를 동시에 절단하기 때문에, 테이프 파스너(30)를 개별적으로 준비하여, 이것을 기저귀(1)에 하나씩 부착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테이프 파스너(30)에 사용하는 테이프 기재의 절단 공정 을 하나 줄일 수 있게 되고, 또한 테이프 파스너(30)를 부착하기 위한 수고를 반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4의 제1 복합 웹(65)에 대하여 테이프 파스너의 복합체(67)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의 일부분을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복합 웹(65)이 제1 기계 방향(MD1)으로 일정 속도로 주행하고 있다. 제2 복합 웹(367)은 제1 기계 방향(MD1)에 직교하는 제2 기계 방향(MD2)으로 일정 속도로 주행하고 있는 무단 벨트(501)에 의해서 운반되어 하부 블레이드 롤(503)의 둘레면에 놓여진 후에, 상부 블레이드 롤(502)과 하부 블레이드 롤(503) 사이로 유도된다. 무단 벨트(501)에는 진공 흡인력이 작용하고 있으며, 그 흡인력에 의해서 제2 복합 웹(367)을 벨트(501)에 밀착시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제2 복합 웹(367)은 무단 벨트(501) 대신에 닙 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협지하여 운반할 수도 있다.
상부 블레이드 롤(502)과 하부 블레이드 롤(503)은 제2 기계 방향(MD2)에 직교하는 제2 교차 방향(CD2)으로 연장되는 축(506과 507)의 둘레를 제2 기계 방향(MD2)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고 있는 서로 평행한 것으로, 상부 블레이드 롤(502)의 둘레면에는 축(506)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508)가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하부 블레이드 롤(503)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진공 흡인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기계 방향(MD2)으로 회전하고 있는 하부 블레이드 롤(503)의 둘레면에서는, 그것이 도시한 제1 존(511)을 통과할 때에 하부 블레이드 롤(503) 내부로부터의 진공에 의한 흡인력이 낮고, 제2 존(512)을 통과할 때에 흡인력이 높아진다. 하부 블레이드 롤(503)에까지 연장된 제2 복합 웹(367)은 제1 존(511)을 통과하는 중에 낮은 흡인력이 작용하고 있는 둘레면에 제1 테이프(131)가 약하게 밀착하고 있다.
제2 복합 웹(367)은 무단 벨트(501)의 주행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제2 기계 방향(MD2)으로 전진하는 것으로, 제1 존(511)에 위치하는 하부 블레이드 롤(503)의 둘레면은 그 둘레면에 놓여져 있는 제2 복합 웹(367)에 대하여 슬립하면서 회전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가 됨으로써, 제2 복합 웹(367)은 그 이상 전진하는 일이 없이, 하부 블레이드 롤(503)의 둘레면 상에 있어서 제2 기계 방향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 제2 복합 웹(367)은 상부 블레이드 롤(502)의 둘레면에 소요 간격을 두고 나란히 늘어서는 블레이드(508)에 의해서 일정한 경과 시간마다 소요 치수만큼 절취되어, 복합체(67)를 만들어 낸다. 낮은 흡인력의 작용에 의해서 잡아 당겨지고 있는 제2 복합 웹(367)은 절취된 후에, 절취된 치수만큼 전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합체(67)가 절취됨과 동시에, 하부 블레이드 롤(503)은 제1 존(511)에서 제2 존(512)으로 이행하여, 강한 흡인력에 의해서 복합체(67)를 둘레면에 밀착시켜 유지하면서, 또한 제2 기계 방향(MD2)으로 더욱 진행한다. 하부 블레이드 롤(503)의 회전이 진행되면, 복합체(67)에 있어서 제2 점착제(44)가 도포되어 있는 바닥부(32)가 아래쪽을 향하게 된다. 하부 블레이드 롤(503)은 제1 복합 웹(65)의 바로 위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부 블레이드 롤(503)에 밀착하고 있는 복합체(67) 는 롤(503)의 수직 방향 아래쪽으로 왔을 때에 제1 복합 웹(65)에 가장 접근한다.
도 7, 도 8은 도 6의 장치를 화살표 Q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과, 도 7의 부분 확대도이다. 제1 기계 방향(MD1)으로 주행하는 제1 복합 웹(65)의 바로 위쪽에는 하부 블레이드 롤(503)이 설치되고, 제1 복합 웹(65)의 바로 아래에는 1쌍의 해머 롤(505)이 설치되어 있다. 해머 롤(505)은 제1 기계 방향(MD1)에 직교하는 제1 교차 방향(CD1)(도 6 참조)으로 연장되는 축(517)의 둘레를 화살표 P1 방향으로, 즉 제1 기계 방향(MD1)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축(517)과 평행한 축(516)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하부 블레이드 롤(503)의 회전은 제1 복합 웹(65)의 주행과 해머 롤(505)의 회전과 동시에 일어나고 있으며, 하부 블레이드 롤(503)에 밀착된 파스너 테이프의 복합체(67)가 제1 복합 웹(65)의 바로 위쪽으로 와 제1 복합 웹(65)과 마주 보면, 제1 복합 웹(65)의 가상선(A)(도 4 참조)이 복합체(67)를 제1 기계 방향(MD1)에 있어서 이등분하는 위치에 온다. 그와 동시에, 1쌍의 해머 롤(505)의 각각은 하부 블레이드 롤(503)의 바로 아래, 즉 수직 방향 위쪽을 향하는 위치에 온다. 수직 방향 위쪽을 향하고 있는 해머 롤(505)과 하부 블레이드 롤(503)과의 클리어런스는 제1 복합 웹(65)의 가상선(A)의 근방에서 투액성 웹(62)과 불투액성 웹(63)이 겹쳐져 있는 부분에 대하여, 복합체(67)에 있어서 제1 테이프(131)와 바닥부 테이프(32)와 중간부 테이프(33)가 겹쳐져 있는 부분을 눌러서 이들 양 부분을 압접시킬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 블레이드 롤(503)과 해머 롤(505)에 끼워진 제1 복합 웹(65)과 복합체(67)는 제2 점착제(44)를 통해 복합체(67)의 바닥부 테이프(32)가 제1 복합 웹(65)에 접합한다. 이 접합이 종료됨과 동시에, 해머 롤(505)은 제1 기계 방향(MD1)으로 회전하여 제1 복합 웹(65)으로부터 멀어진다. 복합체(67)가 접합된 후의 제1 복합 웹(6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계 방향(MD1)으로 주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가상선(A)을 따라서 절단되어, 개별 기저귀(1)로 된다.
도 4∼도 8에 도시된 공정을 거쳐 기저귀(1)에 테이프 파스너(30)가 부착되는 기저귀(1)의 연속적 제조 방법에서는, 파스너(30)로 되어야 할 복합체(67)의 폭이 통상은 10∼40 mm 정도의 범위에 있다. 복수의 복합체(67)를 둘레면 상에 간헐적으로 밀착시키는 하부 블레이드 롤(503)은 그 직경을 비교적 작게, 예컨대 200 mm 정도로 하여, 6개의 복합체(67)를 등간격으로 밀착시키도록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예의 하부 블레이드 롤(503)은 제1 복합 웹(65)이 기저귀 1개분만큼 제1 기계 방향(MD1)으로 주행할 때에, 롤(503)의 둘레면이 제2 기계 방향(MD2)으로 주행하는 거리는 주위 길이의 1/6, 즉 105 mm 정도이다. 제1 복합 웹(65)에 있어서, 기저귀 1개분의 폭인 가상선(A)와 A의 간격은 통상 200∼500 mm 정도의 범위에 있으므로, 이 예에 있어서 복합체(67)가 밀착되어 있는 하부 블레이드 롤(503)의 둘레면의 주행량과 제1 복합 웹(65)의 주행량과의 비는 105:200∼105:500, 즉, 대략 1:2∼1:5의 범위에 있다. 이와 같이 하부 블레이드 롤(503)의 직경을 작게 하여 기저귀 1개분에 대한 하부 블레이드 롤(503)의 둘레면의 주행량을 제1 복합 웹(65)의 주행량 보다도 작게 하면, 제1 복합 웹(65)에 대한 복합체(67)의 위치를 기저귀(1)의 세로 방향인 제1 교차 방향(CD1)에 있어서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둘레면의 주행량이 작으면, 하부 블레이드 롤(503)의 속도에 다소의 비정상이 생기더라도 제1 교차 방향(CD1)에 있어서의 복합체(67)의 위치는 소정의 위치에서 크게 틀어지는 일이 없다. 복합체(67)의 제1 교차 방향(CD1)에 있어서의 위치의 어긋남을 작게 함에 있어서, 기저귀(1)가 유아용의 것으로부터 어른용의 것에까지 이르는 경우를 고려하면, 하부 블레이드 롤(503)의 둘레면의 주행량과 제1 복합 웹(65)의 주행량과의 비는 1:2∼1:4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는 하부 블레이드 롤(503)의 매분당 회전 속도와 제1 복합 웹(65)의 매분당 주행 속도와의 비라고 바꿔 말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블레이드 롤(502)과 하부 블레이드 롤(503)과의 회전 속도가 높아지면, 블레이드(508) 등의 손상이 진행되기 쉽고, 또한 제2 복합 웹(367)으로부터 절취하여 만드는 복합체(67)는 비산되기 쉽게 되어, 하부 블레이드 롤(503)의 둘레면 상에 있어서의 위치가 안정되기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제1 복합 웹(65)의 주행 속도에 비교하여 이들 상부 블레이드 롤(502)과 하부 블레이드 롤(503)과의 회전 속도를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블레이드(508) 등의 손상을 억제하거나, 하부 블레이드 롤(503)의 둘레면에 있어서의 복합체(67)의 위치를 안정시키거나 할 수 있다.
해머 롤(505)은 복합체(67)를 제1 복합 웹(65)에 접합하기 위한 이들 양자에 대한 누름 수단의 일례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한 예의 해머 롤(505) 대신에, 하부 블레이드 롤(503)이 복합체(67)를 제1 복합 웹(65)과 마주 보게 하는 주기에 동조하도록, 소요 경과 시간마다 하부 블레이드 롤(503)에 접근하여 복합체(67)를 제1 복합 웹(65)에 접합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와는 다른 형태의 테이프 파스너(30)를 얻기 위한 복합체(67)를 예시하는 도 5와 같은 식의 도면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복합체(67)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복합체(67)를 얻기 위한 테이프 파스너(30)는 도 2의 그것과 달리, 제1 테이프(131)로부터 얻어지는 정상부 테이프(31), 바닥부 테이프(32) 및 중간 테이프(33)가 개별적인 것이며, 이들이 단부끼리 서로 접합하고 있다. 정상부 테이프(31)의 내단부(36)에 대하여, 중간부 테이프(33)의 내단부(46)가 위쪽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접합하고 있다. 중간부 테이프(33)의 외단부(47)에 대해서는, 바닥부 테이프(32)의 외단부(42)가 위쪽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접합하고 있다. 도면의 제1 테이프(131)는 가상선(A)을 넘어서 연장되어, 하면의 전체에 약한 점착성의 제1 점착제(39)가 도포되고, 가상선(A)의 근방에 있어서 그 점착제(39)가 플라스틱 필름의 소편(小片)(151)으로 피복되어 있다. 정상부 테이프(131)와 소편(151)이 가상선(A)에 있어서 절단되면, 도 2의 정상부 테이프(31)에 상당하는 것으로 되어, 소편(151)을 포함하는 부분이 적지 영역을 형성한다.
도 10은 도 2, 도 9와는, 테이프 파스너(30)를 얻기 위한 복합체(67)의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5와 같은 식의 도면이다. 이 복합체(67)로부터 얻어지는 테이프 파스너(30)는 제1 테이프(131)로부터 얻어지는 정상부 테이프(31)의 하면에 고 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 부재(81)가 부착되어 있다. 정상부 테이프(31)와 바닥부 테이프(32)와 중간부 테이프(33) 중의 적어도 중간부 테이프(33) 또는 중간부 테이프(33)에 있어서 훅 부재(81)와 대향하고 있는 중간부 테이프(33)의 하면(33a)은 훅 부재(81)가 이탈 가능하게 가고정 가능한 시트 재료, 예컨대 다수의 루프를 갖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 테이프(32)는 제2 점착제(44)에 의해서, 이면 시트(3)를 형성하게 되는 불투액성 웹(63)에 박리되는 일이 없도록 접합되어 있다. 중간부 테이프(33)는 바닥부 테이프(32)에 대하여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가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복합체(67)로부터 얻어지는 테이프 파스너(30)가 접합된 기저귀(1)에서는, 기저귀(1)를 착용했을 때에 훅 부재(81)를 고착하여야 할 부위, 예컨대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소요 부위에 설치되는 타겟 존이 훅 부재(81)와 이탈 가능하게 고착하는 다수의 루프 등을 갖는 시트 재료로 형성된다. 기저귀(1)의 이면 시트(3)가 다수의 루프를 갖는 부직포 등의 시트인 경우에는 그 이면 시트의 전체를 타겟 존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1도 또한, 테이프 파스너(30)를 얻기 위한 복합체(67)의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10과 같은 식의 도면이다. 이 복합체(67)로부터 얻어지는 테이프 파스너(30)는 정상부 테이프(31) 중에서 중간부 테이프(33)보다도 가상선(A-A)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외단부(37)의 하면에, 고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훅 부재(81)가 부착되어 있다. 정상부 테이프(31)의 중간부(38)는 약한 점착성의 점착제(82)를 통해 중간부 테이프(33)에 박리 가능하게 가고정되어 있다. 그 중간부 테이프(33)는 바닥부 테이프(32)에 가고정되고, 바닥부 테이프(32)는 불투액성 웹(63)[이면 시트 (3)]에 박리되는 일이 없도록 접합되고 있다. 이 테이프 파스너(30)의 훅 부재(81)는 도 9의 그것과 같은 식으로 사용된다. 도 11에 있어서, 불투액성 웹(63) 또는 불투액성 웹(63)의 외표면은 훅 부재(81)의 착탈이 가능한 부직포 등의 시트 재료로 만들 수 있다. 훅 부재(81)가 그와 같은 시트 재료에 고착하는 경우에는 도 11의 복합체(67)에 있어서, 점착제(82)를 생략해도 좋다.
도 12도 또한, 복합체(67)의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10과 같은 식의 도면이다. 다만, 이 복합체(67)에서는 기저귀(1)에 있어서 바닥부 테이프(32)가 되는 바닥부 시트(83)가, 가상선(A-A)을 넘어서, 도시한 테이프 파스너(30)와 대향하여 도면의 좌측에 만들어지는 테이프 파스너(30)(도시하지 않음)에까지 연장되고 있다. 정상부 테이프(31)와 중간부 테이프(32)는 화살표 R 방향으로 신장 전개가 가능하게 접어 포개어져 있다. 그 정상부 테이프(31)의 하면에는 고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훅 부재(81)가 부착되어, 그 훅 부재(81)가 다수의 루프를 갖는 중간부 테이프(33)에 가고정되어 있다. 중간부 테이프(33)는 바닥부 시트(83), 즉 바닥부 테이프(32)에 가고정되어 있다. 바닥부 시트(83)는 그 거의 전체 길이가 불투액성 웹(63)[이면 시트(3)]에 대하여 강한 점착성의 점착제(84)에 의해서 박리되는 일이 없도록 접합되고 있다. 정상부 테이프(31)는 기저귀(1)의 폭 방향 중앙을 향하여 소요 치수만큼 중간부 테이프(33)보다도 길게 연장시킬 수 있다. 그와 같은 정상부 테이프(31)에 있어서, 훅 부재(81)가 기저귀(1)의 폭 방향 중앙을 향하여 중간부 테이프(33)보다도 길게 연장되고 있는 부분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불투액성 웹(63)의 외면에 박리 가능하게 고착해 둘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테이프 파스너(30)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테이프 파스너(30)는 팬츠형 기저귀(1)의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양 옆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되어 있고, 정상부 테이프(31)가 기저귀(1)의 폭 방향 중앙을 향하여, 즉 도 12의 화살표 R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고 있다. 이러한 테이프 파스너(30)는 그것이 부착된 팬츠형의 기저귀(1)를 착용했을 때에, 그 몸통 둘레에 느슨함이 생기면, 테이프 파스너(30)로 그 느슨함을 끌어당김으로써, 기저귀(1)의 몸통 둘레를 신체에 밀착시킬 수 있다. 테이프 파스너(30)가 몸통 둘레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 가능한 것이면, 기저귀(1)를 신체에 밀착시키는 효과가 한층 더 현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대상이 되는 테이프 파스너는 도 3과 같이 사용되는 것 외에, 도 12, 도 13과 같이 사용되는 것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테이프 파스너(30)는 도시한 예의 개방형 기저귀(1) 외에, 팬츠형의 기저귀에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파스너(30)는 도시한 예와 같이 모래시계형을 띠고 있는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6, 7)과 가랑이 영역(8)이 일련으로 된 1장의 이면 시트(3)에 부착하는 것 외에, 예컨대 기저귀(1)의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이나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의 착의 접촉면을 개별 시트로 형성하여, 그 개별 시트 중 어느 것에 부착할 수도 있다. 개방형의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 들어 설명한 본 발명은 일회용 트레이닝 팬츠나 일회용 팬츠 등의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의 연속적 제조 방법에서는, 제1 기계 방향으로 주행하는 제1 웹에 대하여 제1 기계 방향에 직교하는 제2 기계 방향으로부터 점착성 테이프 조각의 연속체인 제2 웹을 공급하고, 그 제2 웹은 제1 웹의 주행 속도보다도 낮은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상부 블레이드 롤과 하부 블레이드 롤로 절단하므로, 상부 블레이드 롤이나 하부 블레이드 롤의 마모, 손상이 가벼운 정도로 될 뿐만 아니라, 제2 웹을 절단하여 얻어지는 점착성 테이프 조각의 복합체는 하부 블레이드 롤 상에 있어서의 위치가 안정된다. 제1 웹인 착용 물품의 연속체로부터는 그것에 부착된 복합체의 길이를 이등분하도록 제1 웹을 절단함으로써 개개의 착용 물품을 얻을 수 있고, 복합체로부터는 점착성 테이프 조각인 테이프 파스너를 얻을 수 있으므로, 기저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테이프 파스너를 준비하는 수고나 그 테이프 파스너를 부착하는 수고가 개별적인 테이프 파스너를 준비하는 경우에 비해서 적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테이프 파스너는 제2 웹을 낮은 회전 속도의 하부 블레이드 롤에 의해서 제1 웹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공급함으로써, 제1 웹의 세로 방향(제1 교차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안정된다.

Claims (8)

  1. 피부에 접촉하는 내면과 착의에 접촉하는 외면을 지니고, 서로 직교하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 중의 상기 가로 방향이 몸통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회용 착용 물품의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 외면에,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지니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장 전개 가능하게 거의 Z자형과 거의 역 Z자형으로 접어 포개진 테이프 조각의 각각이 상기 길이 방향을 상기 가로 방향을 향해 부착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테이프 조각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정상부와 바닥부와 이들 양부를 잇는 중간부에 의해 상기 Z자형과 역 Z자형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외면에 박리 불가능하게 접합되는 부위로서, 그 하면에 점착 영역을 지니고, 상기 정상부는 상기 외면의 소요 부위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되는 부위로서, 그 하면에 고착 영역을 갖고 있어, 상기 점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일회용 착용 물품의 연속적인 제조 공정에 하기 공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의 연속적 제조 방법:
    (1) 상기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시트 부재를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속시켜 이루어지는 제1 웹이 제1 기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공정,
    (2) 상기 Z자형과 역 Z자형으로 접어 포개어져,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정상부 및 바닥부의 어느 한 쪽의 선단 부분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 있는 1쌍의 상기 테이프 조각이 상기 선단 부분끼리 이어지는 한 쪽, 상기 한 쪽에 대한 또 한 쪽끼리를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테이프 조각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압축된 상태의 Ω자형을 띠는 테이프 복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프 복합체는 그 복수가 상기 테이프 조각의 폭 방향에 있어서 이어져 상기 폭 방향으로 연속되는 제2 웹을 형성하며, 이러한 상기 제2 웹이 상기 제1 기계 방향에 직교하는 제2 기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공정,
    (3) 상기 제2 기계 방향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2 웹은 상기 제2 기계 방향에 직교하는 제2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의 둘레에서 상기 제2 기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부 블레이드 롤과 상기 상부 블레이드 롤에 평행하고 상기 제2 기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하부 블레이드 롤과의 사이에, 상기 정상부의 상면이 상기 하부 블레이드 롤 둘레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도되어, 소요 경과 시간마다 상기 제2 교차 방향으로 절단되어, 상기 상면이 상기 둘레면에 밀착된 상태로 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늘어서는 상기 복합체를 형성하는 공정,
    (4) 상기 하부 블레이드 롤 둘레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기 복합체는 상기 하부 블레이드 롤이 회전하여 상기 복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의 하면이 상기 제1 기계 방향으로 주행중인 상기 제1 웹과 마주 보는 시점에, 상기 복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와 상기 제1 웹이 상기 하부 블레이드 롤과 상기 하부 블레이드 롤에 소요 경과 시간마다 접근하는 누름 수단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1 웹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시트 부재와 시트 부재에 상기 복합체가 거의 등분으로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가 상기 점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웹에 접합되는 공정,
    (5) 그러한 후에, 상기 복합체의 상기 제1 기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거의 2등분되도록 상기 제1 웹이 상기 복합체와 함께 상기 제1 기계 방향에 직교하는 제1 교차 방향으로 절단되어 상기 제1 기계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에 상기 Z자형과 역 Z자형을 띠는 테이프 조각이 접합된 상기 시트 부재가 얻어지는 공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이 일회용 기저귀, 일회용 트레이닝 팬츠 및 일회용 팬츠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착용 물품의 전방 몸통 둘레 영역 및 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어느 한 쪽 외면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웹은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어느 한 쪽의 옆 가장자리끼리가 이어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인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블레이드 롤은 상기 제2 기계 방향으로 일정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것으로, 매분당 상기 회전 속도와 상기 제1 웹의 상기 제1 기계 방향으로의 매분당 주행 속도의 비가 1:2∼1:40의 범위에 있는 것인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수단이 상기 제1 기계 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는 서로 평행한 1쌍의 해머 롤인 것인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 영역은 상기 테이프 조각이 상기 외면의 소요 부위에 박리 가능하게 고착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프 조각에 도포된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 영역은 상기 테이프 조각을 상기 외면의 소요 부위에 박리 가능하게 고착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프 조각에 부착된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조각의 상기 중간부는 상기 테이프 조각이 Z자형 및 역 Z자형으로 접어 포개졌을 때에 상기 정상부의 상기 고착 영역과 접촉하는 부위가 상기 고착 영역을 박리 가능하게 가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조각은 상기 정상부, 상기 바닥부, 상기 중간부 중 적어도 상기 중간부가 상기 정상부에 있어서의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 부재를 이탈 가능하게 가고정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인 제조 방법.
KR1020057001124A 2002-08-06 2003-08-06 일회용 착용 물품의 연속적 제조 방법 KR100640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28522 2002-08-06
JPJP-P-2002-00228522 2002-08-06
JP2003205464A JP4336538B2 (ja) 2002-08-06 2003-08-01 使い捨て着用物品の連続的製造方法
JPJP-P-2003-00205464 2003-08-01
PCT/JP2003/010007 WO2004012638A1 (ja) 2002-08-06 2003-08-06 使い捨て着用物品の連続的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449A KR20050023449A (ko) 2005-03-09
KR100640038B1 true KR100640038B1 (ko) 2006-11-01

Family

ID=31497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124A KR100640038B1 (ko) 2002-08-06 2003-08-06 일회용 착용 물품의 연속적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214287B2 (ko)
EP (1) EP1535591B1 (ko)
JP (1) JP4336538B2 (ko)
KR (1) KR100640038B1 (ko)
CN (1) CN1303958C (ko)
AU (1) AU2003254826B2 (ko)
BR (1) BR0313373B1 (ko)
CA (1) CA2492999C (ko)
TW (1) TW584553B (ko)
WO (1) WO2004012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7374B2 (en) 2004-04-19 2013-04-09 Curt G. Jo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speed or direction of an article
US7638014B2 (en) 2004-05-21 2009-12-29 Curt G. Joa, Inc. Method of producing a pants-type diaper
JP4726649B2 (ja) * 2006-02-20 2011-07-20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682085B2 (ja) * 2006-05-12 2011-05-1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4758822B2 (ja) * 2006-05-12 2011-08-3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9622918B2 (en) 2006-05-18 2017-04-18 Curt G. Jo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nested zero waste ear to traveling web
US9433538B2 (en) 2006-05-18 2016-09-06 Curt G. Jo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nested zero waste ear to traveling web and formation of articles using a dual cut slip unit
US7780052B2 (en) * 2006-05-18 2010-08-24 Curt G. Joa, Inc. Trim removal system
US10456302B2 (en) 2006-05-18 2019-10-29 Curt G. Jo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nested zero waste ear to traveling web
WO2007145130A1 (ja) * 2006-06-13 2007-12-21 Zuiko Corporation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US8357135B2 (en) * 2006-09-20 2013-01-22 Avery Dennison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diaper side panels
JP5054982B2 (ja) * 2007-01-12 2012-10-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の製造方法
EP1961403B1 (en) 2007-02-21 2022-06-15 Curt G. Joa, Inc. Single transfer insert placement method and apparatus
US9550306B2 (en) 2007-02-21 2017-01-24 Curt G. Joa, Inc. Single transfer insert placement and apparatus with cross-direction insert placement control
US9944487B2 (en) 2007-02-21 2018-04-17 Curt G. Joa, Inc. Single transfer insert placement method and apparatus
JP5363015B2 (ja) * 2007-03-28 2013-12-11 花王株式会社 着用物品の製造方法
DE102007024180A1 (de) * 2007-05-24 2008-11-27 Paul Hartman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indel
US8398793B2 (en) 2007-07-20 2013-03-19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waste and improving quality and production in web processing operations
US9387131B2 (en) 2007-07-20 2016-07-12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waste and improving quality and production in web processing operations by automated threading and re-threading of web materials
US8182624B2 (en) * 2008-03-12 2012-05-22 Curt G. Joa, Inc. Registered stretch laminate and methods for forming a registered stretch laminate
JP5432546B2 (ja) * 2008-03-31 2014-03-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5193839B2 (ja) 2008-12-18 2013-05-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8349121B2 (en) * 2009-04-07 2013-01-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lacing a desired length of tape material onto a moving web of material in a transverse orientation
US8673098B2 (en) 2009-10-28 2014-03-18 Curt G. Jo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tching segmented stretchable film and application of the segmented film to a moving web
US8460495B2 (en) 2009-12-30 2013-06-11 Curt G. Joa, Inc. 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with stretch film side panel and application of intermittent discrete components of an absorbent article
US9089453B2 (en) 2009-12-30 2015-07-28 Curt G. Joa, Inc. 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with stretch film side panel and application of intermittent discrete components of an absorbent article
US8663411B2 (en) 2010-06-07 2014-03-04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pant-type diaper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US9603752B2 (en) 2010-08-05 2017-03-28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waste and improving quality and production in web processing operations by automatic cuff defect correction
US8523836B2 (en) 2010-10-22 2013-09-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finger tab
US8545474B2 (en) 2010-10-22 2013-10-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finger tab without compromising stretch
US9566193B2 (en) 2011-02-25 2017-02-14 Curt G. Jo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disposable products at high speeds with small machine footprint
US8656817B2 (en) 2011-03-09 2014-02-25 Curt G. Joa Multi-profile die cutting assembly
USD684613S1 (en) 2011-04-14 2013-06-18 Curt G. Joa, Inc. Sliding guard structure
US8820380B2 (en) 2011-07-21 2014-09-02 Curt G. Joa, Inc. Differential speed shafted machines and uses therefor, including discontinuous and continuous side by side bonding
JP5748598B2 (ja) * 2011-07-29 2015-07-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物品
JP5917860B2 (ja) * 2011-08-29 2016-05-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物品
US10751220B2 (en) 2012-02-20 2020-08-25 Curt G. Joa, Inc. Method of forming bonds between discrete components of disposable articles
US9809414B2 (en) 2012-04-24 2017-11-07 Curt G. Joa, Inc. Elastic break brake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broken elastic rethreading
US9283683B2 (en) 2013-07-24 2016-03-15 Curt G. Joa, Inc. Ventilated vacuum commutation structures
USD703712S1 (en) 2013-08-23 2014-04-29 Curt G. Joa, Inc. Ventilated vacuum commutation structure
USD703711S1 (en) 2013-08-23 2014-04-29 Curt G. Joa, Inc. Ventilated vacuum communication structure
USD704237S1 (en) 2013-08-23 2014-05-06 Curt G. Joa, Inc. Ventilated vacuum commutation structure
USD703248S1 (en) 2013-08-23 2014-04-22 Curt G. Joa, Inc. Ventilated vacuum commutation structure
USD703247S1 (en) 2013-08-23 2014-04-22 Curt G. Joa, Inc. Ventilated vacuum commutation structure
US9289329B1 (en) 2013-12-05 2016-03-22 Curt G. Joa, Inc. Method for producing pant type diapers
DK3325387T3 (en) 2015-07-24 2022-03-14 Joa Curt G Inc Vacuum commutation apparatus and methods
JP6633505B2 (ja) * 2016-12-22 2020-01-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11203501B2 (en) * 2017-09-29 2021-12-21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a flexible conductor onto a moving web
US11737930B2 (en) 2020-02-27 2023-08-29 Curt G. Joa, Inc. Configurable single transfer insert placement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0537A (en) 1985-06-06 1987-03-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ape applicator
JP2622414B2 (ja) * 1989-04-29 1997-06-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用構成部材の製造方法
US5151092A (en) * 1991-06-13 1992-09-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dynamic elastic waist feature having a predisposed resilient flexural hinge
US5487809A (en) 1994-06-21 1996-01-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tape tab stock that may be used to produce tape tab fasteners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KR100295534B1 (ko) * 1996-01-29 2001-10-26 데이비드 엠 모이어 개선된테이프탭패스너를갖는일회용흡수제품
US6475325B1 (en) 2000-03-09 2002-11-05 Curt G. Joa, Inc. Tape tab applicator
JP3602786B2 (ja) * 2000-11-10 2004-12-15 東亜機工株式会社 ラベル貼付方法およびラベル貼付装置
JP4079614B2 (ja) * 2001-09-11 2008-04-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4093779B2 (ja) * 2002-03-22 2008-06-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35591A4 (en) 2009-04-22
WO2004012638A1 (ja) 2004-02-12
EP1535591A1 (en) 2005-06-01
JP2004121831A (ja) 2004-04-22
JP4336538B2 (ja) 2009-09-30
CA2492999A1 (en) 2004-02-12
EP1535591B1 (en) 2012-10-10
CN1671340A (zh) 2005-09-21
AU2003254826A1 (en) 2004-02-23
CA2492999C (en) 2007-04-10
TW584553B (en) 2004-04-21
US20050072512A1 (en) 2005-04-07
CN1303958C (zh) 2007-03-14
AU2003254826B2 (en) 2008-01-03
BR0313373A (pt) 2005-06-21
BR0313373B1 (pt) 2012-08-21
US7214287B2 (en) 2007-05-08
KR20050023449A (ko) 2005-03-09
TW200403042A (en) 200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038B1 (ko) 일회용 착용 물품의 연속적 제조 방법
US7708857B2 (en) Process for making disposable wearing article
EP2039332B1 (en) Pants-type wearing article
EP1890662B1 (en) Composite web, disposable diaper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reof
US8419882B2 (en) Method for making pull-on disposable wearing article
EP29116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adjustable pant-like disposable undergarment with laser cutting
KR100597573B1 (ko)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
JP2003079661A5 (ko)
RU2303970C2 (ru) Способ наложения части застежки на подгузник
US201401142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Adjustable Pant-Like Disposable Undergarment With Fully Severed Front Panel With Line Of Weakness
US70595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breaking a web perforation
TWI238805B (en) A production method for disposable diaper, wearing articles, or the likes
US201401137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Adjustable Pant-Like Disposable Undergarment With Fully Severed Front Panel With Altered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