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923B1 - 와인셀러의 구조 - Google Patents

와인셀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923B1
KR100638923B1 KR1020040116604A KR20040116604A KR100638923B1 KR 100638923 B1 KR100638923 B1 KR 100638923B1 KR 1020040116604 A KR1020040116604 A KR 1020040116604A KR 20040116604 A KR20040116604 A KR 20040116604A KR 100638923 B1 KR100638923 B1 KR 100638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wine
temperature sensor
compartment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7956A (ko
Inventor
김양규
전찬호
김세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6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9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77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3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more than one sensor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in a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와인셀러의 구조는, 내부에 와인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와인 저장공간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하는 베리어; 상기 구획된 각 와인 저장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베리어에 형성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가 다른 칸의 온도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온도센서와 인접된 부위에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단열재가 포함되어, 상기 베리어의 내부에 형성되는 차폐부; 및 상기 와인 저장공간의 일 측면에, 상기 온도센서와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절곡형성되어, 상기 온도센서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히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와인셀러의 내부 온도는 히터와 이웃하는 저장공간의 간섭없이, 측정하고자 하는 칸의 실제 온도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와인셀러의 내부온도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와인셀러

Description

와인셀러의 구조{Structure of wine cellar}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와인셀러의 사시도.
도 2는 와인셀러의 배면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와인셀러 내부의 정면도.
도 4는 하칸히터의 설치모습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베리어의 설치모습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5의 Ⅰ-Ⅰ'의 단면도.
도 7은 온도센서 차폐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인셀러의 냉동 시스템의 블록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인셀러의 제어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와인셀러 2 : 아웃케이스 3 : 도어
4 : 창 5 : 이너케이스 6 : 상측 베리어
7 : 하측 베리어 8 : 상칸 9 : 중칸
10 : 하칸
본 발명은 와인셀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부 환경과는 무관하게 내부에 수용되는 와인이 최적의 온도로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는 와인셀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와인셀러의 내부 온도가 정확하게 측정되도록 함으로써, 와인셀러의 제어가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는 와인셀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이 보관되는 환경은 환풍이 잘되고, 온도/습도의 변화가 작고, 진동의 없는 정숙한 장소가 바람직한데, 종래에 이러한 환경으로서 지하창고, 굴, 지하층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연적인 환경을 찾기는 실제로 매우 어려우므로, 이러한 환경이 인위적으로 조성되도록 하는 전자기기로서 와인셀러가 소개되고 있다.
한편, 상기 와인셀러에 의해서 최적의 풍미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되는 온도, 습도, 환풍등의 여러 조건 중에서도, 특히 적절한 온도 환경이 구현되는 것이 중요한데, 와인이 저장되기 위해서 적절한 온도는 레드와인인 경우에는 대략 10~18℃이고, 화이트와인인 경우에는 대략 4~10℃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적절한 와인보관온도가 구현될 수 있는 와인셀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와인셀러가 실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을 감안하여, 실내온도보다 낮도록 와인이 보관되기 위하여, 냉동 사이클만이 와인셀러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근래들어서는 아파트의 배란다와 같이 실내이면서도 거실에 비하여 온도가 현저하게 낮은 공간에 놓이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냉동 사이클만으로는 와인셀러가 적절한 온도로 유지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온도가 1℃라면, 냉동사이클이 구동되는 것만으로는 와인셀러의 내부 온도가 적절한 온도가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와인의 종류에 따라서 최적의 보관온도가 있는 것은 이미 설명된 바가 있는데, 종래의 와인셀러는 와인셀러의 내부 공간이 단일의 공간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와인의 종류별로 적절의 온도가 구현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인셀러는 와인의 종류에 맞추어서 정확한 온도 범위내로 온도가 제어되어야 하는데, 기존의 와인셀러는 정확한 온도측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와인셀러의 내부 온도가, 외부환경이 고온인지 저온인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적극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인셀러의 내부에 수용되는 와인의 온도가 최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와인셀러의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와인의 종류에 따라서 보관되는 장소가 구분되고, 상기 구분되는 장소의 온도가 최적의 상태로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인의 종류별로 최적의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인셀러의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와인셀러의 내부 온도가 냉동 시스템 및 히팅 시스템과의 구조적인 위치와는 무관하게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하게 와인셀러의 내부 온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인셀러의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인셀러의 구조는, 내부에 와인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와인 저장공간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하는 베리어; 상기 구획된 각 와인 저장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베리어에 형성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가 다른 칸의 온도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온도센서와 인접된 부위에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단열재가 포함되어, 상기 베리어의 내부에 형성되는 차폐부; 및 상기 와인 저장공간의 일 측면에, 상기 온도센서와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절곡형성되어, 상기 온도센서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히터;가 포함된다.
삭제
제안되는 바와 같은 와인셀러의 구조에 의해서 와인의 종류별로 최적의 온도로 와인이 보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와인셀러의 내부온도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인셀러의 내부온도가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와인셀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와인셀러(1)는 와인셀러의 외부가 차폐되는 아웃케이스(2)와, 상기 아웃케이스(2)와의 사이에 소정의 단열재가 개입되는 상태에서 내부에 소정의 저장공간이 마련되는 이너케이스(5)와, 이너 케이스(5)의 내부 공간이 상칸(8)과 하칸(10)과 중칸(9)으로 각각 구분되고 구분되는 와인수용공간의 내부가 구획되도록 하는 상측 베리어(6) 및 하측 베리어(7)와, 상기 이너케이스(5)의 전방부가 선택적으로 차폐되어 내부 공간의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도어(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3)는 사용자가 와인셀러(1)의 내부를 손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투명한 창(4)이 더 형성되어 있다.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아웃케이스(2)와 이너케이스(5)에 의해서 와인셀러의 본체가 이루어지고, 상기 와인셀러의 본체가 상기 도어(3)에 의해서 개방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와인셀러의 내부에 형성되는 와인수용공간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칸(8)과 중칸(9)와 하칸(10)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수용공간에는 다른 종류의 와인이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가 비교적 높게 형성되는 상칸(8)에는 비교적 고온에서 보관되는 레드와인과 와인잔등의 기구가 보관될 수 있고, 중칸(9)에는 레드와인이 보관되고, 비교적 온도가 낮은 하칸(10)에는 비교적 저온에서 보관되는 화이트와인이 보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인셀러의 내부 공간이 온도별로 구획되는 것은 와인의 종류에 따라서 보관온도를 다르게 하는 것이 와인의 숙성을 위해서 좋고, 소비자의 기호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와인의 보관장소에 따라서 온도가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소비효율 또한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와인셀러의 온도가 제어되는 각각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와인셀러의 배면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와인셀러에는 냉각 시스템과 히팅 시스템이 개별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먼저, 냉각 시스템은 기계실(20)의 내부에 놓여 냉매가 압축되도록 하는 압축기(11)와, 상기 압축기(11)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12)와, 응축된 냉매가 두 방향으로 분기되는 삼방변(80)과, 상기 삼방변(80)에서 분기된 냉매가 팽창되도록 하는 제 1 팽창장치(13)와 제 2 팽창장치(14)과, 각각의 상기 제 1 팽창장치(13)에서 팽창된 냉매가 상칸(8)과 중칸(9)에서 증발되도록 하는 상칸 증발기(15) 및 중칸 증발기(16)와, 제 2 팽창장치(14)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하칸 증발기(17)가 포함된다. 상기 삼방변(80)은 상기 응축기(12)측에서 냉매가 유입된 뒤에, 상기 팽창장치(13)(14)중의 어느 한 쪽, 또는 양측으로 냉매가 토출되도록 하는 밸브이다.
상세하게, 상기 응축기는 와인셀러(1)의 후면의 아웃 케이스(2)쪽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열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증발기(15)(16)(17)는 상기 이너 케이스(5)측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냉기가 손쉽게 와인셀러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냉동 시스템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압축기(11)에서 압축되고 응 축기(12)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변(13)(14)에서 팽창된 다음에 증발기(15)(16)(17)를 통과하는 중에 와인셀러(1)의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냉매의 흐름 중에 상기 삼방변(80)에 의해서 분기되어 각각의 팽창장치(13)(14)측으로 냉매가 나뉘어져서 유동한다. 상세하게, 상기 제 1 팽창장치(13)은 상칸(8)와 중칸(9)에 냉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팽창장치(14)은 하칸(10)에 냉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칸 증발기(15)에서 증발된 냉매가 후차적으로 중칸 증발기(16)에서 증발되기 때문에, 상기 중칸 증발기(16)는 상칸 증발기(15)에 비하여 온도가 어느 정도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와인셀러의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서 상칸 증발기(15)와 중칸 증발기(16)의 형상 및 구조가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상칸(8)과 중칸(9)의 온도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상칸 증발기(15)는 상기 상칸(8)에 냉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중칸 증발기(16)는 상기 중칸(9)에 냉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증발기(15)(16)(17)에 의해서 증발되어 와인셀러 내부의 열기를 흡수한 냉매는 합하여진 뒤에 압축기(11)의 내부로 다시금 유입된다.
한편, 상기 팽창장치(13)(14)의 개도가 조정되어 각각의 증발기(15)(16)(17)로의 냉매 유입량이 조절됨으로써, 상칸(8)과 중칸(9)과 하칸(10)의 온도가 서로 달리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삼방변(80)의 제어에 의해서 제 2 팽창장치(14)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제 1 팽창장치(13)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보다 크게 됨으로써, 하칸 증발기(17)에 의해서 하칸(10)의 온도가 다른 칸에 비하여 낮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인셀러 내부의 하측에 놓이는 하칸(10) 의 온도가 중칸(9) 및 상칸(8)의 온도에 비하여 낮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와인셀러 내부에서 일어날 수 있는 대류 현상이 억제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사용효율이 증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와인셀러의 내부 온도가 구역별로 달리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수용될 수 있는 와인의 종류가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되는 냉동 시스템은 와인셀러의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에 비하여 낮게 유지되어야 할 때 동작되는 시스템이고, 만약, 와인셀러의 내부 온도가 외부온도에 비하여 높게 유지되어야 할 때에는 히팅 시스템이 동작되어야 하는데, 이하에서는 그러한 히팅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인셀러의 히팅 시스템은 상칸(8), 중칸(9), 및 하칸(10)에 개별적으로 히팅 장치가 형성되어 외부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유입되도록 하고, 각각의 히터는 아웃케이스(2)와 이너케이스(5)의 사이에서 이너 케이스(5)측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열이 와인셀러의 내부로 용이하게 발산되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기 상칸(8)에 열이 가하여지도록 하기 위하여 와인셀러의 후면벽에 내장되는 상칸 히터(18)와, 중칸(9)에 열이 가하여지도록 하기 위하여 와인셀러의 후면벽에 내장되는 중칸 히터(19)와, 하칸이 열이 가하여도록 하는 하기 위하여 와인셀러의 측면벽에 내장되는 하칸 히터(도 4의 21참조)가 포함된다. 상기 히터(18)(19)(21)는 모두 와인셀러의 벽면에 매립되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아니하므로, 사용자의 심미감이 증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칸(8), 중칸(9), 및 하칸(10)의 하측부의 벽면에 히터(18)(19)(21)가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대류 현상에 의해서 열이 각각의 칸(8)(9)(10)의 내부 전체 공간에 순환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기 상칸 히터(18)와 중칸 히터(19)는 와인셀러의 후면벽에서 이너 케이스(5)의 가까운 측에 형성되어 열이 정확하게 와인셀러의 내부로 가하여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칸 히터(21)는 기계실(20)에 의해서 후면벽의 설치 공간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와인셀러의 측면벽에 매립되도록 한다. 상기 하칸 히터(21)의 설치모습은 도 4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상칸 히터(18)와 중칸 히터(19)는 얇은 시즈히터(sheath heater)가 개별적으로 꺾여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자 형상으로 꺽여져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것은, 후술되는 온도센서(23)(24)에 온도의 영향이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와인셀러 내부의 정면도로서, 상기 정면도를 참조하면, 가느다란 시즈히터가 상하로 절곡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는 "┎┒"자 형상을 꺾여져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온도센서(23)(24)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온도센서(23)와 제 2 온도센서(24)는 각 칸(8)(9)(10)의 온도가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칸의 수평방향으로 기준으로 대략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칸 히터(18) 및 중칸 히터(19)는 가운데 부분이 상측으로 올려져서 전체적으로는 "┎┒"자 형상으로 꺾여져서 형성된다. 그러므로, 온도센서(23)(24)와 히터(18)(19)와의 거리는 멀어지게 되고, 히터에서 직접적으로 온도센서로 전달될 수 있는 열은 거의 없어진다. 그러므로, 온도센서는 칸(8)(9)(10) 내부의 비교적 정확한 온도를 도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히터(18)(19)가 꺾여지지 않고 일자로 길게 형성된다면, 이너 케이스또는 베리어를 통하여 전도되는 열과 히터(18)(19)의 복사열에 의해서 온도 센서는 칸 내부의 실제 온도보다 높은 온도인 것으로 도출될 것이기 때문이다.
제시되는 바와 같은 히팅 시스템는 와인셀러의 내부가 외부에 비하여 온도가 높게 유지되어야 할 때 동작이 시작되는 장치로서, 각각의 칸(8)(9)(10)별로 온도가 다르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화이트 와인은 상기 하칸(10)에 놓여서 비교적 온도가 낮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하칸 히터(21)는 비교적 작은 열량이 가하여지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레드와인은 상기 상칸(8) 및/또는 중칸(9)에 놓여서 비교적 온도가 높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상칸 히터(18) 및 중칸 히터(19)는 비교적 큰 열량이 가하여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와인셀러의 내부 공간이 구획되는 베리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베리어는 상칸(8)과 중칸(9)이 구획되도록 하는 상측 베리어(6)와 중칸(9)과 하칸(10)이 구획되도록 하는 하측 베리어(7)가 포함된다. 각각의 베리어의 내부에는 단열 포옴(foam)이 놓여서 각각의 칸 별로 열 및 냉기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수평방향으로 놓여서 와인이 그 상측에 놓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와인은 상기 베리어(6)(7)의 상측면에 놓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로 내장되는 랙에 놓일 수도 있다.
상세하게, 상기 상측 베리어(6)는 상기 상칸 히터(18)의 하측에 인접하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 베리어(7)는 상기 중칸 히터(19)의 하측에 인접하 여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리어(6)(7)가 위치됨으로써, 상기 상칸 히터(18)로부터 전달된 열은 상기 상칸(8)의 전체 공간이 넓게 순환될 수 있고, 상기 중칸히터(19)로부터 전달된 열은 상기 중칸(9)의 전체 공간에 넓게 순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하칸 히터(21)는 상기 하칸(10)의 하측부에 놓이기 때문에, 상기 하칸 히터(21)로부터 전달된 열은 상기 하칸(10)의 전체 공간에 넓게 순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리어(6)(7)의 내부에는 온도센서(23)(24)가 형성되어 각 칸(8)(9)(10)의 내부 온도가 감지될 수 있는데, 상세하게는, 상측 베리어(6)의 하측면에 놓이는 제 1 온도센서(23)와 하측 베리어(7)의 하측면에 놓이는 제 2 온도센서(24)가 그것이다. 상기 제 1 온도센서(23)에서는 상칸(8) 및 중칸(9)의 온도가 측정되고, 상기 제 2 온도센서(24)에서는 하칸(10)의 온도가 측정되어, 와인셀러의 제어부로 전달되어, 상기 냉동 시스템 및 히팅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동작되어 와인셀러의 내부 온도가 조작되도록 한다.
도 6은 도 5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측 베리어(7)는 하측 베리어(7)의 외장을 이루는 케이싱(71)과, 상기 케이싱(71)의 내부에 형성되는 단열재(72)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단열재(72)의 하측부에 형성되어 하칸(1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 2 온도센서(24)가 수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특징으로서, 상기 제 2 온도센서(24)의 직근 상측부에 형성되는 단열재(72)는 다른 위치와는 달리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온도센서(24) 상측부의 단열재가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중칸(9)의 열기가 상 기 제 2 온도센서(24)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고, 상기 제 2 온도센서(24)에 의해서는 비교적 정확한 온도가 측정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단열재(72)는 상기 제 2 온도센서(24)에 가하여지는 열기의 차폐부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제시되는 제 2 온도센서의 설치 구조는 제 1 온도센서의 설치 구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설치 구조에 의해서 제 1 온도센서에 의해서 상칸(8)의 온도는 중칸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온도센서(23)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할 수 있다. 다만, 상칸(8)의 온도와 중칸(9)의 온도는 비교적 큰 차이가 나지 아니하므로, 제시되는 바와 같은 온도센서의 설치 구조는 제 2 온도센서(24)의 경우에 그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온도센서의 차폐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 2 온도센서(24)는 하측 베리어(7)의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공중에 매달려 있다. 상세하게, 소정의 지지체(73)에 의해서 하측 베리어(7)의 하측방향에 매달려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중칸(9)의 열기는 제 2 온도센서(24)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아니할 수 있고, 하칸의 실제 온도는 상기 제 2 온도센서(24)에 의해서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하칸(10)의 실제 온도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는 이유는 원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인셀러의 냉동 시스템은, 냉매가 압축되도록 하는 압축기(11)와, 냉매가 응축되도록 하는 응축기(12)와, 응축된 냉매가 분기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삼방변(80)과, 상기 삼방변(80)에 의해서 분기되어 공급되 는 냉매가 팽창되도록 하는 팽창장치(13)(14)와, 냉매가 증발되도록 하는 증발기(15)(16)(17)이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와인셀러는 냉동 시스템의 상칸(8)과 중칸(9)의 온도와, 하칸(10)의 온도가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저온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에 그 일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칸 증발기(15)와 중칸 증발기(16)측으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제 1 팽창장치(13)과, 하칸 증발기(17)측으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제 2 팽창장치(14)이 포함된다. 상기 팽창장치(13)(14)로 공급되는 냉매의 유무 및 유동양은 상기 삼방변(80)의 제어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되는 냉동 시스템에 의해서는, 상기 삼방변(80)의 제어에 의해서 제 1 팽창장치(13)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조절되어 상칸(8)과 중칸(9)의 저온 상태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제 2 팽창장치(14)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제어되어 하칸(10)의 저온 상태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인셀러의 전체적인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인셀러는 사용자가 조작을 수행하는 조작부(31)와, 와인셀러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상기 제 1 온도센서(23) 및 제 2 온도센서(24)와, 상술된 바와 같은 히팅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하는 히터 구동부(32)와, 냉동 시스템의 압축기가 구동되도록 하는 압축기 구동부(33)와, 각각의 팽창변(13)(14)을 통과하는 냉매의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삼방변구동부(34)와, 와인셀러의 동작 상태가 전체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제어부(30)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블록도를 참조하여 와인셀러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조 작부(31)를 조작하는 동작에 의해서 와인셀러의 동작이 개시된다. 그리고, 조작부(31)를 조작하는 동작 중에는 와인셀러 내부의 목표 온도를 지정하는 동작이 수반된다.
상기되는 동작 중에 사용자가 목표로 설정한 온도에 다다르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제 1 온도센서(23) 및 제 2 온도센서(24)를 이용하여 와인셀러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센서(23)(24)에 의해서 측정된 측정온도와 목표온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히터 구동부(32)와 압축기 구동부(33)와 삼방변 구동부(34)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측정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을 때에는 히터 구동부(32)가 동작되어 와인셀러의 온도가 높아지도록 하고, 측정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을 때에는 압축기 구동부(33)와 삼방변 구동부(34)가 동작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삼방변 구동부(34)는 상기 제 1 팽창장치(13)과 제 2 팽창장치(14)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각각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와인셀러 내부의 온도가 칸(8)(9)(10)의 위치별로 온도가 적절하게 제어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온도센서(23)(24)에 의해서 각 칸(8)(9)(10)의 온도 특히 하칸(10)의 온도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기 때문에, 와인셀러는 사용자가 지시한 온도로 정확하게 동작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은 와인셀러의 구성에 의해서, 와인의 종류별로 적절한 온도에 이르도록 와인셀러가 동작될 수 있고, 외부온도가 저온이거나 고온이거나 무관하게 와인셀러 내부의 온도가 적정의 온도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와인셀러의 구성에 의해서, 와인셀러의 내부 온도가 외부환경이 고온인지 저온인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적극적으로 제어되어, 와인셀러 내부 온도가 최적의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와인의 종류에 따라서 보관되는 장소가 구분되고, 상기 구분되는 장소의 온도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인의 종류별로 최적의 상태로 와인이 보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와인셀러의 내부 온도는 히터와 이웃하는 저장공간의 간섭없이, 측정하고자 하는 칸의 실제 온도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와인셀러의 내부온도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부에 와인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와인 저장공간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하는 베리어;
    상기 구획된 각 와인 저장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베리어에 형성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가 다른 칸의 온도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온도센서와 인접된 부위에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단열재가 포함되어, 상기 베리어의 내부에 형성되는 차폐부; 및
    상기 와인 저장공간의 일 측면에, 상기 온도센서와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절곡형성되어, 상기 온도센서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히터;가 포함되는 와인셀러의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베리어의 하측방에 위치하는 와인셀러의 구조.
KR1020040116604A 2004-12-30 2004-12-30 와인셀러의 구조 KR100638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604A KR100638923B1 (ko) 2004-12-30 2004-12-30 와인셀러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604A KR100638923B1 (ko) 2004-12-30 2004-12-30 와인셀러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956A KR20060077956A (ko) 2006-07-05
KR100638923B1 true KR100638923B1 (ko) 2006-10-26

Family

ID=3716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604A KR100638923B1 (ko) 2004-12-30 2004-12-30 와인셀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9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196A (ko) 2022-04-07 2023-10-1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칵테일 제조 기능을 갖는 지능형 다기능 와인 셀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966B1 (ko) * 2007-06-28 2009-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 냉장고
KR20100122153A (ko) * 2009-05-12 2010-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4006625A (zh) * 2014-06-16 2014-08-27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恒温控制方法及采用恒温控制方法的恒温酒柜
KR102446635B1 (ko) 2015-09-08 2022-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품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1397B1 (ko) * 2018-05-10 2019-04-22 남창규 와인 저장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196A (ko) 2022-04-07 2023-10-1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칵테일 제조 기능을 갖는 지능형 다기능 와인 셀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956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966B1 (ko) 와인 냉장고
JP2013061089A (ja) 冷蔵庫
JP4934302B2 (ja) 冷却貯蔵庫
AU201820212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638923B1 (ko) 와인셀러의 구조
JP2021076296A (ja) 冷蔵庫
KR20160001389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JP2012127629A (ja) 冷却貯蔵庫
JP6165427B2 (ja) 冷蔵庫
JP2013044438A (ja) 冷蔵庫
KR100751134B1 (ko) 와인셀러의 구조
JP5838238B2 (ja) 冷蔵庫
CN111238135A (zh) 用于制冷设备防凝露的控制方法、装置、制冷设备和介质
KR20160148337A (ko) 냉장고의 제빙덕트 및 상기 제빙덕트를 이용한 제빙방법
KR100638921B1 (ko) 와인셀러의 제어구조 및 제어방법
KR20160011110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638922B1 (ko) 와인셀러의 제어구조 및 제어방법
JP6987297B2 (ja) 冷蔵庫
KR20230000231A (ko) 냉장고
JP2018013266A (ja) 冷蔵庫
JP5271134B2 (ja) 冷凍冷蔵庫
JPH0771857A (ja) 冷蔵庫
KR100607262B1 (ko) 와인셀러 및 와인셀러의 온도제어방법
KR100597304B1 (ko) 냉장고의 제상 운전방법
CA2414048C (en) Cooling system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