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202B1 - 세탁기의 세탁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세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202B1
KR100638202B1 KR1020030029287A KR20030029287A KR100638202B1 KR 100638202 B1 KR100638202 B1 KR 100638202B1 KR 1020030029287 A KR1020030029287 A KR 1020030029287A KR 20030029287 A KR20030029287 A KR 20030029287A KR 100638202 B1 KR100638202 B1 KR 100638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otor
washing
inner tank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5459A (ko
Inventor
박석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9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202B1/ko
Publication of KR20040095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6Mounting of mot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이 입력됨에 따라 회전축이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세탁축과, 상기 세탁축 외측에 내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세탁축과 물림되어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탈수축과, 상기 탈수축이 상기 내조에 연결되도록 상기 내조의 하면에 고정되는 허브와, 상기 내조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될수록 조임되어 상기 허브가 내조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세탁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세탁축과 탈수축이 서로 물림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초기 기동될 경우 상기 고정너트가 조임되어 상기 허브와 내조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세탁기, 모터, 외조, 내조, 펄세이터, 세탁축, 탈수축, 허브, 고정너트

Description

세탁기의 세탁방법 {Power translator of a washer}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일부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4 : 외조 6 : 내조
8 : 펄세이터 10 : 모터
20 : 동력전달장치 22 : 세탁축
24 : 탈수축 26 : 허브
28 : 고정너트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의 회전축 회전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탈수축이 상기 내조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체결 부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세탁기의 세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작용을 제공하여 의류에 묻은 때 등을 제거하는 기계로서, 의류에 묻은 때는 세탁액 속에 넣으면 세제의 화학작용에 의해 섬유에서 떨어지게 되나 세제만의 작용으로는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수류를 강제 발생시켜 마찰이나 진동 등의 기계적인 작용을 가하면 때를 손쉽게 빨리 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일부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 내측에 매달리도록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겨지는 외조(4)와, 상기 외조(4)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수 및 세탁물이 담겨져 세탁이 이루어지는 내조(6)와, 상기 내조(6)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조(6) 내부에 회전수류를 형성시키는 펄세이터(8)와, 상기 외조(4) 하부에 상기 내조(6) 및 펄세이터(8)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조(6) 또는 펄세이터(8)를 회전시키는 모터(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10)와 상기 내조(6) 및 펄세이터(8) 사이에는 상기 모터(10)의 동력이 상기 내조(6) 또는 펄세이터(8) 측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 달장치(2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전달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과 연결되어 상기 펄세이터(8)를 회전시키는 세탁축(22)과, 상기 세탁축(22)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클러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세탁축(22)과 물림되어 상기 내조(6)를 회전시키는 중공의 탈수축(24)과, 상기 탈수축(24)이 상기 내조(6)에 연결되도록 상기 내조(6)의 외측 하면에 고정되는 허브(26)와, 상기 내조(6)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될수록 조임되어 상기 허브(26)가 내조(6)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너트(28)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은 상기 세탁축(22)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탈수축(24)은 상기 세탁축(22)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세탁축(22)과 탈수축(24)이 상기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서로 물림이 해제되는 세탁모드에서 상기 모터(10)가 작동될 경우 상기 펄세이터(8)만 회전되고, 상기 세탁축(22)과 탈수축(24)이 상기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서로 물림되는 탈수모드에서 상기 모터(10)가 작동될 경우 상기 펄세이터(8) 및 내조(6)가 동시에 회전된다.
보통, 세탁모드는 포량 감지 또는 일반 세탁 및 헹굼 행정시에 적용되고, 탈수모드는 원심투과세탁 또는 탈수 행정시에 적용되되, 이러한 모드 전환은 상기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탈수모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이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대적으로 상기 고정너트(28)가 풀림되는 반대방 향으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체결력이 약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탈수모드에서 원심투과세탁시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이 회전방향 전환될 경우 상기 모터(10)의 여력에 의해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이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세탁축(22) 및 탈수축(24)이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세탁축(22) 및 탈수축(24)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상기 허브(26)와 고정너트(28) 사이에 비틀림 토크가 발생되어 체결부분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탈수모드에서 모터의 회전축 회전방향을 조절하여 탈수축이 내조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체결 부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세탁기의 세탁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이 입력됨에 따라 회전축이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세탁축과, 상기 세탁축 외측에 내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세탁축과 물림되어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탈수축과, 상기 탈수축이 상기 내조에 연결되도록 상기 내조의 하면에 고정되는 허브와, 상기 내조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될수록 조임되어 상기 허브가 내조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세탁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세탁축과 탈수축이 서로 물림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초기 기동될 경우 상기 고정너트가 조임되어 상기 허브와 내조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의 동력을 펄세이터(8) 또는 내조(6) 측으로 전달시키도록 상기 내조(6) 및 펄세이터(8)와 모터(10) 사이에 동력전달장치(20)가 설치되되, 상기 동력전달장치(20)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과 연결되어 상기 펄세이터(8)를 회전시키는 세탁축(22)과, 상기 세탁축(22)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클러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세탁축(22)과 물림되어 상기 내조(6)를 회전시키는 중공의 탈수축(24)과, 상기 탈수축(24)이 상기 내조(6)에 연결되도록 상기 내조(6)의 외측 하면에 고정되는 허브(26)와, 상기 내조(6)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될수록 조임되어 상기 허브(26)가 내조(6)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너트(28)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10)는 상기 세탁축(22)과 탈수축(24)이 서로 물림된 상태의 탈수모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이 초기 기동될 경우 상기 고정너트(28)가 조임되어 상기 허브(26)와 내조(6)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은 상기 세탁축(22)과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세탁축(22)의 상단에는 상기 펄세이터(8)가 연결되며, 상기 탈수축(24)은 상기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세탁축(22)에 물림되도록 상기 세탁축(22)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탈수축(24) 상단에는 상기 허브(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허브(26)는 상기 고정너트(28)가 일방향으로 회전 조립되어 상기 내조(6)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세탁축(22)과 탈수축(24)이 서로 물림이 해제되는 세탁모드와, 상기 세탁축(22)과 탈수축(24)이 서로 물림되도록 하는 탈수모드가 구현될 수 있는데, 보통 세탁모드는 포량 감지 또는 일반 세탁 및 헹굼 행정시에 적용되고, 탈수모드는 원심투과세탁 또는 탈수 행정시에 적용된다.
이때, 상기 탈수축(24) 일측에는 상기 탈수축(24)을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 브레이크(미도시)가 설치되는데, 상기 브레이크의 작동에 따라 상기 탈수축(24)이 정지되거나, 해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탁모드시 상기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상기 탈수축(24)이 구속되도록 하여 상기 펄세이터(8)만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상기 탈수축(24)이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펄세이터(8)와 내조(6)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탈수모드시 상기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상기 탈수축(24)이 해제되 도록 하여 상기 펄세이터(8)와 내조(6)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탈수모드에서 상기 세탁축(22)과 탈수축(24)이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원심투과세탁이 진행될 경우 상기 모터(10)는 초기 기동시 상기 고정너트가 조임되어 상기 허브(26)와 내조(6)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 회전방향 전환시 설정시간(t) 동안 대기된 다음,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설정시간(t)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는데, 상기 모터(10)의 여력에 의해 회전되던 모터의 회전축(10a)이 완전히 정지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에서 상기 고정너트(28)가 풀림되지 않도록 하는 원심투과세탁방법을 도 3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는 포량이 감지되고, 포량에 따라 세탁수위가 설정되는 동시에 세탁수가 급수된다.(S1,S2 참조)
여기서, 상기 내조(6) 내부에 세탁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펄세이터(8)가 교반되면서 포량이 감지되고, 포량에 비례하여 세탁수위가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10)는 상기 세탁축(8a)과 탈수축(6a)이 서로 물림이 해제된 상태의 세탁모드에서 상기 세탁축(8a)만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펄세이터(8)가 교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터(10)의 전원 오프시 상기 모터(10)의 여력에 의해 발생되는 펄스 개수에 따라 포량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포량에 비례하여 세탁수위가 설정되며, 세탁수가 상기 내조(6) 및 외조(4) 내부로 급수된다.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에서 세탁수가 급수됨에 따라 급수수위가 최소수위 이상으로 급수되면, 급수가 중단되고, 상기 펄세이터(8)가 교반되면서 세탁수에 세제가 용해되는 동시에 포적심이 이루어진다.(S3,S4,S5 참조)
이때, 상기 외조(4)의 일측에 설치된 수위센서(미도시)에 의해 상기 내조(6) 및 외조(4) 내부로 급수된 세탁수의 급수수위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수위센서의 신호에 따라 세탁수의 급수가 조절되며, 상기 최소수위는 세탁물이 완전히 잠기지 않을 정도로 상기 세탁수위보다 낮게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에 의해 상기 세탁축(22)과 탈수축(24)의 물림이 서로 해제된 상태의 세탁모드에서 상기 모터(10) 측으로 극성이 변화되면서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 및 세탁축(22)이 교반됨에 따라 상기 펄세이터(8)가 회전되면서 세탁수에 세제를 용해시키는 동시에 포적심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상기 탈수축(24)을 잡아주어 상기 내조(6)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펄세이터(8)만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상기 탈수축(24)을 해제시켜 상기 내조가 상기 펄세이터(8)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에서 펄세이터(8)가 교반된 다음, 상기 펄세이터(8)와 내조(6)가 상기 고정너트(28)가 조임되도록 반대방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회전되면서 원심투과세탁이 이루어진다.(S6 참조)
여기서, 상기 클러치에 의해 상기 세탁축(22)과 탈수축(24)이 서로 물림된 상태의 탈수모드에서 상기 모터(10) 측으로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 및 세탁축(22)과 탈수축(24)이 상기 고정너트(28)가 조임되도록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펄세이터(8)와 내조(6)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원심투과세탁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펄세이터(8) 및 내조(6)가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외조(4)의 내벽면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외조(4) 상측에 설치된 링형의 터브 커버(4a)에 부딪혀 다시 상기 내조(6) 상측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양의 세탁수로 세탁물의 포적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축(22) 및 탈수축(24)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기 고정너트(28)는 일방향으로 회전됨으로 조임되어 체결부분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제4단계는 상기 제3단계의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모터(10)의 전원이 설정시간(t) 동안 오프 상태로 대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이 완전히 정지되도록 한다.(S7 참조)
여기서, 상기 모터(10) 측으로 입력되는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상기 모터(10)의 여력에 의해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상기 모터(10)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이 완전히 정지되도록 설정시간(t) 동안 오프 상태로 대기된다.
이때, 상기 설정시간(t)은 상기 모터(10)의 여력에 의해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이 완전히 정지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한편, 상기 제3단계에서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6)의 내벽면으로 쏠렸던 세탁물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이 서서히 정지됨에 따라 상기 펄세이터(8) 측으로 떨어지게 됨으로 상기 펄세이터(8)와 내조(6)에 의해 비벼지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제5단계는 상기 제4단계의 설정시간(t) 경과 후 상기 펄세이터(8)와 내조(6)가 일방향으로 일정시간 회전되면서 원심투과세탁이 이루어진다.(S8 참조)
여기서, 상기 제3단계와 마찬가지로 상기 세탁축(22)과 탈수축(24)이 물림된 상태의 탈수모드에서 상기 모터(10) 측으로 반대극성의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 및 세탁축(22)과 탈수축(24)이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펄세이터(8)와 내조(6)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원심투과세탁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모터(10)에 반대극성의 전원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이 상기 고정너트(28)가 풀림되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상기 모터의 회전축(10a)이 완전히 정지된 상태에서 다시 일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너트(28)와 허브(26) 사이의 체결부분에 비틀림 토크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체결부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방법는 탈수모드에서 모터의 초기 기동시 모터의 회전축이 상대적으로 고정너트가 허브에 조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조절함으로 탈수축이 내조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체결 부분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방법는 탈수모드에서 모터의 회전축 회전방향 전환시 모터의 여력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의 회전축이 완전히 정지될 때까지 설정시간 동안 모터의 입력전원이 오프 상태를 유지시킨 다음,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방향이 전환되도록 하기 때문에 고정너트와 허브 사이에 비틀림 토크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체결 부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전원이 입력됨에 따라 회전축이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세탁축과, 상기 세탁축 외측에 내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세탁축과 물림되어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탈수축과, 상기 탈수축이 상기 내조에 연결되도록 상기 내조의 하면에 고정되는 허브와, 상기 내조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될수록 조임되어 상기 허브가 내조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세탁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세탁축과 탈수축이 서로 물림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초기 기동될 경우 상기 고정너트가 조임되어 상기 허브와 내조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 회전방향이 전환될 경우 설정시간(t) 동안 대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t)은 상기 모터의 여력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의 회전축이 완전히 정지되는데 걸리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20030029287A 2003-05-09 2003-05-09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638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287A KR100638202B1 (ko) 2003-05-09 2003-05-09 세탁기의 세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287A KR100638202B1 (ko) 2003-05-09 2003-05-09 세탁기의 세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459A KR20040095459A (ko) 2004-11-15
KR100638202B1 true KR100638202B1 (ko) 2006-10-24

Family

ID=3737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287A KR100638202B1 (ko) 2003-05-09 2003-05-09 세탁기의 세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588A1 (ko) * 2015-07-22 2017-01-26 주식회사 아모텍 세탁기 구동장치와 이를 구비한 세탁기 및 세탁기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588A1 (ko) * 2015-07-22 2017-01-26 주식회사 아모텍 세탁기 구동장치와 이를 구비한 세탁기 및 세탁기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459A (ko) 2004-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275B1 (ko) 드럼식 세탁기
US2006011249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pin-drying process with diagonal unbalance considered in spin-dryer or washing machine, and spin-dryer or washing machine controlling spin-drying process with the same
EP0704567B1 (en) Improvement in an unbalance preventing arrangement for clothes washing machines
US20180298538A1 (en) Washing machine
KR100653767B1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638202B1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CN107614779B (zh) 洗衣机
JP200827912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680197B1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JP5060437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831046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186328B1 (ko) 세탁기의 세탁조
KR100653765B1 (ko) 세탁기의 포량감지방법
KR20050089355A (ko) 대용량 드럼세탁기용 비엘디시 모터
US20060000029A1 (en) Washing method for washing machine
KR100653766B1 (ko) 세탁기의 포량 감지 방법
KR100653764B1 (ko) 세탁기의 모드전환방법
JP2001087588A (ja) ドラム式洗濯機
WO2004106614A1 (en) Washing method for washing machine
JP2020103517A (ja) 洗濯機
JP2006068053A (ja) 洗濯機
KR100424302B1 (ko) 세탁기의 세탁행정방법
KR100688159B1 (ko) 세탁기의 포량감지방법
JPS6063096A (ja) 一槽式脱水洗濯機
KR100404197B1 (ko) 드럼 세탁기의 모터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