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104B1 -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104B1
KR100638104B1 KR1020030013745A KR20030013745A KR100638104B1 KR 100638104 B1 KR100638104 B1 KR 100638104B1 KR 1020030013745 A KR1020030013745 A KR 1020030013745A KR 20030013745 A KR20030013745 A KR 20030013745A KR 100638104 B1 KR100638104 B1 KR 100638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iron
iron oxide
surfactant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853A (ko
Inventor
이문호
전용주
백성식
김현철
이병두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to KR1020030013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104B1/ko
Publication of KR20040078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004Preparation of sols
    • B01J13/0047Preparation of sols containing a metal 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004Preparation of sols
    • B01J13/0034Additives, e.g. in view of promoting stabilisation or pept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052Preparation of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2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unds Of Iron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철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철염 수용액과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계면활성제 용액을 균질하게 혼합하고, 염기성 용액과 별도의 계면활성제 함유 용액을 균질하게 혼합하고, 생성된 상기 철염 함유 용액과 상기 염기성 혼합용액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용액은, 침전이 생성되지 않고 고르게 잘 분산되어 투명하고 안정하다.

Description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COLLOID SOLUTION CONTAINING IRON OXIDE NANOPARTIC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에서 각각 수득된 콜로이드 용액의 X-선 소각 산란(small angle X-ray scattering) 실험을 통해 기니에 방정식(guinier equation)을 이용한 기니에 도시법(guinier plotting)에 따른 대수 그래프(logarithm graph)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콜로이드 용액내 나노입자의 크기에 따른 분포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콜로이드 용액내 나노입자의 자기적 특성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유중수형계의 에멀젼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산화철 나노입자가 고르 게 분산된 형태로 함유된 콜로이드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나노기술 가운데 하나인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콜로이드 용액은 자기기록 매체, 프린트 잉크 토너, 의료용 진단시약, 대전 방지제, 전자파 차폐 및 흡수체, 부식방지용 도료첨가제, 염료 등 여러 분야에서 기초 소재로 이용되므로 선진국을 비롯하여 많은 국가에서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 첨단 분야이다. 그중 산화철 나노입자는 고분자와 함께 복합체를 제조하거나 비 수용성 용매에 고르게 분산되어 다른 유기물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된 코팅용 콜로이드 용액로서의 많은 응용이 기대되나, 아직 다양한 제조방법의 개발이 미약하다.
일본특허 제13,995호 및 제65,182호에서는, 침전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다양한 크기의 산화철 입자를 며칠동안 볼 밀링(ball milling)함으로써 30 내지 100 나노미터 크기를 갖는 소량의 최종 입자를 제조하고, 이를 분산용매에 분산시키는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이 방법에서는 유기용매를 이용한 자성유체(magnetic fluid)의 분산법을 사용하였으나, 제조 공정이 다단계를 필요로 하며 고비용 및 분산시의 불안정성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미국특허 제5,219,554호에서는 염기 침전에 의한 금속 염으로부터 형성되며 폴리사카라이드, 단백질, 폴리펩티드 등으로 코팅된 산화철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자성유체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침전법은 코팅된 입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코팅 물질을 첨가해 주어야 하며, 또한 실시간 중합으로 산화철 나노입자를 형성하는 것에 대한 언급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철염 출발 물질과 염기성 용액을 사용한 유중수형계의 역미셀(reverse micelle)을 이용한 에멀젼 공정 및 균질화기와 초음파 분해기 등을 이용하여 나노 크기의 산화철 입자가 고르게 잘 분산된 콜로이드 형태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고르게 잘 분산된 산화철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1) 유기용매에 계면활성제를 용해시켜 계면활성제 용액을 제조하고, (2) 철염 수용액과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을 균질하게 혼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고, (3) 염기성 용액과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을 균질하게 혼합하여 염기성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4) 상기 철염 함유 에멀젼과 염기성 혼합용액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산화철 입자 함유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에서는, 유중수형계의 역미셀을 이용한 에멀젼 방법이 사용되며, 출발물질인 철염과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역미셀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멀젼 유중수형계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로 둘러싸인 나노 물방울이 나노 반응기로서 작용하며, 상기 나노 물방울 내에서 철염과 염기성 용액이 반응함에 따라 산화철 나노입자를 형성한다. 생성되는 산화철 나노입자의 크기는 형성되는 나노 물방울의 크기, 반응물의 혼합 속도, 반응 온도,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와 물의 농도, 및 분산용매의 종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모두 사용될 수 있는데, 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소듐도데실술페이트, 소듐비스(2-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AOT), 도데실벤젠술폰닉산, 소듐디옥틸술포숙시네이트, 소듐알킬페놀에테르술포네이트, 소듐알킬술포네이트 등이 있고, 이중 소듐비스(2-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AOT)가 가장 바람직하며,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3007784159-pat00001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의 농도는 0.1 내지 10 M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분산매로 작용하며, 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헥산, 헵탄, 옥탄, 데칸, 도데칸 등과 같은 포화된 선형 탄화수소류;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헵탄 등의 포화된 고리화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부틸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등이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헵탄이 좋다.
본 발명에서 출발물질로서 사용되는 철염으로는 황산철, 염화제일철, 염화제이철, 질산철, 펜타카보닐철, 아세트산철, 옥살산철, 암모늄술페이트철 등이 있고, 이중 황산철이 바람직하다. 철염 수용액은 증류수, 바람직하게는 탈이온수에 철염 물질을 용해시켜 제조하며, 상기 철염 수용액의 농도는 0.001 내지 10 M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2)에서, 철염 수용액과 계면활성제 용액이 1:10 내지 1:20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염 수용액이 상기 범위보다 과량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산화철 입자의 크기가 너무 크고, 상기 범위보다 소량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산화철이 생성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2)에서, 철염 수용액과 계면활성제 용액을 초음파 분해시켜 수득된 산화철 입자는 1 내지 1,000 나노미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나노미터의 크기를 갖는다. 상기 산화철의 대표적인 예로는, 헤머타이트(α-Fe2O3), 마그네타이트(Fe3O4), 마그마이트(γ-Fe2O3), 고헤타이트(α-FeOOH), 레피도크로사이트(γ-FeOOH), 아카게네이트(β-FeOOH)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염기성 용액은 무기 또는 유기성 염기 화합물,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테트라메틸암모니아, 암모니아 및 탄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중 암모니아수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염기성 용액의 pH는 바람직하게는 10≤pH≤12의 범위를 가지며, 농도는 0.001 내지 10 M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3)에서, 염기성 용액과 계면활성제 용액이 1:5 내지 1:10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혼합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생성되는 산화철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또는 산화철이 생성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4)에서 철염 함유 용액과 염기성 혼합 용액과의 반응은 25 내지 100℃ 범위의 온도 및 0.5 내지 100 기압 범위의 압력에서 1 내지 48 시간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온도가 25℃ 보다 낮은 경우에는 반응성이 떨어지고 다른 종류의 산화철이 생성되기 쉽고, 100℃ 보다 높은 경우에는 용매의 증발이 일어난다. 상기 반응압력이 0.5 기압 보다 낮은 경우에는 증기압력에 의한 용매의 불안정성이 일어나고, 100 기압 보다 높은 경우에는 다른 종류의 산화철이 생성된다. 또한, 반응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산화철이 생성되지 않거나 또는 산화철의 크기가 너무 큰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콜로이드 용액내 산화철 나노입자는 반경이 2.5 내지 11 나노미터의 범위이고, 관성반경이 2 내지 9.5 나노미터의 범위를 갖는다. 또한 조성물내 산화철 나노입자의 포화 자화율은 6 내지 8 emu/g의 범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유중수형계의 에멀젼을 이용하여 분산된 역미셀 수용액상의 물방울 내에서 철염과 염기성 물질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방법은, 종래 기술들이 갖는 문제점, 예를 들면 제 조공정의 다단계, 고비용, 불안정한 입자 분산성 등을 해결하여 자기기록 매체, 프린트 잉크 토너, 의료용 진단시약, 대전방지제, 전자파 차폐/흡수체, 부식방지용 도료첨가제, 염료 등의 응용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
실시예 1
유기 분산매로서의 헵탄에 계면활성제인 소듐비스(2-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AOT)를 첨가한 후 20분간 초음파 분해시켜 0.5 M의 AOT 용액을 수득하였다. 탈이온수에 황산철을 용해시켜 수득된 1 M의 황산철 수용액과 상기 0.5M의 AOT 용액을 1 : 1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20분간 초음파 분해시켜, 황산철 함유 소듐비스(2-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AOT) 용액(반응용액 1)을 제조하였다.
한편 28중량%의 암모니아수와 상기 0.5M의 소듐비스(2-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AOT) 용액을 1 : 8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20분간 초음파 분해시켜, 암모니아수 함유 소듐비스(2-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AOT) 용액(반응용액 2)을 제조하였다.
반응용기에 상기 반응용액 1과 반응용액 2를 순서대로 주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초음파 분해하면서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80℃, 1 기압에서 2시간 동안 격렬히 혼합하여 반응시킴에 따라,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용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헵탄과 소듐비스(2-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AOT)를 제거시킨 후 다시 헵탄 용매를 첨가하여 다시 분산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용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콜로이드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순서로서, 반응용기에 암모니아수를 포함한 소듐비스(2-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AOT) 용액을 넣고, 이어서 황산철이 함유된 소듐비스(2-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AOT)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 산화철 입자 함유 콜로이드 용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콜로이드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순서로서, 반응용기에 암모니아수를 포함한 소듐비스(2-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AOT) 용액을 넣고, 이어서 황산철이 함유된 소듐비스(2-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AOT)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산화철 입자 함유 콜로이드 용액을 수득하였다.
콜로이드 용액내 산화철 나노입자의 물리적 특성 평가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용액의 물리적 특성, 예를 들면, 평균반경/관성입경, 분포도 및 포화 자화율을 각각 측정하였다.
산화철 나노입자의 반경은 X-선 소각 산란(small angle X-ray scattering) 실험을 통해 기니에 도시법(Guinier plotting)을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와 관성반경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산화철 나노입자의 반경이 2.7 내지 6.5 나노미터이고, 관성반경이 2.1 내지 5.0 나노미터의 범위를 가진다. 또한, 콜로이드 용액내 입자의 분포도는 두 개의 가우스 함수(Gaussian function)를 이용하여 two sphere fitting을 통해, 또한 콜로이드 용액의 포화 자화율은 진동자기계(vibrating sample magne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상기 조성물의 20.2℃에서의 포화 자화율이 7.81 emu/g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실시예 2에서 수득된 콜로이드 용액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서, 산화철 나노입자의 반경이 2.9 내지 6.8 나노미터이고, 관성반경이 2.5 내지 5.3 나노미터임을 나타낸다. 수득된 콜로이드 용액의 포화 자화율은 6.53 emu/g이다.
시험예 3
실시예 3에서 수득된 콜로이드 용액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입자의 크기 및 자기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산화철 나노입자의 반경은 4.2 내지 9.1 나노미터이고, 관성반경은 3.7 내지 8.3 나노미터이며, 콜로이드 용액의 포화 자화율은 6.92 emu/g이다.
시험예 4
실시예 4에서 수득된 콜로이드 용액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입자의 크기 및 자기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산화철 나노입자의 반경은 4.7 내지 10.1 나노미터이고, 관성반경은 4.2 내지 9.3 나노미터이며, 콜로이드 용액의 포화 자화율은 6.21 emu/g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철염과 염기성 용액을 이용한 에멀젼 방법에 의해 용액의 pH 및 계면활성제의 농도를 조절하고, 균질화기 및 초음파 분해기를 사용하여 제조된 콜로이드 용액은, 침전이 발생하지 않고 나노 크기의 산화철 입자가 고르게 잘 분산되어 투명하고 안정되며, 자기기록 매체, 프린트 잉크 토너, 의료용 진단시약, 대전 방지제, 전자파 차폐 및 흡수체, 부식방지용 도료첨가제, 염료 등에 널리 응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1) 유기용매에 계면활성제를 용해시켜 계면활성제 용액을 제조하고, (2) 철염 수용액과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을 균질하게 혼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고, (3) 염기성 용액과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을 균질하게 혼합하여 염기성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4) 상기 철염 함유 에멀젼과 상기 염기성 혼합용액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소듐도데실술페이트, 소듐비스(2-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AOT), 도데실벤젠술폰닉산, 소듐디옥틸술포숙시네이트, 소듐알킬페놀에테르술포네이트 및 소듐알킬술포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단계 (1)에서 계면활성제 용액의 농도가 0.1 내지 10 M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단계 (1)의 유기용매가 헥산, 헵탄, 옥탄, 데칸 및 도데칸 중에서 선택된 포화 선 형 탄화수소류; 사이클로헥산 및 사이클로헵탄 중에서 선택된 포화 고리화 탄화수소류; 및 벤젠, 톨루엔 및 부틸벤젠 중에서 선택된 방향족 탄화수소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철염이 황산철, 황산철, 염화제일철, 염화제이철, 질산철, 펜타카보닐철, 아세트산철, 옥살산철 및 암모늄술페이트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철염 수용액의 농도가 0.001 내지 10 M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단계 (2)에서 철염 수용액과 계면활성제 용액이 1:10 내지 1:20의 부피비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단계 (2)에서 생성된 산화철 입자의 입경이 1 내지 1,000 나노미터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단계 (2)에서 생성된 산화철이 헤머타이트(α-Fe2O3), 마그네타이트(Fe3O 4), 마그마이트(γ-Fe2O3), 고헤타이트(α-FeOOH), 레피도크로사이트(γ-FeOOH) 및 아카게네이트(β-FeOOH)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염기성 물질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테트라메틸암모니아, 암모니아 및 탄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단계 (3)에서 염기성 용액의 농도가 0.001 내지 10 M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3)에서 염기성 용액과 계면활성제 용액이 1:5 내지 1:10의 부피비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단계 (4)의 반응공정이 온도 15 내지 100℃ 및 압력 0.5 내지 100기압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단계 (4)에서 초음파 분해기 및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반응물을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용액.
  16. 제15항에 있어서,
    콜로이드 용액내 산화철 나노입자의 반경이 2.5 내지 11 나노미터이고, 관성반경이 2 내지 9.5 나노미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15항에 있어서,
    산화철 나노입자의 포화 자화율이 6 내지 8 emu/g 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30013745A 2003-03-05 2003-03-05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638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745A KR100638104B1 (ko) 2003-03-05 2003-03-05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745A KR100638104B1 (ko) 2003-03-05 2003-03-05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853A KR20040078853A (ko) 2004-09-13
KR100638104B1 true KR100638104B1 (ko) 2006-10-25

Family

ID=3736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745A KR100638104B1 (ko) 2003-03-05 2003-03-05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1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206B1 (ko) 2006-03-15 2007-02-26 한국화학연구원 고분산, 고안정성을 갖는 콜로이드상 친유성 산화철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100954362B1 (ko) 2009-08-25 2010-04-26 (주)켐텍인터내셔날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산화철 함유 연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1141716B1 (ko) 2011-10-28 2012-05-03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대면적 산화철 나노입자의 대량 제조 방법
WO2014116064A1 (ko) * 2013-01-25 2014-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산화철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WO2021124029A1 (es) * 2019-12-19 2021-06-24 Universidad De Guadalajara Proceso para la síntesis de nanopartículas de magnetit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8435B1 (en) * 2008-04-28 2016-01-13 Tata Chemicals Limite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ilver nano particles
KR101480169B1 (ko) * 2014-05-30 2015-01-08 (주)일신오토클레이브 초고압 균질기를 이용한 단분산 산화철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단분산 산화철 나노입자
CZ2016233A3 (cs) * 2016-04-22 2017-09-20 Univerzita Tomáše Bati ve Zlíně Způsob syntézy nanokompozitu obsahujícího magnetické nanočástice na bázi oxidu železitého a polyelektrolyt tvořený ligninsulfonovou kyselinou nebo jejími solemi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8496A (en) * 1976-05-14 1977-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roduction of iron hydroxide colloid sol
US4252671A (en) * 1979-12-04 1981-02-24 Xerox Corporation Preparation of colloidal iron dispersions by the polymer-catalyzed decomposition of iron carbonyl and iron organocarbonyl compounds
KR900001362A (ko) * 1988-07-21 1990-02-27 화르말리옥 마이크로-입자 및/또는 나노-입자로 구성된 신규한 고체 다공성 단위형태 및 그것의 제조
KR20030075230A (ko) * 2002-03-16 2003-09-26 (주)나눅스 염기성 콜로이달 산화철 용액의 제조방법
KR20030078853A (ko) * 2000-06-12 2003-10-0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땜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8496A (en) * 1976-05-14 1977-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roduction of iron hydroxide colloid sol
US4252671A (en) * 1979-12-04 1981-02-24 Xerox Corporation Preparation of colloidal iron dispersions by the polymer-catalyzed decomposition of iron carbonyl and iron organocarbonyl compounds
KR900001362A (ko) * 1988-07-21 1990-02-27 화르말리옥 마이크로-입자 및/또는 나노-입자로 구성된 신규한 고체 다공성 단위형태 및 그것의 제조
KR20030078853A (ko) * 2000-06-12 2003-10-0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땜납
KR20030075230A (ko) * 2002-03-16 2003-09-26 (주)나눅스 염기성 콜로이달 산화철 용액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206B1 (ko) 2006-03-15 2007-02-26 한국화학연구원 고분산, 고안정성을 갖는 콜로이드상 친유성 산화철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100954362B1 (ko) 2009-08-25 2010-04-26 (주)켐텍인터내셔날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산화철 함유 연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1141716B1 (ko) 2011-10-28 2012-05-03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대면적 산화철 나노입자의 대량 제조 방법
WO2014116064A1 (ko) * 2013-01-25 2014-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산화철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US9755231B2 (en) 2013-01-25 2017-09-05 Lg Chem, Ltd. Method of preparing iron oxide nanoparticles
WO2021124029A1 (es) * 2019-12-19 2021-06-24 Universidad De Guadalajara Proceso para la síntesis de nanopartículas de magneti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853A (ko) 2004-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o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perparamagnetic magnetite (Fe3O4) nanoparticles: A short review
US7892520B2 (en) Solid-state synthesis of iron oxide nanoparticles
Sapieszko et al. Preparation of well-defined colloidal particles by thermal decomposition of metal chelates. I. Iron oxides
Sinkó et al. Liquid-phase syntheses of cobalt ferrite nanoparticles
KR100638104B1 (ko) 산화철 나노입자 함유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Liu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e 3 O 4/Ag composite magnetic nanoparticles
Bahtiar et al. Synthesis, investigation on structural and magnetic behaviors of spinel M-ferrite [M= Fe; Zn; Mn] nanoparticles from iron sand
CN105741996A (zh) 一种基于低温等离子体的超顺磁性纳米颗粒的制备方法
Ghazanfar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Fe3O4@ Ag core-shell: structural, morphological, and magnetic properties
Roto Surface modification of Fe3O4 as magnetic adsorbents for recovery of precious metals
Hribernik et al. Synthesis of magnetic iron oxide particles: development of an in situ coating procedure for fibrous materials
Das et al. Mechanistic investigations of growth of anisotropic nanostructures in reverse micelles
KR100684629B1 (ko) 마그네타이트 나노 분말의 제조방법
Bumajdad et al. Generation of metal oxide nanoparticles in optimised microemulsions
KR100967708B1 (ko) 입자 크기가 단일분포를 가지는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의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
CN101954489A (zh) 一种异质结构FeCo-Pt合金纳米棒的制备方法
Trifoi et al. Coprecipitation nanoarchitectonics for the synthesis of magnetite: A review of mechanism and characterization
Bian et al. Magneto-revealing and acceleration of hidden kirkendall effect in galvanic replacement reaction
Haseidl et al. Continuous‐Flow Synthesis and Functionalization of Magnetite: Intensified Process for Tailored Nanoparticles
Tancredi et al. Magnetophoretic mobility of iron oxide nanoparticles stabilized by small carboxylate ligands
CN102010707B (zh) 一种磁致变色四氧化三铁溶胶的制备方法
Abraham et al. Do depletant stabilized water-in-oil microemulsions have implications for nanoencapsulation?
Abou-Hassan et al. Microfluidic Synthesis of iron oxide and oxyhydroxide nanoparticles
Yurishcheva et al. The structure of nanocomposites based on magnetite and humic acids produced by chemical coprecipitation and mechanochemical synthesis
Cain et al. The evolution of the particle shape distribution during the formation of iron nanoparticles in the presence of tubular lecithin assemb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