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573B1 - 리클라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리클라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573B1
KR100637573B1 KR1020050077122A KR20050077122A KR100637573B1 KR 100637573 B1 KR100637573 B1 KR 100637573B1 KR 1020050077122 A KR1020050077122 A KR 1020050077122A KR 20050077122 A KR20050077122 A KR 20050077122A KR 100637573 B1 KR100637573 B1 KR 100637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racket
gear
attachment
bracket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카즈 오키
Original Assignee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0077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클라이닝 장치(recliner adjuster)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로크(lock) 강도(强度)를 증대할 수 있는 콤팩트(compact)한 리클라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시트 쿠션(seat cushion) 및 시트 백(seat back)의 어느 한쪽에 고정되는 가이드 브래킷(guide bracket)(2)과, 시트 쿠션 및 시트 백의 다른 쪽에 고정되는 내치(內齒) 기어(internal gear)(3)의 사이에, 조작 레버(lever)에 연결된 캠(cam)(6)과, 이 캠(6)의 회전 이동에 연계해서 직경(直徑)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1쌍의 로크 기어(lock gear)(4)를 끼워 장치하고, 가이드 브래킷(2)과 내치 기어(3)를 부착 링(7)에 의해 일체적으로 붙여 조립하도록 했다. 또한, 내치 기어(3)의 외주면(外周面)을 부착 링(7)의 원통 형상 측부(側部)의 내주면(內周面)과 미끄럼 접촉시킴으로써 내치 기어(3)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도록 했다.

Description

리클라이닝 장치{RECLINER ADJUSTER}
도 1은 발명에 관련한 리클라이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의 (a)는 도 1의 리클라이닝 장치의 정면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선 Ⅱb-Ⅱb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설치된 리클라이너 어셈블리(recliner assembly)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는 도 3의 리클라이너 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선 Ⅳb-Ⅳb에 따른 단면도이며, (c)는 (a)에 있어서의 선 Ⅳc-Ⅳc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리클라이너 어셈블리에 설치된 로크 기어 및 보조 로크 기어와 내치 기어와의 맞물림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맞물림 위치에 있어서의 정면도이고, (b)는 맞물림 해제 위치에 있어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리클라이닝 어셈블리 2: 가이드 브래킷
2a: 조작 레버 끼워넣기 구멍 2b: 제1가이드 홈
2c: 제2가이드 홈 2d: 볼록부
2e: 오목부 2f: 부착 핀
2g: 노치(notch) 3: 내치(內齒) 기어
3a: 관통 구멍 3b: 장착 오목부
3c: 부착 핀 3d: 내치
4: 로크 기어 4a: 걸림 톱니
5: 보조 로크 기어 5a: 걸림 톱니
5b: 오목부 6: 캠
6a: 제1볼록부 6b: 제2볼록부
6c: 제3볼록부 6d: 긴 구멍
7 :부착 링 7a: 원형 평면부
7b: 원통 형상 측부 7c: 원형 구멍
7d: 부착 편(片) 7e: 슬릿(slit)
7f: 볼록부 7g: 돌기(突起)
8: 가이드 부재 9: 원형 돌출 설치부
10: 맞물림부 11: 제1견부(肩部)
11a: 내주 경사면 12: 제2견부
12a: 볼록부 13: 각부(脚部)
13a: 볼록부
14: 제1보조 로크 기어 조작 부재
15: 제2보조 로크 기어 조작 부재
16: 핀 17: 와권(渦捲) 스프링
18, 19: 부착 브래킷 18a: 조작 레버 끼워넣기 구멍
18b: 부착 핀 삽입 구멍 18c: 나선형 스프링 걸림 편(片)
19a: 연결 축 삽입 구멍 19b: 부착 핀 삽입 구멍
19c: 나선형 스프링 걸림 편
R: 리클라이닝 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등에 설치되어, 시트 쿠션에 대한 시트 백의 경사각(傾斜角)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시트 쿠션과 시트 백과의 사이에 끼워 설치된 리클라이닝 장치는, 시트 쿠션에 고정된 제1브래킷(혹은 하부 암(lower arm))과, 시트 쿠션에 경사도가 자유롭게 부착된 시트 백에 고정되어, 제1브래킷에 대하여 상대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브래킷(혹은 상부 암(upper arm))을 구비하고 있다.
이 리클라이닝 장치에는,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의 사이에 끼워 설치되어, 제1브래킷에 대한 제2브래킷의 상대 회전 이동 중심과 동심의 지지 축에 연결되어서 지지 축과 함께 회전 이동하는 캠이 설치되어 있다. 이 캠은, 지지 축의 회전 이동에 따라 선단면(先端面)에 걸림 톱니를 구비한 로크 기어를 제1브래킷 및 제2브래킷 사이에서 직경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1브래킷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서로 평행한 대향(對向) 벽을 구비한 가이드 홈이 설치되고, 로크 기어가 캠의 회전 이동으로 가이드 홈 내를 미끄럼 운동함으로써 걸림 톱니가 가이드 홈으로부터 출몰(出沒)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제2브래킷에는, 상기 회전 이동 중심과 동심의 원호 형상 궤적을 따라 내치(內齒)가 형성되어 있으며, 캠의 회전 이동으로 로크 기어가 가이드 홈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그 걸림 톱니가 내치에 맞물림으로써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의 상대 회전 이동이 규제되는 동시에, 캠의 역회전 이동으로 걸림 톱니의 내치에 대한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이 상대 회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지 축에 조작 레버를 부착하고, 이 조작 레버를 조작해서 지지 축을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걸림 톱니를 내치에 맞물리게 해서 시트 백을 로크할 수 있는 한편, 걸림 톱니와 내치의 맞물림을 해제해서 시트 백의 경사도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혹은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0-52826호 공보(제3-4페이지, 도 2)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2000-342368호 공보(제2-3페이지, 도 3)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서는, 제1브래킷에 1쌍의 초승달 형상의 돌기(突起)를 형성하고, 이 돌기를 제2브래킷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 넣음으로써 제2브래킷의 회전 이동 시에 있어서의 안내를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살 두께가 두껍게 되어 리클라이닝 장치의 콤팩트화가 어려웠다. 또한, 이 구성으로 로크 강도의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내치 직경을 크게 할 필요가 있지만, 내치 직경을 크게 하면 리클라이닝 장치 자체가 커지고, 역시 콤팩트화의 점에서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서는, 하부 암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내치를 갖는 상부 암을 수용하고, 오목부의 내주면과 상부 암의 외주면을 미끄럼 접촉시킴으로써, 상부 암의 하부 암에 대한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고 있다. 또한, 하부 암과 상부 암은, 그 외단부(外端部)가 단부를 절곡(折曲)한 폴더(folder)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 구성은, 살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지만, 상부 암의 내치 직경을 크게 해서 로크 강도의 증대를 도모하려고 하면, 상부 암의 외경(外徑) 및 하부 암의 오목부의 내경(內徑)이 커지고, 하부 암의 외경도 필연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로크 강도의 증대는 리클라이닝 장치의 대형화를 수반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리클라이닝 장치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로크 강도를 증대할 수 있는 콤팩트한 리클라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 중에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시트 쿠션과 그 시트 쿠션에 대하여 경사도가 자유롭게 부착되는 시트 백 중의 어느 한쪽에 고정되고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인 가이드 브래킷(guide bracket)과, 상기 시트 쿠션과 시트 백 중의 다른 쪽에 고정되는 내치 기어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과 내치 기어의 사이에 부착된 캠과, 그 캠의 동작에 연계해서 직경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1쌍의 로크 기어와, 상기 캠과 1쌍의 로크 기어를 상기 가이드 브래킷과 내치 기어의 사이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브래킷과 내치 기어를 일체적으로 붙여 조립하는 부착 링을 구비하고, 그 부착 링은 원형 평면부와 그 원형 평면부의 바깥쪽 가장자리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 측부를 갖추고, 그 원통 형상 측부의 선단부(先端部)를 절곡해서 형성된 절곡부(折曲部)와 상기 원형 평면부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브래킷과 내치 기어를 끼워 장치함과 더불어, 상기 내치 기어의 외주면을 상기 부착 링의 원통 형상 측부의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내치 기어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가이드 브래킷은 그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부착 링은 상기 원통 형상 측부의 선단부에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상기 오목부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부착 편(片)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내치 기어의 외경과 상기 오목부의 외경을 대략 동등하게 설정함과 더불어, 상기 복수의 부착 편을 상기 복수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서, 그 선단부를 절곡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시트 쿠션과 시트 백 중의 어느 한쪽에 고정된 부착 브래킷에 상기 가이드 브래킷을 고정하고, 상기 부착 브래킷과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사이에 상기 절곡부를 끼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예를 들면 차량용 시트의 양쪽에 부착되는 본 발명에 관련한 리클라이닝 장치(R)를 나타내고 있으며, 시트 쿠션에 대하여 시트 백을 경사도가 자유롭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리클라이닝 장치(R)는, 시트 쿠션과 시트 백의 연결부에 부착되는 원형 형상의 리클라이너 어셈블리(1)를 구비하고 있으며, 리클라이너 어셈블리(1)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쿠션(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는 가이드 브래킷(2)과, 시트 백(도시하지 않음)에 가이드 브래킷(2)에 대향(對向)해서 고정되는 내치 기어(3)와, 가이드 브래킷(2)와 내치 기어(3)의 사이에 끼워 설치되는 1쌍의 로크 기어(4) 및 1쌍의 보조 로크 기어(5)와, 1쌍의 로크 기어(4)를 떨어지게 접촉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시키는 캠(6)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브래킷(2)과 내치 기어(3)는, 그 내부에 로크 기어(4), 보조 로크 기어(5), 캠(6)을 수용한 상태에서 부착 링(7)에 의해 일체적으로 붙여 조립된다. 캠(6)은 조작 레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으며,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캠(6)이 회전 이동해서 로크 기어(4)가 직경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크 기어(4)의 직경 방향의 미끄럼 운동에 따라서 보조 로크 기어(5)도 직경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한다.
가이드 브래킷(2)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조작 레버의 일부가 끼워 넣어져 캠(6)에 연결되는 조작 레버 끼워넣기 구멍(2a)이 그 중심부에 뚫려 설치됨과 더불어, 그 내단면(內端面)[도 3에 있어서의 좌측 단면, 즉 내치 기어(3)와의 대향면(對向面)]에는, 상하(上下)에 각각 전후 방향 1쌍의 가이드 부재(8)가 폭 방향의 내부 쪽을 향해서 돌출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 부재(8)는, 조작 레버 끼워넣기 구멍(2a)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형상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하에 각각 형성된 전후 1쌍의 가이드 부재(8)의 로크 기어(4)와의 대향면은 평행으로 연장 존재하고, 대향면 간에는 각각의 로크 기어(4)의 일부(후술하는 맞물림부)를 미끄럼 접촉 상태에서 끼워 장착하는 상하 1쌍의 제1가이드 홈(2b)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리클라이닝 장치(R)의 전방부 혹은 후방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이격(離隔)된 2개의 가이드 부재(8)의 대향면도 평행하게 연장 존재하고, 대향면 간에 각각의 보조 로크 기어(5)를 미끄럼 접촉 상태에서 끼워 장착하는 전후 1쌍의 제2가이드 홈(2c)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가이드 홈(2b)과 제2가이드 홈(2c)은 직교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 브래킷(2)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부착 링(7)에 걸리기 위한 복수의 볼록부(2d)와 복수의 오목부(2e)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2e)의 외경은 내치 기어(3)의 외경과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따라서, 오목부(2e)와 내치 기어(3)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대략 면이 하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 끼워넣기 구멍(2a)의 주위에는, 시트 쿠션에 고정된 부착 브래킷(후술)에 부착되는 복수의 부착 핀(핀 형상 돌출 설치부)(2f)(도 1 참조)이 소정의 간격으로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8) 및 부착 핀(2f)은 가이드 브래킷(2)의 소정의 부위를 프레스(press) 공작함으로써 가이드 브래킷(2)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내치 기어(3)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그 외단면(도 3에 있어서의 좌측 단면)에는 원형 돌출 설치부(9)가 폭 방향의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원형 돌출 설치부(9)의 중심부에는 가이드 브래킷(2)의 조작 레버 끼워넣기 구멍(2a)에 대향하는 관통 구멍(3a)이 뚫려 설치됨과 더불어, 그 주위에는, 시트 백에 고정된 부착 브래킷(후술)에 부착되는 복수의 부착 핀(핀 형상 돌출 설치부)(3c)이 소정의 간격으로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부착 핀(3c)도 부착 핀(2f)과 마찬가지로, 내치 기어(3)의 소정의 부위를 프레스 공작함으로써 내치 기어(3)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원형 돌출 설치부(9)의 내측은 장착 오목부(3b)(도 2(b) 참조)로 되어 있으며, 그 내경 치수는 상하에 각각의 1쌍(합계 4개) 설치된 상기의 가이드 부재(8)의 외주면의 곡률 반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고, 그 내주의 전체 면에는, 내치(3d)(도 5(b)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 부재(8)는, 가이드 브래킷(2)과 내치 기어(3)를 맞춘 상태에서, 그 외주면이 장착 오목부(3b)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장착 오목부(3b)에 끼워 넣어진다.
각각의 로크 기어(4)는, 가이드 브래킷(2)의 제1가이드 홈(2b)에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넣어지는 맞물림부(10)와, 이 맞물림부(10)의 양쪽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견부(肩部)(11) 및 제2견부(12)와, 제2견부(12)로부터 반대쪽에 위치하는 로크 기어(4)의 제1견부(11)를 향해서 연장하는 각부(脚部)(13)와, 제1견부(11)로부터 한쪽의 보조 로크 기어(5)를 향해서 연장하는 제1보조 로크 기어 조작 부재(14)와, 제2견부(12)로부터 다른 쪽의 보조 로크 기어(5)를 향해서 연장하는 제2보조 로크 기어 조작 부재(15)를 구비하고 있다. 맞물림부(10)는, 그 선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내치 기어(3)의 내치(3d)와 맞물리는 걸림 톱니(4a)를 갖고 있으며, 가이드 부재(8)가 장착 오목부(3b)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걸림 톱니(4a)가 내치(3d)에 맞물림으로써 가이드 브래킷(2)과 내치 기어(3)의 상대 회전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각부(13)의 선단부 안쪽 가장자리에는, 캠(6)의 일부와 걸려서 로크 기어(4)를 직경 방향 안쪽을 향해서 미끄럼 운동시키기 위한 볼록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각부(13)의 길이 치수는, 내치 기어(3)의 장착 오목부(3b)의 내부 공간에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수용된 각각의 로크 기어(4)가,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해서 맞물림부(10)에 형성된 걸림 톱니(4a)가 내치 기어(3)의 내치(3d)와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와, 직경 방향 안쪽으로 이동해서 맞물림부(10)의 걸림 톱니(4a)와 내치 기어(3)의 내치(3d)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맞물림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더욱 상술하면,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와의 거리는, 걸림 톱니(4a)의 톱니 길이 치수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로크 기어(4)가 조작 레버 끼워넣기 구멍(2a)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이동함으로써 맞물림부(10)의 걸림 톱니(4a)가 내치(3d)에 맞물리는 한편, 로크 기어(4)가 조작 레버 끼워넣기 구멍(2a)의 방향을 향해서 이동함으로써, 걸림 톱니(4a)의 내치(3d)에 대한 맞물림이 해제된다.
또한, 각각의 보조 로크 기어(5)는, 그 선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내치 기어(3)의 내치(3d)와 맞물리는 걸림 톱니(5a)와, 한쪽의 로크 기어(4)의 제1보조 로크 기어 조작 부재(14)와 다른 쪽의 로크 기어(4)의 제2보조 로크 기어 조작 부재(15)가 수용되어 캠(6)의 회전 이동에 따라 제1 및 제2보조 로크 기어 조작 부재(14, 15)와 미끄럼 접촉하는 2개의 오목부(5b)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기어(4)의 제1 및 제2보조 로크 기어 조작 부재(14, 15)와 보조 로크 기어(5)의 2개의 오목부(5b)는, 로크 기어(4)의 직경 방향 바깥쪽 혹은 안쪽으로의 미끄럼 운동에 의해 보조 로크 기어(5)가 직경 방향 바깥쪽 혹은 안쪽으로 미끄럼 운동하도록 형상 설정되어 있다.
캠(6)은, 대략 6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로크 기어(4)와 대향하는 3개의 각부에는, 이 로크 기어(4)의 제1견부(11)의 내주 경사면(11a)과 맞닿는 제1볼록부(6a)와, 제2견부(12)의 내주면에 형성된 볼록부(12a)와 맞닿는 제2볼록부(6b)와, 각부(13)의 볼록부(13a)와 맞닿는 제3볼록부(6c)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쪽의 로크 기어(4)와 대향하는 3개의 각부에도 마찬가지로, 이 로크 기어(4)의 제1견부(11)의 내주 경사면(11a)과 맞닿는 제1볼록부(6a)와, 제2견부(12)의 내주면에 형성된 볼록부(12a)와 맞닿는 제2볼록부(6b)와, 각부(13)의 볼록부(13a)와 맞닿는 제3볼록부(6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6)의 중심부에는 긴 구멍(6d)이 뚫려 설치되어 있으며, 이 긴 구멍(6d)을 통해서 캠(6)은 조작 레버에 연결되는 동시에, 긴 구멍(6d)의 양쪽에는 2개의 핀(16)이 심어 설치되어 있어, 2개의 핀(16)의 한쪽에 일단(一端)이 걸린 나선형 스프링(17)의 타단(他端)이 가이드 브래킷(2)의 조작 레버 끼워넣기 구멍(2a)의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노치(2g)에 걸림으로써 캠(6)이 로크 기어(4)를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부착 링(7)은, 원형 평면부(7a)와 원형 평면부(7a)의 바깥쪽 가장자리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원통 형상 측부(7b)를 구비하고, 원형 평면부(7a)에는 내치 기어(3)의 원형 돌출 설치부(9)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원형 구멍(7c)이 형성 되는 한편, 원통 형상 측부(7b)에는 가이드 브래킷(2)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2e)보다 약간 좁은 폭의 복수의 부착 편(7d)이 오목부(2e)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 형상 측부(7b)의 내경은, 가이드 브래킷(2)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2e)의 직경과 내치 기어(3)의 외경과 대략 동등하게(정확하게는,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리클라이너 어셈블리(1)를 조립하는 때에, 로크 기어(4), 보조 로크 기어(5), 캠(6) 등을 가이드 브래킷(2)과 내치 기어(3)의 사이에 끼워 장치한 상태에서 부착 링(7)을 내치 기어(3) 측으로부터 내치 기어(3)와 가이드 브래킷(2)에 외장(外裝)하고, 부착 링(7)의 각각의 부착 편(7d)을 가이드 브래킷(2)의 오목부(2e)에 하나씩 끼워 넣는 동시에, 내치 기어(3)의 원형 돌출 설치부(9)를 부착 링(7)의 원형 구멍(7c)에 끼워 넣는다. 그렇게 하면, 부착 링(7)의 인접하는 부착 편(7d) 사이의 슬릿(7e)의 저부(底部)에 형성된 볼록부(7f)가 가이드 브래킷(2)의 볼록부(2d)의 내면과 맞닿으므로, 이 상태에서 부착 편(7d)의 선단부를 내측으로 대략 90° 절곡함으로써 리클라이너 어셈블리(1)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브래킷(2)과 내치 기어(3)는, 부착 링(7)의 원형 평면부(7a)와 부착 편(7d)의 절곡부 간에 장치되는 동시에, 내치 기어(3)의 외주면이 부착 링(7)의 원통 형상 측부(7b)의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하고, 원형 돌출 설치부(9)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내치 기어(3)의 외단면이 부착 링(7)의 원형 평면부(7a)의 내단면과 미끄럼 접촉하기 때문에, 내치 기어(3)의 직경 방향 및 폭 방향의 덜거덕거림은 부착 링(7)에 의해 억제되고 있다. 즉, 내치 기어(3)의 직경 방향 및 폭 방향의 위치 결정은 부착 링(7)에 의해 실행되고 있다. 또한, 부착 링(7)의 원형 평면부(7a)의 내단면에는, 복수(예를 들면, 6개)의 돌기(7g)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치 기어(3)의 외단면과 부착 링(7)의 원형 평면부(7a)의 내단면과의 미끄럼 접촉은, 이것들 복수의 돌기(7g)를 통해서 실행되고, 내치 기어(3)의 외단면과 부착 링(7)의 원형 평면부(7a)의 내단면 사이에는, 내치 기어(3)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클리어런스(clearance)가 확보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쿠션에는 부착 브래킷(18)이 고정되고, 부착 브래킷(18)의 중심부에는 조작 레버 끼워넣기 구멍(18a)이 형성됨과 더불어, 조작 레버 끼워넣기 구멍(18a)의 주위에는 가이드 브래킷(2)의 부착 핀(2f)이 삽입되는 복수의 부착 핀 삽입 구멍(18b)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시트 백에는 부착 브래킷(19)이 고정되며, 부착 브래킷(19)의 중심부에는 연결 축 삽입 구멍(19a)이 형성됨과 더불어, 연결 축 삽입 구멍(19a)의 주위에는 내치 기어(3)의 부착 핀(3c)이 삽입되는 복수의 부착 핀 삽입 구멍(19b)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립이 완료된 리클라이너 어셈블리(1)는, 시트 쿠션에 고정된 부착 브래킷(18)의 부착 핀 삽입 구멍(18b)에 가이드 브래킷(2)의 부착 핀(2f)이 삽입되어서 부착 브래킷(18)에 용접됨과 더불어, 시트 백에 고정된 부착 브래킷(19)의 부착 핀 삽입 구멍(19b)에 내치 기어(3)의 부착 핀(3c)이 삽입되어 부착 브래킷(19)에 용접됨으로써, 리클라이너 어셈블리(1)는 2개의 부착 브래킷(18, 19) 사이에 유지된다. 이때,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 브래킷(18)의 내면(리클라이닝 어셈블리(1)와의 대향면)이 부착 링(7)의 부착 편(7d)의 절곡부 외단면에 맞닿아서 가이드 브래킷(2)과 부착 브래킷(18) 사이에 절곡부가 끼워 지지되도록 부착 브래킷(18)을 형상 설정함으로써, 리클라이닝 어셈블리(1)에 부하(負荷)가 가해졌을 경우에 부착 편(7d) 절곡부의 열림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2개의 부착 브래킷(18, 19)에는, 바깥쪽을 향해서 절곡된 나선형 스프링 걸림 편(18c, 19c)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나선형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일단을 나선형 스프링 걸림 편(18c)에 걸리는 동시에, 나선형 스프링의 타단을 나선형 스프링 걸림 편(19c)에 걸림으로써 시트 백은 전방 경사 방향으로 항상 힘이 가해져 있다.
또한, 시트 백에 고정되는 부착 브래킷(19)의 연결 축 삽입 구멍(19a)에는 연결 축(도시하지 않음)의 일단이 삽입되어서 조작 레버에 연결되며, 연결 축의 타단은 시트의 반대 쪽에 설치된 리클라이닝 장치의 캠에 연결되어 있어,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좌우의 리클라이닝 장치는 동시에 작동된다.
이하에, 도 5를 참조해서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관련한 리클라이닝 장치(R)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를 조작하지 않는 보통의 착석 상태에서는, 나선형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캠(6)은 화살표 A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캠(6)의 제1볼록부(6a) 및 제2볼록부(6b)가 로크 기어(4)의 제1 및 제2견부(11, 12)에 각각 형성된 내주 경사면(11a) 및 볼록부(12a)와 각각 맞닿고, 로크 기어(4)를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밀어 눌러서 로크 기어(4)의 걸림 톱니(4a)와 내치 기어(3)의 내치(3d)가 맞물린다. 또한, 로크 기어(4)가 맞물림 위치에 있으면, 로크 기어(4)의 제1 및 제2보조 로크 기어 조작 부재(14, 15)가, 그 바깥쪽 가장자리에 의해 대응하는 보조 로크 기어(5)에 형성된 오목부(5b)의 외측 벽을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밀어 눌러서 걸림 톱니(5a)와 내치 기어(3)의 내치(3d)가 맞물린다. 따라서, 내치 기어(3)의 가이드 브래킷(2)에 대한 위치 혹은 시트 백의 시트 쿠션에 대한 경사각은 소정의 위치 혹은 소정의 각도에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나선형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조작 레버를 끌어올리면, 캠(6)은 화살표 A의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캠(6)의 제1볼록부(6a)는 로크 기어(4)의 내주 경사면(11a)과 볼록부(12a)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 넣어지는 동시에, 캠(6)의 제2볼록부(6b)는 로크 기어(4)의 제2견부(12)의 내주 측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 넣어진다. 또한, 캠(6)의 제3볼록부(6c)가 로크 기어(4)의 각부(13)의 볼록부(13a)와 맞닿아서 밀어 누르기 때문에, 로크 기어(4)의 맞물림부(10)는 제1가이드 홈(2b)을 따라 직경 방향 안쪽을 향해서 미끄럼 운동하고, 걸림 톱니(4a)와 내치 기어(3)의 내치(3d)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로크 기어(4)는, 도 5(a)에 나타내는 맞물림 위치로부터 도 5(b)에 나타내는 맞물림 해제 위치까지 이동한다. 로크 기어(4)가 맞물림 위치로부터 맞물림 해제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1 및 제2보조 로크 기어 조작 부재(14, 15)가, 그 안쪽 가장자리에 의해 대응하는 보조 로크 기어(5)에 형성된 오목부(5b)의 내측 벽을 직경 방향 안쪽으로 밀어 눌러서 걸림 톱니(5a)와 내치 기어(3)의 내치(3d)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시트 백의 시트 쿠션에 대한 경사도 자세(경사 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시트 백의 시트 쿠션에 대한 경사도 자세를 설정한 후, 조작 레버로부터 손을 떼어 놓으면, 나선형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캠(6)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여, 로크 기어(4) 및 보조 로크 기어(5)가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미끄럼 운동하고, 걸림 톱니(4a, 5a)가 내치 기어(3)의 내치(3d)와 다시 맞물려, 시트 백은 새롭게 설정된 경사도 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브래킷(2)은 시트 쿠션에 고정되고, 내치 기어(3)는 시트 백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가이드 브래킷(2)이 시트 백에 고정되고, 내치 기어(3)가 시트 쿠션에 고정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 백에 가해지는 최대 하중에 대하여 1쌍의 로크 기어(4)의 걸림 톱니(4a)와 내치 기어(3)의 내치(3d)와의 맞물림으로만 충분한 로크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보조 로크 기어(5)는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 내치 기어(3)의 장착 오목부(3b)의 내주 전체 면에 내치(3d)를 형성할 필요는 없고, 로크 기어(4)와 맞물리는 부분에만 내치(3d)를 형성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치 기어의 외주면을 부착 링의 원통 형상 측부의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시킴으로써 내치 기어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도록 했으므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리클라이닝 장치에 비해서, 가이드 브래 킷의 외경이 동일한 경우, 내치 기어의 내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고, 리클라이닝 장치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로크 강도가 증대된 콤팩트한 리클라이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리클라이닝 장치는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 구성에 비해서 로크 강도가 증대되어 있으므로, 시트 백에 큰 하중이 가해질 가능성이 있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로서 유용하다.

Claims (3)

  1. 시트 쿠션(seat cushion)과 상기 시트 쿠션에 대하여 경사도가 자유롭게 부착되는 시트 백(seat back) 중의 어느 한쪽에 고정되고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인 가이드 브래킷(guide bracket)과, 상기 시트 쿠션과 시트 백 중의 다른 쪽에 고정되는 내치(內齒) 기어(internal gear)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과 내치 기어의 사이에 부착된 캠(cam)과, 상기 캠의 동작에 연계해서 직경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1쌍의 로크 기어(lock gear)와, 상기 캠과 1쌍의 로크 기어를 상기 가이드 브래킷과 내치 기어의 사이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브래킷과 내치 기어를 일체적으로 붙여 조립하는 부착 링(ring)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 링은 원형 평면부와 상기 원형 평면부의 바깥쪽 가장자리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 측부(側部)를 갖추고, 상기 원통 형상 측부의 선단부(先端部)를 절곡(折曲)하여 형성시킨 절곡부와 상기 원형 평면부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브래킷과 내치 기어를 끼워 장치함과 더불어, 상기 내치 기어의 외주면(外周面)을 상기 부착 링의 원통 형상 측부의 내주면(內周面)과 미끄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내치 기어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래킷은 그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부착 링은 상기 원통 형상 측부의 선단부에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상기 오목부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부착 편(片)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내치 기어의 외경(外徑)과 상기 오목부의 외경을 대략 동등하게 설정함과 더불어, 상기 복수의 부착 편은 상기 복수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져서, 그 선단부가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시트 쿠션과 시트 백 중의 어느 한쪽에 고정된 부착 브래킷에 상기 가이드 브래킷을 고정하고, 상기 부착 브래킷과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사이에 상기 절곡부를 끼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KR1020050077122A 2005-08-23 2005-08-23 리클라이닝 장치 KR100637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122A KR100637573B1 (ko) 2005-08-23 2005-08-23 리클라이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122A KR100637573B1 (ko) 2005-08-23 2005-08-23 리클라이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7573B1 true KR100637573B1 (ko) 2006-10-20

Family

ID=3762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122A KR100637573B1 (ko) 2005-08-23 2005-08-23 리클라이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5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910B1 (ko) 2008-03-18 2011-08-01 포레시아 시에쥐 도또모빌 힌지 기구 및 그 힌지 기구를 구비하는 차량 좌석
KR20170010194A (ko) * 2015-07-16 2017-01-26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의 리클라이닝 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910B1 (ko) 2008-03-18 2011-08-01 포레시아 시에쥐 도또모빌 힌지 기구 및 그 힌지 기구를 구비하는 차량 좌석
KR20170010194A (ko) * 2015-07-16 2017-01-26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의 리클라이닝 기구
KR101705609B1 (ko) * 2015-07-16 2017-02-13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의 리클라이닝 기구
CN107428267A (zh) * 2015-07-16 2017-12-01 现代岱摩斯 座椅的倾斜机构
US10406945B2 (en) 2015-07-16 2019-09-10 Hyundai Dymos Incorporated Reclining mechanism of seat
CN107428267B (zh) * 2015-07-16 2020-06-23 现代岱摩斯 座椅的倾斜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0882B2 (en) Recliner adjuster
US7354109B2 (en) Recliner adjuster having main and auxiliary lock gears
US7648204B2 (en) Recliner adjuster
US6910737B2 (en) Seat reclining devices
US10112507B2 (en) Seat reclining apparatus
US20130001997A1 (en) Angle Adjustment Device for Vehicle Seat
JP5051165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308859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9509597A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US9878641B2 (en) Angular adjustment device for a vehicle seat
US10058178B2 (en) Reclining device
JP2007160009A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736726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559138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637573B1 (ko) 리클라이닝 장치
KR100517413B1 (ko) 시트의 리클라이너 조절장치
JP2006014942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EP1757482B1 (en) Recliner adjuster
JP2013234743A (ja) 部材の固定装置
CN1923565B (zh) 斜度调节装置
EP1757483A1 (en) Recliner adjuster having main and auxiliary lock gears
JP5238207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822376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4217198A (ja)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JP2023042230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