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950B1 - 통신단말 - Google Patents

통신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950B1
KR100636950B1 KR1020040040490A KR20040040490A KR100636950B1 KR 100636950 B1 KR100636950 B1 KR 100636950B1 KR 1020040040490 A KR1020040040490 A KR 1020040040490A KR 20040040490 A KR20040040490 A KR 20040040490A KR 100636950 B1 KR100636950 B1 KR 10063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sender
condition
received
discrimi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4429A (ko
Inventor
와타나베신타로
고이즈미미치아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텔레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텔레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4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filtering or selective blo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휴대 단말은 수신한 전자 메일을 메모리에 보존하는 기능을 갖는다. CPU는 이번에 수신한 전자 메일의 발신자를 특정하고, 이 발신자로부터 과거에 수신한 전자 메일을 메모리에서 검출한다. 특정된 발신자가 삭제 후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거나, 메모리로부터 검출된 전자 메일의 수신일이 1 주일 이상 전이라면, CPU는 검출된 전자 메일을 메모리에서 삭제한다.

Description

통신단말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는 메일을 수신했을 때 표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고, (b)는 수신 박스를 열었을 때 표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고, (c)는 "친구" 폴더를 열었을 때 표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고, 그리고, (d)는 수신 메일을 열었을 때 표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서 동작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다른 동작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a)는 기능 설정 메뉴의 표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고, (b)는 기능 설정 메뉴의 표시 상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고, (c)는 기능 설정 메뉴의 표시 상태의 또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고, (d)는 기능 설정 메뉴의 표시 상태의 추가의 또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
도 6(a)는 기능 설정 메뉴의 표시 상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고, (b)는 기능 설정 메뉴의 표시 상태의 또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
도 7은 메모리에 기억된 메일 수신의 이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
도 8은 메모리에 기억된 주소 명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
도 9는 메모리에 기억된 삭제 후보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
도 10은 도 1의 실시예의 동작의 이외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도 1의 실시예의 동작의 또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도 1의 실시예의 동작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통신 단말에 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전자 메일의 수신기능를 갖는 통신 단말에 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통신 단말에 대한 일례가 2002년 6월 14일자 출원 공개된 특개 2002-16975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전자 메일의 삭제가 지시되었을 때, 지시받은 전자 메일과 동일한 주소를 가진 전자 메일이 과거에 수신한 복수의 전자 메일 중에서 검출되고, 검출된 전자 메일이 일괄하여 삭제된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자 메일을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수동에 의한 삭제 조작을 필요로 하고,삭제 조작을 충분히 행하지 않은 경우, 수신된 메일이 수신 박스에 축적된다. 여기서, 수신 박스가 모두 채워지면 일자가 오래된 전자 메일을 우선적으로 삭제하는 기능을 종래 기술에 적용하면,메일 수신 처리의 파손을 피할 수 있다.그러나,이 상태에서는 중요한 메일도 삭제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중요한 메일에 있어서는 보호 기능을 수동으로 설정하는 기능이 있으나, 조작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효율적으로 전자 메일을 관리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은 수신한 전자 메일을 메모리에 보존하는 통신 단말에 있어서, 주목하는 전자 메일의 발신자인 특정 발신자로부터 과거에 수신한 전자 메일을 상기 메모리에서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주목하는 전자 메일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전자 메일과의 사이에서 제1 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1 판별 수단; 및 상기 제1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일 때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전자 메일을 삭제하는 제1 삭제 수단을 구비한다.
특정 수단은 주목하는 전자 메일의 발신자를 특정한다. 또한, 검출 수단은 특정된 발신자로부터 과거에 수신한 메일을 메모리에서 검출한다. 또한, 제1 판별 수단은 주목하는 전자 메일과 검출된 전자 메일과의 사이에 제1 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제1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검출된 전자 메일이 제1 삭제 수단에 의해 삭제된다.
주목하는 전자 메일과 특정한 과거의 메일에 관련된 제1 조건을 판별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원하는 메일을 효율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발신자가 제2 조건을 충족하는지의 여부가 제2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다. 제1 조건은 상기 제2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일 때 판별 동작을 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특정 발신자의 식별 부호가 제1 레지스터 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 조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과거에 수신한 전자 메일을 삭제하는 발신자를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등록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때 제3 판별 수단은 특정 발신자의 식별 부호가 제2 레지스터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서, 제1 등록 수단은 상기 제3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가 부정적일 때 상기 특정 발신자의 식별 부호를 상기 제1 레지스터에 등록한다.
이에 따라, 제1 레지스터 및 제2 레지스터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발신자로부터 전자 메일을 수신한 경우, 이러한 전자 메일의 발신자는 자동적으로 제1 레지스터에 등록된다. 즉, 삭제하고자 하는 발신자를 관리하는 제1 레지스터에 등록하는 조작의 수고가 해소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접수 수단은 원하는 식별 부호의 입력을 접수한다. 또한, 제2 등록 수단은 상기 원하는 식별 부호를 상기 제1 레지스터에 등록한다. 추가로, 출력 수단은 상기 원하는 식별 부호가 상기 제2 레지스터에 등록되어 있을 때 메시지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2 삭제 수단은 메시지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원하는 식별 부호를 상기 제2 레지스터에서 삭제한다. 입력한 식별 부호와 동일한 식별 부호는 오퍼레이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제2 레지스터에서 삭제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 조건은 주목하는 전자 메일의 수신일자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전자 메일의 수신일자와의 차이만큼이 제1 한계치를 상회하는 제1 한계치 조건을 포함한다.
또한, 주목하는 전자 메일은 최신의 전자 메일이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전자 메일은 최고(古)의 전자 메일이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특정 발신자로부터의 전자 메일 중에서 상기 최신의 전자 메일과 상기 최고의 전자 메일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전자 메일의 수가 제2 한계치를 상회하는 제2 한계치 조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수신된지 임의 설정한 기간 이상이 된 전자 메일, 또는 수신된지 임의 설정한 건수 이상이 된 전자 메일을 자동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검출 수단에 의해 건출된 전자 메일 중에서 읽지 않은 전자 메일이 제외 수단에 의해 삭제 후보에서 제외된다. 이로 인해, 읽지 않은 메일이 자동적으로 삭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한층 분명해질 것이다.
[실시예]
도 1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통신 단말(10)은 무선 통신 시스템를 통해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회로(12), CPU(30), 전원 회로(32), 배터리(34), 조작 패널(36), 디스플레이(38), 시계 회로(40) 및 메모리(42)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회로(12)는 안테나(14), 무선 회로(16), 신호 처리 회로(18), AD/DA 변환기(20), 앰프(22, 26), 스피커(24) 및 마이크로폰(28)을 포함한다. 통신 단말(10)은 기지국과 접속하여 배터리(34)와 접속된 전원 회로(32)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통신 단말(10)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변조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안테나(14)를 통해 수신한다. 수신된 변조 음성 데이터는 무선 회로(16)에 의해 복조되고, 복조된 음성 데이터는 신호 처리 회로(18)에 의해 복호된다. 복호 음성 데이터를 AD/DA 변환기(20)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음성 신호는 앰프(22)를 통해 스피커(24)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마이크로폰(28)에 의해 음성을 발한 음성 신호는 앰프(26)에 의해 증폭되고, AD/DA 변환기(20)를 통해 디지털 신호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된다. 신호 처리 회로(18)는 AD/DA 변환기(20)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무선 회로(16)는 신호 처리 회로(18)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고, 변조된 음성 데이터는 안테나(14)로부터 출력된다.
전자 메일(이하, "메일"이라 칭함)을 작성할 때, 오퍼레이터는 디스플레이(38)를 보면서 조작 패널(36)을 조작한다. 조작된 메일의 송신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표시되면, CPU(30)는 작성된 메일의 데이터, 즉 메일 데이터를 신호 처리 회로(18)에 부여한다. 메일 데이터는 신호 처리 회로(18)에 의한 부호화 처리, 및 무선 회로(16)에 의한 변조 처리를 거친 후에 안테나(14)로부터 송출된다.
한편, 기지국으로부터 안테나(14)를 통해 메일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수신 메일 데이터는 무선 회로(16)에 의한 복조 처리, 및 신호 처리 회로(18)에 의한 복호 처리를 경유하여 CPU(30)에 입력된다. CPU(30)는 입력된 메일 데이터를 메모리(42)에 기억하여, 도 7에 도시된 메일 수신 이력 T1을 메모리(42)상에서 작성한다.
도 7에 의하면, 메모리 수신 이력 T1은 "메일 번호", "메일 어드레스", "주 소 명부 번호", "수신 일시", "개봉 완료", "첨부 데이터"의 항목을 포함한다. 메일 번호는 메일을 수신한 순서에 할당된 식별 번호이다."메일 어드레스"의 항목에는 발신자의 메일 어드레스가 기록된다.발신자가 도 8에 도시된 주소 명부 T2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주소 명부 T2에 있어서 이 발신자에게 할당된 식별 번호가 "주소 명부 번호"의 항목에 기록된다."수신 일시"의 항목에는 메일을 수신한 일시가 기록된다.메일이 개봉되었을 때는,"완료"가 "개봉 완료"의 항목에 기록된다.화상 데이터나 음악 데이터가 메일에 첨부되어 있는 경우는 이와 같은 첨부 데이터의 종별을 나타내는 번호가 "첨부 데이터"의 항목에 기록된다.
도 8을 참조하면,어드레서 명부 T2는 "주소 명부 번호", "성명", "TEL1", "종별1", "TEL2", "종별2", "메일 어드레스" 및 "그룹"의 항목을 포함한다. "주소 명부 번호"는 통신 상대를 식별하는 번호이다."성명"의 항목에는 통신 상대의 성명이 기록되고,"TEL1" 및 "TEL2"의 항목에는 통신 상대의 전화번호가 기록된다."종별1"의 항목에는 "TEL1"에 기록된 전화번호가 휴대 전화번호인지 또는 자택 전화번호인지를 식별하는 종별 정보가 기록된다."종별2"의 항목에는 "TEL2"에 기록된 전화번호가 휴대 전화번호인지 자택 전화번호인지 식별하는 종별 정보가 기록된다. "메일 어드레스"의 항목에는 통신 상대의 메일 어드레스가 기록되고, "그룹"의 항목에는 통신 상대가 속하는 그룹의 종별이 기록된다. 이와 같이 주소 명부 T2도 메모리(42)에 기억된다.
도 1에 따르면, 메일 데이터를 수신한 CPU(30)는 가청 메세지를 통해 메일 수신을 통지하기 위하여, 링어나 바이브레이터(모두 미도시)를 시동한다. CPU(30) 는 또한, 가시 메세지를 통해 메일 수신을 통지하기 위하여, 도 2(a)와 같이 수신 통지를 디스플레이(38)에 표시한다. 오퍼레이터는 이와 같은 가청 메세지 및 가시 메세지를 통해 수신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오퍼레이터가 조작 패널(36)을 통해 메일 확인 조작을 행하면, 도 2(b)에 도시된 수신 박스 화면이 디스플레이(38)에 표시된다. 오퍼레이터는 이 수신 박스 화면에 의해 신규로 수신한 메일이 어느 폴더 안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b)에 의하면, 수신 메일은 "친구"의 폴더에 격납되어 있다.
조작 패널(36)에 의해 "친구" 폴더의 선택 조자기 행해지면, 도 2(c)에 도시된 메일 리스트가 표시된다. 또한, 원하는 메일의 개봉 조작이 행해지면, 이 메일의 송신자, 건의 이름(件名) 및 본문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메모리(42)에 기억된 메일을 자동적으로 삭제하는데는 조작 패널(36)을 통해 자동 삭제 모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자동 삭제 모드란 지금까지 수신한 메일 중에서 이번에 수신한 메일과의 사이에서 원하는 조건을 충족하는 메일을 자동적으로 삭제하는 모드이다.
원하는 조건에는 어느 발신자의 메일을 삭제의 대상으로 하는지를 규정하는 발신자 조건과, 몇 일 전 또는 몇 건 전의 메일을 삭제의 대상으로 하는지를 규정하는 한계치 조건이 포함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CPU(30)는 자동 삭제 모드의 설정에 대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설정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러한 흐름도에 대응하는 제어 프로그램은 메모리(42)에 기억된다.
먼저, 단계 S1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38)에 표시한다. 도 5(a)에 의하면 "자동 삭제 모드를 온으로 하겠습니까?"의 메시지와 "온으로 한다" 및 "오프로 한다"의 메뉴 항목이 표시된다. 오퍼레이터는 조작 패널(36)을 조작하여 원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단계 S3에서는 "온으로 한다" 및 "오프로 한다" 중 어느 쪽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오프로 한다"가 선택되었을 때는 이 바로 상위의 루틴으로 복귀한다.
"온으로 한다"가 선택되었을 때는, 단계 S5에서 자동 삭제 모드를 온 상태로 설정하고, 단계 S7에서 도 5(b)에 도시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38)에 표시한다. 도 5(b)에 의하면, "자동 삭제의 상대를 설정합니다. 설정 방법을 선택해 주십시오."의 메세지와, "주소 명부에서 선택" 및 "메일 어드레스를 직접 입력"의 메뉴 항목이 표시된다. 오퍼레이터는 조작 패널(36)을 조작하여 원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단계 S9에서는 "주소 명부에서 선택" 및 "메일 어드레스를 직접 입력" 중 어느 쪽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주소 명부에서 선택"이 선택되었을 때는 단계 S11로 진행하고, 조작 패널(36)의 조작에 의해 주소 명부 T2에서 원하는 통신 상대를 선택한다. 단계 S13에서는 단계 S11에서 선택된 통신 상대의 메일 어드레스 및 이름을 삭제 후보 리스트 T3(도 3 참조)에 등록된다.
단계 S15에서는 도 5(c)에 도시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38)에 표시한다. 도 5(c)에 의하면 "선택한 상대를 주소 명부에서 삭제하겠습니까?"의 메시지와 "삭제한다" 및 "삭제하지 않는다"의 메뉴 항목이 표시된다. 오퍼레이터는 조작 패널(36)을 조작하여 원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단계 S9에서 아니오가 판단되면, 즉 도 5(b)에 도시된 메뉴 항목에 "주소를 직접 입력"이 선택되면, 단계 S17로 진행하여 조작 패널(36)을 통해 메일 어드레스의 직접 입력이 수취한다. 단계 S19에서 입력된 메일 어드레스를 삭제 후보 리스트에 등록하고, 단계 S21에서는 입력된 메일 어드레스와 동일한 메일 어드레스가 주소 명부 T2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서 아니오라면 단계 S29로 진행하고, 예라면 단계 S23에서 도 5(d)에 도시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38)에 표시한다. 도 5(d)에 의하면 "입력한 주소는 이미 주소 명부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주소 명부에서 삭제하겠습니까?"의 메시지와, "삭제한다" 및 "삭제하지 않는다"의 메뉴 항목이 표시된다.
단계 S25에서는, 도 5(c) 또는 도 5(d)에 도시된 메뉴 화면상에서 "삭제한다" 및 "삭제하지 않는다" 중에서 어느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삭제한다"가 선택되면, 단계 S27로 진행하여, 선택된 주소를 포함하는 통신 상대의 등록을 주소 명부 T2에서 삭제한다. 삭제가 완료되면, 단계 S29로 진행한다. 한편, "삭제하지 않는다"가 선택되었을 때는 바로 단계 S29로 진행한다.
단계 S29 ~ 단계 S35는 삭제 판단 기준의 설정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삭제 판단 기준이란 단계 S11 또는 단계 S17에서 선택된 통신 상대로부터의 지금까지 수신한 메일 중에서 어느 쪽을 삭제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다. 기준으로 되는 파라미터는 수신일로부터의 경과 기간 또는 수신 건수이다.
단계 S29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38)에 표시한다. 도 6(a)에 의하면 "자동 삭제의 기준을 설정합니다. 기준을 선택해 주십시오."의 메시지와 "기간을 선택" 및 "건수를 선택"의 메뉴 항목이 표시된다. 오퍼레이터는 조작 패널(36)을 조작하여 "기간" 및 "건수" 중 한쪽을 선택한다.
단계 S31에서는 "기간을 선택" 및 "건수를 선택" 중에서 어느 쪽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기간을 선택"이 선택되면 단계 S33으로 진행하여 조작 패널(36)을 통해 임의의 기간의 입력을 수취한다. "건수를 선택"이 선택되면 단계 S35로 진행하여 조작 패널(36)을 통해 임의의 건수의 입력을 수취한다. 입력된 기간 또는 건수는 삭제 후보 리스트 T3에 등록된다.
단계 S37에서는 도 6(b)에 도시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38)에 표시한다. 도 6(b)에 의하면 "미독 메일을 자동 삭제의 대상에서 제외하겠습니까?"의 메시지와, "미독 메일을 후보에서 제외한다" 및 "제외하지 않는다"의 메뉴 항목이 표시된다. 오퍼레이터는 조작 패널(36)을 조작하여 원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여기서, 미독 메일이란 수신한 메일 중에서 오퍼레이터가 내용을 확인하지 않은 메일이다.
단계 S39에서는 "제외한다" 및 "제외하지 않는다" 중에서 어느 쪽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외한다"가 선택되었을 때는 바로 상위의 루틴으로 진행하고, "제외하지 않는다"가 선택되었을 때는 단계 S41에서 "온"의 미독 메일 처리 설정을 삭제 후보 리스트 T3에 등록하고 상위의 루틴으로 복귀한다.
또한, 미독 메일 처리란 후술하는 단계 S71의 삭제 처리에서 삭제되는 메일 중에서 미독 메일을 제외하는 처리이다.
삭제 후보 리스트 T3이란 자동 삭제를 행하는 메일에 대응하는 통싱 상대를 기억하는 리스트로서, 메모리(42)에 기억되어 있다. 삭제 후보 리스트 T3에 등록되는 삭제 후보자는 빈번하게 메일의 교환을 행하기 위해 수신한 메일의 삭제가 번거로운 친구, 주소 명부 T2에 미등록된 아는 사람, 메일링 수신(配信) 서비스와 같이 오퍼레이터가 회신할 필요가 없는 상대 등이 등록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삭제 후보 리스트 T3은 "삭제 후보 번호", "메일 어드레스", "이름", "보관 기간", "건수" 및 "미독 메일 처리 설정"의 항목을 포함한다. "삭제 후보 번호"는 삭제 후보자에 할당된 식별 번호이다. "메일 어드레스" 및 "이름"의 항목에는 삭제 후보자의 메일 어드레스 및 이름이 기록된다. 이 기록은 단계 S13 또는 S19에서 실행된다. "보관 기간" 및 "건수"의 항목에는 삭제 판단 기준으로 되는 "기간" 및 "건수"가 각각 기록된다. 이 기록은 단계 S33 또는 S35에서 실행된다.
"미독 메일 처리 설정"의 항목에는 미독 메일 처리를 행할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설정 정보가 기록된다. 이 기록은 단계 S41에서 실행된다.
CPU(30)는 메일의 처리에 관련하여 도 10∼도 12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이러한 흐름도에 대응하는 제어 프로그램도 메모리(42)에 기억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51에서는 메일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아니오라면 상위의 루틴으로 복귀한다. 예라면 단계 S53으로 진행하여 메일으 수신한 바를 안내하는 가청 메세지 및 가시 메세지를 출력한다. 단계 S55에서는 삭제 모드가 온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라면 단계 S57에서 삭제 모드 처리가 실행된다. 아니오라면 단계 S59에서 종래의 메일과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57 또는 S59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위로 복귀한다.
단계 S57의 삭제 모드 처리는 도 11의 흐름도에 따라 실행된다. 단계 S60에서는 이번에 수신한 메일(주목 메일)의 발신자를 특정한다. 단계 S61에서는 특정된 발신자가 삭제 후보 리스트 T3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예라면 단계 S63으로 진행하여 과거에 수신한 복수의 메일 중에서 동일한 발신자의 메일을 검색한다.
단계 S61에서 아니오라면, 이번에 수신한 메일의 발신자가 주소 명부 T2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단계 S73에서 판단한다. 여기서, 예라면 단계 S75에서 상술한 단계 S59와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아니오라면 단계 S77로 진행하여 수신 메일의 발신자를 삭제 후보로서 삭제 후보 리스트 T3에 기억한다.
단계 S65에서는 단계 S63의 검색 처리에 의해 메일이 발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라면 단계 S67로 진행하고, 아니오라면 단계 S75에서 단계 S49와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단계 S67에서는 삭제 후보 리스트 T3의 미독 메일 설정이 온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라면 단계 S69의 미독 메일 처리를 거쳐 단계 S71로 진행한다. 단계 S77에서 아니오라면 단계 S71에 그대로 진행하고, 단계 S71에서 삭제 처리가 실행되며, 처리가 완료되면 상위의 루틴으로 복귀한다.
단계 S71의 삭제 처리는 도 12의 흐름도에 따라 실행된다. 단계 S81에서 삭제 판단 기준이 "기간"으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라면 단계 S83 으로 진행하고, 이번에 수신한 메일의 발신자로부터 과거에 수신한 복수의 메일 중에서 삭제 후보 리스트 T3에 기록된 보관 기간을 상회하는 기간동안 보관되어 있는 메일을 검색한다.
단계 S75에서는 이 검색 처리에 의해 메일이 발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라면 발견된 메일을 단계 S87에서 삭제한다. 아니오라면, 단계 S79로 진행하여 단계 S59와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단계 S81에서 아니오라면, 즉 삭제 후보 기준이 "건수"라면, 단계 S91로 진행하여, 이번에 수신한 메일의 발신자로부터 과거에 수신한 메일의 수를 카운트한다. 단계 S93에서는 카운트값이 삭제 후보 리스트 T3에 기록된 건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아니오라면, 단계 S89에서 단계 S59와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예라면 단계 S95로 진행하여 삭제 후보 리스트 T3에 기록된 건수 이상의 메일을 수신 일자가 오래된 순서로 삭제한다. 단계 S87, S89 또는 S95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위의 루틴으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은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신된 메일은 메모리(42)에 보존된다. 메일을 신규로 수신하면, 이 수신 메일의 발신자가 특정된다(S60). 특정된 발신자로부터 과거에 수신한 메일이 메모리(42)에서 검출된다(S63). 여기서, 특정된 발신자가 삭제 후보 리스트 T3(제1 레지스터)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S61), 이번에 수신한 메일과 검출한 메일과의 사이에서 보관 기간에 대한 한계치 조건 또는 건수에 대한 한계치 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S85, S93). 이들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검출된 메일이 메모리(42)에서 삭제된다(S87, S95).
또한, 건수에 대한 한계치 조건은, 즉 특정된 발신자로부터 수신한 최고(古)의 메일과 최신의 메일 사이에 존재하는 메일의 수가 한계치를 상회하는 조건이다.
또한, 특정된 발신자가 삭제 후로 리스트 T3에 등록되어있지 않다면, 특정된 메일의 발신자가 주소 명부 T2(제2 레지스터)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S73). 이 판별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특정된 발신자가 삭제 후보 리스트 T3에 등록된다(S77).
또한, 원하는 주소가 입력되면(S11, S17), 이 주소가 삭제 후보 리스트 T3에 등록된다(S13, S19). 입력된 주소가 주소 명부 T2에 등록되어 있다면, 메세지가 출력된다(S15, S23). 이 메세지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이 나온다면, 입력된 주소가 주소 명부 T2에서 삭제된다.
또한, 삭제하도록 검출된 메일 중엣 미독 메일이 포하되어 있다면, 이 미독 메일이 삭제 후보에서 제외된다(S69).
이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한 발신자로부터의 메일을 수신할 때마다 설정한 기간을 상회하는 기간동안 보관한 메일 또는 설정 건수를 초과하는 메일이 자동적으로 삭제된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과거의 불필요한 메일을 수동으로 삭제할 필요가 없어져서 작업성이 향상된다. 즉, 소정 기간내의 메일 또는 설정 건수의 미독 메일이 자동적으로 삭제되지 않으므로, 보관 기간이 짧은 메일 또는 건수가 적 은 메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정 기간 또는 설정 건수를 초과한 경우에도, 지정한 발신자로부터 메일을 수신하지 않게 되고, 과거의 메일이 삭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지정한 발신자로부터의 착신을 거부함으로써, 설정 기간을 초과한 메일 또는 설정 건수 이상의 메일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뉴스나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신하는 메일링 수신 서비스의 발신자를 삭제 후보 리스트에 등록한다면, 이 서비스의 발신자로부터 메일을 수신할 때마다 설정 기간 또는 설정 건수를 초과하는 과거의 메일을 자동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메일을 수신할 때에 삭제 모드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수신 메일의 열람이 종료되었을 때에 삭제 모드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이 실시예에서는 삭제 모드 처리를 실행함에 있어서,메일의 발신자에게 주목하도록 하고 있으나, 발신자와 동일한 그룹(도 8 참조)에 속하는 모든 통신 상대에게 주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삭제 후보 리스트 T3은 조작 패널(36)에 의해 편집해도 된다.예를 들면,지정한 주소를 삭제 후보 리스트 T3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조작 패널(36)에 의해 서브 메뉴 화면에서 "주소의 삭제"를 선택하고, 주소를 삭제하도록 된 조작이 고려된다.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어 도시되었으나, 이는 단순한 도해 및 일례로 이용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9)

  1. 수신한 전자 메일을 메모리에 보존하는 통신 단말에 있어서,
    주목하는 전자 메일의 발신자인 특정 발신자로부터 과거에 수신한 전자 메일을 상기 메모리에서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주목하는 전자 메일 및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전자 메일 간에, 메일의 삭제 대상을 규정하는 제 1 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판별 수단; 및
    상기 제 1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일 때,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특정 발신자로부터의 전자 메일을 자동 삭제하는 제 1 삭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발신자가, 상기 제 1 조건에 앞서 메일의 삭제 대상을 규정하는 제 2 조건을 충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2 판별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판별 수단은 상기 제 2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라고 판단된 후에 판별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건은 상기 특정 발신자의 식별 부호가 메일의 삭제 대상으로서 제 1 레지스터에 등록되어 있다는 등록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때 상기 특정 발신자의 식별 부호가 일반 주소 목록으로서 제 2 레지스터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3 판별 수단; 및
    상기 제 3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가 부정적일 때 상기 특정 발신자의 식별 부호를 상기 제 1 레지스터에 메일의 삭제 대상으로서 등록하는 제 1 등록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원하는 식별 부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
    상기 원하는 식별 부호를 메일의 삭제 대상으로서 상기 제 1 레지스터에 등록하는 제 2 등록 수단;
    상기 원하는 식별 부호가 일반 주소 목록으로서 상기 제 2 레지스터에 등록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 및
    상기 메시지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원하는 식별 부호를 상기 제 2 레지스터에서 삭제하는 제 2 삭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건은 상기 주목하는 전자 메일의 수신일자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전자 메일의 수신일자와의 차이만큼이 제 1 한계치를 상회하는지 여부의 제 1 한계치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목하는 전자 메일은 최신의 전자 메일이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전자 메일은 최고(古)의 전자 메일이고,
    상기 제 1 조건은 상기 특정 발신자로부터의 전자 메일 중에서 상기 최신의 전자 메일과 상기 최고의 전자 메일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전자 메일의 수가 제 2 한계치를 상회하는지 여부의 제 2 한계치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전자 메일 중에서 읽지 않은 전자 메일을 메일의 삭제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제외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9. 수신한 전자 메일을 관리하는 메일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주목하는 전자 메일의 발신자인 특정 발신자로부터 과거에 수신한 전자 메일을 메모리에서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주목하는 전자 메일 및 상기 (a)단계에서 검출된 전자 메일 간에, 메일의 삭제 대상을 규정하는 제 1 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판별 결과가 모두 긍정적일 때 상기 (a)단계에서 검출된 전자 메일을 자동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관리 방법.
KR1020040040490A 2003-06-03 2004-06-03 통신단말 KR100636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57430A JP4073365B2 (ja) 2003-06-03 2003-06-03 通信端末
JPJP-P-2003-00157430 2003-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429A KR20040104429A (ko) 2004-12-10
KR100636950B1 true KR100636950B1 (ko) 2006-10-19

Family

ID=3348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490A KR100636950B1 (ko) 2003-06-03 2004-06-03 통신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249896A1 (ko)
JP (1) JP4073365B2 (ko)
KR (1) KR100636950B1 (ko)
CN (1) CN15737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7838B2 (en) * 2005-09-28 2011-12-13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voice communicator to provide a voice communication
JP2007264743A (ja) * 2006-03-27 2007-10-11 Fujitsu Ltd 電子装置、その電子メール情報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電子メール情報メンテナンスプログラム
US20100214229A1 (en) * 2007-10-17 2010-08-26 Nec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JP5041368B2 (ja) * 2008-02-14 2012-10-03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メール管理装置、電子メール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80965B2 (en) 2008-12-10 2012-10-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electronic mail
CN101483697A (zh) * 2009-02-23 2009-07-1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终端及其消息自动清理方法
JP5541570B2 (ja) * 2010-02-10 2014-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端末装置におけるメール管理方法、メール管理装置及びメール管理プログラム
CN103226881B (zh) * 2013-03-28 2016-02-10 马钢控制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pos机黑名单存储容量不足的解决方法
KR101673405B1 (ko) * 2015-04-08 2016-11-07 주식회사 카우치그램 통화 및 문자 이력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7800607A (zh) * 2016-08-31 2018-03-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清理邮箱数据的方法及装置
CN107870937A (zh) * 2016-09-27 2018-04-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邮箱数据的清理方法和装置
KR102570815B1 (ko) * 2021-10-14 2023-08-24 김윤성 스마트폰 sns 메세지 자동삭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3327B1 (en) * 1996-06-10 2002-09-17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discarding junk electronic mail
US6643686B1 (en) * 1998-12-18 2003-11-04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counteracting message filtering
US6725228B1 (en) * 2000-10-31 2004-04-20 David Morley Clark System for managing and organizing stored electronic messages
JP2003046576A (ja) * 2001-07-27 2003-02-14 Fujitsu Ltd メッセージ配送システム並びにメッセージ配送管理サーバ,メッセージ配送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7454467B2 (en) * 2003-05-22 2008-11-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managing email mess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73365B2 (ja) 2008-04-09
US20040249896A1 (en) 2004-12-09
KR20040104429A (ko) 2004-12-10
CN1573773A (zh) 2005-02-02
JP2004362082A (ja) 200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00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ording schedule using short message service
US7212808B2 (en) Unified message box for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7894804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200800705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ssage history data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83623A1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KR100636950B1 (ko) 통신단말
JP4861878B2 (ja) 通信端末
JP5239494B2 (ja) 携帯端末装置、画面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6816737B2 (en) Method for retrieving messag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2003188978A (ja) 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4569088B2 (ja) 通信端末装置
JP4860170B2 (ja) 情報通信端末、情報分類方法、及び、情報分類プログラム
EP15303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size of an electronic message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3304320A (ja) 携帯電話機
KR20040009477A (ko) 광고성 메시지 차단 방법
KR101195305B1 (ko) 휴대단말기의 통신기록 관리 방법
KR100727356B1 (ko) 인맥 관리를 위해 일정 기간 수신/발신 이력 데이터를데이터베이스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이용한 인맥 관리 방법
JP5169063B2 (ja) 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003608B2 (ja) 通信端末および通信端末の電子メール検索方法
US201102632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size of an electronic message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27591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관리 방법
KR1007626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들을 그룹화하는 방법
KR20060061032A (ko) 단문 메시지의 이름별 정렬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257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라벨링을 이용한 통합 컨텐츠 관리방법
JP2006024136A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