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910B1 -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수준을 변이시키는피로회복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수준을 변이시키는피로회복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910B1
KR100634910B1 KR1020020031492A KR20020031492A KR100634910B1 KR 100634910 B1 KR100634910 B1 KR 100634910B1 KR 1020020031492 A KR1020020031492 A KR 1020020031492A KR 20020031492 A KR20020031492 A KR 20020031492A KR 100634910 B1 KR100634910 B1 KR 100634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oot
stress
related genes
fatigue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3143A (ko
Inventor
신준식
Original Assignee
신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준식 filed Critical 신준식
Priority to KR1020020031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9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63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143A/ko
Priority to US10/225,728 priority patent/US700514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6Carthamus (distaff this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4Amomum, e.g. round cardamo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황기, 창출 뿌리줄기, 두릅, 강활, 용안 가종피, 구기자의 주요 조성에 기타 약제가 포함되어 만성피로와 신경쇠약증 등의 스트레스 관련 각종 질병에 작용토록 한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황기뿌리 13.2%중량, 창출 뿌리줄기 백색(백질)이 8.8%중량, 두릅 큰 뿌리가 8.8%중량, 강활이 8.8%중량, 용안 가종피가 8.8%중량, 구기자잎이 6.7%중량, Cridii 뿌리줄기가 4.4%중량, Hoellen이 4.4%중량, 감초 뿌리가 4.4%중량, Cervi parvum 뿔이 4.4%중량, 산자자가 4.4%중량, 지황 뿌리가 4.4%중량, 목향이 4.4%중량, 축사가 4.4%중량, 적하수오 뿌리가 4.4%중량, 작약 뿌리줄기 백색(백질)이 4.4%중량, 인삼 뿌리가 4.4%중량으로 이루어진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
본 발명을 적용하면, 23개의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의 기저수준을 측정시 이들 유전자 중 7개는 Gadd45, Grp78, Hsp86, Mdm2, Sod1, Trpm2와 같은 유전자가 측정가능한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것과 같이, 만성피로, 신경쇠약, 불안신경증, 노화방지, 기억력 증진 등의 질환에 효과가 탁월하다.

Description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FATIGUE RECOVERY MEDICINE FOR CHANGING IN mRNA LEVELS OF STRESS-RELATED GEN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먹인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간의 7개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을 밀도계측적으로 수량화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먹인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간의 Gadd45 mRNA 발현수준을 밀도계측적으로 수량화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먹인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간의 GAPDH mRNA 발현수준을 밀도계측적으로 수량화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먹인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 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간의 Grp78 mRNA 발현수준을 밀도계측적으로 수량화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간의 Hsp86 mRNA 발현수준을 밀도계측적으로 수량화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간의 Mdm2 mRNA 발현수준을 밀도계측적으로 수량화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간의 SOD1 mRNA 발현수준을 밀도계측적으로 수량화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간의 Trpm2 mRNA 발현수준을 밀도계측적으로 수량화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먹인 경우와 통제된 경우의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노지 주변부에 머무른 시간에서 노지 중심에 머무른 시간을 뺀 시간동안 노지 운동행동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먹인 경우와 먹이지 않은 실험쥐에 대한 method-reverse hyberidization assay 유전자 필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황기, 창출 뿌리줄기, 두릅, 강활, 용안 가종피, 구기자의 주요 조성에 기타 약제가 포함되어 만성피로와 신경쇠약증 등의 스트레스 관련 각종 질병에 작용토록 한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현대사회에서는 사회가 다변화되면서 신종 질병이 출현하고 있는 바, 그 중 대표적인 질환은 만성피로 증후군이다. 만성피로 증후군은 암이나 에이즈와 같이 직접적으로 그 병변이 확인되지는 않치만, 인간의 신체를 지속적으로 무기력하게 만드는 질환이다.
미국 질병통제센터에서는 이러한 피로감이 일상생활에 막대한 지장을 주는 상태로 6개월이상 지속될 때, 이를 만성피로 증후군이라는 정의를 내렸다. 따라서, 이러한 만성피로 증후군을 약물로서 극복하기 위해, 각종 약재가 출시되었다.
이러한 대 만성피로 증후군에 대한 약제로는 향 바이러스 제제나 엽산 등의 영양제류가 현재 시판중인 대표적 약제라고 할 수 있으나, 이러한 약제는 피로의 원인이 영양부족이 아니므로 실험을 통해 치료효과가 매우 미비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황기, 창 출 뿌리줄기, 두릅, 강활, 용안 가종피, 구기자의 주요 조성에 기타 약제가 포함되어 만성피로와 신경쇠약증 등의 스트레스 관련 각종 질병에 작용토록 한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황기뿌리 13.2%중량, 창출 뿌리줄기 백색(백질)이 8.8%중량, 두릅 큰 뿌리가 8.8%중량, 강활이 8.8%중량, 용안 가종피가 8.8%중량, 구기자잎이 6.7%중량, Cridii 뿌리줄기가 4.4%중량, Hoellen이 4.4%중량, 감초 뿌리가 4.4%중량, Cervi parvum cornu 뿔이 4.4%중량, 산자자가 4.4%중량, 지황 뿌리가 4.4%중량, 목향이 4.4%중량, 축사가 4.4%중량, 적하수오 뿌리가 4.4%중량, 작약 뿌리줄기 백색(백질)이 4.4%중량, 인삼 뿌리가 4.4%중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은 황기뿌리 10%~20%중량, 창출 뿌리줄기 백색(백질)이 7%중량~8%중량, 두릅 큰 뿌리가 7%중량~8%중량, 강활이 7%중량~8%중량, 용안 가종피가 7%중량~8%중량, 구기자잎이 6%중량~7%중량, Cridii 뿌리줄기가 4%중량~5%중량, Hoellen이 4%중량~5%중량, 감초 뿌리가 4%중량~5%중량, Cervi parvum cornu 뿔이 4%중량~5%중량, 산자자가 4%중량~5%중량, 지황 뿌리가 4%중량~5%중량, 목향이 4%중량~5%중량, 축사가 4%중량~5%중량, 적하수오 뿌리가 4%중량~5%중량, 작약 뿌리줄기 백색(백질)이 4%중량~5%중량, 인삼 뿌리가 4%중량~5%중량의 조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Cridii는 동양에서 서식하는 허브식물종의 하나로서, 중국이나 인도에서 서식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경동시장 등의 약재상에서 현재 판매중인 생약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05502760111-pat0001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은 간장, 심장, 신장 기능의 피로를 풀어주기 때문에 무리한 간장의 활동으로 인한 만성 피로 증세와 심장의 신경쇠약증, 불안신경증, 신장기능의 피로에서 수반되는 성신경허약증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
그 원리는 수화불교증(水火不交症)을 치료해주어 허열을 낮추고 진액을 만들어주는 데 있으며, 회복의 자생력을 증가시키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의 효과를 각종 실험을 통해 증명코자한다.
이하의 실험데이터는 소창석, Kaizhi G. Sharman, Edward H. Sharman, and Stephen C. Bondy+의 참여로 University of California의 지역사회의학 및 환경의학과, 직장위생 및 환경위생 센터에서 실험한 데이터이다.
본 실험은 5개월,17개월 및 28개월 된 암컷 B6D2F1 생쥐들의 간에서 23개의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의 기저수준을 측정하였다. 이들 유전자 중 7개는 Gadd45, Grp78, Hsp86, Mdm2, Sod1, Trpm2와 같이 측정가능한 발현 수준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1.0%)을 치사 이전 13주 동안 식이 투여한 결과 Gadd45, Grp78, Hsp86, Sod1의 발현에 중대한 변화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지(Open field) 행동 시험에서는 기능상 일반적인 연령과 관련된 쇠약현상이 밝혀졌으나,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은 노지 행동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실험은 동물치료실험, RNA 추출실험, 노던 블롯 분석실험, 통계적 분석실험으로 대별된다.
[동물 치료]
Harlan 연구소 (인디애나폴리스, 일리노이주)산 C57BL/6 및 DBA/2 계통의 잡종인 암컷 B6D2F1 생쥐들을 각각 5개월(어린 그룹), 17개월(중년 그룹), 28개월(노년 그룹)으로 나누어서 사육상자 1개당 4마리씩 넣고, 20℃의 온도가 유지되는 방에서 12시간의 명암 주기로 유지하였다. 먹이와 물은 각 그룹의 생쥐들에게 무제한 제공하였다. 알약형태의 최소 AIN93M 기본 규정식(#110900, Dyets Inc., Bethlehem, PA)은 자당 10%, 옥수수전분 47%, 카세인 4%, 콩기름 4%, 섬유소(W/W) 21%, 최소량의 소금, 혼합비타민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연령별 생쥐그룹에게 13주 동안 1.00% (w/w) 육공단 (서울자생병원으로부터 증여받음)을 보충해주었다.
[RNA 추출]
생쥐들을 자궁경관 전위에 의해 치사시켰다. 간 조직은 신속하게 잘라내어 액체수소에 즉시 냉동시켜 -70C에서 보관하였다. TR REAGENT Kit (Molecular Research Center(분자연구센터), Inc. Cinninnati, OH)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총 RNA를 추출한다. RNA 농도는 흡수에 의해 260nm 파장에서 결정되었다. 순도는 280nm에서의 흡수비율을 기준으로 260nm에서의 흡수비율을 측정하여 모니터링하였다.
[노던 블롯 분석]
총 RNA (260nm 파장에서의 흡수율로 결정하고 겔 에티디움 브로마이드 형광강도에 의해 확인한 바와 같이, 각 10g)의 표본들은 표1에 기술된 23개의 스트레스관련 유전자를 포함하는 cDNA 미세배열에 결합되어 적용된 [-32P]dCTP를 이용하여 역전사되었다. 미세배열은 -70C에서 8시간에서 7일간에 걸친 다양한 기간동안 x-ray 필름 (x-OMAT AR, KODAK, and Rochester, NY)에 복사하였다. 밀도계(DNA 스캔신호분석 소프트웨어와 결합된 Eagle Eye 영상처리기, Sand Diego, CA)를 사용하여 면적집적 광학밀도와 같은 신호들을 수량화하였다.
[통계적 분석]
그룹간의 차이는 단차원 분산 분석 및 뒤이어 Gabriele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한다. 유의성 합격판정 수준은 양측분산을 사용하여 p<0.05이다.
(운동행동의 측정)
치사 이전 주 동안, Digiscan 동물행동 모니터(Accuscan Inc., Columbus, OH.)를 사용하여 생쥐들에게 노지(Open field) 운동행동을 테스트하였다. 시험장치는 2개의 수직 측면을 따라 16개의 광전지 검출기가 있고 나머지 양측면을 따라 16개의 발광 다이오드(LEDs)가 있는 빈 플라스틱 사육상자로 구성되어 있다. 또다른 8개의 LED 및 검출기 세트는 바닥으로부터 7.5cm 위에 장착되어 수직 직립행동을 검출한다. 이동한 총 거리는 수평 행동보다 잘 측정할 수 있었는데, 이는 보행행동을 좀더 정확하게 나타나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광빔 행동측정 기법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탐색행동을 나타내는 다음 2개의 지표가 강조되었다. 즉, i)수직 직립행동 ii) 사육상자 주변부에서 보낸 시간과 시험실의 중심 영역에서 보낸 시간의 차. 시험 주제는 비가시 적외선 빔을 간과하기 때문에 행동은 모니터링장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2)Digiscan은 근접센서 또는 진동센서와 달리 광빔의 좁은 범위밖에서 일어나는 행동은 감지하지 못한다. (3)Digiscan 분석기로 수집, 인쇄된 산출(output)은 디지털방식이며 매우 반복적이다. 시험장치는 세제로 세척하여 남아있는 냄새를 제거하였다.
테스트는 오전7시와 오후5시 사이에 수행되었다. 시작시간은 그룹간 무작위로 정하였다. 각 생쥐를 연속 이틀동안 하루마다 같은 시간대에 30분 동안 테스트 하였다. 각 매개변수에 대한 2개의 값의 합을 사용하였다. 동물들은 테스트 첫날 처음으로 사육상자 안으로 집어넣었다
[실험 결과]
[표 2]
Figure 112005502760111-pat00014
Figure 112005502760111-pat00015
표 2는 미세배열 cDNA 보합결합에 의해 분석된 유전자 목록을 나타낸 것으 로, 측정가능 발현치를 보인 유전자는 회색으로 음영화하였다.
7개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알아낼 수 있었다. 나머지 유전자의 발현수준은 너무 낮아서 충분한 정확성을 가지고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결과는 표 3에 작성되고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바,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먹인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간의 7개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을 밀도계측적으로 수량화한 도면이다.
[표 3]
Figure 112002017641005-pat00001
표 3에서 육공단(Youkgong-dan)이라 함은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의 다른 명칭이다. 어린 그룹통제 어린그룹 육공단, 중년그룹 통제, 중년그룹 육공단, 노인그룹 통제, 노인그룹 육공단을 각각 대상으로 한 표이며, 통제란 육공단을 먹이지 않은 그룹이고, 육공단이란 육공단을 먹인 그룹을 나타낸다.
단백질 생합성에 있어서 단백질 생성물이 중요시되는 Gadd45의 발현 수준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 생쥐와 늙은 생쥐의 경우 모두 비슷하였으나, 중년그룹의 경우 높은 수치를 보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먹인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간의 Gadd45 mRNA 발현수준을 밀도계측적으로 수량화한 도면이다.
피로회복 조성물은 어린 생쥐와 늙은 생쥐의 Gadd45 발현수준을 증가시켰으나, 중년생쥐의 경우 크게 감소하였다.
당의 물질대사에 있어서 단백질 생성물이 중요시되는 GAPDH의 발현수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 생쥐와 늙은 생쥐의 경우 모두 비슷하였으나, 중년그룹의 경우 낮은 수치를 보였다. 피로회복 조성물은 어린 생쥐와 늙은 생쥐의 GAPDH 발현수준을 증사시키는 경향을 보이긴 하였지만, GAPDH 발현수준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먹인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 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간의 GAPDH mRNA 발현수준을 밀도계측적으로 수량화한 도면이다.
열충격 단백질로 번역되는 Grp78의 발현수준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피로회복 조성물은 어린 생쥐그룹에 있어서 Grp78 발현수준을 상당히 상승시켰지만, 나머지 두 그룹에 있어서는 발현수준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먹인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간의 Grp78 mRNA 발현수준을 밀도계측적으로 수량화한 도면이다.
열충격 단백질로 번역되는 Hsp86의 발현수준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 생쥐그룹에 비해 중년생쥐 그룹이 상당히 높았다. 피로회복 조성물은 어린 생쥐그룹의 Hsp86 발현수준을 상당히 상승시켰으며, 나머지 두 그룹에 있어서 발현수준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간의 Hsp86 mRNA 발현수준을 밀도계측적으로 수량화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개월( 노년그룹)된 생쥐들의 간의 Mdm2 mRNA 발현수준을 밀도계측적으로 수량화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간의 SOD1 mRNA 발현수준을 밀도계측적으로 수량화한 도면이다.
단백질 생성물로 만들어 ROS 손상을 막을 수 있는 중요한 항산화 효소 및 보호기로 작용할 수 있는 SOD1의 발현수준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 생쥐그룹과 중년 생쥐 그룹에 비해 늙은 생쥐그룹의 경우 상당히 낮았다. 피로회복 조성물은 늙은 생쥐그룹에 있어서 SOD1 발현수준을 상당히 상승시켰다. 어린생쥐그룹에 있어서 SOD1의 발현수준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긴 하였지만, 중년생쥐그룹의 발현수준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간의 Trpm2 mRNA 발현수준을 밀도계측적으로 수량화한 도면이다.
Trpm2 발현수준은 종양에 있어서 상승 조정된다. Trpm2의 단백질 생성물은 세포자멸사(고사)와 관련된다. Trpm2의 발현수준은 연령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피로회복 조성물은 모든 연령그룹의 생쥐에 있어서 Trpm2 발현수준을 상승시키는 경향을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늙은 생쥐그룹에 있어서 통계적 유의성에 접근하였다(도8).
노지 운동행동 데이터는 표4a, 4b에 나타나있다.
[표 4a]
Figure 112002017641005-pat00002
[표 4b]
Figure 112002017641005-pat00003
표 4a, 4b에서 Mouse ID는 생쥐 ID를 나타내며, Person은 실험자, Interval은 시간 간격, Horizontal Activity는 수평 활동, Total Distance는 총 거리, No. of Movement는 이동 회수, Rest Time은 휴식 시간, Vertical Activity는 수직 활동, No. of Vertical Movement는 수직 이동회수, Vertical Time은 수직 시간, Stereotypy Counts는 상동증 계수, No. of Stereotypy는 상동증 회수, Stereotypy Time은 상동증 시간, Clockwise Revolutions은 시계방향 회전, Anticlockwise Revolutions은 시계 반대방향 회전, Margin Time은 주변부 시간, Center Time은 중심 시간, Left Front Corner Time 왼쪽→앞으로 움직인 시간, Right Front Corner Time 오른쪽→앞으로 움직인 시간, Left Front Corner Time 왼쪽→뒤로 움직인 시간, Right Rear Corner Time은 오른쪽→뒤로 움직인 시간이다.
이때, 상동증이란 무의미한 행위를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증상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먹인 경우와 통제된 경우의 각각 5개월(어린그룹), 17개월(중년그룹), 28개월(노년그룹)된 생쥐들의 노지 주변부에 머무른 시간에서 노지 중심에 머무른 시간을 뺀 시간동안 노지 운동행동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생쥐가 밀폐공간의 주변부에서 보내는 시간과 중심에서 보내는 시간의 차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적 행동의 측도이다. 이러한 측도는 연령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피로회복 조성물을 보충해 준 경우에는 늙은 생쥐 그룹에 있어서 이 측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른 행동측도는 중대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이 투여되면, 만성피로, 신경쇠약, 불안신경증, 노화방지, 기억력 증진 등의 질환에 효과가 탁월해짐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을 먹인 경우와 먹이지 않은 실험쥐에 대한 method-reverse hyberidization assay 유전자 필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은 23개의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의 기저수준을 측정시 이들 유전자 중 6개는 Gadd45, Grp78, Hsp86, Mdm2, Sod1, Trpm2와 같은 유전자가 측정가능한 발현 수준을 유전자 필름으로 형광하여 나타낸 도 10을 참조하고, 이에 대한 효능 설명을 입증하도록 한다.
먼저, DNA에는 단백질이 만들어져 개체가 능력을 발휘하게 하는 부분인 exon이란 부분이 있는가 하면 현재 그 존재가치에 대한 규명이 어려운 intron이란 부분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intron이란 부분 때문에 DNA로 직접 연구하지 못하고, 쉽게 깨지는 mRNA를 가지고 생약에 의한 DNA 변화를 연구하는 바, mRNA는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DNA 중에서 단백질로 가는 물질이 만들어지는 현재 알려진 물질중 가장 정확한 물질이다. 따라서, DNA에 대한 최적의 정보를 제공하는 물질이다.
DNA가 영향을 받아 어떤 신체적 변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mRNA를 이용하게 되며, mRNA가 영향을 받으면 유전자 수준에서 효과가 있다고 말한다.
각각의 유전자에 대해 설명하면, Gadd45, Grp78, Hsp86, Mdm2, Sod1, Trpm2이며, Gadd45는 암 억제자로 널리 알려진 p53 단백질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로 처음에는 세포주기 조절에 관련된 기능을 가진 것으로만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수년간의 연구를 통해 서교수 등은 Gadd45 유전자는 암 억제에 중요한 기전인 유전자 복구(DNA repair)와도 중요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유전자 복구(DNA repair)는 자외선, 활성산소(유해산소) 및 기타 환경공해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유전자 손상을 치료함으로서 생명현상의 중요 정보를 보호하는 중요한 '생명체 방어 시스템'이다.
세포생명체가 stress에 처했을 때, 대부분의 일반적인 단백질의 합성을 중단되는 반면 약 10종 내외의 특정 단백질(stress protein)의 합성을 크게 증가시키고, 이들을 세포내 축적시킨다는 것이다.
stress protein이 stress상태에서 세포의 저항력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생체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임을 시사하며, stress종류에 의해 크게 2종류로서, 하나는 Heat-shock protein(hsp), 다른 하나는 glucose-regulated protein(grp′s)이다. 이들 단백질은 세포내 위치면에서 살펴보면 hsp72/73과 hsp90(two mammalian cytosolic isoforms of HSP90 -HSP84 and HSP86)은 주로 세포질과 핵(특히 스트레스 상태)에, grp78과 grp94는rough ER 그리고 grp75와 hsp60는 mitochodria에 분포한다.
전사 인자(transcription factor) p53은 세포가 악성으로 전환되는 것을 보호하는 핵심적인 경로를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암에서 p53의 이러한 보호 작용은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는 MDM2 단백질 과다 발현의 결과로서 MDM2 단백질은 p53의 전이활성(transactivation) 부위에 결합하여 이의 transcription을 활성화하는 능력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MDM2가 p53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은 항암치료의 한 접근법으로 제시되어왔으며, 최근 'Science'에서 MDM2-p5 3상호작용에 대한 저분자량 길항제가 암세포에서 p53 신호경로를 활성화하여 생쥐에서 종양의 성장을 억제함을 보여주고 있어 그러한 접근법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단백질-단백질 간 상호작용은 전형적으로 저분자량 약물을 개발하기에 아주 어려운 표적으로 인식되어 왔다. 왜냐하면 단백질 간 접촉면에서 결합할 수 있는 뚜렷한 패인 부위(pockets)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p53의 transactivation 부위의 한 펩타이드에 결합하고 있는 MDM2의 구조 결정을 통해서 MDM2가 상대적으로 깊게 패인 부위를 가지고 있어 이곳이 p53 펩타이드의 helical 부위로 채워짐이 드러남으로써 저분자량이 p53 펩타이드를 대신해서 이 pocket에 결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되었습니다. 따라서 Vassilev 등 연구진은 MDM2가 p53에 결합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하였다.
그 결과, 일련의 cis-imidazoline 유사체를 발견했는데, 이 화합물은 50% 억제 농도(IC50s) nanomole에서 p53-MDM2 복합체로부터 p53을 강력하게 대체할 수 있었다. 이 중 한 가지 화합물의 MDM2와의 복합체를 구조 결정 분석한 결과, 이 화합물을 원래 p53이 결합하는 부위에 결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련의 암세포를 이용한 측정법에서 imidazoline 유사체는 p53 신호경로를 활성화하여 세포주기를 정지시키고 세포사멸을 일으킨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 결과의 뒷받침을 얻어 저자 등은 유사체 중의 하나가 생쥐에서 외부에서 이식하여 자리 잡은 종양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지 측정하였다. 해당 화합물을 경구 투여했는데 내성이 우수했으며, 대조군에 비해 종양의 성장을 90% 억제하였다. 한편, 이는 세포 독성을 가지는 전형적인 항암제 doxorubicin의 최대 내성허용용량을 정맥주사한 경우, 종양 성장을 81% 억제하는 것과 좋은 비교가 되고 있다.
인간 종양의 50%가 wild-type p53을 손실하고 있어 p53-MDM2 상호작용에 대한 차단제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긴 하지만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그런 화합물로 p53의 종양억제 능력을 활성화시킴으로서 wild-type p53이 남아 있는 나머지 50%의 암에서는 그러한 접근법이 이롭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SOD1은 정상적인 경우 DNA에 손상을 주어 세포를 죽이는 유리기(free radicals)를 분해, Cu/Zn superoxide dismutase(SOD1)는 생물학적 산화작용이나 환경요인 혹은 다양한 화학물질로부터 발생하는 유해산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효소이다.
TRPM2는 Ca2+ 이동 채널을 조절하는 유전물질이다. Ca2+ 이동 채널은 oxidative stress나 세포가 죽을 때 활성화된다.
[표 5]
Figure 112005502760111-pat00019

표 5는 결과에 따른 조작에 대한 본 발명의 조성물 투입 생쥐(MK)와 조성물 투입하지 않은 생쥐(MC)의 유전자 물질의 변화상태를 나타내는 도 10의 유전자 필름을 denstometer를 통해 분석한 표이다.
이를 참조하면, mdm2, Sod1를 제외한 모든 유전자에서 발현에 영향을 주므로 해당 생약 조성물은 피로회복 효과는 물론이고, 항암 및 노쇠방지 효과가 탁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6종의 유전자는 모두, 피로회복 및 항산화물질, 암억제 유전자이므로 해당 유전물질의 분석에 의해 피로회복은 물론이고 신체 활성화물질의 유전자가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 효과를 입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은 23개의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의 기저수준을 측정시 이들 유전자 중 7개는 Gadd45, Grp78, Hsp86, Mdm2, Sod1, Trpm2와 같은 유전자가 측정가능한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것과 같이, 만성피로, 신경쇠약, 불안신경증, 노화방지, 기억력 증진 등의 질환에 효과가 탁월하다.

Claims (1)

  1. 황기뿌리 13.2%중량, 창출 뿌리줄기 백색(백질)이 8.8%중량, 두릅 큰 뿌리가 8.8%중량, 강활이 8.8%중량, 용안 가종피가 8.8%중량, 구기자잎이 6.7%중량, Cridii 뿌리줄기가 4.4%중량, Hoellen이 4.4%중량, 감초 뿌리가 4.4%중량, Cervi parvum cornu 뿔이 4.4%중량, 산자자가 4.4%중량, 지황 뿌리가 4.4%중량, 목향이 4.4%중량, 축사가 4.4%중량, 적하수오 뿌리가 4.4%중량, 작약 뿌리줄기 백색(백질)이 4.4%중량, 인삼 뿌리가 4.4%중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 수준을 변이시키는 피로회복 조성물.
KR1020020031492A 2002-06-05 2002-06-05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수준을 변이시키는피로회복 조성물 KR100634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492A KR100634910B1 (ko) 2002-06-05 2002-06-05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수준을 변이시키는피로회복 조성물
US10/225,728 US7005147B2 (en) 2002-06-05 2002-08-22 Fatigue recovery medicine for changing in hepatic mRNA levels of stress-related ge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492A KR100634910B1 (ko) 2002-06-05 2002-06-05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수준을 변이시키는피로회복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143A KR20020063143A (ko) 2002-08-01
KR100634910B1 true KR100634910B1 (ko) 2006-10-17

Family

ID=2772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492A KR100634910B1 (ko) 2002-06-05 2002-06-05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수준을 변이시키는피로회복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05147B2 (ko)
KR (1) KR100634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65B1 (ko) * 2004-04-20 2007-03-27 신준식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
WO2012068958A1 (zh) * 2010-11-25 2012-05-31 Zhang Zuoguang 芍药内酯苷或其代谢物的抗焦虑及改善睡眠障碍的用途
CN102716307B (zh) * 2012-06-26 2013-12-04 陈慧婷 治疗嗜睡症的熟附子中药制剂及制备方法
CN103404867A (zh) * 2013-08-28 2013-11-27 北京绿源求证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预防酒精肝的食品养肝茶冲剂
CN105056161A (zh) * 2015-09-25 2015-11-18 杜晓红 一种治疗焦虑症的中药组合物
CN107625933A (zh) * 2017-10-30 2018-01-26 刘萍 一种治疗神经衰弱的药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7065A (ja) * 1995-01-09 1996-07-23 Nitsuchiyuu Kyoei Kigyo:Kk 飲料茶葉
KR980008056A (ko) * 1996-07-26 1998-04-30 김윤배 항스트레스 조성물
KR20000037056A (ko) * 2000-04-06 2000-07-05 유문재 인삼 및 생약을 포함하는 한방 스포츠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00066777A (ko) * 1999-04-21 2000-11-15 김정희 구강구취제거, 숙취해독 및 피로회복을 위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 방법
KR20020078467A (ko) * 2001-04-03 2002-10-19 김기준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4627B1 (en) * 2002-03-20 2003-02-25 Daehan Biolink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llergic diseases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US20040105902A1 (en) * 2002-12-02 2004-06-03 Jiafang Ch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rostate canc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7065A (ja) * 1995-01-09 1996-07-23 Nitsuchiyuu Kyoei Kigyo:Kk 飲料茶葉
KR980008056A (ko) * 1996-07-26 1998-04-30 김윤배 항스트레스 조성물
KR20000066777A (ko) * 1999-04-21 2000-11-15 김정희 구강구취제거, 숙취해독 및 피로회복을 위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 방법
KR20000037056A (ko) * 2000-04-06 2000-07-05 유문재 인삼 및 생약을 포함하는 한방 스포츠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078467A (ko) * 2001-04-03 2002-10-19 김기준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 Atractylodis Rhizoma is used at treatment of lassitude [*** (herb medicine) great dictionary" subjects pons" young Rim corp" 1025-1026 side].&lt;UNREGNOUN&gt;향약 창출은 권태감의 치료에 사용된다[향약(생약)대사전, 신민교, 영림사, 1025-1026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05147B2 (en) 2006-02-28
KR20020063143A (ko) 2002-08-01
US20030232096A1 (en)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ifa et al. Inflammasome activation is reactive oxygen species dependent and mediates irinotecan-induced mucositis through IL-1β and IL-18 in mice
CN103501785B (zh) 用于治疗脑肿瘤的csf-1r抑制剂
CN101166537B (zh) 全血中基因的体外表达作为评定对饮食补充物个体差异的模型
Chiu et al. Hypoxia/reoxygenation impairs memory formation via adenosine-dependent activation of caspase 1
Son et al. Effects of supplementation with higher levels of manganese and magnesium on immune function
KR100634910B1 (ko)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간 mRNA수준을 변이시키는피로회복 조성물
Zhu et al. Amorphous selenium inhibits oxidative stress injury of neurons in vascular dementia rats by activating nmdar pathway
Zhang et al. Propofol-induced developmental neurotoxicity: from mechanisms to therapeutic strategies
Angulo et al. Effect of typical and atypical neuroleptic treatment on protachykinin mRNA levels in the striatum of the rat
CN111249262B (zh) 烷基间苯二酚类化合物在制备预防或治疗阿兹海默症的药物的应用
CN104666349A (zh) 含有蛋壳膜成分的胰岛素抵抗改善剂以及使用该改善剂的组合物
CN101623277B (zh) 芬维a胺及其活性衍生物的新用途及其药物组合物
JP2021517886A (ja) 口腔癌治療用の医薬の製造ためのジンセノサイドm1の使用
WO2021052153A1 (zh) 环磷酸腺苷、其衍生物或其前体药物在制备预防和/或治疗抑郁症药物中的用途
JP6441364B2 (ja) ジベンゾ−アルファ−ピロンを用いた体重増加制御
Hahn et al. Amputation and dexniguldipine as treatment for canine appendicular osteosarcoma
ES2899101T3 (es) Composiciones botánicas de Salvia officinalis con actividad para extender la vida cronológica y sus usos
Roche et al. Radiation-induced reductions in transporter mRNA levels parallel reductions in intestinal sugar transport
KR20210108748A (ko)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개선용 조성물
Taslim et al. Effects of Channa striata Extract on Albumin Serum and Neutrophil-to-Lymphocyte Ratio in Hyperglycemic Rats with Wound Injury: A Randomized Control Study. Open Access Maced J Med Sci. 2022 Jan 18; 10 (A): 450-455
RU2634572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нарушений в эритроидном ростке кроветворения, вызванных цитостатическим воздействием
John et al. The In-Vitro Anti-Inflammatory And Anti-Haemolytic Activity Of The Stem Bark Methanol Extract Of Khaya Senegalensis
CN102210691A (zh) 山楂酸及其衍生物在制备抑制破骨细胞分化和功能的治疗和/或预防药物中的应用
CN114432455A (zh) 一种慢性疼痛-抑郁共病治疗药物的制备及其应用
Lee et al. Synergic effects of mixed formula consisted of polycan and calcium-gluconate on the experimental periodontitis and alveolar bone loss in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823

Effective date: 200608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