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442B1 -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442B1
KR100634442B1 KR1020060089139A KR20060089139A KR100634442B1 KR 100634442 B1 KR100634442 B1 KR 100634442B1 KR 1020060089139 A KR1020060089139 A KR 1020060089139A KR 20060089139 A KR20060089139 A KR 20060089139A KR 100634442 B1 KR100634442 B1 KR 100634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
lever
rod
pivot member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성
Priority to KR1020060089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조정레버(lever)에 관한 것으로, 지게차의 일측에 리프트로드(rod)(L)를 가로지르는 방향의 제1회전축(15)을 중심으로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측방향 선회부재(10)와,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10)의 일측에 틸트로드(rod)(T)를 결합시키는 결합핀(16), 상기 제1회전축(15)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제2회전축(25)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10)에 구비되는 전후방향 선회부재(20), 상기 리프트로드(L)의 선단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전후방향 선회부재(20)에 고정되는 힌지핀(26), 상기 전후방향 선회부재(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조정레버(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하나의 조정레버로 틸트로드와 리프트로드를 모두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작이 용이하고, 기존의 유압컨트롤밸브와 시스템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존 제품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기계적인 구조로 오동작의 염려가 없게 된다.
지게차, 밸브, 레버, 틸트, 리트프, 포크, 마스트

Description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A DEVICE FOR ADJUSTING LEVER OF A FORKLIFT MECHANISM}
도 1은 통상의 지게차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지게차 작동레버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과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도 4에 도시된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 측단면도,
도 8은 도 6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 측단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도 4에 도시된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의 측방향 선회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4에 도시된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의 전후방향 선회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정레버의 손잡이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측방향 선회부재 15 : 제1회전축
16 : 결합핀 20 : 전후방향 선회부재
25 : 제2회전축 26 : 힌지핀
27 : 링크부재 30 : 조정레버
40,140 : 펌프제어스위치 T : 틸트로드
L : 리프트로드 T1 : 장공
P : 플레이트
미국특허공보 제6,273,669호에는 "지게차의 틸트와 리프트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하나의 레버(SINGLE LEVER WITH BUTTON FOR SELECTIVELY CONTROLLING EITHER TILT OR LIFT OF A FORKLIFT MECHANISM)"에 관한 기술내용에 개시되어 있다. 이 미국특허기술은 레버의 회전량 또는 위치를 전자적인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감지하여 이 신호에 의해 콘트롤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두 개의 밸브 를 하나의 레버로 제어 및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와 마스트를 조정하는 조작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조작레버로써 포크의 승하강 작동과 마스트의 경사각 조절 작동을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가 개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전면부에 다단식의 슬라이드 타입으로 수직되게 마스트(102)가 설치되고, 상기 마스트(102)에는 화물(104)을 적재하여 리프트할 수 있도록 된 포크(106)가 설치되며, 상기 포크(106)는 리프트실린더에 의해 작동하고, 상기 마스트(102) 후미에는 기울기를 조정하면서 지지하는 틸트실린더(108)가 설치된다. 이러한 리프트실린더와 틸트실린더(108)는 콘트롤밸브(V)의 스풀을 승하강시키는 리프트로드(L)와 틸트로드(T)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상기 리프트로드(L)와 틸트로드(T)는 각각의 독립적인 두 개의 작동레버(120)(130)에 의해 조정되는데, 이러한 두 개의 레버장치는 작업자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조정되어 리프트레버(120)와 틸트레버(130)를 각각 조작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예를 들어, 포크(106)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마스트(102)를 지면에 대하여 90°이상으로 기울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리프트레버(120)와 틸트레버(130)를 동시에 잡아당겨야 한다. 또 다른 작업에서는 포크(106)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마스트(102)를 (지면에 대하여) 90°이하가 되도록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 는데, 이러한 작동을 얻기 위해서는 리프트레버(120)를 잡아당김과 동시에, 틸트레버(130)를 밀어내는 동작을 해야 한다. 이처럼, 두 개의 레버를 동시에 조작하기 위해서는 양 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므로, 리프트레버(120)와 틸트레버(130)를 조작하는 동안에는 핸들 또는 혼(horn)의 조작이 불가능할 수밖에 없었다. 도 2에서 도면부호 140은 리프트레버(120)이 최대로 잡아 당겨진 상태를 인식하여 유압펌프의 출력을 증대시키도록 제어하는 펌프제어스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작업자에게는 리프트레버와 틸트레버를 각각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해 많은 숙련과 노력이 요구되므로 작업자의 순간적인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데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하므로 작업의 불편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특허공보 제6,273,669호에는 "지게차의 틸트와 리프트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하나의 레버(SINGLE LEVER WITH BUTTON FOR SELECTIVELY CONTROLLING EITHER TILT OR LIFT OF A FORKLIFT MECHANISM)"에 관한 기술내용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미국특허기술은 두 개의 밸브를 하나의 레버로 제어할 수 있기는 하나, 레버의 회전량 또는 위치를 전자적인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감지하여 이 신호에 의해 콘트롤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으므로, 열악한 작업환경에서 사용되는 지게차의 특성상 감지센서의 고장이 잦을 수밖에 없으며, 기존에 설계되었거나 제작된 지게차에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하나의 조정레버로 기계적인 구동방식에 의해 틸트로드와 리프트로드를 모두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지게차 레버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는, 지게차의 포크를 승강작동시키기 위해 콘트롤밸브의 리프트스풀을 작동시키는 리프트로드와, 마스트를 선회시키기 위해 콘트롤밸브의 틸트스풀을 작동시키는 틸트로드를 조정하는 지게차의 레버조정장치에 있어서, 지게차의 운전석 앞쪽 플레이트에 상기 리프트로드를 가로지르는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틸트로드 또는 리프트로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피봇결합되는 측방향 선회부재와;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의 회전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에 구비되어, 나머지 하나의 로드가 피봇결합되는 전후방향 선회부재; 및 상기 전후방향 선회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조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리프트로드의 선단은 전후방향 선회부재의 회전축에 편심된 힌지핀에 의해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리프트로드의 선단이 전후방향 선회부재의 회전축에 편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후방향 선회부재에는 링크부재가 고정되어 이 링크부재의 끝단부에 상기 힌지핀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틸트로드의 선단에는 볼 타입의 핀이 삽입된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의 일측에 고정된 볼 타입의 결합핀과 볼 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향 선회부재의 최대 선회각도 여부를 인식하는 펌프제어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는, 지게차의 일측(즉, 운전석 앞의 플레이트)에 리프트로드(L)를 가로지르는 방향의 제1회전축(15)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패널(P)에 구비되는 측방향 선회부재(10)와,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10)의 일측에 틸트로드(T)를 결합시키는 결합핀(16),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10)의 일측에 상기 제1회전축(15)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제2회전축(25)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후방향 선회부재(20), 상기 리프트로드(L)의 선단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핀(26), 상기 전후방향 선회부재(20)와 힌지핀(26)을 링크결합시키는 링크부재(27), 상기 전후방향 선회부재(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조정레버(30)를 포함한다.
상기 틸트로드(T)는 마스트를 선회시키기 위해 콘트롤밸브(V)의 틸트스풀을 작동시키고, 상기 리프트로드(L)는 지게차의 포크를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해 콘트롤밸브(V)의 리프트스풀을 작동시킨다.
상기 틸트로드(T)와 리프트로드(L)는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틸트스풀과 리프트스풀을 각각 작동시키게 된다.
지게차의 조정석 플레이트(P) 일측에 제1회전축(15)이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15)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15)을 회전 중심으로 좌우 양측 방향으로 선회가 가능한 측방향 선회부재(1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10)의 외측(즉, 다시 말해 상기 제1회전축(15)에 편심된 위치)에는 결합핀(16)이 상기 제1회전축(15)에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고정되어 결합되고, 이 결합핀(16)은 상기 틸트로드(T)의 선단에 형성된 장공(T1)에 피봇(pivot) 결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틸트로드(T)의 선단과 상기 결합핀(16)의 결합, 그리고 상기 리프트로드(L)의 선단과 상기 힌지핀(26)과의 결합은 볼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틸트로드(T)의 선단과 상기 결합핀(16)을 볼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10)가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방향 선회부재(20)가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결합핀(16)과 상기 틸트로드(T)가 이루는 각도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로드(L) 선단과 힌지핀(26)을 볼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후방향 선회부재(20)가 전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측방향 선회부재(10)가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힌지핀(16)과 상기 리프트로드(L)가 이루는 각도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즉, 측방향과 전후방향 회전이 되었을 때에도 상기 두 로드(T)(L)의 선단이 각각 결합된 핀(16)(26)의 결합부에는 아무런 영향이 미치지 않으며, 이 결합부는 임의의 방향으로 선회가 가능하게 한다.
도 3 내지 도 8에서 도면부호 40은 리프트실린더로 유압을 공급하는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펌프제어스위치(40)를 도시한 것으로서, 조정레버(3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선회방향에 관계없이(즉, 조정레버가 좌측으로 선회된 상태이거나, 측방향 회전 없이 중립상태이거나 또는 우측으로 선회된 상태이거나에 관계없이) 조정레버를 당기게 되면, 상기 조정레버(30)의 선회각도에 따라 리프트스풀의 밸브가 개방에 의해 리프트실린더로 유압이 공급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상승하게 된다. 이 때, 만약 상기 조정레버(30)를 최대한 당긴 상태라면, 밸브는 최대로 개방되어 최대한 많은 양의 오일이 리프트실린더로 공급될 것인데, 이 상태에서는 유압펌프가 최대출력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충분한 유압력을 유지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기 펌프제어스위치(40)는 상기 조정레버(30)가 최대한 당겨진 상태임을 인식하여, 유압펌프 고출력을 제어하도록 한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10)가 제1회전축(15)을 중심으로 축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결합핀(16)이 측방향 선회부재(10)와 함께 일체로 상기 제1회전축(1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결합핀(16)에 피봇 결합된 틸트로드(T)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10)에는 제2회전축(25)을 중심으로 전후방향 선회부재(20)가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제2회전축(25)은 상기 제1회전축(15)과 직각으로 교차되는 회전축으로서 조정레버(30)는 상기 제2회전축(25)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회전축(25)은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10)와 상기 전후방향 선회부재(20)를 서로 수직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10)가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선회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방향 선회부재(20)에 의해 상기 조정레버(30)를 앞 방향으로 밀거나 운전자 쪽으로 당길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정레버(30)는 상기 전후방향 선회부재(20)에 고정되어 결합되며, 상기 전후방향 선회부재(20)의 일측에는 링크부재(27)가 고정되어 결합되고, 상기 링크부재(27)에는 리프트로드(L)가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핀(26)이 고정된다. 즉, 상기 힌지핀(26)은 상기 링크부재(27)에 의해 제2회전축(25)에 편심되어 고정 결합됨으로써, 상기 조정레버(30)를 앞 방향으로 밀거나, 뒷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힌지핀(26)에 선단이 힌지 결합된 리프트로드(L)가 승하강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조정레버(30)를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움직여 포크의 승하강 및 마스크의 경사각 조절을 제어하는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조정레버(30)를 제2회전축(25)을 중심으로 선회(전후방향)시키게 되면 전후방향 선회부재(20)가 제2회전축(25)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리프트로드(L)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조정레버(30)를 제1회전축(15)을 중심으로 선회(측방향)시키게 되면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10)가 제1회전축(15)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틸트로드(T)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조정레버(30)를 전후방향 또는 좌우측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하나의 조정레버(30)만으로 리프트로드(L)와 틸트로드(T)를 모두 그리고 동시에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과정에 있어서, 상기 펌프제어스위치(40)는 상기 링크부재(27)의 직상방에 설치됨으로써, 전후방향 선회부재(20)가 제2회전축(25)를 중심으로 하여 최대로 당겨지게 될 때 링크부재(27)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펌프제어스위치(40)는 이 신호를 감지하여 유압펌프의 출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즉, 사용자에 따라서는 조정레버를 당기거나 미는 동작을 할 때에 마스크의 경사각이 조절되고, 조정레버를 좌우로 선회시키는 동작에 의해 포크가 승하강되는 작동방식에 훨씬 더 쉽게 적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정레버의 각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을 바꾸는 변경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만약, 조정레버의 밀고 당김에 의해 포크의 승하강이 조절되고, 좌우 선회에 의해 마스크의 경사각 조절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리프트로드와 틸트로드의 위치 교환(즉, 틸트로드(T)를 전후방향 선회부재(20)에 연결된 힌지핀(26)에 결합시키고 리프트로드(L)를 측방향 선회부재(10)에 연결된 결합핀(16)에 결합시키는 것)과, 펌프제어스위치(40)의 위치변경만으로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펌프제어스위치(40)는 전후방향 선회부재(20)의 선회여부에 관계없이 측방향 선회부재(10)가 최대로 회전된 상태(즉, 리프트로드(L)가 최대로 상승된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되,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10)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이면 충분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정레버(30)의 손잡이(31)에는, 지게차의 전후진 동작을 제어하는 전후진 선택버튼(32), 경적(horn)스위치(33) 또는 비상 점멸스위치(34) 등과 같은 차량 운전에 필요한 각종 조작버튼들(예를 들면, 방향지시등 스위치, 전조등 스위치, 와이퍼 작동스위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운전에 필요한 조작버튼들을 본 발명에 의한 조정레버의 손잡이(31)에 구비함으로써, 운전자는 한 손으로는 핸들을 잡고(대개는 왼손을 사용 하여 핸들을 잡음), 다른 한 손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정레버(30)의 손잡이(31)를 잡고(대개 오른손을 사용하여 잡음) 전후진 운행과 수하물 하역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과 작업의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조정레버로 틸트로드와 리프트로드를 모두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포크 및 마스터의 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포크 및 마스터의 조작과 동시에 지게차의 전후진 운전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지게차 레버 조정장치는 기존의 유압컨트롤밸브와 시스템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기존 제품에 특히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기계적인 구동구조이기 때문에 오동작의 염려가 없어 지게차 기술분야에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지게차의 포크를 승강작동시키기 위해 콘트롤밸브의 리프트스풀을 작동시키는 리프트로드와, 마스트를 선회시키기 위해 콘트롤밸브의 틸트스풀을 작동시키는 틸트로드를 조정하는 지게차의 레버조정장치에 있어서,
    지게차의 일측에 상기 리프트로드를 가로지르는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며, 상기 틸트로드와 리프트로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피봇 결합되는 측방향 선회부재;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의 일측에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의 회전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며,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에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로드가 피봇결합되는 전후방향 선회부재; 및
    상기 전후방향 선회부재에 구비되는 조정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조정레버로써 포크의 승하강 작동과 마스트의 경사각 조절 작동을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로드의 선단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핀; 및
    일단은 상기 전후방향 선회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힌지핀이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로드는,
    선단에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의 일측에 고정된 결합핀에 의해 볼 조인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선회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전후방향 선회부재의 최대 선회상태를 인식하여 유압펌프의 출력을 제어하는 펌프제어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레버의 손잡이에는, 지게차의 전후진 동작을 제어하는 전후진 선택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레버의 손잡이에는, 경적(horn)스위치, 비상 점멸스위치, 방향지시등 스위치, 전조등 스위치, 와이퍼 작동스위치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더 추가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
KR1020060089139A 2006-09-14 2006-09-14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 KR100634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139A KR100634442B1 (ko) 2006-09-14 2006-09-14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139A KR100634442B1 (ko) 2006-09-14 2006-09-14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4442B1 true KR100634442B1 (ko) 2006-10-16

Family

ID=3762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139A KR100634442B1 (ko) 2006-09-14 2006-09-14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44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4658B2 (en) Steering system with joystick mounted controls
US7957866B2 (en) Travel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ES2336307T3 (es) Parametros de control seleccionables en una maquina de potencia.
CA3017602C (en) Variable engine speed control
ES2301571T3 (es) Palanca de mando de direccion de maquina motriz con entrada de guiado filtrada.
US7874396B2 (en) Multiple function control system for work machine
US6866113B2 (en) Forklift with transverse travel system
US8087489B2 (en) Articulated construction vehicle including a lever-operated electrical Control device
CA2506964A1 (en) Automatic swinging drawbar system
KR100634442B1 (ko) 지게차의 레버 조정장치
US9624646B2 (en) Work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working machine
US20020070071A1 (en) Electro-hydraulic load sense on a power machine
JP2001306168A (ja) 油圧装置の操作レバー
JP3734489B2 (ja) 四輪駆動型の農用トラクタ
JP3688148B2 (ja) 四輪駆動型の農用トラクタ
WO2021186850A1 (ja) モータグレーダおよびモータグレーダの制御方法
JP2007038778A (ja) 作業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3688195B2 (ja) 四輪駆動型の農用トラクタ
JP3688196B2 (ja) 四輪駆動型の農用トラクタ
JP2015175157A (ja) 建設機械の操作器
JP3197722B2 (ja) モータグレーダのブレード旋回操作装置
JPH10236797A (ja) リフト装置
JP2000083410A (ja) 作業機昇降制御装置
JP2002366241A (ja) 車両の操作装置
JPH06167033A (ja) モータグレーダの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