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163B1 -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163B1
KR100633163B1 KR1020050054519A KR20050054519A KR100633163B1 KR 100633163 B1 KR100633163 B1 KR 100633163B1 KR 1020050054519 A KR1020050054519 A KR 1020050054519A KR 20050054519 A KR20050054519 A KR 20050054519A KR 100633163 B1 KR100633163 B1 KR 100633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put
unit
electronic devic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4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163B1/ko
Priority to US11/437,715 priority patent/US8046594B2/en
Priority to CNB2006100932567A priority patent/CN100471003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Sourc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다수의 전자부품과; 전원스위칭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스위칭부와; 외부로부터 제1 전원이 입력되는 제1 전원입력부와; 외부로부터 제2 전원이 입력되는 제2 전원입력부와; 상기 제1 전원을 상기 각 전자부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레벨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각 전자부품에 공급하는 전원변환부와;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원변환부가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스위칭부로부터의 상기 전원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변환부의 인에이블 여부를 제어하는 전원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2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제2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전원이 제어되면서도 제1 전자 디바이스와는 독립적으로 전원이 자체 제어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관리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전원관리부의 각 핀의 상태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스위칭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컴퓨터 본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컴퓨터 본체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도 5의 콘솔 스탠드의 각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5의 모니터 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12는 도 5의 모니터 장치의 전원 관리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5의 모니터 장치의 통합포트의 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5의 디바이스 연결케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제1 전원입력부 220 : 제2 전원입력부
230 : 전원변환부 240 : 전원관리부
250 : 전원스위칭부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으며 제1 디바이스에 의한 전원 제어 및 자체 전원 제어가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가정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AV(Audio/Video) 시스템 등과 같이 다수의 개별 전자 디바이스들이 상호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컴퓨터 시스템의 경우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 장치가 상호 연결되어 사용되고, AV 시스템의 경우 DVD 플레이어, TV 및 앰프 등이 상호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컴퓨터 시스템과 AV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바이스들이 상호 연결되어 사용되어 하나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전자 디바이스, 예컨대, 컴퓨터 본체, 모니터 장치, DVD 플레이어, TV나 앰프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있고 전원 버튼 또한 각 전자 디바이스에 개별적으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각 전자 디바이스를 켜고자 하는 경우 각 전자 디바이스에 마련된 전원 버튼을 각각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이하, '제2 전자 디바이스'라 함)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이하, '제1 전자 디바이스'라 함)로부터 그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면, 제1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2 전자 디바이스로 공급되는 전원의 제어에 따라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 관리가 가능해져 편리할 것이다.
또한, 제1 전자 디바이스와 제2 전자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제2 전자 디바이스를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 뿐 아니라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다면 편리할 것이다.
그리고, 제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따라 전원이 관리되는 제2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전자 디바이스가 아닌 다른 전원소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다양한 전원소스의 선택이 가능하여 편리할 것이다. 이 경우,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전자 디바이스와는 독립적으로 전원이 제어될 수 있다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2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제2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전원이 제어되면서도 제1 전자 디바이스와는 독립적으로 전원이 자체 제어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전자부품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있 어서, 전원스위칭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스위칭부와; 복수의 외부 전원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1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는 제1 전원입력부와; 상기 외부 전원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2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는 제2 전원입력부와; 상기 제1 전원을 상기 각 전자부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레벨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각 전자부품에 공급하는 전원변환부와;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원변환부가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스위칭부로부터의 상기 전원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변환부의 인에이블 여부를 제어하는 전원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변환부는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관리부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원입력부로부터의 상기 제1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변환부는 상기 제1 전원의 전압 레벨을 상기 각 전자부품의 구동에 필요한 상호 상이한 전압 레벨의 복수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관리부는 상기 제2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논리값이 결정되는 프리셋 입력단자와, 상기 제1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논리값이 결정되는 J 입력단자 및 K 입력단자와, 상기 전원스위칭부로부터의 상기 전원스위칭신호가 입력되는 클럭 입력단자와, 상기 프리셋 입력단자, 상기 J 입력단자, 상기 K 입력 단자 및 상기 클럭 입력단자의 논리값에 따라 상기 전원변환부의 인에이블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Q 출력단자를 갖는 JK 플립플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JK 플립플롭의 상기 프리셋 입력단자는 상기 제2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Q 출력단자로부터 상기 전원변환부가 인에이블되게 하는 논리값을 갖는 인에이블 신호가 출력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클럭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전원스위칭신호의 논리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Q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의 논리값이 가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전원 디바이스는 상용 전원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입력부는 상기 상용 전원 어댑터의 DC 접속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전원출력부와, 제2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전원출력부를 갖는 제1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다수의 전자부품과, 전원스위칭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스위칭부와,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제1 전원과 소정의 외부 전원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1 전원입력부와,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2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는 제2 전원입력부와, 상기 제1 전원을 상기 각 전자부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레벨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각 전자부품에 공급하는 전원변환부와,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 기 제2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원변환부가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스위칭부로부터의 상기 전원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변환부의 인에이블 여부를 제어하는 전원관리부를 갖는 제2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변환부는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관리부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원입력부로부터의 상기 제1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변환부는 상기 제1 전원의 전압 레벨을 상기 각 전자부품의 구동에 필요한 상호 상이한 전압 레벨의 복수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관리부는 상기 제2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논리값이 결정되는 프리셋 입력단자와, 상기 제1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논리값이 결정되는 J 입력단자 및 K 입력단자와, 상기 전원스위칭부로부터의 상기 전원스위칭신호가 입력되는 클럭 입력단자와, 상기 프리셋 입력단자, 상기 J 입력단자, 상기 K 입력단자 및 상기 클럭 입력단자의 논리값에 따라 상기 전원변환부의 인에이블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Q 출력단자를 갖는 JK 플립플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JK 플립플롭의 상기 프리셋 입력단자는 상기 제2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Q 출력단자로부터 상기 전원변환부가 인에이블되게 하는 논리값을 갖는 인에이블 신호가 출력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클럭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전원스위칭신호의 논리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Q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의 논리값이 가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전원 디바이스는 상용 전원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입력부는 상용 전원 어댑터의 DC 접속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전원출력부와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전원입력부 간을 연결하는 제1 전원 케이블과;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제2 전원출력부와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제2 전원입력부 간을 연결하는 제2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포트를 포함한 복수의 제1 입출력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제1 입출력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합포트와, 외부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복수의 제2 입출력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통합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통합포트와 상기 제2 입출력 포트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 입출력 포트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제1 커넥터와, 상기 통합포트에 접속되는 제2 커넥터와, 상기 복수의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합 케이블을 갖는 디바이스 연결 케이블을 더 포 함하고; 상기 제2 전원 케이블은 상기 디바이스 연결 케이블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 연결 케이블의 신호 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전원스위칭신호는 상기 통합포트, 상기 디바이스 연결 케이블 및 상기 제1 입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전달되고;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1 입출력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전원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의 출력 여부를 제어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되는 상태는 상기 외부 전원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스위칭부(250), 제1 전원입력부(210), 제2 전원입력부(220), 전원변환부(230) 및 전원관리부(240)를 포함한다.
전원스위칭부(2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스위칭신호(PWR_LD)를 출력한다. 여기서, 전원스위칭부(250)는 전자 디바이스(200)의 외측 어느 일 영역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스위칭신호(PWR_LD)를 출력하는 버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전원스위칭부(250)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전원스위칭신호(PWR_LD)를 출력하는 무선신호수신부(331)를 포함하는 리모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원입력부(210)로는 외부로부터 제1 전원(VDC)이 입력된다. 그리고, 제2 전원입력부(220)로는 외부로부터 제2 전원(VSB)이 입력된다. 여기서, 제1 전원(VDC) 및 제2 전원(VSB)은 상호 상이한 전압 레벨의 직류전원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원(VDC)은 전자 디바이스(200)를 구성하는 다수의 전자부품(300)의 구동에 필요한 메인전원(VDC)일 수 있고, 제2 전원(VSB)은 전자 디바이스(200)의 특정 전자부품(300),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2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도 전원이 인가된 상태로 유지되는 마이컴(330, 도 11 참조) 등의 구동에 사용되는 스탠바이전원(VSB)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전원(VDC)이 메인전원(VDC)이고, 제2 전원(VSB)이 스탠바이전원(VSB)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전원입력부(210)는 상용 전원 어댑터의 DC 접속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다른 외부 전원 디바이스, 예컨대, 후술할 다른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메인전원(VDC)을 공급받거나 상용 전원 어댑터로부터 메인전원(VDC)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에 메인전원(VDC) 및 스탠바이전원(VSB)을 공급하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200)를 제1 전자 디바이스(100)라 정의 하고, 메인전원(VDC) 및 스탠바이전원(VSB)을 공급받는 전자 디바이스(200)를 제2 전자 디바이스(200)라 정의하여 설명한다.
전원변환부(230)는 제1 전원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메인전원(VDC)을 전자부품(3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레벨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전자부품(300)에 공급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변환부(230)는 메인전원(VDC)의 전압 레벨을 각 전자부품(300)의 구동에 필요한 상호 상이한 전압 레벨의 복수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DC/DC 컨버터는 메인전원(VDC)의 전압 레벨을 5V나 3.3V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전자부품(300)에 공급할 수 있다.
전원관리부(240)는 제2 전원입력부(220)를 통해 스탠바이전원(VSB)이 입력되는지 여부와 전원스위칭부(250)로부터의 전원스위칭신호(PWR_LD)에 기초하여, 전원변환부(230)의 인에이블 여부를 제어한다.
여기서, 전원관리부(240)는 제2 전원입력부(220)를 통해 스탠바이전원(VSB)이 입력되는 경우 전원변환부(230)가 인에이블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전원변환부(230)는 제2 전원입력부(220)를 통해 스탠바이전원(VSB)이 입력되는 상태에서는 항상 동작 가능한 상태로 인에이블된다.
이 때, 제2 전원입력부(220)를 통해 스탠바이전원(VSB)이 입력되는 상태에서 는 제1 전원입력부(210)로부터의 메인전원(VDC)의 공급 여부에 따라 전원변환부(230)의 동작 여부가 결정된다. 즉, 제2 전자 디바이스(200)의 전자부품(300)으로부터 전원 공급 여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메인전원(VDC)의 공급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따라, 제1 전원입력부(210)가 제1 전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경우, 제1 전자 디바이스(100)가 메인전원(VDC)의 공급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제2 전자 디바이스(200)의 전원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제2 전원입력부(220)를 통해 스탠바이전원(VSB)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전원관리부(240)는 전원스위칭부(250)로부터의 전원스위칭신호(PWR_LD)에 따라 전원변환부(230)의 인에이블 여부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스탠바이전원(VSB)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스위칭부(250)의 조작을 통해 제2 전자 디바이스(200)의 전원을 관리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전자 디바이스(200)의 제1 전원입력부(210) 및 제2 전원입력부(220)가 제1 전자 디바이스(100)로부터 메인전원(VDC) 및 스탠바이전원(VSB)을 공급받고, 제1 전자 디바이스(100)가 메인전원(VDC) 및 스탠바이전원(VSB)의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제2 전자 디바이스(200)의 전원은 제1 전자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전자 디바이스(200)가 메인전원(VDC)을 다른 전원소스나 어댑터 등으로부터 공급 받고 해당 전원소스가 스탠바이전원(VSB)을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 메인전원(VDC)의 공급을 통해 전자부품(300)의 구동이 가능해지고 전원스위칭부(250)로부터의 전원스위칭신호(PWR_LD)에 따라 제2 전자 디바이스(200)의 전원이 관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관리부(240)의 일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관리부(240)는 스탠바이전원(VSB)의 입력 여부, 메인전원(VDC)의 입력 여부 및 전원스위칭신호(PWR_LD)에 따라 전원변환부(230)의 인에이블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PWR_IO)를 출력하는 JK 플립플롭(241)(Flip-Flop)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JK 플립플롭(24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바이전원(VSB)의 공급 여부에 따라 논리값이 결정되는 프리셋 입력단자와, 메인전원(VDC)의 공급 여부에 따라 논리값이 결정된 J 입력단자 및 K 입력단자와, 전원스위칭부(250)로부터의 전원스위칭신호(PWR_LD)가 입력되는 클럭 입력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JK 플립플롭(241)은 프리셋 입력단자, J 입력단자, K 입력단자 및 클럭 입력단자의 논리값에 따라 논리값이 가변되는 인에이블 신호(PWR_IO)가 출력되는 Q 출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JK 플립플롭(241)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 전원입력부(210)를 통해 메인전원(VDC)이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는 J 입력단자 및 K 입력단자가 하이(High) 레벨로 유지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관리부(240)는 제1 전원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메인전원(VDC)에 따라 J 입력단자 및 K 입력단자를 하이 레벨로 유지시키기 위한 분압 저항 및 커패시터들을 포함할 수있다.
그리고, 제2 전원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스탠바이전원(VSB)은 스위칭소자(242), 예컨대, MOS-FET의 게이트단에 인가되어 스위칭소자(242)를 턴온시킨다. 그리고, 스위칭소자(242)의 턴온에 따라 JK 플립플롭(241)의 프리셋 입력단자는 로우 상태가 되어, Q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인에이블 신호(PWR_IO)는 J 입력단자, K 입력단자, 클럭 입력단자 및 클리어 입력단자(하이 상태)의 상태 변화와 무관하게 하이 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전원변환부(230)는 제2 전원입력부(220)를 통해 스탠바이전원(VSB)이 입력되는 상태에서는 인에이블 상태로 유지된다.
반면, 제2 전원입력부(220)를 통해 스탠바이전원(VSB)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스위칭소자(242)가 턴오프되어 JK 플립플롭(241)의 프리셋 입력단자는 하이 상태로 전환된다. 이 때, J 입력단자, K 입력단자 및 클리어 입력단자는 메인전원(VDC)의 공급에 따라 하이 상태로 유지되는 바, JK 플립플롭(241)의 특성에 따라 Q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인에이블 신호(PWR_IO)의 상태는 클럭 입력단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JK 플립플롭(241)은 하강 모서리 트리거(Negative- edge trigger) 방식의 플립플롭(241)을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에 따라, 클럭 입력단자의 상태, 즉 전원스위칭부(250)로부터의 전원스위칭신호(PWR_LD)의 논리값이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전환될 때마다, Q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인에이블 신호(PWR_IO)의 상태가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또는 로우 상태에서 하이 상태로 전환된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JK 플립플롭(241)의 각 입력단자 및 Q 출력단자의 상태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Q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인에이블 신호(PWR_IO)의 상태는 프리셋 입력단자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는 상태, 즉, 스탠바이전원(VSB)이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하이 레벨을 유지하고, 프리셋 입력단자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는 상태, 즉, 스탠바이전원(VSB)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클럭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스위칭신호(PWR_LD)의 상태 변화에 따라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전자 디바이스(200)의 전원스위칭부(25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스위칭부(2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251)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4의 PWRBTN* 단은 하이 상태로 유지되며, 스위치(251)의 온/오프에 따라, 전원스위칭신호(PWR_LD)를 출력한다. 여기서, PWRBTN* 단은 후술할 컴퓨터 본체(100)의 ICH(122)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컴퓨터 본체(100)는 전원스 위칭부(25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스위칭부(250)는 별도의 전원 동작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MIO_PWBTN 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IO_PWBTN 단에는 리모콘의 동작에 따라 온/오프되는 무선신호수신부(331, 도 11 참조)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MIO_PWBTN 단의 상태 변화 또한 컴퓨터 본체(100)의 ICH(122)가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MIO_PWBTN 단의 상태 변화는 마이컴(330)을 통해 감지되어 컴퓨터 본체(100)에 전달함으로써, 컴퓨터 본체(100)의 ICH(122)는 PWRBTN* 단의 상태 변화가 스위치(251)의 동작에 의한 것인지 MIO_PWBTN 단의 상태 변환에 의한 것인지 구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10)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10)을 설명함에 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디바이스(100)가 컴퓨터이고, 제2 전자 디바이스(200)가 모니터 장치(200)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모니터 장치(200)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2 전자 디바이스(2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100)와, 모니터 장치(200)와, 컴퓨터 본체(100)와 모니터 장치(200) 간을 연결하는 디바이스 연결케이블(400)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본체(100)에는 복수의 제1 입출력 포트(150)가 마련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100)의 제1 입출력 포트(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100)의 배면 일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외에도, 제1 입출력 포트(150)는 컴퓨터 본체(100)의 전면, 또는 측면 일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컴퓨터 본체(100)에 마련된 제1 입출력 포트(150)는 모니터 장치(200)에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영상포트(151),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규격의 적어도 하나의 본체 USB 포트(153), IEEE 1394 인터페이스 규격의 본체 1394 포트(1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입출력 포트(150)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본체 제어포트(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 제어포트(154)는 컴퓨터 본체(100)의 시스템 컨트롤러(127)와 모니터 장치(200) 간에 제어신호를 교환하는데 사용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100)는 중앙처리장치인 CPU(110), GMCH(121)(Graphic Memory Control Hub) 및 ICH(122)(Input-output Control Hub) 등의 메인 칩셋(120), GMCH(121)에 연결되어 본체 영상포트(151)을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그래픽 어댑터(124), 램(125) 및 시스템 컨트롤러(12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본체(100)의 ICH(122) 내에는 본체 USB 포트(153)를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를 관리하는 USB 컨트롤러(123)가 마련된다. 여기서, USB 컨트롤러(1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ICH(122)의 일 기능으로 마련될 수 있고, ICH(122)와는 별도의 칩셋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127)는 ICH(122)에 연결되어, 컴퓨터 본체(100)의 전원 관리 및 기타 입출력신호를 제어한다. 여기서, 시스템 컨트롤러(127)은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30)의 전원 공급 여부를 관리한다.
여기서, 컴퓨터 본체(100)에는 전원공급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소정 전압 레벨의 직류전원인 메인전원(VDC)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전원출력부(141)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1 전원출력부(141)를 통해 출력되는 메인전원(VDC)은 모니터 장치(200)의 제1 전원입력부(210)를 통해 모니터 장치(200)에 공급된다. 또한, 컴퓨터 본체(100)의 전원공급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소정 레벨, 예컨대, DC 5V의 스텐바이전원(VSB)은 제2 전원출력부(142)를 통해 모니터 장치(200)에 공급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100)의 제2 전원출력부(142)는 본체 제어포트(154)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전원출력부(142)는 본체 제어포트(154)의 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할당되어 본체 제어포트(154)에 할당된 핀을 통해 스탠바이전원(VSB)을 모니터 장치(200)에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바이전원(VSB)의 공급을 위해 별도의 커넥터나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아, 컴퓨터 본체(100)와 모니터 장치(200) 간의 연결을 간소화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60)와, 디스플레이부(260)를 지지하는 콘솔 스탠드(27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0)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모듈(263)과, 디스플레이모듈(263) 상의 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방 개구된 프런트 케이스(262)와, 디스플레이모듈(263)이 수용되도록 프런트 케이스(262)와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26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모듈(263)은 디스플레이모듈(263)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과, 컴퓨터 본체(10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콘솔 스탠드(270)는 디스플레이부(260)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260)를 지지한다. 여기서, 콘솔 스탠드(270)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자부품(300)이 수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200)는 컴퓨터 본체(100)의 제1 입출력 포트(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합포트(274)와, 외부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복수의 제2 입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 장치(200)의 전자부품(300)은 전술한 디스플레이부(260)의 디스플레이패널 및 이미지 프로세서와, 통합포트(274)와 제2 입출력 포트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출력 포트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 스탠드(270)의 외측 일 영역에 마련된다. 여기서, 제2 입출력 포트는 USB 인터페이스 규격의 적어도 하나의 콘솔 USB 포트(271a,271b,271c,271d,271e)와, IEEE 1394 인터페이스 규격의 콘솔 1394 포트(272)와, 오디오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오디오 입출력 포트(275a,275b)와, 소정 규격의 메모리 카드가 접속되는 메모리 카드 슬롯 (273a,273b,273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솔 USB 포트(271a,271b,271c,271d,271e)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 스탠드(270)의 양 외측에 각각 두 개씩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다른 하나의 콘솔 USB 포트(271e)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 스탠드(270)의 후방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서는 외부 디바이스 중 키보드(30)가 콘솔 스탠드(270)의 후방 외측에 마련된 콘솔 USB 포트(271e)에 접속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마우스(50)가 콘솔 스탠드(270)의 우측 외측에 마련된 콘솔 USB 포트(271a)에 접속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솔 1394 포트(27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 스탠드(270)의 좌측에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입출력 포트(275a,275b)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 스탠드(270)의 좌측에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여기서, 오디오 입출력 포트(275a,275b)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위한 이어폰 단자(275a)와, 오디오 신호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 단자(27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입출력 포트(275a,275b)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위한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슬롯(273a,273b,273c)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 스탠드(270)의 좌측에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여기서, 메모리 카드 슬롯(273a,273b,273c)은 메모리 카드의 종류에 따라 적어도 2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서는 MC(Memory Stick : 메모리스틱), MC Pro, SD(Secure Digital), MMC(Multi Media Card)의 장착을 위한 제1 메모리 카드 슬롯(273a)과, CF(Compact Flash) 및 MD(Microdrive)의 장착을 위한 제2 메모리 카드 슬롯(273a)과, SMC(Smart Media Card) 및 xD Picture Card의 장착을 위한 제3 메모리 카드 슬롯(273a)이 콘솔 스탠드(270)의 좌측 일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한편, 통합포트(27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 스탠드(270)의 후방 외측에 마련된다. 여기서, 통합포트(274)에는 디바이스 연결케이블(400)의 후술할 제2 커넥터(420)가 접속된다. 이에 따라, 컴퓨터 본체(100)로부터 디바이스 연결케이블(400)을 통해 전달되는 영상신호 등의 신호가 디스플레이부(260) 및 제어모듈(310)에 전달되고, 제2 입출력 포트에 접속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어 제어모듈(310)을 거친 신호를 본체/콘솔 연결케이블을 통해 컴퓨터 본체(10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통합포트(274)의 핀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어모듈(310)은 통합포트(274)와 제1 입출력 포트(150)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3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USB 허브(310a,310b)와, USB/오디오 변환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310)은 2개의 USB 허브(310a,310b)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각각 제1 USB 허브(310a) 및 제2 USB 허브(310b)라 정의하여 설명한다.
제1 USB 허브(310a) 및 제2 USB 허브(310b)는 콘솔 USB 포트(271a,271b,271c,271d,271e) 및 콘솔 1394 포트(272)를 통한 USB 인터페이스 규격 에 따른 신호 교환을 관리한다. 그리고, 제1 USB 허브(310a) 및 제2 USB 허브(310b)는 통합포트(274)를 통해 컴퓨터 본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제1 USB 허브(310a)에 2개의 콘솔 USB 포트(이하, '제1 콘솔 USB 포트(271a)' 및 '제2 콘솔 USB 포트(271b)'라 함)가 연결되고, 제2 USB 허브(310b)에 2개의 콘솔 USB 포트(이하, '제3 콘솔 USB 포트(271c)' 및 '제4 콘솔 USB 포트(271d)'라 함)가 연결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콘솔 스탠드(270)의 후방 외측에 마련된 콘솔 USB 포트(이하, '제5 콘솔 USB 포트(271e)'라 함)가 제1 USB 허브(310a)에 연결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USB/오디오 변환부(311)는 제1 USB 허브(310a)와 연결되며, 제1 USB 허브(310a)로부터 출력되는 USB 인터페이스 규격의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USB/오디오 변환부(311)는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 단자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여기서, 이어폰 단자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컴퓨터 본체(100)로부터 통합포트(274)를 통해 USB 인터페이스 규격의 신호로 제1 USB 허브(310a)에 입력된다.
또한, USB/오디오 변환부(311)는 마이크 단자에 접속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USB 인터페이스 규약의 신호로 변환하여 제1 USB 허브(310a)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1 USB 허브(310a)는 USB/오디오 변환부(311)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USB 인터페이스 규약의 신호를 통합포트(274)를 통해 컴퓨터 본체(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USB/오디오 변환부(311)는 S/PDIF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1 USB 허브(310a) 및 통합포트(274)를 통해 컴퓨터 본체(100)와 교환함으로써,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10)은 메모리 카드 슬롯(273a,273b,273c)과 제2 USB 허브(310b) 간의 신호 교환을 관리하는 USB/MC 처리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200)의 전자부품(3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USB 허브(310b)와 USB 인터페이스 규약을 통해 신호를 교환하는 광 디스크 모듈(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모듈(320)은 광 디스크가 삽입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321)와, 광 디스크 드라이브(321)에 의해 독출된 데이터를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인터페이스 규격의 신호로 생성하는 ATA 컨트롤러(322)와, ATA 컨트롤러(322)의 ATA 인터페이스 규격의 신호와 USB 인터페이스 규격의 신호 간을 상호 변환하는 USB/ATA 변환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 디스크 드라이브(321)의 트레이는,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 스탠드(270)의 우측에 노출되도록 콘솔 스탠드(270)에 수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200)의 전원공급체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200)는 제1 전원입력부(210), 제2 전원입력부(220), 전원변환부(230), 전원스위칭부(250) 및 전원관리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니터 장치(200)의 제1 전원입력부(210), 제2 전원입력부(220), 전원변환부(230), 전원스위칭부(250) 및 전원관리부(240)의 재기능은 전술한 제2 전자 디바이스(200)의 재기능에 대응하는 바 필 요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제1 전원입력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용 어댑터의 DC 접속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원입력부(210)는 후술할 제1 전원케이블을 통해 컴퓨터 본체(100)의 제1 전원출력부(141)와 연결되어 컴퓨터 본체(100)로부터 메인전원(VDC)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전원입력부(210)에는 상용 어댑터의 DC 잭이 접속되어 어댑터로부터 메인전원(VDC)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2 전원입력부(220)는 통합포트(274)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100)의 제2 전원출력부(142)가 본체 제어포트(154)와 일체로 마련되는 경우, 제2 전원입력부(220)는 통합포트(274)의 핀들 중 본제 제어포트(154)에 할당된 제2 전원출력부(142) 용 핀에 대응하는 핀을 컴퓨터 본체(100)로부터의 스탠바이전원(VSB)을 공급받기 위한 핀으로 할당할 수 있다.
전원스위칭부(250)의 스위칭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 스탠드(270)의 전면 외측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310)은 콘솔 스탠드(270)의 내부에 수용되는 마이컴(330)과, 콘솔 스탠드(270)의 외측에 마련되어 마이컴(330)의 제어에 따라 점멸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332)(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컴(330)은 컴퓨터 본체(100), 디스플레이부(260) 및 콘솔 스탠드(2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에 따라 LED(332)를 점멸할 수 있다.
예컨대, LED(332)는 컴퓨터 본체(100)에 마련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구동 여부에 따라 점멸하는 HDD LED(332a)와, 컴퓨터 본체(100) 및 모니터 장치(200) 전체의 전원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점멸하는 전원 LED(33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구동 여부와, 시스템 전체 전원의 온/오프 여부에 대한 정보는 통합포트(274)를 통해 컴퓨터 본체(100)로부터 마이컴(330)에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제어모듈(310)은 리모콘(미도시)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신호수신부(3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컴(330)은 무선신호수신부(331)를 통해 수신되는 적외선(Infrared Ray : IR) 신호 등의 무선신호를 인식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통합포트(274)의 제어신호핀을 통해 컴퓨터 본체(100)에 전달한다. 그리고, 컴퓨터 본체(100)는 콘솔 스탠드(270)의 마이컴(330)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100)는 복수의 기동 모드에 대응하는 스타트 업 루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컴퓨터 본체(100)를 기동시키기 위한 스타트 업 실행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타트 업 실행부(126)는 컴퓨터 본체(100)에 마련된 바이오스(BIOS : Basic Input Output System) 롬에 저장된 바이오스인 것을 일 예로 하며, 그 명칭을 불문하고 컴퓨터 본체(100)의 초기 기동을 제어하는 루틴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 업 루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본체(100)의 기동 모드는 컴퓨터 본체(100)의 메인 운영체계로 기동하는 메인 기동모드와, 컴퓨터 본체(100)의 기능 중 일부, 예컨대, 멀티미 디어 파일의 재생만을 수행하기 위한 보조 기동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타트 업 실행부(126)는 콘솔 스탠드(270)의 마이컴(330)으로부터 보조 기동모드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는 경우, 컴퓨터 본체(100)의 초기 기동시 보조 기동모드의 실행에만 관여하는 전자부품(300)들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100)와 모니터 장치(200)가 연결된 상태인 경우, 모니터 장치(200)에는 컴퓨터 본체(100)로부터 스탠바이전원(VSB)이 공급되고 있는 바, 모니터 장치(200)의 전원변환부(230)는 인에이블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 전원스위칭부(250)의 조작은 전원변환부(230)의 인에이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컴퓨터 본체(100)와 모니터 장치(2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컴퓨터 본체(100) 및 모니터 장치(200)의 전원을 온시키기 위해 스위치(251)를 온시키는 경우, PWRBTN* 단을 통해 컴퓨터 본체(100)의 ICH(122)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컴퓨터 본체(100)는 온 된다.
이 경우, 모니터 장치(200)의 마이컴(330)은 전원스위칭부(250)의 MIO_PWBTN 단의 상태 변화에 의해 PWRBTN* 단이 상태 변화되지 않았음을 MIO_PWBTN 단의 상태가 변하지 않은 것에 의해 감지하고, 이를 통합포트(274)를 통해 컴퓨터 본체(100)에 알린다. 이에 따라, 컴퓨터 본체(100)는 메인 기동모드로 기동하게 된다.
반면, PWRBTN* 단의 상태 변화가 MIO_PWBTN 단의 상태 변화에 의한 경우, 마이컴(330)은 MIO_PWBTN 단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통합포트(274)를 통해 컴퓨터 본체(100)에 알린다. 이에 따라, 컴퓨터 본체(100)는 보조 기동모드로 기동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200)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100) 이외의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해당 디바이스로부터 스탠바이전원(VSB)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스위칭부(250)의 조작에 따라 모니터 장치(200)의 전원이 제어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200)의 통합포트(274)의 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포트(274)의 핀 구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6 핀 구조를 갖는다.
통합포트(274)의 핀은 영상신호 수신핀(P7~P18), USB 신호핀(P19~P24), 1394 신호핀(P1~P6), 제어신호핀(P25~P34) 및 스탠바이전원 입력핀(P35~P36)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신호 수신핀(P7~P18)은 컴퓨터 본체(100)의 본체 영상포트(15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영상신호 수신핀(P7~P18)은 D-Sub 커넥터 규격의 핀 구조 중 영상신호의 수신에 사용되는 핀, 예컨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개의 핀으로 구성된다. 12개의 영상신호 수신핀(P7~P18)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D-Sub 커넥터 규격의 아날로그 RGB 신호 포맷을 따른다. 여기서, 영상신호 수신핀(P7~P18)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신호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60)로 전달된다.
USB 신호핀(P19~P24)은 제1 USB 신호핀(P19~P21)과 제2 USB 신호핀(P22~P24)을 포함한다. 제1 USB 신호핀(P19~P21)은 제어모듈(310)의 제1 USB 허브(310a)와 연결되고, 제2 USB 신호핀(P22~P24)은 제어모듈(310)의 제2 USB 허브(310b)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USB 신호핀(P19~P21)은 디바이스 연결케이블(400)의 후술할 제1 커넥터의 USB 커넥터(413a,413b)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제2 USB 신호핀(P22~P24)은 디바이스 연결케이블(400)의 본체 커넥터의 USB 커넥터(413a,413b)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연결케이블(400)의 본체 커넥터의 USB 커넥터(413a,413b)가 각각 컴퓨터 본체(100)의 본체 USB 포트(153)에 접속됨으로써, 제1 USB 신호핀(P19~P21)과 제2 USB 신호핀(P22~P24)이 컴퓨터 본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USB 신호핀(P19~P21) 및 제2 USB 신호핀(P22~P24)은 USB 인터페이스 규약 상의 신호라인 및 접지라인 만이 할당된다. 즉, 제1 USB 신호핀(P19~P21) 및 제2 USB 신호핀(P22~P24)은 각각 2개의 신호용 핀(P19,P20,P22,P23)과 각각 하나의 접지핀(P21,P24) 만이 할당되어, 각각 3개씩의 핀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콘솔 스탠드(270)의 콘솔 USB 포트(271a,271b,271c,271d,271e)에 접속되는 외부 디바이스에 USB 인터페이스 규약 상의 전원 공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콘솔 스탠드(270)의 전원변환부(230)로부터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제1 USB 허브(310a) 또 는 제2 USB 허브(310b)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1394 신호핀(P1~P6)은 디바이스 연결케이블(400)의 본체 커넥터의 1394 커넥터(412)와 연결되고, 1394 커넥터(412)가 컴퓨터 본체(100)의 본체 1394 포트(152)에 접속되는 경우 컴퓨터 본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1394 신호핀(P1~P6)으로는 4개의 신호용 핀(P2~P5)과 2의 접지용 핀(P1,P6)이 할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핀(P25~P34)은 10개의 신호핀이 할당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여기서, 제어신호핀(P25~P34)은 컴퓨터 본체(100)로부터 전송되는 컴퓨터 본체(100)의 동작상태, 예컨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구동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컴퓨터 시스템 전체의 온/오프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 장치(200)에 전달하기 위한 2개의 본체 정보핀(P25,P27)이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 정보핀(P25,P27)은 콘솔 스탠드(270)의 마이컴(330)에 연결되고, 마이컴(330)은 본체 정보핀(P25,P27)으로부터 수신되는 컴퓨터 본체(10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LED(332)의 점멸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신호핀(P25~P34)은 마이컴(3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스위칭부(250)의 선택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컴퓨터 본체(100)에 전달하기 위한 PWR 핀(P14)과, 마이컴(330)의 GPIO 핀과 연결된 GPIO 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신호핀(P25~P34)은 마이컴(330)이 무선신호수신부(331)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컴퓨터 본체(100)에 전달하기 위한 3개의 IR 핀(P28,P29,P31)이 할당된다. 여기서, IR 핀(P28,P29,P31) 중 2개(P28,P29)는 데이터의 전송에 할당되고, 나머지 하나는 무선신호수신부(331)로부터의 신호, 즉 리모콘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컴퓨터 본체(100)로 입력되는 키보드(30)나 마우스(50)의 신호보다 리모콘의 신호를 우선 처리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할당된다.
또한, 제어신호핀(P25~P34)은 컴퓨터 본체(100)로부터 컴퓨터 본체(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기 위한 2개의 절전모드핀(P32,P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절전모드핀(P32,P33) 중 하나는 컴퓨터 본체(100)로부터 ACPI(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의 S3모드(대기모드)로 시스템이 전환되었음을 콘솔 스탠드(270)의 마이컴(330)에 알리기 위해 할당되고, 다른 하나는 컴퓨터 본체(100)로부터 ACPI(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의 S4모드(절전모드)로 시스템이 전환되었음을 마이컴(330)에 알리기 위해 할당된다. 이 때, 마이컴(330)은 해당 모드에 따라 모니터 본체, 제어모듈(310) 또는 광 디스크 모듈(3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신호핀(P25~P34) 중 하나는 접지핀(P34)으로 할당된다.
또한, 스텐바이전원 입력핀(P35,P36)은 통합포트(274)의 2핀이 할당된다. 스텐바이전원 입력핀(P35,P36)의 하나는 스텐바이전원 공급용 핀(P36)으로 할당되고, 다른 하나는 접지핀(P35)으로 할당된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통합포트(274)의 각 핀들의 핀 번호는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연결케이블(4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100)에 마련된 복수의 제1 입출력 포트(150)에 각각 접속되는 복 수의 제1 커넥터와, 모니터 장치(200)의 통합포트(274)에 접속되는 제2 커넥터(420)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42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합케이블(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420)는 통합포트(274)에 접속 가능한 접속 구조를 가지며, 제2 커넥터(420)의 핀 구조는 전술한 통합포트(274)의 핀 구조에 대응하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커넥터는 컴퓨터 본체(100)에 마련된 영상포트(151), 2개의 본체 USB 포트(153), 본체 1394 포트(152) 및 본체 제어포트(154)에 각각 접속되는 영상 커넥터(410), 2개의 USB 커넥터(413a,413b), 1394 커넥터(412) 및 제어 커넥터(411)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여기서, 영상 커넥터(410)는 D-Sub 커넥터 규격에 따른 접속 구조를 가지며, USB 커넥터(413a,413b) 및 1394 커넥터(412)는 각각 USB 인터페이스 규격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른 접속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100)는 모니터 장치(200)와의 연결을 위해 별도의 포트를 마련하지 않고 상용의 입출력 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200)가 디바이스 연결케이블(40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100) 이외에도 상용의 컴퓨터 본체(100)와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 커넥터(411)는 컴퓨터 본체(100)에 마련된 본체 제어포트(154)에 접속 가능한 접속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커넥터(411) 및 본체 제어포트(154)는 D-Sub 커넥터의 접속 구조을 갖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제어 커넥터 (411) 및 본체 제어포트(154)는 각각 15개의 핀으로 구성된 D-Sub 암 커넥터 및 D-Sub 숫 커넥터의 접속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본체 제어포트(154)가 D-Sub 숫 커넥터의 접속 구조를 갖고, 제어 커넥터(411)가 D-Sub 수 커넥터의 접속 구조를 갖도록 마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본체 영상포트(151)가 D-Sub 암 커넥터의 접속 구조를 갖는 경우, 본체 제어포트(154)를 D-Sub 숫 커넥터의 접속 구조로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본체 커넥터의 영상 커넥터(410) 및 제어 커넥터(411)를 컴퓨터 본체(100)의 본체 영상포트(151) 및 본체 제어포트(154)에 잘못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커넥터(410), 2개의 USB 커넥터(413a,413b), 1394 커넥터(412) 및 제어 커넥터(411)는 통합케이블(440)을 통해 제2 커넥터(420)와 연결된다. 여기서, 영상 커넥터(410), 2개의 USB 커넥터(413a,413b), 1394 커넥터(412) 및 제어 커넥터(411)의 각 핀들과 제2 커넥터(420)의 각 핀들간의 연결 관계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도 13에서 제2 커넥터(420)의 핀 번호는 전술한 통합포트(274)의 핀 번호에 대응하고, 제1 입출력 포트(150)의 핀 번호는 각각 D-Sub 커넥터 규격, USB 인터페이스 규격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규격 상의 핀 번호에 대응한다.
한편, 통합케이블(44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커넥터(410), 2개의 USB 커넥터(413a,413b), 1394 커넥터(412) 및 제어 커넥터(411)의 각 핀과 콘솔 커넥터의 각 핀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10)은 컴퓨터 본체(100)와 모니터 장치(200) 간을 연결하여 컴퓨터 본체(100)로부터 출력되는 메인전원(VDC)을 모니터 장치(200)에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원 케이블과, 컴퓨터 본체(100)로부터 출력되는 스탠바이전원(VSB)을 모니터 장치(200)에 공급하기 위한 제2 전원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원 케이블의 일측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100)의 제1 전원출력부(141)에 접속되는 제1 전원 커넥터(430a)가 마련되고, 제1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는 모니터 장치(200)의 제1 전원입력부(210)에 접속되는 제2 전원 커넥터(430b)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2 전원 케이블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합케이블(440)과 일체로 마련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2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제2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전원이 제어되면서도 제1 전자 디바이스와는 독립적으로 전원 이 자체 제어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Claims (18)

  1. 다수의 전자부품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스위칭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스위칭부와;
    복수의 외부 전원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1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는 제1 전원입력부와;
    상기 외부 전원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2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는 제2 전원입력부와;
    상기 제1 전원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 전원을 상기 각 전자부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레벨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각 전자부품에 공급하는 전원변환부와;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원변환부가 동작가능한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도록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스위칭부로부터의 상기 전원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변환부의 인에이블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변환부는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관리부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원입력부로부터의 상기 제1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변환부는 상기 제1 전원의 전압 레벨을 상기 각 전자부품의 구동에 필요한 상호 상이한 전압 레벨의 복수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부는 상기 제2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논리값이 결정되는 프리셋 입력단자와, 상기 제1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논리값이 결정되는 J 입력단자 및 K 입력단자와, 상기 전원스위칭부로부터의 상기 전원스위칭신호가 입력되는 클럭 입력단자와, 상기 프리셋 입력단자, 상기 J 입력단자, 상기 K 입력단자 및 상기 클럭 입력단자의 논리값에 따라 상기 전원변환부의 인에이블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Q 출력단자를 갖는 JK 플립플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JK 플립플롭의 상기 프리셋 입력단자는 상기 제2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Q 출력단자로부터 상기 전원변환부가 인에이블되게 하는 논리값을 갖는 인에 이블 신호가 출력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클럭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전원스위칭신호의 논리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Q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의 논리값이 가변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 디바이스는 상용 전원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입력부는 상기 상용 전원 어댑터의 DC 접속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되는 상태는 상기 외부 전원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되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전원출력부와, 제2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전원출력부를 갖는 제1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다수의 전자부품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스위칭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스위칭부와,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제1 전원과 소정의 외부 전원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1 전원입력부와,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2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는 제2 전원입력부와, 상기 제1 전원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각 전자부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레벨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각 전자부품에 공급하는 전원변환부와,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원변환부가 동작가능한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도록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스위칭부로부터의 상기 전원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변환부의 인에이블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관리부를 갖는 제2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변환부는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관리부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원입력부를 통한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변환부는 상기 제1 전원의 전압 레벨을 상기 각 전자부품의 구동에 필요한 상호 상이한 전압 레벨의 복수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부는 상기 제2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논리값이 결정되는 프리셋 입력단자와, 상기 제1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논리값이 결정되는 J 입력단자 및 K 입력단자와, 상기 전원스위칭부로부터의 상기 전원스위칭신호가 입력되는 클럭 입력단자와, 상기 프리셋 입력단자, 상기 J 입력단자, 상기 K 입력단자 및 상기 클럭 입력단자의 논리값에 따라 상기 전원변환부의 인에이블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Q 출력단자를 갖는 JK 플립플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JK 플립플롭의 상기 프리셋 입력단자는 상기 제2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Q 출력단자로부터 상기 전원변환부가 인에이블되게 하는 논리값을 갖는 인에이블 신호가 출력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클럭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전원스위칭신호의 논리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Q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의 논리값이 가변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 디바이스는 상용 전원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입력부는 상기 상용 전원 어댑터의 DC 접속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전원출력부와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전원입력부 간을 연결하는 제1 전원 케이블과;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제2 전원출력부와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제2 전원입력부 간을 연결하는 제2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포트를 포함한 복수의 제1 입출력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제1 입출력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합포트와, 외부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복수의 제2 입출력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통합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통합포트와 상기 제2 입출력 포트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입출력 포트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제1 커넥터와, 상기 통합포트에 접속되는 제2 커넥터와, 상기 복수의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합 케이블을 갖는 디바이스 연결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 케이블은 상기 디바이스 연결 케이블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 연결 케이블의 신호 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전원스위칭신호는 상기 통합포트, 상기 디바이스 연결 케이블 및 상기 제1 입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전달되고;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1 입출력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전원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의 출력 여부를 제어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되는 상태는 상기 외부 전 원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이 입력되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KR1020050054519A 2005-06-23 2005-06-23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KR100633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519A KR100633163B1 (ko) 2005-06-23 2005-06-23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US11/437,715 US8046594B2 (en) 2005-06-23 2006-05-22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ystem
CNB2006100932567A CN100471003C (zh) 2005-06-23 2006-06-23 电子设备、电子设备系统及其电源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519A KR100633163B1 (ko) 2005-06-23 2005-06-23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3163B1 true KR100633163B1 (ko) 2006-10-11

Family

ID=3756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519A KR100633163B1 (ko) 2005-06-23 2005-06-23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46594B2 (ko)
KR (1) KR100633163B1 (ko)
CN (1) CN10047100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383A1 (en) * 2019-08-07 2021-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0900B2 (en) * 2007-07-18 2011-12-20 Exaflop Llc Direct-coupled IT load
US8338988B2 (en) * 2009-04-17 2012-12-25 Lsi Corporation Adaptation of an active power supply set using an event trigger
TWI428750B (zh) * 2010-12-30 2014-03-01 Via Tech Inc 處理裝置及操作系統
TWI487234B (zh) * 2011-03-23 2015-06-01 Aopen Inc 電源管理裝置
CN108429333B (zh) * 2017-02-14 2020-10-02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配电装置及其操作方法
CN107122033A (zh) * 2017-05-19 2017-09-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源转换器、控制方法以及电子设备
CN111313701A (zh) * 2019-04-09 2020-06-19 成都芯源系统有限公司 功率电源及控制功率电源供电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03405A1 (en) 2001-06-29 2003-01-09 Lam Research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adio frequency de-coupling and bias voltage control in a plasma reacto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0142A (en) 1994-09-07 1997-05-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function power switch and feedback led for suspend systems
KR100240349B1 (ko) 1997-05-13 2000-01-15 강병호 컴퓨터용 온/오프 제어장치
KR19990050055A (ko) 1997-12-16 1999-07-05 김영환 퍼스널 컴퓨터의 출력전원 다중화 장치
US6262605B1 (en) * 1999-05-06 2001-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line driver control circuit for power managed system
JP2001027916A (ja) 1999-05-12 2001-01-30 Fujitsu Ltd 電子機器及び電源制御装置並びに電源供給制御方法
US6701442B1 (en) * 2000-05-09 2004-03-02 3Com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circuit for selectively applying power to network monitoring circuitry which monitors the receipt of network wake-up messages
US6725384B1 (en) * 2000-06-30 2004-04-2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 wake-up event by modifying a second register to enable a second wake-up event responsive to detecting entry of data in a first register
US6512353B2 (en) * 2000-07-13 2003-01-28 Sipex Corporation Synchronized, ripple independent window comparator for switch-mode power converters
US6381181B1 (en) * 2000-11-21 2002-04-30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Timing independent current comparison and self-latching data circuit
JP2002344673A (ja) * 2001-05-17 2002-11-29 Ricoh Co Ltd 画像形成システム
KR100711914B1 (ko) * 2001-09-15 2007-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에스비 전원 제어장치
US20030233509A1 (en) * 2002-06-18 2003-12-18 D.C. Chang MP3 play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018607B2 (en) * 2002-12-05 2011-09-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anner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7114090B2 (en) * 2003-02-14 2006-09-26 Intel Corporation Computing system with operational low power states
US7171571B2 (en) * 2003-08-28 2007-01-30 Spectra Logic Corporation Robotic data storage library with soft power on/off capability
KR100609498B1 (ko) * 2004-11-10 2006-08-09 주식회사 잉카솔루션 대기전력 제어장치
US7383452B2 (en) * 2005-04-07 2008-06-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nitiating powering-up of a processor in the electronic device
US7469350B2 (en) * 2005-12-22 2008-12-23 Ncr Corporation Power control interface for a self-service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03405A1 (en) 2001-06-29 2003-01-09 Lam Research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adio frequency de-coupling and bias voltage control in a plasma reactor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특허공개번호 2002-39018
미국특허번호 6,262,605
미국특허번호 6,381,181
미국특허번호 6,725,38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383A1 (en) * 2019-08-07 2021-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270616B2 (en) 2019-08-07 202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85673A (zh) 2006-12-27
US8046594B2 (en) 2011-10-25
US20060290327A1 (en) 2006-12-28
CN100471003C (zh)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364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
KR100633163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US10884479B2 (en) Display device, computer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the operating states of a computer system
US7502947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graphics controller
JP4753520B2 (ja) Usbポ−トを用いたデュアルモニタ−の補助モニタ−駆動用ビデオグラフィックアダプタ−
US6105097A (en) Device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universal serial buses including power management
KR100790035B1 (ko)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US7558898B2 (en) Port replicating apparatus
US20060036885A1 (en) Display device with USB connectivity
US201001991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US9304544B2 (en)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external device
CN103491326B (zh) 电脑电视一体机和电脑电视一体机控制方法
US9760156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having plural display apparatu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system
US20180338206A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audio device
CN109246401A (zh) 一种dlp激光投影系统
JP2002073219A (ja) 外部デバイスへの電力供給部を備える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および外部デバイスへの電力供給方法
US20130212306A1 (en) Host device display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CN218826158U (zh) 一种便携式显示器
CN111400225A (zh) Usb转接电路
CN211742313U (zh) 一种白板一体机的控制系统
US11783786B2 (en) Electronic apparatus
WO2022226849A1 (zh) 插拔式显示系统及其上电方法
KR2003004766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usb디바이스전원공급방법
CN116111569A (zh) 应用于硬件电路板的电路系统
KR100283668B1 (ko) Usb 모니터에 있어서 usb 구동전원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