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768B1 - 크로스롤 압연기 및 그것을 사용한 압연 방법 - Google Patents

크로스롤 압연기 및 그것을 사용한 압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768B1
KR100632768B1 KR1020040020036A KR20040020036A KR100632768B1 KR 100632768 B1 KR100632768 B1 KR 100632768B1 KR 1020040020036 A KR1020040020036 A KR 1020040020036A KR 20040020036 A KR20040020036 A KR 20040020036A KR 100632768 B1 KR100632768 B1 KR 100632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hoke
cross
rolling
rolling 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6192A (ko
Inventor
오하라유지
유끼아쯔시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미쯔비시 히다찌 세이떼쯔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미쯔비시 히다찌 세이떼쯔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11/54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of extensible type, with or without adjustable supporting shoes, fishplat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고 설치 비용이 저렴함과 동시에, 신뢰성도 높은, 각 롤 초크의 클리어런스 내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크로스롤 압연기 및 그것을 사용한 압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피압연재의 압연시에 워크롤 초크 (3, 4) 를 압연 중 워크롤 (1)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21) 으로 탄성지지하면서 압연하고, 혹은 다시 백업롤 초크 (5, 6) 를 압연 중 백업롤 (2)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25) 으로 탄성지지하면서 압연한다.

Description

크로스롤 압연기 및 그것을 사용한 압연 방법 {CROSS ROLL TYPE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a 는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a 는 크로스롤 압연기를 오퍼레이터측에서 본 개략도, 도 1b 는 도 1a 에서의 A-A 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2a 는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2a 는 크로스롤 압연기를 오퍼레이터측에서 본 개략도, 도 2b 는 도 2a 에서의 B-B 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3 은 워크롤와 백업롤의 크로스각 (롤크로스각) 에 대한 스러스트 계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워크롤 초크 혹은 백업롤 초크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킨 모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워크롤 초크 혹은 백업롤 초크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킨 경우에 발생하는 하중차와 스러스트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은 스러스트력이 생긴 경우에 압연기의 정면도 내에 발생하는 모멘트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열간압연라인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8 은 제 4 스탠드 (F4) 에서의 압연 하중과 크로스 헤드측이 되는 오퍼레이터측의 하부 워크롤 초크의 위치 어긋남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제 4 스탠드 (F4) 에서의, 실제로 열간압연 조업 중의 압연 하중과 하중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 은 하부 워크롤 초크의 위치를 측정하는 장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11 은 냉간압연라인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a, 도 12b 는 크로스롤 압연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은 상하부 워크롤의 개방도의, 피압연재의 폭방향에 관한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 는 종래의 압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b 는 크로스롤 압연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는 크로스롤 압연기의 주요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6a 는 종래예의 크로스롤 압연기를 나타내고, 도 16a 는 크로스롤 압연기를 오퍼레이터측에서 본 개략도, 도 16b 는 도 16a 에서의 A-A 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17a, 도 17b 는 압연기 하우징의 변형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1 : 워크롤 2, 102 : 백업롤
3, 103 : 상부 워크롤 초크 4, 104 : 하부 워크롤 초크
5, 105 : 상부 백업롤 초크 6, 106 : 하부 백업롤 초크
8, 107, 108 : 크로스 헤드 9, 109 :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10, 110 :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1, 111 :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2, 112 :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3, 113 :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114 : 크로스 헤드 라이너 15, 115 : 스크류
16, 116 : 너트 17, 117 : 초크 라이너
18 : 초크 구속장치 19 : 스프링 홀더
20 : 얇은 라이너 21 : 스프링
22 : 초크 구속장치 23 : 스프링 홀더
24 : 얇은 라이너 25 : 스프링
26 : 초크 라이너 30, 100 : 압연기 하우징
40 : 열간압연라인 41 : 가열로
42 : 사이징 프레스 43 : 조(粗)압연기
44 : 크롭 시어 (crop shear) 45 : 디스케일링 장치
46 : 마무리 압연기 47 : 냉각 존
48 : 권취장치 50 : 와류식 거리 센서
51 : 앰프 60 : 냉간압연라인
61 : 입측 루퍼 62, 65, 67 : 브라이들 롤
63 : 용접기 64 : 페이오프 릴
66 : 마무리 압연기 68 : 시어
69 : 카로젤 텐션 릴 S : 피압연재
T : 만곡면 C1, C2 : 오프셋량
d : 클리어런스
본 발명은 크로스롤 압연기 및 그것을 사용한 압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크로스롤 압연기는 상하부 워크롤을 크로스한 상태에서 피압연재를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2a, 도 12b 에 상하부 워크롤과 피압연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2a 는 평면도, 도 12b 는 측면도이다. 도 1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 워크롤 (101) 은 피압연재 (S) 의 폭방향 중앙부를 크로스 중심 (크로스 포인트 : c) 으로 하여 소정의 크로스각 (θ : 가변) 으로 크로스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도 1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 포인트 (c) 부근의 상하부 워크롤 (101) 의 개방도 (a) 와 롤 끝단 부근의 상하부 워크롤 (101) 의 개방도 (b) 에 차이가 생기게 되고, 상하부 워크롤 (101) 의 개방도의, 피압연재 (S) 의 폭방향에 관한 분포는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차 곡선이 된다. 크로스각 (θ) 을 크게 하면 이 이차 곡선의 아래로 볼록해지는 정도는 경사가 급해지고, 크로스각 (θ) 을 작게 하면 이차 곡선의 아래로 볼록해지는 정도는 경사가 완만해진다. 크로스각 (θ) 을 0 으로 하면 상하부 크로스롤의 개방도는 일정해진다.
크로스롤 압연기의 등장 이전의 압연기는, 압연중에는 도 14a 에 나타낸 바 와 같이 압연 하중에 의한 상하부 워크롤 (101) 및 상하부 백업롤 (102) 의 휨에 의해, 피압연재 (S) 의 판두께 분포는 폭 중앙부에서 두껍고 폭단부에서 얇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크로스롤 압연기에서는 전술한 크로스각 (θ) 을 최적으로 설정하여 상하부 워크롤 (101) 의 개방도를 최적인 이차 곡선으로 함으로써, 상하부 워크롤 (101) 및 상하부 백업롤 (102) 이 휘어지는 만큼을 보상하고, 도 14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압연재 (S) 의 압연후의 폭방향 판두께 분포를 균일한 것에 근접시킬 수 있으며, 막두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최근 열간압연, 냉간압연을 불문하고 크로스롤 압연기가 많이 설치되게 되고 있다.
도 15 에 크로스롤 압연기의 주요부의 개략을 나타낸다. 상하부 워크롤 (101) 을 구동하는 모터를 배치하고 있는 측을 드라이브측이라 하고, 그 반대측의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측을 오퍼레이터측이라 한다. 상부 워크롤 (101) 의 회전축은 드라이브측과 오퍼레이터측의 한 쌍의 상부 워크롤 초크 (103)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하부 워크롤 (101) 의 회전축은 드라이브측과 오퍼레이터측의 한 쌍의 하부 워크롤 초크 (104)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부 워크롤 (101) 의 상방에 배치된 상부 백업롤 (102) 의 회전축은 드라이브측과 오퍼레이터측의 한 쌍의 상부 백업롤 초크 (105)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하부 워크롤 (101) 의 하방에 배치된 하부 백업롤 (102) 의 회전축은 드라이브측과 오퍼레이터측의 한 쌍의 하부 백업롤 초크 (106)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크로스롤 압연기에 있어서는, 이전의 압연기와 달리, 상하부 백업롤 초크 (105, 106) 및 상하부 워크롤 초크 (103, 104) 를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크로스 헤드 (107, 108) 를 가지고, 이 크로스 헤드 (107, 108) 를 도 15 중에 큰 화살표로 나타내는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상부 워크롤 (101) 및 상부 백업롤 (102), 하부 워크롤 (101) 및 하부 백업롤 (102) 을 페어로 하여 구동하여 전술한 크로스각 (θ) 을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워크롤 (101) 및 상부 백업롤 (102), 하부 워크롤 (101) 및 하부 백업롤 (102) 을 페어로 하여 구동하는 방식을 페어크로스 방식이라 하고, 상하부 워크롤 (101) 만을 구동하는 방식을 워크롤 단독 크로스 방식이라 한다.
또한, 드라이브측과 오퍼레이터측의 어느 한 쪽에 크로스 헤드를 배치하고, 크로스 헤드를 배치한 측을 크로스시키고 반대측을 피봇으로 하는 방식을 편 크로스 방식 (상부 롤의 드라이브측에 크로스 헤드가 있을 때에는, 하부 롤의 오퍼레이터측에 크로스 헤드가 있음) 이라 한다. 도 15 에 나타낸 크로스롤 압연기는 그에 해당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거기에서는 상부 워크롤 (101) 및 상부 백업롤 (102) 의 드라이브측에 배치된 상부 워크롤 초크 (103) 및 상부 백업롤 초크 (105) 를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크로스 헤드 (107) 가 배치되며, 하부 워크롤 (101) 및 하부 백업롤 (102) 의 오퍼레이터측에 배치된 하부 워크롤 초크 (104) 및 하부 백업롤 초크 (106) 를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크로스 헤드 (108) 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부 워크롤과 상부 백업롤의 오퍼레이터측 및 하부 워크롤과 하부 백업롤의 드라이브측에 크로스 헤드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하부 모두 드라이브측과 오퍼레이터측의 양쪽에 크로스 헤드를 배치하고, 양쪽의 크로스 헤드를 크로스시켜 피봇을 형성하지 않는 방식을 양 크로스 방식이라 한다. 이하, 페어크로스 방식이면서 편 크로스 방식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기본적인 기능으로서는 워크롤 단독 크로스 방식, 양 크로스 방식도 동일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말하는 크로스롤 압연기란 이들을 포함한 의미로 한다.
도 16a, 도 16b 에 도 15 의 크로스롤 압연기를 오퍼레이터측에서 본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 크로스롤 압연기는 페어크로스 방식이면서 편 크로스 방식이다. 이 크로스롤 압연기에 있어서는 상부 워크롤 (101) 및 상부 백업롤 (102) 의 드라이브측에 배치된 상부 워크롤 초크 (103) 및 상부 백업롤 초크 (105) 를,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한 쌍의 크로스 헤드 (도시 생략) 가 배치되어 있다. 하부 워크롤 (101) 및 하부 백업롤 (102) 의 오퍼레이터측에 배치된 하부 워크롤 초크 (104) 및 하부 백업롤 초크 (106) 를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한 쌍의 크로스 헤드 (108) 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크로스 헤드 (108) 는 압연기 하우징 (100) 에 대해서 피압연재의 반송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각 크로스 헤드 (108) 의 구동은 압연기 하우징 (100) 에 고정된 너트 (116) 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스크류 (115) 에 의해 실시하게 되어 있다. 각 크로스 헤드 (108) 의 하부 워크롤 초 크 (104) 측의 대향부에는 도 1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방향 (도 16b 에 있어서 상하 방향) 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면 (T) 이 형성되어 있다. 각 하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13) 에는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되어 있다. 만곡면 (T) 이 크로스 헤드 (108) 와 수평 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한편으로, 하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13) 는 하부 워크롤 초크 (104) 에 형성된 초크 라이너 (117) 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아 있다. 또한, 각 크로스 헤드 (108) 의 하부 백업롤 초크 (106) 측의 대향부에도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는 전술한 T 와 동일한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하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14) 는 하부 백업롤 초크 (106) 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크로스 헤드 (108) 와 수평 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각 크로스 헤드 (108) 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13, 114) 가 만곡면 (T) 을 형성하는 슬라이딩면끼리 서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크로스각 (θ) 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 워크롤 (101) 및 상부 백업롤 (102) 의 드라이브측에 배치된 상부 워크롤 초크 (103) 및 상부 백업롤 초크 (105) 를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 크로스 헤드의 각각도 크로스 헤드 (108) 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상부 워크롤 초크 (103) 및 상부 백업롤 초크 (105) 와의 대향 표면에 만곡면 (T) 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만곡면 (T) 의 각각에 만곡면을 갖는 크로스 헤드 라이너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 워크롤 (101) 의 오퍼레이터측에 배치된 상부 워크롤 초크 (103) 에 대향하도록, 한 쌍의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109) 이 압연기 하우징 (100) 에 형성되어 있다. 각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109) 의 상부 워크롤 초크 (103) 측의 대향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10) 는 상부 워크롤 초크 (103) 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109) 과 수평 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또한, 상부 백업롤 (102) 의 오퍼레이터측에 배치된 상부 백업롤 초크 (105) 에 대향하도록, 한 쌍의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1) 이 압연기 하우징 (100) 에 형성되어 있다. 각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1) 의 상부 백업롤 초크 (105) 측의 대향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12) 는 상부 백업롤 초크 (105) 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쪽의 만곡면 (T) 이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1) 과 수평 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또한, 하부 워크롤 (101) 및 하부 백업롤 (102) 의 드라이브측에도, 하부 워크롤 피봇 블록, 하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하부 백업롤 피봇 블록 및 하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압연기에 따른 피압연재 (S) 의 압연 중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97110호에도 있는 바와 같이, 상하부 모두 워크롤 (101) 이 백업롤 (102) 에 대해서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이것을 오프셋이라 하고, 도 16a 에 있어서 압연기 중심에 대한 워크롤의 오프셋 량은 C1, 백업롤 의 오프셋 량은 C2 가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C1 과 C2 의 합계를 오프셋 량이라 한다. 오프셋에 의해 수평방향 분력 (오프셋 분력이라고도 함) 을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인 도 16a 중의 화살표 e 방향으로 발생시킨다. 화살표 e 의 방향은 워크롤이 오프셋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상하부 백업롤 (102) 에는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과는 반대의 화살표 f 방향으로 수평방향 분력을 발생시킨다. 화살표 f 의 방향은 백업롤이 오프셋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그러면, 상하부 워크롤 초크 (103, 104) 가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상하부 백업롤 초크 (105, 106) 가 그 역방향을 향하여 눌리고, 상하부 워크롤 초크 (103, 104) 가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출측의 압연기 하우징 (100) 에 가압되며, 상하부 백업롤 초크 (105, 106) 가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입측의 압연기 하우징 (100) 에 가압되어 안정된다.
그러나, 도 16a, 도 1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롤 초크 (103, 104, 105, 106) 과 압연기 하우징 (100) 사이 (정확하게는, 상부 워크롤 초크 (103) 에 형성된 초크 라이너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10) 사이, 하부 워크롤 초크 (104) 에 형성된 초크 라이너 (117) 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13) 사이, 상부 백업롤 초크 (105) 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12) 사이 및 하부 백업롤 초크 (106) 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14) 사이) 에는 클리어런스 (d) 가 있기 때문에, 각 롤 초크 (103, 104, 105, 106) 의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지 않으면, 압연 하중이 작은, 즉 오프셋에 의한 가압력이 작은 압연 중에는 크로스각 (θ) 을 변경한 경우 등에 압연기 하우징 (100) 내에서 상하부 워크롤 초크 (103, 104) 혹은 상하부 백업롤 초크 (105, 106) 가 피압연재 (S) 의 반송방향 혹은 그 역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고, 만약 그것이 좌우 (드라이브측과 그 반대측의 오퍼레이터측) 에서 불균일하거나 하면, 피압연재 (S) 의 폭방향 좌우에서 상하부 워크롤 (101) 의 개방도 차이가 생기며, 피압연재 (S) 의 사행 (蛇行), 구부러짐, 심한 경우에는 파단으로 이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85806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13308호와 같이, 베어링 박스 (초크) 를 피압연재의 반송방향으로 유압 실린더로 탄성지지하는 장치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2018호와 같이, 압연 하중에 의한 압연기 하우징 수축량을 예측하여 초크와 압연기 하우징의 간격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에서, 하우징 수축이란 도 17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연 중에 압연기 하우징의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연 하중에 의해, 하우징 상하방향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피압연재의 반송방향의 변형, 즉 하우징의 입측과 출측의 간격의 수축을 가리킨다.
그러나, 상기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85806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13308호와 같이, 초크를 유압 실린더에 의해 압연기 하우징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방식으로는, 매우 좁은 곳에 유압 실린더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특수한 실린더 구조가 되어 설치 비용이 고액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는 특히, 이미 설치된 압연기를 개선하는 경우에 현저하다.
이밖에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배관은 피압연재의 반송에 지장이 되지 않고 또한 압연기 하우징도 초크도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통과시킬 필요가 있다. 배관 서포트를 설치하는 스페이스도 필요하다. 상기한 유압 실린더의 특수한 실린더 구조와 더불어 오일 누설 등의 트러블도 생기기 쉬워 신뢰성의 문제, 보수나 유지에 관한 비용상의 문제가 있다. 나아가서는 보수 시간 확보를 위해 설비의 조업 가동율이 저하하는 문제도 있었다.
통상 열간압연기의 주변에는 롤 냉각수, 초크 냉각수 등이 대량으로 존재한다. 냉각수에 의해 윤활제가 흐르지 않도록 초크와 하우징 사이나 초크와 유압 실린더 사이의 슬라이딩부에 윤활제의 공급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초크와 유압 실린더 사이의 슬라이딩부에 윤활제의 공급구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유압 실린더 내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구멍을 관통시켜야 하기 때문에 실현할 수 없다. 또한, 유압 실린더로 초크를 가압하면 슬라이딩압이 증가하고, 초크 라이너, 실린더면의 마모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보수에 관한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2018호와 같이, 압연 하중에 의한 압연기 하우징 수축량을 예측하여, 초크와 압연기 하우징의 간격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압연 하중이 작은 경우, 즉 하우징 변형량이 작은 경우에 초크와 압연기 하우징의 간격이 잔존하여, 완전하게 초크 위치를 안정화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초크와 압연기 하우징의 간격을 너무 좁게 설정한 경우에는 하우징에 의해 초크가 끼워져 롤 부전 (不轉), 베어링의 소손 (燒損) 등의 설비 트러블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이고 설치 비용이 저렴함과 동시에, 신뢰성이 높은 각 롤 초크의 클리어런스 내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크로스롤 압연기 및 그것을 사용한 압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1.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는, 워크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워크롤 초크 및 백업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백업롤 초크를 구비한 크로스롤 압연기에 있어서,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기 워크롤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기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는, 1.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기 백업롤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기 백업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는, 1. 과 2.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 사이, 및 크로스 헤드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사이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를 사용한 압연 방법은, 워크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워크롤 초크 및 백업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백업롤 초크를 구비한 크로스롤 압연기를 사용한 압연 방법에 있어서, 피압연재의 압연시에, 상기 워크롤 초크를, 압연 중 상기 워크롤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으로 탄성지지하면서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를 사용한 압연 방법은, 4.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압연재의 압연시에, 상기 백업롤 초크를, 압연 중 상기 백업롤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으로 탄성지지하면서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를 사용한 압연 방법은, 4. 와 5.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 사이, 및 크로스 헤드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사이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도 1b 는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a 는 크로스롤 압연기를 오퍼레이터측에서 본 개략도, 도 1b 는 도 1a 에서의 A-A 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1a 에 나타낸 크로스롤 압연기에 있어서, 우선 하부 롤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부 워크롤 (1) 및 하부 백업롤 (2) 의 오퍼레이터측에 배치된 하부 워크롤 (1)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워크롤 초크 (4) 및 하부 백업롤 (2)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백업롤 초크 (6) 를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한 쌍의 크로스 헤드 (8) 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크로스 헤드 (8) 는 압연기 하우징 (30) 에 대해서 피압연재의 반송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각 크로스 헤드 (8) 의 구동은 압연기 하우징 (30) 에 고정된 너트 (16) 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스크류 (15) 에 의해 실시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크로스 헤드 (8) 의 하부 워크롤 초크 (4) 측 의 대향부에는 도 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방향 (도 1b 에 있어서 상하방향) 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하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는 하부 워크롤 초크 (4) 에 형성된 초크 라이너 (17) 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크로스 헤드 (8) 와 수평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또한, 각 크로스 헤드 (8) 의 하부 백업롤 초크 (6) 측의 대향부에도,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는 전술한 T 와 동일한 만곡면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하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는 하부 백업롤 초크 (6) 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크로스 헤드 (8) 와 수평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각 크로스 헤드 (8) 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14) 가 만곡면형 슬라이딩면끼리 서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크로스각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a 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하부 워크롤 초크 (4) 는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에 의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수평방향 분력 (e) 이 발생하는 방향과 동일) 으로, 하부 백업롤 초크 (6) 는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에 의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과 역방향 (수평방향 분력 (f) 이 발생하는 방향과 동일) 으로 오프셋된 상태에서 위치결정되고 있다. 하부 워크롤 초크 (4) 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 을 향하여 하부 워크롤 초크 (4)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에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하부 워크롤 (1)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하부 워크롤 초크 (4)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 (18) 는 도 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얇은 라이너 (20), 스프링 (21), 스프링 홀더 (19) 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21) 에 의해 스프링 홀더 (19) 를 초크 라이너 (17) 에 대해서 가압하고, 이로써 하부 워크롤 초크 (4) 를 압연기 하우징 (30) 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 (21) 으로서는 접시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탄성체 혹은 그와 동등한 기능이 있으면 적용 가능성이 있고, 접시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스프링 홀더 (19) 에는 급지(給脂)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크로스 헤드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사이에 공급된 윤활제가 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스프링 홀더 (19) 와 초크 라이너의 슬라이딩면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1a 는 오퍼레이터측을 도시한 것에 비해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드라이브측에서는,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하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도시 생략)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 을 향하여 하부 워크롤 초크 (도시 생략)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도시 생략)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는 오퍼레이터측의 초크 구속장치 (18)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음에, 상부 롤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부 워크롤 (1) 에 오퍼레이터측에 배 치된 상부 워크롤 (1)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워크롤 초크 (3) 에 대향하도록 한 쌍의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9) 이 압연기 하우징 (30) 에 형성되어 있다. 각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9) 의 상부 워크롤 초크 (3) 측의 대향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는 상부 워크롤 초크 (3) 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9) 과 수평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또한, 상부 백업롤 (2) 에 오퍼레이터측에 배치된 상부 백업롤 (2)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백업롤 초크 (5) 에 대향하도록 한 쌍의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 이 압연기 하우징 (30) 에 형성되어 있다. 각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 의 상부 백업롤 초크 (5) 측의 대향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2) 는 상부 백업롤 초크 (5) 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 과 수평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도 1a 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상부 워크롤 초크 (3) 는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에 의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으로, 상부 백업롤 초크 (5) 는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2) 에 의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과 역방향으로 오프셋된 상태에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 을 향하여 상부 워크롤 초크 (3)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에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부 워크롤 (1)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부 워크롤 초크 (3)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 워크롤 초크 구속장치 (18) 는 하부 워크롤 초크 (4)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부 워크롤 초크 구속장치 (18) 는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얇은 라이너 (도시 생략), 스프링 (도시 생략), 스프링 홀더 (도시 생략) 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도시 생략) 에 의해 스프링 홀더 (도시 생략) 를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가압하고, 이로써 상부 워크롤 초크 (3) 를 압연기 하우징 (30) 을 향하여 탄성지지하게 되어 있다.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스프링 홀더 (도시 생략) 에는 급지용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9) 과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사이에 공급된 윤활제가 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스프링 홀더의 표면, 바꾸어 말하면,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의 슬라이딩면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1a 는 오퍼레이터측을 도시한 것에 비해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드라이브측에서는, 상부 워크롤 (1) 및 상부 백업롤 (2) 의 드라이브측에 배치된 상부 워크롤 (1)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워크롤 초크 (도시 생략) 및 상 부 백업롤 (2)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백업롤 초크 (도시 생략) 를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한 쌍의 크로스 헤드 (도시 생략) 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크로스 헤드의 상부 워크롤 초크측의 대향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상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는 상부 워크롤 초크에 형성된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이 크로스 헤드 (도시 생략) 와 수평 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또한, 각 크로스 헤드의 상부 백업롤 초크측의 대향부에도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상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는 상부 백업롤 초크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상부 백업롤 크로스 헤드 (도시 생략) 와 수평 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워크롤 초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상부 워크롤 크로스 헤드 라이너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 을 향하여 상부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도시 생략) 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상부 워크롤 크로스 헤드 라이너에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부 워크롤 (1)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부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는 오퍼레이터측의 초크 구속장치 (18)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상 설명한 크로스롤 압연기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퍼레이터측 및 드라이브측 모두의 상하부 워크롤 초크 (3, 4) 를 스프링 (21) 이라는 간단한 수단에 의해, 롤 오프셋 방향 (상하부 워크롤 초크 (3, 4) 를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상하부 워크롤 초크 (3, 4) 의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에 대해서 클리어런스 내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피압연재의 사행, 구부러짐, 파단 등의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2a, 도 2b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 는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2a 는 크로스롤 압연기를 오퍼레이터측에서 본 개략도, 도 2b 는 도 2a 에서의 B-B 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2a 에 나타낸 크로스롤 압연기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하부 백업롤 (2)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하부 백업롤 초크 (5, 6)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22) 를 다시 형성한 점에서 도 1a 에 나타낸 크로스롤 압연기와 상이하다. 이하, 이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 에 나타낸 크로스롤 압연기에 있어서, 우선 하부 롤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부 워크롤 (1) 및 하부 백업롤 (2) 의 오퍼레이터측에 배치된 하부 워크롤 (1)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워크롤 초크 (4) 및 하부 백업롤 (2)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백업롤 초크 (6) 를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한 쌍의 크로스 헤드 (8) 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크로스 헤드 (8) 는 압연기 하우징 (30) 에 대해서 피압연재의 반송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각 크로스 헤드 (8) 의 구동은 압 연기 하우징 (30) 에 고정된 너트 (16) 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스크류 (15) 에 의해 실시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크로스 헤드 (8) 의 하부 워크롤 초크 (4) 측의 대향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하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는 하부 워크롤 초크 (4) 에 형성된 초크 라이너 (17) 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크로스 헤드 (8) 와 수평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또한, 각 크로스 헤드 (8) 의 하부 백업롤 초크 (6) 측의 대향부에도,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의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하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는 하부 백업롤 초크 (6) 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크로스 헤드 (8) 와 수평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각 크로스 헤드 (8) 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14) 가 만곡면형 슬라이딩면끼리 서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크로스각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a 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하부 워크롤 초크 (4) 는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에 의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수평방향 분력 (e) 이 발생하는 방향과 동일) 으로, 하부 백업롤 초크 (6) 는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에 의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과 역방향 (수평방향 분력 (f) 이 발생하는 방향과 동일) 으로 오프셋된 상태에서 위치결정되고 있다. 하부 워크롤 초크 (4) 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 을 향하여 하부 워크롤 초크 (4)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에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하부 워크롤 (1)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하부 워크롤 초크 (4)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 (18) 는 도 1b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얇은 라이너 (20), 스프링 (21), 스프링 홀더 (19) 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21) 에 의해 스프링 홀더 (19) 를 초크 라이너 (17) 에 대해서 가압하고, 이로써 하부 워크롤 초크 (4) 를 압연기 하우징 (30) 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스프링 홀더 (19) 에는 급지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크로스 헤드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사이에 공급된 윤활제가 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스프링 홀더 (19) 의 표면, 바꾸어 말하면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 (17) 의 슬라이딩면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또한, 하부 백업롤 초크 (6) 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서,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 을 향하여 하부 백업롤 초크 (6)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22) 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에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하부 백업롤 (2)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하부 백업롤 초크 (6)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22) 가 설치되어 있다. 도 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크 구속장치 (22) 는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얇은 라이너 (24), 스프링 (25), 스프링 홀더 (23) 로 이루어진다. 스프 링 (25) 에 의해 스프링 홀더 (23) 를 초크 라이너 (26) 에 대해서 가압하고, 이로써 하부 백업롤 초크 (6) 를 압연기 하우징 (30) 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스프링 홀더 (23) 에는 급지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크로스 헤드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사이에 공급된 윤활제가 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스프링 홀더 (23) 의 표면, 바꾸어 말하면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 (26) 의 슬라이딩면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도 2a 는 오퍼레이터측을 도시한 것에 비해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드라이브측에서는,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의 하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도시 생략)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 을 향하여 하부 워크롤 초크 (도시 생략)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도시 생략)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는 오퍼레이터측의 초크 구속장치 (18)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의 하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도시 생략)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 을 향하여 하부 백업롤 초크 (도시 생략)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도시 생략)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는 오퍼레이터측의 초크 구속장치 (22)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음에, 상부 롤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부 워크롤 (1)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워크롤 초크 (3) 에 대향하도록 한 쌍의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9) 이 압연기 하우징 (30) 에 형성되어 있다. 각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9) 의 상부 워크롤 초크 (3) 측의 대향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는 상부 워크롤 초크 (3) 에 형성된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9) 과 수평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또한, 상부 백업롤 (2)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백업롤 초크 (5) 에 대향하도록 한 쌍의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 이 압연기 하우징 (30) 에 형성되어 있다. 각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 의 상부 백업롤 초크 (5) 와의 대향표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 만곡면 (T) 이 형성된 각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2) 는 상부 백업롤 초크 (5) 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11) 과 수평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도 2a 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상부 워크롤 초크 (3) 는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에 의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으로, 상부 백업롤 초크 (5) 는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2) 에 의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과 역방향으로 오프셋된 상태에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상부 워크롤 초크 (3) 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 을 향하여 상부 워크롤 초크 (3)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에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부 워크롤 (1)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부 워크롤 초크 (3)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 (18) 는 하부 워크롤 초크 (4)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18)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초크 구속장치 (18) 는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얇은 라이너 (도시 생략), 스프링, 스프링 홀더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도시 생략) 에 의해 스프링 홀더 (도시 생략) 를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가압하고, 이로써 상부 워크롤 초크 (3) 를 압연기 하우징 (30) 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스프링 홀더 (도시 생략) 에는 급지용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9) 과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사이에 공급된 윤활제가 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스프링 홀더의 표면, 바꾸어 말하면,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의 슬라이딩면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백업롤 초크 (5) 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의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2) 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 을 향하여 상부 백업롤 초크 (5)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22) 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의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2) 에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부 백업롤 (2)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부 백업롤 초크 (5) 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22)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 (22) 는 도 2b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2a 는 오퍼레이터측을 도시한 것에 비해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드라이브측에서는, 상부 워크롤 (1)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워크롤 초크 (도시 생략) 및 상부 백업롤 (2)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백업롤 초크 (도시 생략) 를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및 그 역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한 쌍의 크로스 헤드 (도시 생략) 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크로스 헤드의 상부 워크롤 초크측의 대향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크로스 헤드 라이너는 상부 워크롤 초크에 형성된 초크 라이너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크로스 헤드 라이너 (도시 생략) 와 수평 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각 크로스 헤드의 상부 백업롤 초크측의 대향부에도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로 만곡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만곡면 (T) 이 형성된 크로스 헤드 라이너는 상부 백업롤 초크에 대해서 평면부에서 맞닿는 한편으로, 다른 쪽의 만곡면 (T) 이 크로스 헤드 라이너 (도시 생략) 와 수평 방향으로 전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워크롤 초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 을 향하여 상부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도시 생략) 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에는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부 워크롤 (1) 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부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는 오퍼레이터측의 초크 구속장치 (18)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부 백업롤 초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출측의 크로스 헤드 라이너에는 압연기 하우징 (30 : 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 을 향하여 상부 백업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도시 생략)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구속장치는 오퍼레이터측의 초크 구속장치 (22)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상 설명한 크로스롤 압연기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하부 워크롤 초크 (3, 4) 에 추가하여 상하부 백업롤 초크 (5, 6) 을 다시 스프링 (21, 25) 이라는 간단한 수단에 의해 롤 오프셋 방향 (예컨대, 워크롤 초크 (3, 4) 를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백업롤 초크 (5, 6) 를 그 역방향) 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각 롤 초크 (3, 4, 5, 6) 의 클리어런스 내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피압연재의 사행, 구부러짐, 파단 등의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의 슬라이딩부에 직접 윤활제를 공급함으로써, 롤 냉각수, 초크 냉각수 등의 냉각수에 의해 윤활제가 흐르지 않고 양호한 윤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스프링 홀더, 라이너류의 보수 유지에 관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상하부 워크롤 초크 (3, 4) 뿐만 아니라 상하부 백업롤 초크 (5, 6) 도 스프링 (25) 으로 압연기 하우징 (30) 을 향하여 탄성지지한 편이 좋은 이유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하부 워크롤 초크 (3, 4) 혹은 상하부 백업롤 초크 (5, 6) 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워크롤 피봇 블록 라이너 (10),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상부 백업롤 피봇 블록 라이너 (12), 크로스 헤드 라이너 (14) 사이의 클리어런스 (d) 중에서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혹은 그 역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고, 상부 워크롤 (1) 과 상부 백업롤 (2) 또는 하부 워크롤 (1) 과 하부 백업롤 (2) 사이 의 평행도가 무너지며, 상부 워크롤 (1) 과 상부 백업롤 (2) 또는 하부 워크롤 (1) 과 하부 백업롤 (2) 이 미소하게 크로스하는 경우가 있다. 상부 워크롤 (1) 과 상부 백업롤 (2) 의 크로스각을 롤크로스각이라 한다. 또는, 하부 워크롤 (1) 과 하부 백업롤 (2) 의 크로스각을 롤크로스각이라 한다. 이 롤크로스각이 발생하면, 상하부 워크롤 (1), 상하부 백업롤 (2) 사이에 축방향으로 어긋나려고 하는 힘 (스러스트력이라 함) 이 발생한다.
도 3 에 롤크로스각과 스러스트 계수 (스러스트력을 압연 하중으로 나눈 값) 의 관계를 나타낸다. 페어크로스 압연기에 있어서, 워크롤 (1) 과 백업롤 (2) 은 각각의 중심축이 평행한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이 정상이지만, 도 3 을 참조하면, 미소하게 평행도가 무너지는 것에 따른 미소한 롤크로스각의 변동에 의해 스러스트 계수가 크게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롤크로스각이 약간 커지면 큰 스러스트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연기는 각 롤 초크 (3, 4, 5, 6) 와 피봇 블록 라이너나 크로스 헤드 라이너 (10, 13, 12, 14) 사이에 클리어런스 (d) 를 가지고 있고 롤크로스각이 변동할 수 있다. 이 클리어런스 (d) 에 의한 롤크로스각의 변동은 통상, 제어가 불가능하다. 예컨대, 전술한 도 1a, 도 1b 및 종래예의 도 14a, 도 14b 에 나타낸 압연기의 예에서는 압연 중 최대로 0.04°의 롤크로스각이 생긴다.
도 5 에, 하부 워크롤 (1) 과 하부 백업롤 (2) 이 크로스되어 있는 경우의 롤크로스각과, 하중차 및 스러스트력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하중차」 란, 오퍼레이터측의 하중으로부터 드라이브측의 하중을 뺀 차를 말한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4°라는 롤크로스각에 있어서도 1200 kN 의 스러스트력이 발생한다.
이 스러스트력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연기의 정면도 내에서 각 롤 (1, 2) 이 회전하려고 하는 모멘트가 균형을 취하기 위한 오퍼레이터측 및 드라이브측의 하중차를 변화시킨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러스트력이 1200 kN 일 때는 하중차는 600 kN 변화한다. 하중차 변화가 600 kN 일 때, 압연기 하우징의 수직방향의 스프링 정수가 15000 kN/mm 이었다고 하면, 오퍼레이터측과 드라이브측에서 수직방향 (압연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 의 신장차는 약 40 ㎛ (= 600/15000 ×1000)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가령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압연재 (S) 를 압연한다고 하고 피압연재 (S) 가 상하부 워크롤 (1) 의 폭방향의 중심을 통과했다 하더라도, 하중차 보상을 위해 드라이브측의 상하부 워크롤 (1) 의 개방도를 그 40 ㎛ 분에 상당하는 만큼 압축해야 된다.
통상, 오퍼레이터는 피압연재를 압연하고 있을 때, 임의의 피압연재를 압연후, 다음 피압연재의 압연을 개시했을 때의 하중차의 변화를 보고, 그것을 제로로 하기 위한 레벨링 (상하부 워크롤의 오퍼레이터측과 드라이브측의 개방도차) 을 조정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크로스롤 압연기와 같이 워크롤 초크 (3, 4) 나 백업롤 초크 (5, 6) 의, 피압연재의 반송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전술한 이유에 의해 발생하고, 그에 의해 발생하는 롤크로스각에 수반되는 스러스트력에 의해 하중차가 발생하는 상태에서는, 스러스트력에 의한 하중차의 분만큼, 취해야 할 레벨링값도 변화해 버린다. 게다가, 전술한 클리어런스 (d) 중에서, 워크롤 초크 (3, 4) 나 백업롤 초크 (5, 6) 의 위치는 일정하지 않고 변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워크롤 초크 (3, 4) 나 백업롤 초크 (5, 6) 의 위치가 클리어런스 (d) 내에서 변동하면, 동일한 크로스각 (θ), 동일한 치수의 피압연재를 동일한 조건으로 압연하는 경우에도, 스러스트력도 하중차도 취해야 할 레벨링값도 이미 재현성이 없어진다. 이 상태에서 압연을 속행하더라도, 피압연재에 구부러짐이나 사행이 발생하고, 특히 열간압연과 같은 사이에 중단되는 압연의 경우는, 더욱 나쁘게도 피압연재의 미단 (尾端) 드로잉의 원인이 되어 버린다.
상하부 워크롤 초크 (3, 4) 뿐만 아니라, 상하부 백업롤 초크 (5, 6) 도 스프링 (25) 으로 압연기 하우징 (30) 을 향해 탄성지지함으로써, 각 롤 초크 (3, 4, 5, 6) 의 클리어런스 (d) 내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하부 워크롤 (1) 과 상하부 백업롤 (2) 의 크로스각 (롤크로스각) 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그에 따른 스러스트력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 피압연재의 사행, 구부러짐, 파단 등의 트러블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1a 및 도 2a 를 참조하여 워크롤 (1) 과 백업롤 (2) 의 압연기내로의 장착, 제거를 할 때에 대해 설명한다.
워크롤 (1) 및 백업롤 (2) 은, 도 1a 및 도 2a 에서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장착하거나 제거한다. 워크롤 (1) 및 백업롤 (2) 을 장착하거나 제거할 때는, 기계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크로스 헤드 (8) 는 서로 나사결합하고 있는 스크류 (15) 및 너트 (16) 중의 스크류 (15) 측을 회전시킴으로써, 초크 (4, 6) 로부터 2 ∼ 5 mm 떨어지도록 개방된다.
그리고, 워크롤 (1) 및 백업롤 (2) 을 장착한 후, 크로스 헤드 (8) 는 닫혀 스프링 홀더 (19) 와 초크 라이너 (17), 스프링 홀더 (23) 와 초크 라이너 (26) 의 간극이 0 mm 가 되게 설정된다. 스프링 홀더 (19) 와 얇은 라이너 (20) 및 스프링 홀더 (23) 와 얇은 라이너 (24) 의 간극은, 압연 하중이 작용했을 때, 압연기 하우징 (30) 이 도 17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간극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수축되는 것을 고려하여 1.0 mm ∼ 2.0 mm 형성된다. 압축 하중이 작용한 경우, 압연기 하우징 (30) 의 수축에 맞춰 이 간극이 작아지고, 스프링 (21, 25) 은 롤 초크 (4, 6) 와의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 압축된 상태에서 스프링 (21, 25) 에 작용하는 힘으로는, 1 개의 초크당 200 ∼ 300 kN 이 바람직하다. 200 kN 을 밑돌면 롤 초크 (4, 6) 를 압연기 하우징 (30) 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힘이 충분하지 않고, 300 kN 을 초과하면 롤 초크 (4, 6) 내의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의 회전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원발명에 의한 초크 구속장치 (18) 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 윤활이 중요하다. 윤활하는 부분은, 스프링 홀더 (19) 와 초크 라이너 (17) 사이, 및 크로스 헤드 (8) 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사이이다. 특히, 크로스 헤드 (8) 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13) 가 만곡면형상 슬라이딩면끼리 서로 슬라이딩하는 면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 모두, 오퍼레이터측, 드라이브측 중 어느 한쪽의 초크만이 피압연재 반송방향 입측, 출측을 향해 이동하는 편 크로스 압연기에 대해 나타냈지만, 크로스각 변경시의 회전중심이 되는 피봇 블록 (9, 11) 등은 압연기 하우징 (30) 에 고정되어 있고, 크로스 헤드 (8) 와 같이 워크롤 (1) 및 백업롤 (2) 의 압연기내로의 장착, 제거를 할 때, 상기 간극을 개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피봇 블록 (9, 11) 측의 스프링 홀더와 롤 초크 (3, 5) 측의 초크 라이너와의 각 간극은, 워크롤 (1) 및 백업롤 (2) 의 압연기내로의 장착, 제거를 할 때의 각 롤 초크 (3, 5) 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압연 하중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약간의 간극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간극은 0.2 ∼ 1.0 mm 가 바람직하다. 0.2 mm 를 밑돌면, 워크롤 (1) 및 백업롤 (2) 의 압연기내로의 장착, 제거를 할 때 간섭할 우려가 있고, 1.0 mm 를 초과하면, 압연 하중이 작용한 경우, 압연기 하우징 (30) 이 수축되어도 스프링 홀더가 각 롤 초크 (3, 5) 의 초크 라이너까지 도달하지 않게 되어, 탄성지지력이 작용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 모두 이 간극은 0.4 mm 로 설정되어 있다.
실시예
도 7 에 나타낸 열간압연라인 (40) 의 마무리 압연기 (46) 의 제 1 ∼ 제 7 스탠드 (F1 ∼ F7) 에 본 발명의 도 1a, 도 1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만을 설치) 를 적용하여 압연한 경우와, 종래의 도 16a, 도 16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를 적용하여 압연한 경우에 대해, 하부 워크롤 초크의 위치 어긋남량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도 7 에 나타낸 열간압연라인 (40) 에 있어서, 도면부호 41 은 가열로, 도면부호 42 는 사이징 프레스, 도면부호 43 은 조압연기, 도면부호 44 는 크롭 시어, 도면부호 45 는 디스케일링 장치, 도면부호 47 은 냉각 존, 도면부호 48 은 권취장치이다.
도 8 은 제 4 스탠드 (F4) 에서의 압연 하중과 크로스 헤드측이 되는 오퍼레이터측의 하부 워크롤 초크의 위치 어긋남량 (반송방향 입측) 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제 4 스탠드의 워크롤 직경은 약 630 mm, 백업롤 직경은 약 1550 mm, 크로스각은 0.02 ∼ 1.04°, 압연속도는 350 ∼ 550 mpm 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초크 구속장치 설치전, 즉 종래의 페어크로스 압연기를 적용한 경우에는, 압연중에 압연기 하우징 (100) 내에서 하부 워크롤 초크 (104) 가 피압연재의 반송방향 입측에 최대 1.2 mm 정도의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비해, 초크 구속장치 설치후, 즉, 본 발명의 도 1a, 도 1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를 적용한 경우에는, 압연 하중에 관계없이 하부 워크롤 초크 (4) 의 위치 어긋남은 0.1 mm 이하였다. 하부 워크롤 초크 (4) 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하부 워크롤 초크 (4, 104) 의 위치는,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얇은 라이너 (20) 에 와류식 거리 센서 (50) 를 매립하고, 이 와류식 거리 센서 (50) 와 하부 워크롤 초크 (4, 104) 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구했다. 와류식 거리 센서 (50) 가 출력하는 신호는 앰프 (51) 로 들어가고, 앰프 (51) 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하부 워크롤 초크 (4, 104) 의 움직임을 항상 감시할 수 있다.
다음, 도 7 에 나타낸 열간압연라인 (40) 의 마무리 압연기 (46) 의 제 1 ∼ 제 7 스탠드 (F1 ∼ F7) 에 본 발명의 도 1a, 도 1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만을 설치), 도 2a, 도 2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및 백업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를 설치) 를 적용하여 압연한 경우와, 종래의 도 16a, 도 16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를 적용하여 압연한 경우에 대해, 하중차의 편차를 비교검토하였다.
도 9 에 제 4 스탠드 (F4) 에서의 실제 열간압연 조업 중의 압연 하중과 하중차의 관계를 나타낸다. 초크 구속장치 설치가 없는 경우, 즉, 종래의 도 16a, 도 16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를 적용한 경우에는, 600 kN 가깝게 하중차의 편차가 보였다. 이에 비해,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를 설치한 경우, 즉, 본 발명의 도 1a, 도 1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를 적용한 경우에는, 하중차의 편차는 400 kN 으로 저감되었다. 또한,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 및 백업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초크 구속장치를 동시에 설치한 경우, 즉 본 발명의 도 2a, 도 2b 에 나타낸 페어크로스 압연기를 적용한 경우에는, 하중차의 편차는 150 kN 이하로 더욱 저감되었다.
이상은, 열간압연라인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예컨대 도 11 에 나타낸 냉간압연라인 (60) 의 마무리 압연기 (66) 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11 에 있어서, 도면부호 61 은 입측 루퍼, 도면부호 62, 65, 67 은 브라이들 롤, 도면부호 63 은 용접기, 도면부호 64 는 페이오프 릴, 도면부호 68 은 시어, 도면부호 69 는 카로젤 텐션 릴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편 크로스 이외의 양 크로스의 페어크로스 압연기, 워크롤 단독 크로스 압연기에도 적용가능 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롤 압연기 및 크로스롤 압연기를 사용한 압연 방법에 의하면, 워크롤 초크를 스프링과 같은 간단한 수단에 의해 롤오프셋 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워크롤 초크의 클리어런스 내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피압연재의 사행, 구부러짐, 파단 등의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워크롤 초크에 더하여 백업롤 초크를 추가로 스프링이라는 간단한 수단에 의해, 롤오프셋 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각 롤 초크의 클리어런스 내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워크롤과 백업롤의 크로스각 (롤크로스각) 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며, 그에 따른 스러스트력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 피압연재의 사행, 구부러짐, 파단 등의 트러블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워크롤 초크 또는 추가로 백업롤을 탄성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압연기 하우징과도 각 롤 초크와도 간섭하지 않는 좁은 공간에 유압 실린더나 유압 배관을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은 회피할 수 있게 되므로, 저가이고 신뢰성 높은 장치가 된다. 또한,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의 슬라이딩부에 직접 윤활제를 공급함으로써, 롤 냉각수, 초크 냉각수 등의 냉각수에 의해 윤활제가 흐르지 않고 양호한 윤활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스프링 홀더, 라이너류의 보수 유지에 드는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6)

  1. 워크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워크롤 초크 및 백업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백업롤 초크를 구비한 크로스롤 압연기에 있어서,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기 워크롤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기 워크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롤 압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연재를 압연 중에 상기 백업롤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상기 백업롤 초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롤 압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 사이, 및 크로스 헤드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사이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롤 압연기.
  4. 제1항에 기재된 크로스롤 압연기를 사용하여, 피압연재의 압연시에, 상기 압연기의 워크롤 초크를, 압연 중 상기 압연기의 워크롤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으로 탄성지지하면서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연재의 압연시에, 상기 압연기의 백업롤 초크를, 압연 중 상기 압연기의 백업롤이 오프셋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으로 탄성지지하면서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스프링 홀더와 초크 라이너 사이, 및 크로스 헤드와 크로스 헤드 라이너 사이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
KR1020040020036A 2003-04-02 2004-03-24 크로스롤 압연기 및 그것을 사용한 압연 방법 KR100632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99473 2003-04-02
JPJP-P-2003-00099473 2003-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192A KR20040086192A (ko) 2004-10-08
KR100632768B1 true KR100632768B1 (ko) 2006-10-12

Family

ID=3430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036A KR100632768B1 (ko) 2003-04-02 2004-03-24 크로스롤 압연기 및 그것을 사용한 압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632768B1 (ko)
CN (1) CN1299845C (ko)
TW (1) TWI2476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1092B2 (ja) * 2005-04-12 2011-08-17 三菱日立製鉄機械株式会社 圧延機及び圧延方法
DE102008009902A1 (de) * 2008-02-19 2009-08-27 Sms Demag Ag Walzvorrichtung, insbesondere Schubwalzengerüst
FR3006211B1 (fr) * 2013-05-28 2015-05-15 Fives Dms Procede de changement de configuration d'un laminoir et laminoir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KR101504930B1 (ko) * 2013-09-26 2015-03-23 현대제철 주식회사 페어 크로스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805A (ja) * 1996-04-24 1997-11-04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ロスロール圧延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1702A (ja) * 1983-11-24 1985-06-18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ロスロ−ル圧延機
JP2796465B2 (ja) * 1991-01-29 1998-09-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ロスロール圧延機
US5666837A (en) * 1991-03-29 1997-09-16 Hitachi Ltd. Rolling mil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930469B2 (ja) * 1992-03-25 1999-08-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ロスロール圧延機のワークロールチョック位置安定装置
JP2851481B2 (ja) * 1992-07-14 1999-01-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ロールクロス圧延機
CN2152617Y (zh) * 1992-09-29 1994-01-12 北京科技大学 轧辊侧向压紧装置
DE19510694A1 (de) * 1995-03-14 1996-09-19 Mannesmann Ag Walzgerüst mit gekreuzten Arbeitswalzen
JPH08269511A (ja) * 1995-03-31 1996-10-15 Nippon Steel Corp 出銑口煉瓦積み構造
JP2001198607A (ja) * 2000-01-17 2001-07-24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ールクロス圧延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805A (ja) * 1996-04-24 1997-11-04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ロスロール圧延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192A (ko) 2004-10-08
CN1299845C (zh) 2007-02-14
TWI247633B (en) 2006-01-21
CN1533849A (zh) 2004-10-06
TW200422114A (en) 200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5764A (en) Cross rolling mill, cross rolling method and cross rolling mill system
EP2248609B1 (en) Plate rolling mill and plate rolling method
EP0743107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roll crossing and shifting system
EP0555882B1 (en) Tandem mill system and work roll crossing mill
JP3283823B2 (ja) 板材圧延機
US8353192B2 (en) Linear bearing plate for rolling mill
EP2260954B1 (en) Plate rolling mill and plate rolling method
KR100632768B1 (ko) 크로스롤 압연기 및 그것을 사용한 압연 방법
US6354128B1 (en) Method to eliminate the play between chocks and relative support blocks in four-high rolling stands and relative device
JP4820062B2 (ja) クロスロール圧延機及びそれを用いた圧延方法
US8584500B2 (en) Lubrication delivery system for linear bearings
US4402207A (en) Zero clearance device for rolling mill apparatus
US20010018840A1 (en) Strip rolling mill and strip rolling method
RU2126729C1 (ru) Стан для горячей прокатки, линия стана горячей прокатки, способ горячей прокатки и способ модернизации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JPS60255204A (ja) 圧延機
JPH0775723B2 (ja) 形鋼の圧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