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359B1 -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359B1
KR100632359B1 KR1020030069793A KR20030069793A KR100632359B1 KR 100632359 B1 KR100632359 B1 KR 100632359B1 KR 1020030069793 A KR1020030069793 A KR 1020030069793A KR 20030069793 A KR20030069793 A KR 20030069793A KR 100632359 B1 KR100632359 B1 KR 100632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olyurethane resin
weight
salt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4017A (ko
Inventor
서창민
김동식
이태웅
박남식
양경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9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359B1/ko
Publication of KR20050034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82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함으로써, 양호한 전기적 특성 및 항균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 분말 0.1 내지 20중량%; 및 99.9 내지 80중량%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3037455876-pat00001
상기 식에서, X는 HCl, HBr, HI, HNO3, 탄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탈수소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루콘산, 소르빈산, 푸마린산, 말레인산,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고, m은 1 이상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0의 정수이고, n은 염 X의 몰수이며, m/n은 0.1 내지 100이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이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 분말의 최종 함량이 0.1 내지 5중량%가 되도록,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수지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0 내지 2중량부의 리튬염 등의 금속염을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 폴리우레탄, 전기 전도성, 항균제, 포장

Description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Polyurethane resin composition including polyhexamethyleneguanidine sal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olyhexamethyleneguanidine)염을 포함함으로써, 양호한 전기적 특성 및 항균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전기 방지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전도성 수지는 크게 이온 전도(Ionic conduction)성 수지와 전자 전도(Electrical conduction)성 수지로 구분되며, 이와 같은 전도성 수지의 표면 저항률은 ASTM D-257법에 의하여 측정시 통상 1×104 내지 1×1012Ω/square이다. 이온 전도의 원리를 이용한 대표적인 수지 가공 방법은 미국특허 614040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비전도성 수지에 유기 전도성 물질을 코팅하는 것으로서, 이 방법은 가공 비용이 저렴하고, 가공성 또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가공 중 또는 후에 코팅된 전도성 물질이 벗겨져 나가, 전도 성을 쉽게 상실하며 재활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전자 전도의 원리를 이용한 대표적인 수지 가공 방법은 수지에 전도성을 가진 무기첨가제를 분산시키는 것으로서, 무기 첨가제를 분산시킨 전도성 수지는 전도성이 우수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은 항균 기능은 전혀 구비하지 않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건강과 위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단순한 플라스틱 제품이 아닌, 항균 위생 기능을 가지는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항균 처리를 거친 플라스틱 제품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수지에 용이하게 적용되고, 원하는 항균 성능을 가진 항균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수지에 첨가하는 항균제는 크게 무기 항균제와 유기 항균제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무기 항균제는 은, 동 등의 금속을 함유한 항균제로서, 고온의 수지 가공 조건을 견디므로 항균 수지의 제조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유기 항균제에 비해 항균력이 약하므로, 다량의 항균제를 사용하여야 하며, 곰팡이에 대한 항균력이 상대적으로 약하며, 가격이 상대적으로 고가이고, 분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공 중이나 가공 후 금속이온으로 인한 변색, 산화, 부식 등의 단점이 있어 폭 넓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유기 항균제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싸고, 적은 양으로도 항균 효과가 우수하지만, 고온의 수지 가공 온도에서 분해되어 항균 효과가 대부분 소멸하며, 가공 후 변색되고, 무기 항균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쉽게 용출되므로 지속력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벤즈이미다졸계 항균제는 플 라스틱 가공에 사용될 경우, 가공성이 양호하지만, 세균에 대한 항균력이 약하며, 가공 후 변색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0,10'-옥시비스페녹시알진(10,10'-oxybisphenoxyarsine)은 항균력 및 가공성이 우수하나, 자외선에 쉽게 분해되고, 비소 성분 함유로 인해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극히 소수의 유기 항균제 만이 항균 수지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대부분의 고온 수지 가공 조건에서도 분해가 적으며, 제품의 변색을 유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산성 및 소재의 표면 항균 지속력이 우수한 유기 항균제에 대하여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평균 분자량 1000 이상의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 분말이 이와 같은 특성을 만족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 수지 가공 조건에서도 분해가 적으며, 제품의 변색을 유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산성 및 소재의 표면 항균 지속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호한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 분말 0.1 내지 20중량%; 및 99.9 내지 80중량%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 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3037455876-pat00002
상기 식에서, X는 HCl, HBr, HI, HNO3, 탄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탈수소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루콘산, 소르빈산, 푸마린산, 말레인산,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고, m은 1 이상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0의 정수이고, n은 염 X의 몰수이며, m/n은 0.1 내지 100이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이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 분말의 최종 함량이 0.1 내지 5중량%가 되도록,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수지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0 내지 2중량부의 금속염을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여 정전기 방지 소재 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s: PEG),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사슬 연장제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화학식 H-(OCH2CH2)n-OH (여기서, n은 반복하는 에틸렌 에테르 단위의 수로서, 약 11 내지 110이다)의 선형 중합체로서,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5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4,0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이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장애되지 않은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 예를 들면, 1,4-디이소시아네이토벤젠(PPDI), 4,4'-메틸렌-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MDI),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NDI), m-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 1,4-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CHDI) 등을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4'-메틸렌-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다. 상기 사슬 연장제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일차 알코올기를 함유하는 지방족 단쇄 글리콜로서, 바람직하게는 디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 디올, 1,4-부탄 디올, 1,5- 펜탄 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히드로퀴논 디(히드록시에틸) 에테르, 1,6-헥산 디올 등을 상기 사슬 연장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4-부탄 디올을 상기 사슬 연장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은 몰 기준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1몰에 대하여 약 0.1 내지 3.0몰,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2.1몰의 사슬 연장제와, 사슬 연장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전체(즉, 사슬 연장제 + 폴리에틸렌글리콜 - 1.0) 1.0 몰에 대하여 약 0.97 내지 1.02몰, 바람직하게는 약 1.0몰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약 100℃ 이상, 일반적으로 약 120℃의 온도에서 원-샷 중합 반응으로 동시에 반응시켜 얻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반응의 반응 온도는 약 180 내지 250℃이다. 얻어진 폴리우레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50,000 내지 35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 자체의 극성기와 더불어 친수성 폴리머를 형성하기 때문에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전도성 폴리우레탄은 그 자체가 이온 전도성 물질이므로, 적용 분야 및 가공 조건이 매우 광범위하고, 비교적 저가일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은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0이며,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Figure 112003037455876-pat00003
상기 식에서, X는 HCl, HBr, HI, HNO3, 탄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탈수소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루콘산, 소르빈산, 푸마린산, 말레인산,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고, m은 1 이상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0의 정수이고, n은 염 X의 몰수이며, m/n은 0.1 내지 100이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이며, 더욱 바람 직하게는 1 내지 4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은 분자 내에 양이온 부분과 음이온 부분이 존재하므로, 자체적으로 전도성을 가지며, 다른 항균제와는 달리 플라스틱이 경화된 후, 플라스틱 구조 사이로 잘 빠져나갈 수 없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은 열, 빛, pH 조건 등에 대단히 안정한 성질을 가지므로, 일단 수지와 함께 가공된 후에, 외부 환경에 의한 물리화학적 영향을 덜 받게 되고, 이에 따라 항균력이 장시간 유지된다. 상기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은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사슬 연장제가 중합하여 폴리우레탄을 형성하는 반응 공정에 첨가될 수도 있으며, 압출기 등을 이용하여 중합이 완료된 폴리우레탄과 직접 혼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의 함량은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전체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이며,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의 함량은 99.9 내지 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의 첨가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 전기적 특성의 향상 및 항균력이 미미하고, 20중량%를 초과하면 폴리우레탄의 중합이 곤란하거나, 폴리우레탄의 물성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그 자체로 최종 제품으로 성형될 수도 있으나, 다른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이들의 혼합물 등 통상의 합성 수지에 마스터 배치 형태로 혼합되어, 최종 제품의 성형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가 마스터 배치로 사용될 경우, 최종 제품에서의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의 함량은 0.1 내지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내지 3중량%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의 최종 첨가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 전기적 특성의 향상 및 항균력이 미미하고, 5중량%를 초과하면 플라스틱 물성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정전기를 분산시키고,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속 이온과 비금속 이온 또는 분자의 결합으로 형성된 염(salt), 염의 복합체 또는 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염으로는 리튬염(Li salt) 등의 금속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LiClO4, LiN(CF3SO2)2, LiPF6, LiAsF6, LiI, LiBr, LiSCN, LiSO3CF3, LiNO3, LiC(SO2CF3)3, Li 2S, LiMR4 (여기서, M은 Al 또는 B이고, R은 할로겐, 알킬 또는 아릴기이다),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3M사에서 상업적으로 시판하고 있는 리튬비스트리풀루오로메탄설포이미드 (Lithium(Bis)Trifluoromethanesulfonimide, LiN(CF3SO2)2)를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염화합물을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사슬 연장제를 반응시키는 공정에 첨가하여 폴리우레탄을 중합함으로써, 염화합물이 균일하게 분산된 폴리우레탄을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10 내지 2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금속염의 사용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정전기 분산 및 전도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2중량부를 초과하면 폴리우레탄의 물성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전도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첨가하면, 폴리우레탄 수지의 전기 저항률이 감소하여, 전도성 고분자로서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의 항균성으로 인하여 전도성 포장 재료로 사용할 경우 상품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은 폴리우레탄 수지 내에서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고온 수지가공 조건에서도 분해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변색을 유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소재의 표면 항균 지속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PHMG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전기적 특성 평가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인산염(PHMG)의 함량이 각각 0, 0.5, 3, 6중량%가 되도록, 폴리에틸렌글리콜(중량평균 분자량 1,500) 및 4,4'-메틸렌-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의 1:1 혼합물(몰비)에 중량평균 분자량 1320의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 딘 인산염(PHMG: 에스케이케미칼(주) 상품명 SKYBIO 1100)을 분산시키고, 200℃에서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수지를 중합하였다. 약 170℃의 고온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를 가로 15mm, 세로 15mm, 두께 2mm의 평활한 시편으로 성형한 후,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37455876-pat00004
상기 표 1에서, "Static decay time"은 시험편이 1000 Voltage에서 10 Voltage로 방전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STM D-257 규정에 따라 상대습도 50±5%에서 40시간 방치한 후 표면 저항률을 측정하면,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하지 않은 폴리우레탄은 약 1.4 ×1010 Ω/square의 표면 저항을 가지는 반면,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약 1.8 ×108 Ω/square의 표면 저항을 가지므로,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첨가하면 전기적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ESD 11.11 규정에 따라 상대습도 12±5%에서 48 내지 72시간 방치한 후, 표면 저항률을 측정하면,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하지 않은 폴리우레탄 수지는 1.6 ×1011 Ω/square의 표면 저항을 가지는 반면,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 지는 1.9 ×109 Ω/square의 표면 저항을 가지므로,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첨가하면 수분이 적은 환경에서도 전기적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1로부터, 수분이 비교적 적은 상대습도 12±5%에서 48 내지 72시간 동안 방치한 후,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면, PHMG를 포함하지 않은 폴리우레탄은 저항률 수치가 높아져 대전방지효과가 감소하는 반면, PHMG를 0.5 중량%이상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은 수분이 적은 경우에도 수분이 비교적 많은 경우(ASTM D-257의 결과)보다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PHMG가 폴리우레탄의 특히 수분이 적은 환경에서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기 대전방지제로 유용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PHMG 및 Li-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의 전기적 특성 평가
LiN(CF3SO2)2의 함량이 전체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65중량%가 되도록, LiN(CF3SO2)2를 첨가하고 폴리우레탄 수지를 중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시편으로 제조한 후,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37455876-pat00005
상기 표 2로부터, PHMG를 0.5 중량% 이상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단순히 LiN(CF3SO2)2 만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와 비교하여, 표면 저항률, 체적저항률 등 전기적 특성이 동등 이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PHMG가 리튬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PHMG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항균 효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HMG를 첨가하여 폴리우레탄 수지를 중합하였으며, 이와는 별도로 PHMG를 첨가하지 않고 폴리우레탄 수지를 중합한 후, 폴리우레탄 수지의 가공 전에 0.5 및 3중량%의 PHMG를 첨가하여 PHMG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하였다. PHMG가 첨가된 폴리우레탄 수지를 싱글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두께 0.5mm 이하의 시이트(sheet)로 성형하였으며, 시이트 가공 조건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에서 PHMG를 폴리우레탄의 중합 후에 첨가한 것은 PHMG의 열분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Figure 112003037455876-pat00006
이와 같이 제조된 두께 0.5mm 이하의 폴리우레탄 시험편을 이용하여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을 AATCC 147-1988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먼저, AATCC 세균용 배지(Bacteriostasis agar)를 멸균된 페트리 접시(petri dish) 부어 상온에서 굳힌 다음,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을 상기 배지에 접종하였다. 다음으로, PHMG를 0.5 및 3중량%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시험편을 25×5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상기 페트리 접시의 중앙에 놓은 후, 3일간 배양하고, 시험편 주위에 성장 저지환의 발생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37455876-pat00007
상기 표 4에서 "수치(mm)"는 (성장 저지환의 지름 - 시험편의 지름)/2 이다. 상기 표 4로부터, PHMG를 포함하지 않은 폴리우레탄의 경우 성장 저지환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항균 영역(Clear zone)을 나타내는 수치인 W값이 0mm)으로 보아 항균력이 전혀 없음을 알 수 있으며, PHMG를 0.5중량% 이상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시 험편의 경우, 접종된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 전혀 성장하지 못하므로(W값이 약 28mm), PHMG의 항균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가공조건에 따라 열과 같은 외부적 조건에 많이 노출되거나, PHMG의 함량이 많을수록, 열에 의한 PHMG 분해가 발생하나, 항균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PHMG 자체의 열분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PHMG를 약 1중량%로 첨가하고, 250℃이하의 온도에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HMG가 폴리우레탄의 항균제로서 적합하며, 곰팡이나 세균 오염이 문제되는 여러 포장 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PHMG 및 Li-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의 항균 효과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LiN(CF3SO2)2 및 PHMG를 첨가하여 폴리우레탄 수지를 중합하였으며, 이와는 별도로 PHMG를 첨가하지 않고 LiN(CF3SO2)2 0.65중량% 만을 포함한 폴리우레탄 수지를 중합한 후, 폴리우레탄 수지의 가공 전에 0.5 및 3중량%의 PHMG를 첨가하여 PHMG 및 LiN(CF3SO2)2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하였다. PHMG 및 LiN(CF3SO2)2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싱글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두께 0.5mm 이하의 시이트(sheet)로 가공하였으며, 시이트 가공 조건은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제조된 두께 0.5mm 이하의 폴리우레탄 시험편에 대하여, 실시예 3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 항균력을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37455876-pat00008
상기 표 5에서 "수치(mm)"는 (성장 저지환의 지름 - 시험편의 지름)/2 이다. 상기 표 5로부터, PHMG를 포함하지 않은 폴리우레탄의 경우 성장 저지환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항균력이 전혀 없음을 알 수 있으며, PHMG를 0.5중량% 이상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시험편의 경우, 접종된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 전혀 성장하지 못하므로, PHMG의 항균력이 매우 우수하게 발휘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HMG가 폴리우레탄의 항균제로서 적합하며, 곰팡이나 세균 오염이 문제되는 여러 포장재료에 유용함을 알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전도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소량의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 항균제를 첨가하면, 폴리우레탄 수지의 전기 전도성이 향상될 뿐 만 아니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지가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은 고온 수지 가공 조건에서도 분해가 적으며, 제품의 변색을 유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산성이 우수하므로, 다양한 포장 재료용 플라스틱에 항균력 및 대전방지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으로 표현되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인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 분말 0.1 내지 20중량%; 및
    화학식 H-(OCH2CH2)n-OH (여기서, n은 반복하는 에틸렌에테르 단위의 수로서, 11 내지 110이다)로 표현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사슬연장제를 반응시켜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지 80 내지 99.9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Figure 712006001661965-pat00010
    상기 식에서, X는 HCl, HBr, HI, HNO3, 탄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탈수소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루콘산, 소르빈산, 푸마린산, 말레인산,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고, m은 6 내지 100의 정수이고, n은 염 X의 몰수이며, m/n은 1 내지 4이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 분말의 최종 함량이 0.1 내지 5중량%가 되도록,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수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0 내지 2중량부의 금속염을 더욱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은 LiClO4, LiN(CF3SO2)2, LiPF 6, LiAsF6, LiI, LiBr, LiSCN, LiSO3CF3, LiNO3, LiC(SO2CF3)3 , Li2S, LiMR4 (여기서, M은 Al 또는 B이고, R은 할로겐, 알킬 또는 아릴기이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KR1020030069793A 2003-10-08 2003-10-08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KR100632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793A KR100632359B1 (ko) 2003-10-08 2003-10-08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793A KR100632359B1 (ko) 2003-10-08 2003-10-08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017A KR20050034017A (ko) 2005-04-14
KR100632359B1 true KR100632359B1 (ko) 2006-10-11

Family

ID=3723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793A KR100632359B1 (ko) 2003-10-08 2003-10-08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3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259B1 (ko) * 2006-11-14 2013-04-10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KR100924273B1 (ko) * 2008-01-21 2009-10-3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항균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2338923B1 (de) * 2009-12-24 2017-10-18 Sebastian Oberwalder Polyurethan mit einem bioziden Polyharnstoff als Comonomer
CN108069880A (zh) * 2017-12-04 2018-05-25 辽宁科技大学 一种聚六亚甲基单胍硝酸盐制备方法
CN110760046B (zh) * 2019-10-29 2021-10-19 安徽大学 一种自抗菌蓖麻油基水性聚氨酯乳液的制备方法
CN113088154B (zh) * 2019-12-23 2022-02-18 四川大学 一种含胍基抗菌防霉水性聚氨酯皮革涂饰材料的制备方法
CN113789026B (zh) * 2021-08-02 2023-12-22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具有持久抗菌性的hips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017A (ko)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459B1 (ko) 염 개질된 정전기 소산 중합체
KR100632359B1 (ko)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US5340499A (en)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20160235059A1 (en) Bioactive aniline copolymers
KR2019011438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4532354A (zh) 一种抗菌复合物、抗菌聚碳酸酯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8668845B2 (en) Method for preparing electrostatic dissipative polymer
US4363663A (en) Antimicrobial solution
ES2249728T5 (es) Poliuretanos termoplasticos que comprenden conductores planos en forma de lamina.
US20200196613A1 (en) Antimicrobial polymer composition
SE446595B (sv) Sjelvdesinfekterande matta med ett alkylfosfat inforlivat i baksidesbeleggningen
CN102365019A (zh) 在塑料中用作为吡啶硫酮稳定剂的脱氢醋酸的盐
KR10225324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4323414B2 (ja) 制電性組成物の製造方法
CN116023695A (zh) 一种离型膜及其制备方法
CN111087767A (zh) 抗菌防霉聚酯组合物和发泡珠粒及其制备方法和成型体
US3105060A (en) Microbiocidal resinous compositions
CN108456384A (zh) 一种环保自洁跑道材料
US3419640A (en) Anti-static polystyrene-polybutadiene blends
CN109096602A (zh) 一种聚丙烯抗菌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1225185A1 (ko) 항균 필름
CN113549262B (zh) 一种抗菌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957936A (zh) 一种聚己二酸对苯二甲酸丁二醇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2841263B2 (ja) 抗菌性abs系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CN117186538A (zh) 一种抗菌耐刮擦硅酮母粒及抗菌耐刮擦聚丙烯复合材料和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