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794B1 - 튜브형 제빙장치 - Google Patents

튜브형 제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794B1
KR100631794B1 KR1020040009646A KR20040009646A KR100631794B1 KR 100631794 B1 KR100631794 B1 KR 100631794B1 KR 1020040009646 A KR1020040009646 A KR 1020040009646A KR 20040009646 A KR20040009646 A KR 20040009646A KR 100631794 B1 KR100631794 B1 KR 100631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ube
ice making
refrigerant
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7578A (ko
Inventor
방수일
장인성
Original Assignee
방수일
장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수일, 장인성 filed Critical 방수일
Priority to KR1020040009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794B1/ko
Publication of KR20040027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02Magnetic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형 제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관 형태의 몸체 내부를 따라 냉매파이프가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제빙튜브를 2열(列)로 배열 설치한 상태에서, 각 열(列)의 제빙튜브를 통하여 저온의 냉매가스와 고온의 냉매가스를 교대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제빙장치를 통한 연속적인 제빙 및 탈빙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얼음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킴과 동시에 자동화된 제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2단 압축기를 적용하여 냉매의 증발온도를 낮추어 줌과 동시에 제빙튜브를 통한 냉매의 유동시간을 최대한으로 지연시켜 담수 뿐만 아니라 해수에 대한 제빙작업 또한 가능하게 하며, 각각의 제빙튜브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과 함께 탈빙시 제빙튜브로부터 낙하되는 얼음을 분쇄시키기 위한 쇄빙크러셔 또한 그 착탈 및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제빙장치에 의한 얼음의 생산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나의 제빙장치만으로도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얼음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제빙장치의 호환성과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빙장치, 제빙시스템, 쇄빙크러셔, 압축기, 응축기, 어큐뮬레이터, 전자변

Description

튜브형 제빙장치{Apparatus for making ice with tube type}
도 1은 종래의 제빙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의 일부 측단면도 및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빙장치를 이용한 제빙시스템을 나타내는 배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제빙장치 21 : 제빙튜브 22 : 냉매유입관
23 : 냉매배출관 24 : 냉매파이프 25,28 : 하부플랜지
26 : 분배기 27 : 유입관 29 : 받침대
30 : 배출탱크 31 : 쇄빙크러셔 32 : 2차 쇄빙크러셔
33 : 저장수조 34 : 스크린판 35 : 얼음배출구
36 : 순환펌프 37 : 순환배관 38 : 가이드볼트
39,39' : 전자변 40 : 구동수단 41 : 감속모터
42 : 커플링 43 : 구동기어 44,44' : 베어링박스
45 : 종동기어 46 : 가이드공 47 : 결합공
48 : 체인 또는 벨트 50 : 제빙시스템 51 : 압축기
52 : 유분리기 53 : 응축기 54 : 리시버탱크
55 : 드라이필터 56,56' : 팽창밸브 57 : 어큐뮬레이터
58,58' : 일방향밸브 61~66 : 전자변
본 발명은 이중관 형태의 몸체 내부를 따라 냉매파이프가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제빙튜브를 2열(列)로 배열 설치한 상태에서, 각 열(列)의 제빙튜브를 통하여 저온의 냉매가스와 고온의 냉매가스를 교대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제빙장치를 통한 연속적인 제빙 및 탈빙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얼음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킴과 동시에 자동화된 제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2단 압축기를 적용하여 냉매의 증발온도를 낮추어 줌과 동시에 제빙튜브를 통한 냉매의 유동시간을 최대한으로 지연시켜 담수 뿐만 아니라 해수에 대한 제빙작업까지 가능하도록 한 튜브형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제빙튜브를 제빙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과 함께 탈빙시 제빙튜브로부터 낙하되는 얼음을 분쇄시키기 위한 쇄빙크러셔 또한 그 착탈 및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제빙장치에 의한 얼음의 생산량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나의 제빙장치만으로도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얼음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제빙장치의 호환성과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튜브형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빙장치는 플레이트(Plate)나 튜브(Tube) 또는 셀(Cell)이나 블록(Block)의 형태를 가지는 각종 제빙용기에 담수를 저장하여 상기 제빙용기 자체 또는 그 주변의 온도를 결빙온도(0℃) 이하로 조성함으로서 제빙용기에 저장된 담수가 결빙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제빙용기를 냉동실과 같은 장소에 저장시켜 얼음을 생산하는 방법과, 제빙용기 자체를 냉동싸이클의 증발기 구조에 적용하여 얼음을 생산하는 방법으로 크게 구별되어진다.
상기한 방법 중에서 제빙용기 자체를 냉동싸이클의 증발기 구조에 적용하여 얼음을 생산하는 방법은, 냉매를 고온고압의 가스로 압축하는 압축기(Compressor)와, 냉매의 열을 일정량만큼 외부로 방출시키는 응축기(Condenser)와, 응축된 냉매의 증발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그 온도 및 압력을 강하시키는 팽창밸브(Expansion valve)와,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Evaporator)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냉동싸이클에서 냉매의 증발구조를 상기 제빙용기와 함께 병행시켜 냉매의 증발작용에 따른 온도강하로 담수가 결빙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종래의 제빙장치 중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는 형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내부에 다수 개의 제빙파이프(12)가 설치되고, 상,하부격판(10a)(10b) 및 상기 제빙파이프(12)에 의하여 냉매의 유동공간(13)이 형성되는 본체케이스(10)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상단에 분배기(11a)와 함께 설치되어 각 제빙파이프(12)의 내부로 담수를 공급하기 위한 분배수조(11)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제빙파이프(12)로부터 낙하되는 얼음을 분쇄 및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탱크(1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출탱크(14)의 내부에는 제빙파이프(12)로부터 낙하된 얼음을 절단시키는 절단부재(17)와, 상기 절단부재(17)에 의하여 일정 크기로 절단된 얼음을 배출탱크(14)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얼음배출구(14a)와, 제빙파이프(12)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스크린판(16)에 의하여 얼음과 분리하여 저장하는 저장수조(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부재(17)는 그 하단 회전축(17a)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저장수조(15)는 순환펌프(18)를 구비하는 리턴파이프(19)에 의하여 상기 분배수조(11)와 연결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제빙장치(1)는,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와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거친 냉매를 본체케이스(10)의 하측에 설치된 냉매유입관(13a)을 통하여 냉매유동공간(13)으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배수조(11)로부터 각각의 제빙파이프(12)를 통하여 물이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서 제빙파이프(12)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얼음이 점차적으로 착상되도록 하고, 제빙에 사용된 냉매는 본체케이스(10)의 상측에 설치된 냉매배출관(13b)을 통하여 압축기로 재유입시킴으로서 냉매에 의한 제빙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제빙파이프(12)에서 결빙되지 않은 물은 스크린판(16)을 통하여 저장수조(15)로 낙하됨으로서 순환펌프(18)와 리턴파이프(19)에 의하여 분배수조(11)로 재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냉매에 의한 제빙작업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제빙파이프(12)의 내부에 일정한 두께의 얼음이 결빙되면, 냉동싸이클의 압축기로부터 응축기로 보내지는 고온의 냉매가스(Hot gas) 중 그 일부를 상기 냉매배출관(13b)을 통하여 냉매유동공간(13)으로 유입시킴으로서 각각의 제빙파이프(12)로부터 얼음을 탈빙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탈빙된 얼음은 그 자중에 의하여 배출탱크(14)측으로 낙하됨과 동시에 상기 절단부재(17)에 의하여 일정 크기로 절단된 다음 얼음배출구(14a)를 통하여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며, 이와 같은 탈빙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냉동싸이클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상기한 제빙작업을 다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빙장치(1)는, 냉동싸이클에 의하여 제빙파이프(12)에 착상된 얼음을 탈빙시키는 동안에는 제빙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제빙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제빙장치(1)에 의한 얼음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냉매유동공간(13)이 직선의 형태로 단순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냉매에 의한 결빙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압축기의 사용에 따라 냉매의 증발온도 또한 높아지게 됨으로서 담수보다 낮은 결빙온도를 가지는 해수의 제빙작업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제빙파이프(12)가 본체케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초 제작된 제빙장치(1)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본체케이스(10) 및 그 내부에 삽입되는 제빙파이프(12)의 크기와 개수가 각각 상이하게 되는 다양한 종류의 제빙장치(1)를 다품종 소량생 산체제 방식으로 제조하여야 함으로서, 제빙장치(1)의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그 제조단가 또한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제빙파이프(12)로부터 낙하되는 얼음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기 위한 상기 절단부재(17)로 단순한 회전식 커터를 사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교체작업 또한 매우 까다롭게 됨으로서, 제빙장치(1)에 의하여 생산되는 얼음의 형태와 그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제빙장치(1)의 호환성에 더욱 악영향을 미치게 될 뿐만 아니라 제빙장치(1)의 상품적 가치를 저하시킴으로서 대외적인 경쟁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튜브형 제빙장치는 이중관 형태의 몸체 내부를 따라 냉매파이프가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제빙튜브를 2열(列)로 배열 설치한 상태에서, 각 열(列)의 제빙튜브를 통하여 저온의 냉매가스와 고온의 냉매가스를 교대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제빙장치를 통한 연속적인 제빙 및 탈빙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얼음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킴과 동시에 자동화된 제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2단 압축기를 적용하여 냉매의 증발온도를 낮추어 줌과 동시에 제빙튜브를 통한 냉매의 유동시간을 최대한으로 지연시켜 담수 뿐만 아니라 해수에 대한 제빙작업 또한 가능하게 하며, 각각의 제빙튜브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과 함께 탈빙시 제빙튜브로부터 낙하되는 얼음을 분쇄시키기 위한 쇄빙크러셔 또한 그 착탈 및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제빙장치에 의한 얼음의 생산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나의 제빙장치만으로도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얼음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제빙장치의 호환성과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제빙장치는, 외관과 내관의 이중관으로 이루어지는 제빙튜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빙튜브의 외관과 내관 사이에는 냉매파이프가 나선형으로 삽입 설치되며, 제빙튜브의 외관측에는 냉매파이프와 연결되는 냉매유입관과 냉매배출관이 돌출 형성되고, 제빙튜브의 상단에는 담수 또는 해수를 제빙튜브의 내관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분배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빙튜브는 판 형상의 받침대 상부측에 배열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에는 제빙튜브의 내관과 연통되는 낙하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는 상면이 개구된 배출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탱크의 바닥부측에는 스크린판이 덮혀지는 저장수조와 얼음배출구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빙튜브는 받침대를 따라 2열(列)로 배열 설치되고, 제빙튜브의 하단에는 팩킹 개재용 하부플랜지가 형성되어 각각의 제빙튜브가 받침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출탱크의 내부 중앙에는 한 쌍의 쇄빙크러셔가 베어링박스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도록 삽입 설치되고, 상기 배출탱크의 일측 베어링박스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쇄빙크러셔의 회전축 선단부에는 감속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종동기어가 치합되는 구동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쇄빙크러셔와 스크린판의 사이에는 감속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쇄빙크러셔와 함께 연동 회전하는 한 쌍의 2차 쇄빙크러셔가 베어링박스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2차 쇄빙크러셔는 배출탱크의 측벽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가이드볼트에 의하여 일측 베어링박스가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되어 2차 쇄빙크러셔 사이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의 일부 측단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빙장치를 이용한 제빙시스템을 나타내는 배관도이며,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중 미설명된 부호 21a는 외관, 21b는 내관, 25a 및 28a는 팩킹, 29a는 낙하공, 30a는 개구부, 51a는 토출측 진동흡수기, 51b는 흡입측 진동흡수기, 52a는 오일회수관을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튜브형 제빙장치를 이루는 전체적인 구성요소는 도 2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냉매의 증발작용에 의하여 그 내부로 유입되는 담수 또는 해수를 결빙시키기 위한 제빙튜브(21)와, 상기 제빙튜브(21)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빙튜브(21)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29)와, 상기 받침대(29)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빙튜브(21)로부터 낙하되는 얼음을 분쇄 및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탱크(30)와, 상기 배출탱크(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얼음의 분쇄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빙튜브(21)는 외관(21a)과 내관(21b)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외관(21a)과 내관(21b)의 사이에 해당하는 몸체의 내부공간에는 냉매파이프(24)가 내관(21b)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져 설치되고, 상기 제빙튜브(21)의 외관(21a)측에는 냉매파이프(24)와 연결되는 냉매유입관(22)과 냉매배출관(23)이 상하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제빙튜브(21)의 상단에는 담수 또는 해수를 내관(21b)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분배기(2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29)는 다수 개의 제빙튜브(21)를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판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받침대(29)의 몸체상에는 각 제빙튜브(21)의 내관(21b)과 연통되는 낙하공(29a)이 관통 형성되는 데, 상기 낙하공(29a)은 제빙튜브(21)의 내관(21b)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으로 형성하여 제빙튜브(21)에서 결빙된 얼음이 낙하공(29a)을 통하여 용이하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빙튜브(21)를 받침대(29)의 상면을 따라 2개의 열(列)로 배열시킴으로서 동일한 열(列)로 배열되는 제빙튜브(21)를 통하여 고온의 냉매가스와 저온의 냉매가스를 각각 교대로 주입시켜 제빙튜브(21)에 의한 제빙과 탈빙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빙튜브(21)를 받침대(29)와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제빙장치(20)에 의한 얼음의 생산량을 용이하게 증감시킬 수 있도록 각 제빙튜브(21)의 몸체 하측에 팩킹(25a) 개재용 하부플랜지(25)를 형성시킴으로서 각각의 제빙튜브(21)가 볼트체결 등에 의하여 팩킹(25a)과 함께 받침대(29)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제빙튜브(21)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기 분배기(26) 또한 그 하측에 팩킹(28a) 개재용 하부플랜지(28)를 형성시켜 제빙튜브(21)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29)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탱크(30)는 각각의 제빙튜브(21)로부터 받침대(29)의 낙하공(29a)을 통하여 얼음이 낙하될 수 있도록 그 몸체의 상면에 개구부(30a)가 절개되어 있고, 상기 배출탱크(30)의 내부 상측에는 배출탱크(30)로 낙하되는 얼음을 분쇄시킬 수 있도록 분쇄용 칼날을 구비하는 한 쌍의 쇄빙크러셔(31)가 설치되는 데, 상기 쇄빙크러셔(31)는 배출탱크(30)의 전,후방 패널에 고정되는 해당 베어링박스(44)를 통하여 그 회전축이 각각 삽입 설치됨으로서, 쇄빙크러셔(31)가 배출탱크(3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쇄빙크러셔(31)의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탱크(30)의 바닥부에는 제빙튜브(21)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얼음과 분리하여 저장시킬 수 있도록 스크린판(34)이 덮혀지는 저장수조(33)가 설치되는 데, 상기 저장수조(33)는 그 몸체가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서 쇄빙크러셔(31)로부터 분쇄되어 낙하되는 얼음을 얼음배출구(35)를 통하여 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수조(33)는 또한 도시되지 않은 순환펌프와 배관(이후, 시스템의 설명에서 언급될 것임)에 의하여 각 제빙튜브(21)의 분배기(26)와 연결됨으로서 제빙튜브(21)로부터 낙하된 물을 분배기(26)를 통하여 얼음의 결빙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장수조(33)에 저장된 물을 각 제빙튜브(21)의 분배기(26)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조는 여러 가지 형태를 적용시킬 수 있으나, 대표적인 것으로는 저장수조(33)로부터 순환펌프를 구비한 상태로 연장되는 배관을 각 분배기(26)의 상단 개구부측으로 삽입시키거나, 상기 배관을 각 분배기(26)의 일측에 설치된 유입관(27)과 직결시키는 방식이 있고, 종래의 제빙장치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빙튜브(21)의 상단부를 따라 별도의 분배수조를 설치함으로서, 저장수조(33)로부터 분배수조로 공급된 물이 각 제빙튜브(21)의 분배기(26)를 통하여 제빙튜브(21)의 내 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후자의 경우는 제빙튜브(21)와 함께 설치되는 상기 분배수조로 인하여 최초 제작된 제빙장치(20)의 용량조절이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가급적 전자의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탱크(30)에 설치된 쇄빙크러셔(31)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40)은, 배출탱크(30)의 후방 패널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박스(44)를 통하여 배출탱크(30)의 외부로 노출되는 쇄빙크러셔(31)의 회전축 중에서 그 일측 회전축 선단에 구동기어(43)를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구동기어(43)가 고정된 상기 회전축을 커플링(42)에 의하여 감속모터(41)와 연결시키며, 다른 쇄빙크러셔(31)의 회전축에는 상기 구동기어(43)와 치합되는 종동기어(45)를 고정 설치함으로서, 감속모터(41)의 작동에 따라 구동기어(43)와 종동기어(45)가 연동 회전하여 한 쌍의 쇄빙크러셔(31)를 반대방향으로 동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쇄빙크러셔(31)는 그 회전축이 배출탱크(30)의 전,후방 패널에 고정된 베어링박스(44)에 삽입되어 상기 패널의 분리와 동시에 쇄빙크러셔(31)를 배출탱크(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교체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형태의 분쇄칼날을 가지는 각종 쇄빙크러셔(31)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의 얼음을 생산할 수는 있으나, 각 쇄빙크러셔(31)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서 얼음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쇄빙크러셔(31)의 직하방 즉, 쇄빙크러셔(31)와 스크린판(34)의 사이에 해당하는 배출탱크(30)의 내부공간에 간격조절이 가능한 2차 쇄빙크러셔(32)를 설치함으로서, 하나의 제빙장치(20)만으로도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얼음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쇄빙크러셔(32)는 그 직상부에 설치되는 쇄빙크러셔(31)와 마찬가지로 배출탱크(30)의 전,후방 패널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박스(44)(44')를 통하여 그 회전축이 삽입됨으로서 배출탱크(30)의 내부에서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데, 상기 한 쌍의 베어링박스(44)(44') 중 1개의 베어링박스(44')가 배출탱크(30)의 전,후방 패널에 절개 형성된 가이드공(46)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됨으로서 2차 쇄빙크러셔(32) 사이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베어링박스(44')는 배출탱크(30)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가이드볼트(38)의 선단부가 베어링박스(44')의 결합공(47)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입 및 걸림 고정됨으로서, 가이드볼트(38)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어링박스(44')가 가이드공(46)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베어링박스(44')와 결합되는 가이드볼트(38)의 회전에 따라 베어링박스(44')가 가이드공(46)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2차 쇄빙크러셔(32) 사이의 간격을 조절시킬 수도 있으나, 상기 베어링박스(44')가 가이드공(46)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볼트(38) 대신에 베어링박스(44')의 몸체를 통하여 배출탱크(30)의 전,후방 패널측으로 밀착되는 고정볼트를 사용함으로서, 상기 볼트를 배출탱크(30)측으로 조이거나 풀어내는 것에 의하여 베어링박스(44')의 위치고정 및 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다른 여러 가지의 방식을 적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2차 쇄빙크러셔(32)를 배출탱크(30)의 내부에서 회전시키기 위하 여 쇄빙크러셔(31)와 동일한 형태의 구동수단(40)을 2차 쇄빙크러셔(32)에 적용시킬 수도 있으나, 하나의 감속모터(41)를 이용하여 각각의 쇄빙크러셔(31)(32)를 동시에 연동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도 4의 (가) 및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출탱크(30)의 전방측 패널에 설치된 4개의 베어링박스(44)(44')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쇄빙크러셔(31) 및 2차 쇄빙크러셔(32)의 각 회전축을 체인이나 벨트(48)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다른 형태의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형 제빙장치(20)를 제빙시스템에 실질적으로 적용시킨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상기 제빙시스템에 있어 증발기의 역할을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제빙장치(20)의 세부적인 구성은 이미 위에서 상세하게 언급하였으므로, 제빙시스템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빙장치(20)의 제빙튜브(21)에 의하여 제빙작업과 결빙작업을 동시에 그리고 교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및 밸브의 연결구조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제빙시스템을 이루는 전체적인 구성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냉매를 고온고압의 가스로 압축하는 압축기(51)(Compressor)와, 상기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된 냉매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유분리기(52)(Oil seperator)와, 상기 유분리기(52)로부터 공급된 냉매의 열을 일정량만큼 외부로 방출시키는 응축기(53)(Condenser)와, 상기 응축기(53)로부터 공급된 응축냉매를 저장시키는 리시버탱크(54)(Receiver tank; 수액기)와, 상기 리시버탱크(54)로부터 드라이필터(55)(Dry filter)를 거쳐 공급되는 응축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강하시키는 팽창밸브(Expansion valve)와,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공급된 냉매의 증발작용에 의하여 얼음을 결빙시키기 위한 증발기(Evaporator)로서의 제빙장치(20)와, 상기 제빙장치(20)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일정한 압력과 유량으로 조절하여 압축기(51)로 재유입시키기 위한 어큐뮬레이터(57)(Accumulator)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전체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빙시스템(50)에서 상기 제빙장치(20)의 제빙튜브(21)를 받침대(29)를 따라 2열(列)로 배열 설치한 다음, 동일한 열(列)로 배열되는 일련의 제빙튜브(21)를 통하여 고온의 냉매가스와 저온의 냉매가스를 교대로 공급시킴으로서, 하나의 제빙장치(20)를 통하여 제빙작업과 탈빙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배관 및 밸브의 연결구조는, 상기 리시버탱크(54)와 압축기(51)를 통한 제빙튜브(21)로의 냉매 분할공급 및 냉매 회수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제빙장치(20)의 저장수조(33)로부터 제빙튜브(21)를 통한 담수 또는 해수의 분할 공급구조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리시버탱크(54)와 제빙튜브(21) 사이에 설치되는 냉매의 분할공급 구조는, 리시버탱크(54)로부터 드라이필터(55)를 거쳐 제빙튜브(21)의 냉매파이프(24)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 제빙튜브(21)의 배열수에 맞도록 2개의 라인으로 분기된 상태에서, 이 분기된 배관이 전자변(65)(66)과 팽창밸브(56)(56')를 각각 1개씩 구비한 상태로 동일한 열(列)로 배열되는 각 제빙튜브(21)의 냉매유입관(22)으로 나뉘어 연결 설치됨으로서, 리시버탱크(54)에 저장된 냉매를 해당 전자변(65)(66)에 의하여 일측 열(列)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빙튜브(21)로부터 리시버탱크(54)를 통하여 냉매를 회수하기 위한 구조는, 동일한 열(列)로 배열된 각 제빙튜브(21)의 냉매유입관(22)과 해당 팽창밸브(56)(56')의 사이에 해당하는 배관상에 냉매의 회수용 배관이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회수용 배관이 리시버탱크(54)와 연결되기 전에 하나의 배관으로 합쳐지게 됨으로서 제빙튜브(21)의 냉매유입관(22)으로 역배출되는 냉매를 리시버탱크(54)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배관상에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일방향 밸브(58)(5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51)와 제빙튜브(21)의 사이에 설치되는 냉매의 분할공급 구조는, 압축기(51)의 토출측으로부터 진동흡수기(51a)와 유분리기(52)를 거쳐 제빙장치(20)측으로 연장되는 배관(유분리기로부터 응축기로 연장되는 배관과 연결됨)이 제빙튜브(21)의 배열수에 맞도록 2개의 라인으로 분기된 상태에서, 이 분기된 각각의 배관이 전자변(63)(64)을 1개씩 구비한 상태로 동일한 열(列)로 배열되는 각 제빙튜브(21)의 냉매배출관(23)으로 나뉘어 연결 설치됨으로서,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해당 전자변(63)(64)에 의하여 일측 열(列)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빙튜브(21)로부터 제빙에 사용된 냉매를 압축기(51)를 통하여 회수하기 위한 구조는, 압축기(51)의 흡입측으로부터 진동흡수기(51b)와 어큐뮬레이터(57)를 거쳐 제빙장치(20)측으로 연장되는 배관이 제빙튜브(21)의 배열수에 맞도록 2개의 라인으로 분기된 상태에서, 이 분기된 각각의 배관이 전자변(61)(62)을 1개씩 구비한 상태로 동일한 열(列)로 배열되는 각 제빙튜브(21)의 냉매배출관(23)으로 나뉘어 연결 설치됨으로서, 제빙튜브(21)로부터 제빙을 수행하고 압축기(51)로 배출되는 냉매를 해당 전자변(61)(6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빙튜브(21)를 통하여 얼음의 결빙에 필요한 물을 분할 공급시키기 위한 구조는, 제빙장치(20)의 배출탱크(30) 바닥부에서 스크린판(34)이 덮혀진 상태로 설치되는 상기 저장수조(33)로부터 순환펌프(36)를 구비하는 순환배관(37)이 제빙튜브(21)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이와 같이 연장되는 순환배관(37)이 제빙튜브(21)의 배열수에 맞도록 2개의 라인으로 분기되며, 이 분기된 각각의 순환배관(37)이 전자변(39)(39')을 1개씩 구비한 상태로 동일한 열(列)로 배열되는 각 제빙튜브(21)의 분배기(26)측으로 나뉘어 연결 설치됨으로서, 순환펌프(36)에 의하여 저장수조(33)로부터 공급되는 담수 또는 해수를 해당 전자변(39)(39')에 의하여 일측 열(列)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빙시스템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형 제빙장치(20)의 작용관계를 도 5를 참조하여 제빙시스템의 작동과정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축기(51)의 토출측으로부터 유분리기(52)를 거쳐 제빙튜브(21)의 냉매배출관(23)으로 연결되는 배관상에 설치된 전자변(63)(64)은 오프(OFF) 상태로 세팅시키고, 나머지 전자변(39)(39')(61)(62)(65)(66)은 모두 온(ON) 상태로 세팅시킨 상태에서 압축기(51)와 순환펌프(36)를 각각 작동시키게 되면, 압축기(51)로부터 진동흡수기(51a)와 유분리기(52) 및 응축기(53)를 거쳐 리시버탱크(54)로 공급된 냉매가 드라이필터(55)와 전자변(65)(66) 및 팽창밸브(56)(56')를 거친 다음, 2열(列)로 배열된 각 제빙튜브(21)의 냉매유입관(22)을 통하여 냉매파이프(24)를 따라 유동하게 됨과 동시에 배출탱크(30)의 저장수조(33)로부터 순환배관(37)을 거쳐 공급되는 물이 전자변(39)(39')과 분배기(26)를 거쳐 각 제빙튜브(21)의 내관(21b)측으로 흘러내리게 됨으로서, 냉매의 증발작용에 의하여 각 제빙튜브(21)의 내관(21b)측에 얼음이 착상되는 제빙단계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빙단계를 거쳐 얼음의 결빙에 사용된 냉매는 각 제빙튜브(21)의 상단에 설치된 냉매배출관(23)을 통하여 제빙장치(20)의 외부로 배출되고, 이와 같이 배출된 냉매가 전자변(61)(62)과 어큐뮬레이터(57) 및 진동흡수기(51b)를 구비하는 배관을 통하여 압축기(51)로 재유입됨으로서 얼음의 결빙에 재사용할 수 있게 되며, 제빙튜브(21)의 내관(21b)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 중에서 얼음의 결빙에 이용되지 못한 물은 제빙튜브(21)의 하부에 설치된 배출탱크(30)로 낙하되어 바닥부에 위치하는 저장수조(33)로 수집됨으로서 순환펌프(36)와 순환배관(37)에 의하여 각 제빙튜브(21)의 분배기(26)로 재공급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제빙단계를 일정 시간만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각 제빙튜브(21)의 내관(21b)에 요구하는 두께의 얼음이 결빙되면, 도 5상에서 좌측열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는 압축기(51)로부터 고온고압의 냉매가스(일명, 핫가스)를 공급시킴으로서 제빙된 얼음의 탈빙작업을 수행하게 됨과 동시에 도면상 우측열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는 그 내부를 통한 물의 공급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한 제빙상태가 지속되도록 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제빙튜브(21)에 요구하는 두께의 얼음이 결빙되면, 순환펌프(36)의 작동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순환배관(37)에 설치된 전자변(39)(39')을 오프(OFF) 상태로 세팅시킴으로서 결빙이 완료된 제빙튜브(21)를 통하여 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킨 다음, 리시버탱크(54)로부터 도면상 좌측열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로 냉매를 공급하는 배관의 전자변(65)과, 좌측열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로부터 압축기(51)의 흡입측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배관의 전자변(61)을 순차적으로 오프(OFF)시킨 후, 압축기(51)의 토출측으로부터 유분리기(52)를 거쳐 도면상 좌측열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와 연결되는 배관의 전자변(63)을 온(ON) 상태로 세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시스템을 세팅하게 되면,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 중 그 일부가 상기 전자변(63)을 구비하는 배관을 거쳐 도면상 좌측열에 해당하는 각 제빙튜브(21)의 냉매배출관(23)으로 역유입됨으로서, 좌측열에 해당하는 각 제빙튜브(21)의 냉매파이프(24)를 따라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유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빙튜브(21)의 내관(21b)에 부착된 얼음의 외부표면을 고온의 냉매가스에 의하여 해빙시키는 탈빙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얼음의 탈빙단계를 수행하여 응축된 냉매는 제빙튜브(21)의 냉매유입관(22)으로 역배출됨과 동시에 일방향밸브(58)를 구비하는 배관을 따라 리시버탱크(54)로 회수되어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면상 좌측열에 해당하는 각 제빙튜브(21)가 탈빙단계를 거치는 동안, 도면상 우측열에 해당하는 각 제빙튜브(21)는 최초로 세팅된 제빙상태, 다시 말해서 압축기(51)로부터 유분리기(52)와 응축기(53)를 거쳐 리시버탱크(54)에 저장된 냉매가 드라이필터(55)와 전자변(66) 및 팽창밸브(56')를 구비하는 배관을 통하여 우측열에 해당하는 각 제빙튜브(21)로 유입된 다음, 해당 제빙튜브(21)의 냉매배출관(23)과 전자변(62) 및 어큐뮬레이터(57)를 거쳐 압축기(51)로 재유입되는 냉매의 순환과정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도면상 좌측열에 해당하는 각 제빙튜브(21)의 내부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유입시킴으로서 제빙튜브(21)로부터 얼음을 탈빙시키게 되면, 각각의 제빙튜브(21)로부터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는 얼음이 배출탱크(30)에 설치된 쇄빙크러셔(31) 및 2차 쇄빙크러셔(32)에 의하여 일정한 모양과 크기로 분쇄된 다음 배출탱크(30)의 얼음배출구(35)를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저빙고로 배출되며, 이와 같이 좌측열에 해당하는 전체 제빙튜브(21)의 탈빙이 완료됨과 동시에 좌측열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는 제빙단계로 다시 전환되고, 도면상 우측열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는 탈빙단계로 전환된다.
다시 말해서, 좌측열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의 탈빙을 위하여 오프(OFF) 상태로 세팅된 전자변(61)(65)을 온(ON) 상태로 세팅시키고, 이와는 반대로 좌측열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의 탈빙을 위하여 온(ON) 상태로 세팅되었던 전자변(63)을 오프(OFF) 상태로 세팅시킴과 동시에 좌측열에 해당하는 각 제빙튜브(21)의 분배기(26)와 연결되는 순환배관(37)의 전자변(39)이 온(ON) 상태로 세팅되도록 한 상태에서 순환펌프(36)를 작동시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리시버탱크(54)로부터 도면상 우측열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로 냉매를 공급하는 배관의 전자변(66)과, 우측열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로부터 압축기(51)의 흡입측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배관의 전자변(62)을 순차적으로 오프(OFF)시킨 후, 압축기(51)의 토출측으로부터 유분리기(52)를 거쳐 도면상 우측열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와 연결되는 배관의 전자변(64)을 온(ON) 상태로 세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스템을 세팅시키게 되면, 도면상 좌측열에 해당하는 각 제빙튜브(21)는 상기에서 설명되어진 제빙단계, 다시 말해서 압축기(51)로부터 유분리기(52)와 응축기(53)를 거쳐 리시버탱크(54)에 저장된 냉매가 드라이필터(55)를 거쳐 전자변(65)과 팽창밸브(56)를 구비하는 배관을 통하여 좌측열에 해당하는 각 제빙튜브(21)의 냉매파이프(24)로 유입됨과 동시에, 저장수조(33)에 저장된 물이 순환펌프(36)에 의하여 순환배관(37)과 전자변(39) 및 각 분배기(26)를 거쳐 좌측열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의 내관(21b)으로 유입됨으로서, 해당 제빙튜브(21)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냉매의 증발작용에 의하여 결빙시키는 단계를 거치게 되며, 이와 같이 제빙에 사용된 냉매는 해당 제빙튜브(21)의 냉매배출관(23)과 전자변(61) 및 어큐뮬레이터(57)를 거쳐 압축기(51)로 재유입됨과 동시에, 결빙되지 아니한 물은 해당 제빙튜브(21)로부터 배출탱크(30)의 저장수조(33)로 낙하되어 저장된다.
또한, 도면상 우측열에 해당하는 각 제빙튜브(21)는 상기에서 설명되어진 탈빙단계, 다시 말해서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 중 그 일부가 전자변(64)을 구비하는 배관을 거쳐 우측열에 해당하는 각 제빙튜브(21)의 냉매배출관(23)으로 역유입됨으로서, 해당 제빙튜브(21)의 냉매파이프(24)를 따라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유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해당 제빙튜브(21)의 내관(21b)에서 결빙된 얼음의 외부표면을 고온의 냉매가스에 의하여 해빙시키는 단계를 거치게 되며, 이와 같이 얼음의 해빙에 사용되어 응축된 냉매는 제빙튜브(21)의 냉매유입관(22)으로 역배출됨과 동시에 일방향밸브(58')를 구비하는 배관을 따라 리시버탱크(54)로 회수된다.
상기와 같이 도면상 좌측열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에서는 제빙단계를 수행함과 동시에 도면상 우측열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에서는 탈빙단계를 수행함으로서 좌,우측열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에서 각각 제빙과 탈빙이 완료된 다음에는, 도면상 좌측열에 해당하는 각 제빙튜브(21)를 다시 탈빙단계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도면상 우측열에 해당하는 각 제빙튜브(21)를 다시 제빙단계로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2개의 열(列)로 배열된 각 제빙튜브(21)를 통한 제빙과 탈빙작업을 교대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20)를 이용하여 제빙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받침대(29)를 따라 2개의 열(列)로 제빙튜브(21)를 배열 설치한 상태에서 일측 열(列)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에서는 제빙 또는 탈빙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타측 열(列)에 해당하는 제빙튜브(21)에서는 이와 반대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서, 하나의 제빙장치(20)만으로도 얼음의 제빙작업과 탈빙작업을 교대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빙장치(20)에 의한 실질적인 얼음의 생산작업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얼음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제빙튜브(21)에 설치되는 냉매파이프(24)가 제빙튜브(21)의 내관(21b)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기 때문에 제빙튜브(21)를 통한 냉매의 유동시간을 최대한으로 지연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담수의 경우 일반적인 압축기(51)를 사용하더라도 매우 빠른 시간내에 원하는 두께의 얼음을 결빙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압축기 대신 2단 압축기(51)를 사용하여 냉매의 증발온도를 더욱 낮추어 줄 경우에는 해수 또한 빠른 시간내에 요구하는 두께로 결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높은 증발온도와 느린 결빙시간에 의하여 기존에 아이스 슬러리(Ice slury: 물과 얼음입자가 반죽형태로 혼합된 것) 형태로 적용되었던 해수얼음을 담수얼음과 마찬가지로 덩어리 형태의 얼음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됨으로서, 선박의 어류저장고와 같은 장소에 저장된 각종 수산물을 보다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얼음의 해빙시간을 최대한으로 지연시켜 원양어선과 같이 장거리 이동이 불가피한 어선의 어류저장고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해수얼음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제빙튜브(21)가 받침대(29)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빙장치(20)의 사용도중이라도 제빙튜브(21)의 개수를 용이하게 증감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하나의 제빙장치(20)만으로도 각종 현장여건에 맞추어 얼음의 생산량을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본체케이스 및 그 내부에 삽입되는 제빙파이프의 크기와 개수가 서로 상이하게 되는 다양한 종류의 제빙장치를 다품종 소량생산방식으로 제조하였던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소품종 다량생산방 식을 적용하여 제빙장치(20)의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그 제조단가 또한 절감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빙장치(20) 자체의 호환성(互換性)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제빙튜브(21)로부터 낙하되는 얼음을 분쇄시키기 위한 각각의 쇄빙크러셔(31)(32)가 배출탱크(30)의 전,후방 패널에 고정된 베어링박스(44)(44')를 통하여 그 회전축이 삽입 및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쇄빙크러셔(31)(32)의 착탈 및 그 교체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2차 쇄빙크러셔(32)의 경우 가이드볼트(38)의 회전조작에 따라 일측 베어링박스(44')가 가이드공(46)을 따라 이동되어 쇄빙크러셔(32) 사이의 간격조절 또한 가능하기 때문에, 각각의 쇄빙크러셔(31)(32)로부터 분쇄되는 얼음의 모양과 크기를 매우 다양하게 조절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빙장치(20)의 호환성에 더욱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빙장치(20)의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켜 대외적으로 우수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튜브형 제빙장치는 이중관 형태의 몸체 내부를 따라 냉매파이프가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제빙튜브를 2열(列)로 배열 설치한 상태에서, 각 열(列)의 제빙튜브를 통하여 저온의 냉매가스와 고온의 냉매가스를 교대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제빙장치를 통한 연속적인 제빙 및 탈빙작업을 이루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빙장치에 의한 얼음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킴과 동시에 자동화된 제빙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2단 압축기를 적용하여 냉매의 증발온도를 낮추어 줌과 동시에 제빙튜브를 통한 냉매의 유동시간을 최대한으로 지연시킴으로서 담수 뿐만 아니라 해수 에 대한 제빙작업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기존에 아이스 슬러리 형태로 제조되었던 해수얼음을 일반적인 담수얼음과 거의 동일한 덩어리 형태의 얼음으로 생산하여 선박의 수산물 보관용으로 최적화된 해수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각각의 제빙튜브를 제빙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과 함께 탈빙시 제빙튜브로부터 낙하되는 얼음을 분쇄시키기 위한 쇄빙크러셔 또한 그 착탈 및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제빙장치에 의한 얼음의 생산량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제빙장치만으로도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얼음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빙장치의 호환성와 그 상품성을 극대화시시켜 제품의 경쟁력 향상에 보다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삭 제)
  2. (삭 제)
  3. (정 정) 외관(21a)과 내관(21b)의 이중관으로 이루어지는 제빙튜브(21)가 형성되고, 상기 제빙튜브(21)의 외관(21a)과 내관(21b) 사이에는 냉매파이프(24)가 나선형으로 삽입 설치되며, 제빙튜브(21)의 외관(21a)측에는 냉매파이프(24)와 연결되는 냉매유입관(22)과 냉매배출관(23)이 돌출 형성되고, 제빙튜브(21)의 상단에는 담수 또는 해수를 제빙튜브(21)의 내관(21b)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분배기(26)가 설치되며, 상기 제빙튜브(21)는 판 형상의 받침대(29) 상부측에 배열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29)에는 제빙튜브(21)의 내관(21b)과 연통되는 낙하공(29a)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29)의 하부에는 상면이 개구된 배출탱크(30)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탱크(30)의 바닥부측에는 스크린판(34)이 덮혀지는 저장수조(33)와 얼음배출구(35)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빙튜브(21)는 받침대(29)를 따라 2열(列)로 배열 설치되고, 제빙튜브(21)의 하단에는 팩킹(25a) 개재용 하부플랜지(25)가 형성되어 각각의 제빙튜브(21)가 받침대(29)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출탱크(30)의 내부 중앙에는 한 쌍의 쇄빙크러셔(31)가 베어링박스(44)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도록 삽입 설치되고,
    상기 배출탱크(30)의 일측 베어링박스(44)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쇄빙크러셔(31)의 회전축 선단부에는 감속모터(41)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43)와 종동기어(45)가 치합되는 구동수단(40)이 설치되며,
    상기 쇄빙크러셔(31)와 스크린판(34)의 사이에는 감속모터(41)의 동력을 전달받아 쇄빙크러셔(31)와 함께 연동 회전하는 한 쌍의 2차 쇄빙크러셔(32)가 베어링박스(44)(44')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2차 쇄빙크러셔(32)는 배출탱크(30)의 측벽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가이드볼트(38)에 의하여 일측 베어링박스(44')가 가이드공(46)을 따라 이동되어 2차 쇄빙크러셔(32) 사이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제빙장치.
  4. (삭 제)
KR1020040009646A 2004-02-13 2004-02-13 튜브형 제빙장치 KR100631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646A KR100631794B1 (ko) 2004-02-13 2004-02-13 튜브형 제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646A KR100631794B1 (ko) 2004-02-13 2004-02-13 튜브형 제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578A KR20040027578A (ko) 2004-04-01
KR100631794B1 true KR100631794B1 (ko) 2006-10-09

Family

ID=3732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646A KR100631794B1 (ko) 2004-02-13 2004-02-13 튜브형 제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7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8658A1 (en) * 2018-07-20 2020-01-23 Weller Ice, LLC Ice machine
KR102640880B1 (ko) 2023-09-01 2024-02-26 유을수 컷 아이스 메이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068B1 (ko) * 2008-02-22 2008-11-10 주식회사 애니아이스 해수 내지 오존수 제빙기
CN104930774A (zh) * 2015-06-17 2015-09-23 江苏弗格森制冷设备有限公司 智能型管冰机蒸发器
CN112856876B (zh) * 2021-03-10 2022-01-25 深圳市兄弟制冰系统有限公司 一种管冰机蒸发温度在线检测控制系统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8658A1 (en) * 2018-07-20 2020-01-23 Weller Ice, LLC Ice machine
US11105543B2 (en) 2018-07-20 2021-08-31 Weller Ice, LLC Ice machine
KR102640880B1 (ko) 2023-09-01 2024-02-26 유을수 컷 아이스 메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578A (ko)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2170B1 (en) Ice maker for refrigerator
CN216282190U (zh) 一种节能型制冰机
US6125639A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location of the formation of ice within a closed loop water circulating unit
CN102221276B (zh) 一种用于冰箱的制冰装置和具有其的冰箱
KR100809928B1 (ko) 조각얼음 제빙장치용 제빙드럼유닛
CN112254388B (zh) 生产大体积透明冰系统与方法
JP4437706B2 (ja) 海水シャーベット氷の製氷システム
CN101206092A (zh) 冰箱
KR100631794B1 (ko) 튜브형 제빙장치
US6000228A (en) Clear ice and water saver cycle for ice making machines
AU2010257201B2 (en) Snow making method and apparatus
US6367285B1 (en) Freeze-concentrating apparatus for aqueous solutions, ice pillar producing apparatus, and freeze-concentrating method for aqueous solutions
CN104006594A (zh) 淡水/海水两用的管状冰制冰机及其制冰工艺
JP3569690B2 (ja) 流動氷製造装置
KR100519304B1 (ko) 냉장고
CN212236280U (zh) 一种用于冰源热泵系统的冰水过滤装置
KR100772971B1 (ko) 저염분 얼음 제조용 제빙기, 및 제빙 시스템
KR102035506B1 (ko) 제빙과 냉수 형성 겸용 제빙기구
US20200033041A1 (en) Apparatus for making fine ice with salinity
KR200480759Y1 (ko) 가루얼음 제빙기
KR20130067220A (ko) 탈빙이 용이한 제빙기구
CN203857723U (zh) 淡水/海水两用的管状冰制冰机
KR102249584B1 (ko) 제빙기
JPH11183001A (ja) 人工雪生成装置
KR200268357Y1 (ko) 심야전기를 이용한 빙축열 냉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