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746B1 -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746B1
KR100631746B1 KR1020040055545A KR20040055545A KR100631746B1 KR 100631746 B1 KR100631746 B1 KR 100631746B1 KR 1020040055545 A KR1020040055545 A KR 1020040055545A KR 20040055545 A KR20040055545 A KR 20040055545A KR 100631746 B1 KR100631746 B1 KR 100631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layer
thickness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484A (ko
Inventor
안형수
양민
Original Assignee
라이프앤드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프앤드엘이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이프앤드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5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746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6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 H01L33/30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 H01L33/32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containing nitro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62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 H01L33/0075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comprising nitride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95Post-treatment of devices, e.g. annealing, recrystallisation or short-circuit eli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stress relaxation structure, e.g. buffer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atings, e.g. passivation layer or anti-reflective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은 AlGaAs 기판 위에 복수의 GaN층을 성장시키되, 각 GaN 층의 성장 온도는 기판 쪽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높아지도록 하여 결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후, GaN 층 위에 점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창을 가지는 마스크를 형성하고 GaN 버퍼층을 선택 성장시킨다. 다음으로, GaN 버퍼층 위에 질화물 반도체를 활성층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한 후, 소자의 양면에 각각 전극을 형성하고, AlGaAs 기판이 위쪽으로 오도록 패키지하여 AlGaAs 기판 층을 통과하여 빛이 방출되도록 하는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할 수 있다.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질화물, AlGaAs 기판, 선택 성장, 에피택시, 박막 성장

Description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Fabrication of high brightness III-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AlGaAs 기판 위에 성장된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LED는 다양한 응용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사용되기 위하여 고출력의 LED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적색 LED의 경우 GaAs와 AlAs의 혼정 결정인 AlGaAs나, GaAs와 GaP의 혼합 결정인 GaAsP가 GaAs 기판 위에 형성되어 주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AlGaAs/GaAs 소자나 GaAsP/GaAs 소자들은 고온에서의 동작 특성이 나쁘며, DLD(dark line defect) 등과 같은 결함이 쉽게 발생하여 소자의 수명이 길지 못하 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LED는 InGaN 물질을 이용하며, 활성층으로 사용되는 InGaN의 In 조성비를 변화시킴으로서 655nm에서 364nm 까지 파장을 조절할 수 있어 현재 청색과 녹색 영역에서 가장 좋은 고휘도 LED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LED의 경우, GaN 기판을 형성하기 어려워 기판과의 열팽창계수 및 격자 상수가 불일치한 사파이어 기판이나 SiC 기판 등을 사용하며 버퍼층(Buffer layer)을 사용하여 GaN층을 성장하고 있다. 적색 고휘도 LED의 경우는 AlInGaP가 GaAs 기판과 격자상수가 일치하며 Al의 조성비에 따라 652nm 에서 548nm 까지 파장 변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AlInGaP는 MOCVD법으로만 성장이 가능하여 VPE나 다른 성장기술에 의한 장점들을 이용한 기술이 적용될 수 없다. 한편, InGaN을 이용하게 되면 적당한 기판 문제뿐만 아니라 소자 제작 공정시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사파이어 기판을 사용하여 LED를 제조하는 경우, 사파이어의 절연성으로 인하여 이중 전극 구조가 필수적이나, 이러한 이중 전극 구조를 사용할 경우 전체 칩 크기가 커지고,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건식 에칭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는 등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함으로써 고온에서의 동작 특성이 우수하고 AlGaAs 기판을 이용하여 제조 공정이 간단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lGaAs 기판을 사용하여 적색 내지 적외선 영역의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lGaAs 기판을 사용하여 적색 내지 적외선 영역의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기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은
AlGaAs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AlGaAs 기판 위에 복수의 GaN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로서, 각각의 GaN 층의 성장 온도는 기판 쪽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높아지는 복수의 GaN층 성장 단계;
GaN 층 위에 점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창을 가지는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마스크 위에 GaN 버퍼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GaN 버퍼층 위에 InGaN을 활성층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조를 성장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발광 다이오드 구조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AlGaAs 기판 층을 통과하여 방출되고, 방출 파장은 적색에서 적외선 영역에 이르는 영역이다.
복수의 GaN 층 성장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AlGaAs 기판 위에 제1 온도에서 제1 GaN 층을 제1 두께로 성장시키는 단계; 제1 GaN 층 위에 제2 온도에서 제2 두께로 제2 GaN 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제2 GaN 층 위에 제3 온도에서 제3 두께로 제3 GaN 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온도 < 제2 온도 < 제3 온도이고,
제1 두께 ≤ 제2 두께 ≤ 제3 두께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는
제1 전극;
제1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다중 박막 코팅층;
다중 박막 코팅층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InGaN을 활성층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조;
발광 다이오드 구조 위에 형성되어 있는 GaN 버퍼층;
GaN 버퍼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마스크층;
마스크 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GaN 층;
저온 GaN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AlGaAs층; 및
AlGaAs 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GaN층 각각은 상기 AlGaAs 층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성장 온도가 높게 형성된 것이고, 발광 다이오드 구조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AlGaAs 층을 통과하여 방출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는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용 질화물 반도체층의 제조 방법은
AlGaAs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AlGaAs 기판 위에 복수의 GaN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로서, 각각의 GaN 층의 성장 온도는 기판 쪽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높아지는 복수의 GaN층 성장 단계;
GaN 층 위에 점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창을 가지는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및
마스크 위에 GaN 버퍼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먼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lGaAs 기판(10) 위에 저온 GaN 층(20) 및 중온 GaN층(30)을 성장시킨다.
저온 GaN층(20)은 수소화물 기상 성장법(HVPE)을 이용하여 대략 560℃ 정도에서 0.1μm로 성장시키며, AlGaAs 기판(10)과 GaN 반도체층의 격자 상수 및 열팽창 계수의 차이가 커서 생기는 변형(strain)을 완화시켜 AlGaAs 기판(10) 위에 GaN 층이 성장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중온 GaN층(30)은 HVPE를 이용하여 대략 700℃~900℃ 정도에서 0.2μm로 성장시키며, HVPE 성장시 암모니아나 염화수소와 같은 가스류 또는 Ga 금속의 뭉침현 상(Ga droplet)에 의한 AlGaAs 기판의 에칭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서 성장시키는 것이다.
중온 GaN층 성장 후에 연속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HVPE를 이용하여 고온 GaN층(40)을 성장시키며, 이 때 성장 온도는 대략 950℃~1050℃ 범위이고 성장 두께는 대략 20μm 이상으로 한다. 각각의 GaN 층은 AlGaAs 기판의 종류, 즉(100) 또는 (111)에 따라서 입방 구조 또는 우르짜이트(wurtzeit) 구조로 성장시킬 수 있다. 중온 GaN 층(30)의 성장 조건이 그 위에 성장하는 고온 GaN 층(40)의 결정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중온 GaN 층의 성장(30)은 고온 GaN 층(40)의 성장을 고려하여 성장 조건을 최적화 할 필요가 있다. 이때, 중온 GaN 층(40)은 여러 층으로 단계별로 나누어 성장시킬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공정변수 또는 공정시간을 고려하여 기판의 에칭을 방지하고 고온 GaN의 성장에 적합한 조건만 갖추도록 하여 1층으로 하는 것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도 4와 같이 고온 GaN(40) 층 위에 점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창을 가지는 마스크(50)를 형성한다. 마스크(50)는 SiO2로 형성하되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다. 마스크(50) 위로 유기금속 화학 기상 성장 장치(MOCVD)를 이용하여 GaN 버퍼층(60)을 선택적으로 성장하여 결함밀도가 작은 GaN 층을 성장한다.
GaN 버퍼층(60) 위에는 InGaN를 활성층으로 하는 LED 구조(70)를 성장시킨다.(도 5 참조) 이때, LED 구조의 활성층은 InGaN 또는 GaN 활성층에 Zn 등의 p형 도판트와 Si 등의 n형 도판트를 동시에 도핑하는 도핑 방식(co-doping)에 의해 적색 영역 또는 적외선 영역의 발광 파장을 가지도록 하거나 양자우물 구조에서 밴드내 천이(intraband transition)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의 발광 파장을 가지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LED 구조(70)는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한 LED 구조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LED 구조(70) 위에 다중 박막 코팅층(80)을 형성하고, 다중 박막 코팅층(80) 위에 제1 전극(90)을 형성한다. 또한, AlGaAs 기판(10)의 저면을 연마하여 그 두께를 100μm 정도로 남긴 다음 AlGaAs 기판(10)의 저면에 제2 전극(100)을 형성한다. 이후의 패키지 공정에서 제2 전극(100)이 위쪽으로 오도록 패키지를 하면(도 7 참조) LED가 완성되게 된다. AlGaAs 기판(10)을 위로 오도록 패키지 하는 경우, LED 구조(70) 위에 후막의 AlGaAs 층(10)이 존재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빛의 방출 표면이 넓어지게 되어 빛의 외부 추출 효율이 높아지게 되어 고휘도의 LED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LED는 도 8과 같이 전극(90), 다중 박막 코팅층(80), InGaN을 활성층으로 하는 LED 구조(70), GaN 버퍼층(60), 마스크층(50), 고온 GaN 층(40), 중온 GaN층(30), 저온 GaN 층(10) 및 전극(100)으로 형성되게 되며 LED 구조(70)에서 방출되는 빛은 위쪽의 GaN 버퍼층(60), 마스크층(50), 고온 GaN 층(40), 중온 GaN층(30), 저온 GaN 층(10) 및 전극(100)을 통과하여 방출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은 AlGaAs 기판 위에서 성장시킨 질화물 반도체를 활성층으로 이용함으로서 고온 동작 특성이 뛰어나며, AlGaAs 기판을 이용함으로서 제조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다. 또한, 이중 전극 구조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칩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추가의 공정이 필요 없게 된다.
또한, AlGaAs 기판의 결정성 (100) 또는 (111)의 사용에 따라 입방 구조 또는 우르짜이트 구조의 GaN 결정을 선별적으로 성장할 수 있고 후막 AlGaAs 층을 통과하여 빛이 방출되기 때문에 빛의 방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AlGaAs에 사용되는 Al의 조성 변화와 활성층으로 사용되는 InGaN의 조성 변화에 따라 적색 영역뿐만 아니라 적외선 영역의 발광소자에도 적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도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Claims (18)

  1.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으로서,
    AlGaAs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AlGaAs 기판 위에 복수의 GaN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로서, 각각의 GaN 층의 성장 온도는 기판 쪽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높아지는 복수의 GaN층 성장 단계;
    상기 GaN 층 위에 점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창을 가지는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위에 GaN 버퍼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GaN 버퍼층 위에 질화물 반도체를 활성층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조를 성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AlGaAs 기판 층을 통과하여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에서 적외선 영역에 이르는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GaN 층 성장 단계는
    상기 AlGaAs 기판 위에 제1 온도에서 제1 GaN 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제1 GaN 층 위에 제2 온도에서 제2 GaN 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GaN 층 위에 제3 온도에서 제3 GaN 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제1 온도 < 제2 온도 < 제3 온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560℃ 이고, 제2 온도는 700℃~900℃ 범위 내이며, 제3 온도는 950℃~1050℃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GaN 층 성장 단계에서, 제1 제1 GaN 층의 두께를 제1 두께, 제2 GaN 층의 두께를 제2 두께, 및 제3 GaN 층의 두께를 제3 두께라 할 때,
    제1 두께 ≤ 제2 두께 ≤ 제3 두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0.1μm이고, 제2 두께는 0.2μm이며 제3 두께는 20μm 이상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SiO2로 형성하되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 위에 다중 박막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중 박막 코팅층 위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AlGaAs 기판의 저면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9.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다중 박막 코팅층;
    상기 다중 박막 코팅층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질화물 반도체를 활성층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조;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 위에 형성되어 있는 GaN 버퍼층;
    상기 GaN 버퍼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마스크층;
    상기 마스크 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GaN 층;
    상기 저온 GaN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AlGaAs층; 및
    상기 AlGaAs 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전극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GaN층 각각은 상기 AlGaAs 층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성장 온도가 높게 형성된 것이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AlGaAs 층을 통과하여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갈륨 나이트라이드계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에서 적외선 영역에 이르는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GaN 층은 위에서부터
    제1 온도에서 제1 두께로 성장된 제1 GaN 층;
    제2 온도에서 제2 두께로 성장된 제2 GaN 층; 및
    제3 온도에서 제3 두께로 성장된 제3 GaN 층;
    를 포함하며,
    제1 온도 < 제2 온도 < 제3 온도
    제1 두께 ≤ 제2 두께 ≤ 제3 두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560℃ 이고, 제2 온도는 700℃~900℃ 범위 내이며, 제3 온도는 950℃~1050℃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0.1μm이고, 제2 두께는 0.2μm이며 제3 두께는 20μm 이상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층은 점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층은 SiO2로 형성하되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16.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lGaAs층은 100μm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17. 삭제
  18. 삭제
KR1020040055545A 2004-07-16 2004-07-16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KR100631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545A KR100631746B1 (ko) 2004-07-16 2004-07-16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545A KR100631746B1 (ko) 2004-07-16 2004-07-16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484A KR20060006484A (ko) 2006-01-19
KR100631746B1 true KR100631746B1 (ko) 2006-10-09

Family

ID=3711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545A KR100631746B1 (ko) 2004-07-16 2004-07-16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530B1 (ko) 2006-12-04 2008-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KR101210172B1 (ko) 2009-03-02 2012-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12068609
일본1525785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484A (ko)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5085B2 (ja) 縦型窒化インジウムガリウムled
KR100664986B1 (ko) 나노로드를 이용한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RU2315135C2 (ru) Метод выращивания неполярных эпитаксиальных гетероструктур на основе нитридов элементов iii группы
KR100755656B1 (ko)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1316492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41477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080191191A1 (en) Light Emitting Diode of a Nanorod Array Structure Having a Nitride-Based Multi Quantum Well
EP1976031A2 (en) Light emitting diode having well and/or barrier layers with superlattice structure
KR20100093872A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89975B1 (ko) 질화물계 발광 소자의 삼원 질화물계 버퍼층 및 그 제조방법
KR101294518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10098336A (ja) GaN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354842A (ja) GaN系半導体発光素子
JP3667995B2 (ja) GaN系量子ドット構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KR20120039324A (ko) 질화갈륨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3441197A (zh) 一种GaN基发光二极管外延片及其制作方法
JP2001144014A (ja) エピタキシャル成長用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26882A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31746B1 (ko)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JPH11354843A (ja) Iii族窒化物系量子ドット構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KR101018116B1 (ko) 질화물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9123836A (ja)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CN107546305A (zh) 一种GaN基发光二极管外延结构
KR20080069768A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81053B1 (ko) 질화물계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