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426B1 - 폐유기물의 살균장치 및 살균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폐유기물의 살균장치 및 살균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426B1
KR100631426B1 KR1020050015441A KR20050015441A KR100631426B1 KR 100631426 B1 KR100631426 B1 KR 100631426B1 KR 1020050015441 A KR1020050015441 A KR 1020050015441A KR 20050015441 A KR20050015441 A KR 20050015441A KR 100631426 B1 KR100631426 B1 KR 100631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waste organic
preheating
organic matt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3571A (ko
Inventor
홍길용
Original Assignee
홍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길용 filed Critical 홍길용
Priority to KR1020050015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426B1/ko
Publication of KR20050033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예열투입구 및 예열배출구가 구비되며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는 예열발열부재가 설치된 예열외통과, 상기 예열외통 내측에 설치되며 투입된 폐유기물을 회전에 의해 상기 예열배출구측으로 공급하는 공급스크류가 구비된 예열공급부;에서 폐유기물을 60~90℃에서 예열시키며; 살균투입구와 살균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살균투입구와 살균배출구를 제외한 전체가 밀폐형성되며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는 고온발열부재가 구비된 살균외통과, 상기 살균외통 내측에 설치되며 내부로 투입된 폐유기물을 회전에 의해 상기 살균배출구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스크류와, 상기 살균외통 내부로 증기를 투입시킬 수 있도록 연결형성된 증기투입구가 구비된 고온압살균부;에서 폐유기물을 110~125℃, 최저압력 0.8kg/㎠·G의 고온 및 고압조건내에서 살균시키고, 고압조건으로부터 대기로 순간적으로 노출시켜 압력차에 의해 팽화시키며; 각각의 분할칸이 기밀을 유지하면서 상기 폐유기물을 상기 예열공급부에서 상기 고온압살균부로 공급하고, 상기 고온압살균부에서 대기로 공급시키는 로터리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폐유기물을 고온고압살균방식으로 살균처리시키면서도 폐유기물의 공급 및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살균처리효율성 및 경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폐유기물이 후속공정인 건조, 발효, 배합 등에서 처리하기 용이한 거친상태로 조직이 파괴됨에 따라 사료 및 비료의 생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폐유기물의 살균장치 및 살균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유기물 예열 살균 고온고압 기밀공급 증기 비료 사료

Description

폐유기물의 살균장치 및 살균처리방법{sterilizer and sterilization process of uselessorganic matter}
도 1 - 본 발명에 따른 폐유기물의 살균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 - 예열공급부의 측단면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폐유기물의 살균처리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예열공급부 110 : 예열외통
111 : 예열투입구 112 : 예열배출구
113 : 예열발열부재 120 : 공급스크류
200 : 고온압살균부 210 : 살균외통
211 : 살균투입구 212 : 살균배출구
213 : 고온발열부재 220 : 회전스크류
230 : 증기투입구 300 : 로터리공급부
310 : 공급외통 311 : 상부투입구
312 : 하부배출구 320 : 회전칸막이
본 발명은 폐유기물의 살균장치 및 살균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폐유기물을 사료나 비료로 재활용하기 위해 폐유기물의 예열, 고온고압살균, 증기투입, 팽화과정을 거치는 살균처리시키는 방법과, 이를 연속적으로 처리하기 적합하도록 예열공급부, 고온압살균부, 2개의 로터리공급부로 구성된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 또는 축산분뇨 등의 분뇨와 같은 폐유기물은 수거한 그대로 매립시킬 경우 유기물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오수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야기하게 되므로, 근래에는 수거된 폐유기물을 소각시키거나 폐유기물을 가축의 사료나 비료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방법으로 후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질소를 포함하는 유기화합물이 무산소성 세균에 의해 불완전 분해되면 각종 아민이나 황화수소 등 악취가 나는 가스를 발생시키며, 지방이 불완전 분해되면 케톤류 등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고초균, 클로스트리듐, 슈도모나스(Pseudomonas) 등의 부패성 세균을 냉장, 냉동, 가열, 탈수, 훈연, 염장, 설탕조림, 극저온급속냉동, 감마선조사, 약품첨가 등의 방법으로 폐유기물의 종류나 성질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사용해왔으나 비료나 사료의 재활용에서는 주로 가열살균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가열살균방식은 평압(대기압)하 100℃미만의 온도에서 약 30분간 살균시킨 후, 이를 2~3회 반복하여 완전멸균하는 간헐살균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사료와 같은 식품으로의 가공에 있어서는 2기압 120℃에서 15~20분간 체류시켜 살균시키는 고압고온살균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평압하에서 살균처리를 할 경우 1회살균으로는 균의 사멸이 쉽지않아 살균품질이 떨어지며, 2~3회의 간헐살균을 반복할 경우 살균횟수를 증가시킬 때마다 장치유지비용 및 소요시간이 비약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경제성이 현격히 떨어지게 되고, 고온고압살균방식에서도 밀폐성을 유지하여야하는 장치특성으로 인해 살균장치 내외부로의 공급 및 이송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살균을 위해 고온의 지정온도로 가열시키고 이송과 공급을 위해 다시 냉각시키는 것을 반복해야하므로 처리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폐유기물을 살균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고온고압살균방식으로 살균처리시키면서도 폐유기물의 공급 및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살균처리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폐유기물의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고온고압살균방식을 취함에 있어서도 후공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처리가 용이한 상태로 배출시키며, 예열과 고온고압살균처리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살균처리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폐유기물의 살균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예열투입구 및 예열배출구가 구비되며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는 예열발열부재가 설치된 예열외통과, 상기 예열외통 내측에 설치되며 투입된 폐유기물을 회전에 의해 상기 예열배출구측으로 공급하는 공급스크류가 구비되어, 폐유기물을 지정시간동안 예열시키는 예열공급부와; 살균투입구와 살균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살균투입구와 살균배출구를 제외한 전체가 밀폐형성되며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는 고온발열부재가 구비된 살균외통과, 상기 살균외통 내측에 설치되며 내부로 투입된 폐유기물을 회전에 의해 상기 살균배출구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스크류와, 상기 살균외통 내부로 증기를 투입시킬 수 있도록 연결형성된 증기투입구가 구비되어, 폐유기물 및 수분의 가열과 팽창에 의해 형성된 고온고압분위기에서 폐유기물을 지정시간동안 살균시키는 고온압살균부와; 상기 고온압살균부의 살균투입구와 살균배출구 각각에 연결설치되며, 상부투입구 및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 공급외통과, 상기 공급외통 내측에 설치되며 중앙회전축 둘레에 상기 공급외통과 기밀되게 방사형으로 설치된 다수의 회전칸막이가 구비되어, 각각의 분할칸이 기밀을 유지하면서 폐유기물을 상기 예열공급부에서 상기 고온압살균부로 공급하고, 상기 고온압살균부에서 대기로 공급시키는 로터리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폐유기물의 살균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온압살균부의 살균외통은, 상기 살균배출구측으로 갈수록 하향되게 경사설치되고, 상기 고온압살균부의 회전스크류는, 스크류축상에 다수의 나선형 날개가 병렬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폐유기물을 60~90℃로 예열시키는 예열단계와; 예열된 폐유기물을 110~125℃, 최저압력 0.8kg/㎠·G의 고온 및 고압조건내에서 살균시키는 살균단계와; 상기 살균단계를 거치는 폐유기물에 110~125℃의 고온증기를 투입시키는 증기 투입단계와; 상기 폐유기물을 상기 살균단계의 고압조건으로부터 대기로 순간적으로 노출시켜 압력차에 의해 팽화시키는 팽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폐유기물의 살균처리방법을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폐유기물은 생석회와 함께 상기 예열단계로 투입되어, 상기 생석회와 상기 폐유기물의 함유수분과의 반응열만으로 예열 및 고온고압살균이 이루어지는 실시예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폐유기물을 고온고압살균방식으로 살균처리시키면서도 폐유기물의 공급 및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살균처리효율성 및 경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예열과 고온고압살균처리가 적정 온도와 압력하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살균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그리고, 폐유기물의 투입, 처리, 배출이 지속적으로 연속되게 이루어짐에 따라 소규모의 시설로도 대량의 처리가 가능하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또한, 폐유기물 배출 시 급격한 압력차에 의해 팽화되어 후속공정인 건조, 발효, 배합 등에서 처리하기 용이한 거친상태로 조직이 파괴됨에 따라 사료 및 비료의 생산원가를 저감시킨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그리고, 석회질비료로의 가공 시 폐유기물을 생석회와 혼합하여 투입시키면 폐유기물의 함유수분과 생석회의 반응열에 의해 고온고압살균이 자연히 이루어질 수 있어 가열살균에 소요되는 열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유기물의 살균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예열공급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유기물의 살균처리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폐유기물의 살균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유기물의 살균장치는 크게 예열공급부(100), 고온압살균부(200), 로터리공급부(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예열공급부(100)는 폐유기물을 지정시간동안 예열시키고, 상기 고온압살균부(200)는 상기 예열공급부(100)에서 예열공급된 폐유기물을 고온고압분위기에서 지정시간동안 살균시키며, 상기 로터리공급부(300)는 상기 예열공급부(100)와 고온압살균부(200)의 연결부 및 상기 고온압살균부(200)의 배출구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고온압살균부(200) 내외로의 폐유기물 이송이 기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예열공급부(100)는 폐유기물을 상기 고온압살균부(200)에서 고온고압살균처리시키기 전에 60~90℃로 예열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예열발열부재(113)가 구비되어 내부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는 예열외통(110)과, 상기 예열외통(110) 내부 일측으로 공급된 폐유기물을 회전구동에 의해 타측으로 공급시키는 공급스크류(120)로 구성된다.
상기 예열외통(11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단면을 가진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상부에는 예열을 위해 폐유기물이 투입되는 예열투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하부에는 예열된 폐유기물이 배출되는 예열배출구(112)가 구비되며, 지정온도로 발열되는 예열발열부재(113)가 외면 전반에 걸쳐 밀착설치된다.
상기 공급스크류(120)는 상기 예열외통(110)의 양단부에 스크류축 양단부가 지지되면서 상기 예열외통(110)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축에는 나선형 날개가 부착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예열투입구(111)측의 폐유기물을 상기 예열배출구(112)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스크류축 일단부가 상기 예열외통(110)의 일단부 외측으로 돌출되고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에 연동회전됨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속도를 조정시킴으로써 상기 공급스크류(120)의 회전속도를 조정하여 투입된 폐유기물을 상기 예열배출구(112)측으로 공급하는 속도를 조정시키게 된다.
상기 예열공급부(100)는 폐유기물이 상기 고온압살균부(200)로 투입되기 전에 60~90℃로 열원을 공급하여 가열시킴에 따라, 상기 고온압살균부(200)에서의 가압 및 가온시간을 단축시켜 살균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상기 고온압살균부(200)의 크기 및 길이를 줄여 시설비용을 절감시키고, 생산비용 또한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상기 고온압살균부(200) 내에서도 폐유기물이 예열된 상태에서 가열증기와 접촉하게 되므로 응축되는 수분의 양을 줄이게 된다.
상기 고온압살균부(200)는 폐유기물을 110~125℃, 0.8~1.2kg/㎠·G 의 고온 및 고압조건하에서 살균처리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고온발열부재(213)가 구비되어 내부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는 살균외통(210)과, 상기 살균외통(210) 내부 일측으로 공급된 폐유기물을 회전구동에 의해 타측으로 공급시키는 회전스크류(220)와, 상기 살균외통(210) 내부로 증기를 투입시킬 수 있도록 연결형성된 증기투입구(230)로 구성된다.
상기 살균외통(210)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예열공급부의 예열배출구(112)에 인접한 일측에는 예열된 폐유기물이 살균을 위해 투입되는 살균 투입구(211)가 형성되고, 타측하부에는 살균된 폐유기물이 배출되는 살균배출구(212)가 구비되며, 고온의 지정온도로 발열되는 고온발열부재(213)가 외면 전반에 걸쳐 밀착설치된다.
상기 살균외통(210)은 내부에 고압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살균투입구(211)와 살균배출구(212)를 제외한 전체가 기밀하게 밀폐형성되며, 살균설정온도로 투입된 증기가 살균설정온도보다 낮은 예열온도로 투입된 폐유기물과 접촉되어 응축됨에 따라 형성되는 응축수의 신속한 배출을 위해 상기 살균배출구(212)측으로 갈수록 하향되게 15~30°로 경사설치된다.
상기 살균외통(210)이 경사설치되어 응축수 배출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면 응축수의 가열에 소요될 수 있는 불필요한 에너지소비를 줄이고 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폐유기물의 상기 살균외통(210) 내 체류시간을 단축시킴에 따라 장치크기 내지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회전스크류(220)는 상기 공급스크류와(120) 마찬가지로 상기 살균외통(210)의 양단부에 스크류축 양단부가 지지되면서 상기 살균외통(210)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축에 부착된 나선형 날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살균투입구(211)측의 폐유기물을 상기 살균배출구(212)측으로 이동시키며, 모터에 연동회전되게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속도를 조정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스크류(220)의 회전속도를 조정하여 투입된 폐유기물을 상기 살균배출구(212)측으로 공급하는 속도를 조정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스크류(220)의 스크류축상에는 2~3개의 나선형 날개를 병렬형성시 켜, 하나의 나선형 날개를 부착시킨 것보다 폐유기물의 이송성능을 배가시키고, 상하부 전반에서 발열이 고르게 발생되는 상기 살균외통(210) 내측전반에 걸쳐 폐유기물을 보다 고르게 운반시키게 됨에 따라 살균품질과 속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 증기투입구(230)는 상기 살균외통(210)의 발열 뿐만 아니라 110~125℃에 해당되는 고온의 증기에 의해서도 폐유기물을 가열시키고, 증기의 도입에 따라 압력을 증대시키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증기투입용 배관에 연결될 수 있도록 내외부로 관통된 관형상으로 상기 살균투입구(211)측에 형성된다.
상기 로터리공급부(300)는 상기 고온압살균부(200)의 기밀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고온압살균부(200) 내외로 폐유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상기 고온압살균부의 살균투입구(211)와 살균배출구(212) 각각에 연결설치되며, 공급외통(310)과, 상기 공급외통(310) 내측에 방사형으로 설치된 다수의 회전칸막이(320)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외통(31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폐유기물을 전달받는 경로인 상부투입구(311)와, 하측으로 폐유기물을 전달하는 경로인 하부배출구(312)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투입구(311) 및 하부배출구(312)를 제외한 전체가 기밀하게 밀폐형성된다.
상기 회전칸막이(320)는 상기 공급외통(310) 내측에 설치되며 중앙회전축 둘레에 상기 공급외통(310)과 기밀되게 방사형으로 4~8개의 회전칸막이(320)가 설치되어 각각의 분할칸이 기밀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중앙회전축은 회전수가 조절되는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중앙회전축의 회전수를 조정하여 폐유기물의 공급속 도를 조정시키게 된다.
상기 로터리공급부(300)는 상기 공급외통(310) 내부에 분할형성되는 각각의 분할칸이 고온 및 고압에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채 상기 상부투입구(311)와 하부배출구(312)를 반복이동하게되어, 상기 고온압살균부(200) 내부의 압력이 상기 살균투입구(211) 및 살균배출구(212)에 접하게되는 분할칸에만 전달되어 상기 고온압살균부(200)에 동반 투입, 배출되는 누설량 외에는 모든 압력 및 온도손실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고온압살균부(200)의 열손실 및 공기누설을 방지하고 일정한 살균조건을 유지시켜준다.
폐유기물은 상기 고온압살균부(200)에서 고온 고압의 조건에서 지정시간동안 체류한 뒤 상기 로터리공급부(300)에 의해 소량씩 대기로 배출되는데, 이때 폐유기물이 수분을 함유한채로 고압상태에서 갑자기 대기로 노출되면서 폐유기물 입자의 팽화가 발생된다.
폐유기물이 팽화되면 입자의 밀도가 낮아지며 폐유기물의 조직이 파괴되어 거칠은 조직이 되거나 분쇄되는 효과가 발생됨에 따라, 살균 후 공정인 발효, 배합이나 건조공정에 매우 유리한 상태로 변형되어 생산원가 절감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로터리공급부(300)에 의해 폐유기물을 소량씩 방출시킴에 따라 팽화에 따른 소음, 진동 등의 충격도 적게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유기물 살균장치로 투입된 폐유기물은 예열단계(I), 고온고압분위기에서의 살균단계(II), 가열 및 고압분위기 형성효율을 높이기 위한 증기투입단계(III), 팽화단계(IV)를 거치게 되며, 다음으로는 이러한 폐유기물의 살균 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예열단계(I)는 상기 살균단계(II)에서 소요되는 가온 및 가압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폐유기물을 60~90℃로 예열시키는 공정이며, 상기 살균단계(II)는 상기 예열단계(I)를 거쳐 예열된 폐유기물을 110~125℃, 최저압력 0.8kg/㎠·G의 고온 및 고압조건내에서 살균시키는 공정이고, 상기 증기투입단계(III)는 상기 살균단계(II)를 거치는 폐유기물에 살균을 보조하기 위한 고온증기를 투입시키는 공정이며, 상기 팽화단계(IV)는 상기 폐유기물을 상기 살균단계(II)의 고압조건으로부터 대기로 순간적으로 노출시켜 압력차에 의해 팽화시키는 공정이다.
음식물쓰레기, 각종분뇨, 축산 및 해산폐기물과 같은 유기질 폐기물을 선별 및 분쇄하여 60~90℃로 예열시킨 후, 연속하여 116~123℃의 고온조건, 대기압보다 0.8~1.2kg/㎠ 높은 압력조건 내에서 116~123℃의 증기를 투입하여 15~25분간 체류시키고, 대기로 순간방출시키면, 고온고압살균방식으로 살균품질이 우수하고, 살균시간이 짧게 소요되며, 평압조건하에서 수회살균하는 것에 비해 장치제조 및 유지비, 인건비에 관련된 각종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폐유기물의 팽화에 의해 후속공정에서도 발효나 통기상태가 좋아져 처리속도가 빨라지고 건조시간이 단축되어 품질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증기는 응축잠열량이 공기에 비해 매우 높아 상기 살균단계(II)로 상기 증기투입단계(III)를 도입시키면 살균에 필요한 온도까지의 승온시킴에 있어 소량의 증기공급으로 단시간내에 도달시킬 수 있고, 필요한 압력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석회질비료로의 제조 시에는 폐유기물을 단독이 아닌 생석회와 함께 혼합하여 상기 예열단계(I)를 위한 장치로 투입시키면, 폐유기물의 함유수분과 생석회의 반응으로 소석회를 생성시키면서 발생되는 생석회의 수화열량이 1140KJ/kg( 약 272kcal/kg)으로 매우 높게 발생됨에 따라, 폐유기물의 함유수분량에 대해 3배 이상의 생석회를 함께 투입시키면, 별도의 열량공급이 없이도 상기 생석회와 폐유기물의 함유수분과의 반응열만으로 예열 및 고온고압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어 가열살균에 소요되는 열비를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폐유기물을 고온고압살균방식으로 살균처리시키면서도 폐유기물의 공급 및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살균처리효율성 및 경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예열과 고온고압살균처리가 적정 온도와 압력하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살균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폐유기물의 투입, 처리, 배출이 지속적으로 연속되게 이루어짐에 따라 소규모의 시설로도 대량의 처리가 가능하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폐유기물 배출 시 급격한 압력차에 의해 팽화되어 후속공정인 건조, 발효, 배합 등에서 처리하기 용이한 거친상태로 조직이 파괴됨에 따라 사료 및 비료의 생산원가를 저감시킨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석회질비료로의 가공 시 폐유기물을 생석회와 혼합하여 투입시키면 폐유기물의 함유수분과 생석회의 반응열만으로도 고온고압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어 가열살균에 소요되는 열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예열투입구 및 예열배출구가 구비되며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는 예열발열부재가 설치된 예열외통과, 상기 예열외통 내측에 설치되며 투입된 폐유기물을 회전에 의해 상기 예열배출구측으로 공급하는 공급스크류가 구비되어, 폐유기물을 지정시간동안 예열시키는 예열공급부와;
    살균투입구와 살균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살균투입구와 살균배출구를 제외한 전체가 밀폐형성되며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는 고온발열부재가 구비된 살균외통과, 상기 살균외통 내측에 설치되며 내부로 투입된 폐유기물을 회전에 의해 상기 살균배출구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스크류와, 상기 살균외통 내부로 증기를 투입시킬 수 있도록 연결형성된 증기투입구가 구비되어, 폐유기물 및 수분의 가열과 팽창에 의해 형성된 고온고압분위기에서 폐유기물을 지정시간동안 살균시키는 고온압살균부와;
    상기 고온압살균부의 살균투입구와 살균배출구 각각에 연결설치되며, 상부투입구 및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 공급외통과, 상기 공급외통 내측에 설치되며 중앙회전축 둘레에 상기 공급외통과 기밀되게 방사형으로 설치된 다수의 회전칸막이가 구비되어, 각각의 분할칸이 기밀을 유지하면서 상기 폐유기물을 상기 예열공급부에서 상기 고온압살균부로 공급하고, 상기 고온압살균부에서 대기로 공급시키는 로터리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물의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압살균부의 살균외통은,
    상기 살균배출구측으로 갈수록 하향되게 경사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물의 살균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압살균부의 회전스크류는,
    스크류축상에 다수의 나선형 날개가 병렬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물의 살균장치.
  4. 폐유기물을 60~90℃로 예열시키는 예열단계와;
    예열된 폐유기물을 110~125℃, 최저압력 0.8kg/㎠·G의 고온 및 고압조건내에서 살균시키는 살균단계와;
    상기 살균단계를 거치는 폐유기물에 110~125℃의 고온증기를 투입시키는 증기투입단계와;
    상기 폐유기물을 상기 살균단계의 고압조건으로부터 대기로 순간적으로 노출시켜 압력차에 의해 팽화시키는 팽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물의 살균처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폐유기물은 생석회와 함께 상기 예열단계로 투입되어, 상기 생석회와 상기 폐유기물의 함유수분과의 반응열만으로 예열 및 고온고압살균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물의 살균처리방법.
KR1020050015441A 2005-02-24 2005-02-24 폐유기물의 살균장치 및 살균처리방법 KR100631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441A KR100631426B1 (ko) 2005-02-24 2005-02-24 폐유기물의 살균장치 및 살균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441A KR100631426B1 (ko) 2005-02-24 2005-02-24 폐유기물의 살균장치 및 살균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571A KR20050033571A (ko) 2005-04-12
KR100631426B1 true KR100631426B1 (ko) 2006-10-04

Family

ID=3723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441A KR100631426B1 (ko) 2005-02-24 2005-02-24 폐유기물의 살균장치 및 살균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4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79396A (zh) * 2011-03-18 2011-09-14 江苏神力起重设备有限公司 连续高温灭菌脱水设备
KR101839783B1 (ko) * 2016-12-21 2018-04-26 이종소 유기성폐기물의 분해 소멸처리가 가능한 연속식 촉매분해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936A (ja) 2003-04-16 2004-11-11 Ngk Insulators Ltd 高温高圧処理装置用予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936A (ja) 2003-04-16 2004-11-11 Ngk Insulators Ltd 高温高圧処理装置用予熱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79396A (zh) * 2011-03-18 2011-09-14 江苏神力起重设备有限公司 连续高温灭菌脱水设备
KR101839783B1 (ko) * 2016-12-21 2018-04-26 이종소 유기성폐기물의 분해 소멸처리가 가능한 연속식 촉매분해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571A (ko) 2005-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25756A (ja) スラッジの熱加水分解方法及び該方法を使用する設備
JP2007075807A (ja) 有機物の連続再資源化装置及び排水処理装置
WO2019044995A1 (ja) 有害微生物を含む有機物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2005501701A (ja) 廃棄物質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対応した処理プラント
KR100631426B1 (ko) 폐유기물의 살균장치 및 살균처리방법
KR101011973B1 (ko) 폐수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발생방법 및 그 발생장치
KR101103112B1 (ko) 유기물 슬러지 가수 분해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29961A (ko)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JP3484634B2 (ja) 殺菌・発酵処理システム
WO2021010385A1 (ja) 鶏糞飼料製造方法および鶏糞飼料製造装置
JP4789595B2 (ja) 有機性廃棄物処理方法および有機性廃棄物処理システム
WO2017163602A1 (ja) メタン発酵システム
KR100925234B1 (ko) 슬러지 건조 장치
JP2008023450A (ja) 有機性廃棄物分解処理方法及び装置
WO2017203781A1 (ja) メタン発酵装置
KR102487763B1 (ko) 저압 가열 증발식 분뇨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848825B1 (ko) 유기성 폐수 및 농축슬러지의 악취발생 원천적 방지를 위한 처리 방법 및 처리 설비
KR101962959B1 (ko) 가축 사체 진공 열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체 진공포장 방법
KR100308819B1 (ko) 유기성폐기물의 처리방법
TWM604322U (zh) 橫式發酵槽
DK3328802T3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SEMI-CONTINUOUS THERMAL SLAM HYDROLYSE
KR100851956B1 (ko) 폐기물 처리장치
CN104150736A (zh) 潜热蒸腾臭气处理装置及泥饼干化和臭气处理的方法
CN216550091U (zh) 一种医疗废水污泥消毒系统
KR20200061150A (ko) 유기성 폐기물의 밀폐형 순환 건조화 방법 및 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