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293B1 -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 - Google Patents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293B1
KR100631293B1 KR1020040079011A KR20040079011A KR100631293B1 KR 100631293 B1 KR100631293 B1 KR 100631293B1 KR 1020040079011 A KR1020040079011 A KR 1020040079011A KR 20040079011 A KR20040079011 A KR 20040079011A KR 100631293 B1 KR100631293 B1 KR 100631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poultice
colds
capsaicin
na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0216A (ko
Inventor
유희목
Original Assignee
유희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희목 filed Critical 유희목
Priority to KR102004007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293B1/ko
Publication of KR20060030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3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기치료용 국소 도포 제재에 관한 것으로서, 캡사이신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함유되어 콧등 상단의 가운데로부터 콧등 양쪽으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이루어진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종래의 경구투여 양약 제재가 가지는 여러가지 부작용과 적용대상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간편하고 편리한 감기 치료제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습포제, 감기

Description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Nose Poultice For Curing Cold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콧등 상단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양쪽면이 하나로 연결되는 형태의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콧등 상단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양쪽면이 각각 떨어져 이루어지는 형태의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콧등 상단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양쪽면에 부착되는 소포제가 상기 소포제보다 작은 크기의 제재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의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감기치료용 국소 도포 제재에 관한 것으로서, 콧등 상단의 가운데로부터 콧등 양쪽으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카타플라스마제에 캡사이신 성분이 함유되어 기침, 코감기, 콧물, 코막힘, 비염(축농증)치료에 효과를 가지는 감기치료용 코 습포제에 관한 것이다.
감기는 코 ·목구멍 ·기관지 등 호흡기 점막의 급성 염증성 질환이나 알레르기성 질환의 총칭으로서, 급성비염, 급성인두염, 급성후두염, 급성편도염, 기관지염, 인플루엔자, 그 밖의 바이러스성 상기도감염증 등이 포함된다. 이들 질환은 콧물, 재채기, 기침, 발열이나 목이 아픈 증세 등 감기증후군이라고 할 수 있는 공통점이 많아 이들을 통틀어 '감기'라 하나, 의학의 발달에 따라 원인이 확실한 것은 인플루엔자, 알레르기성 비염등과 같이 독립된 병명으로 부르게 되어, 현재 감기라고 하면 좁은 의미의 감기, 즉 보통감기(인플루엔자 외의 바이러스성 감기)를 뜻하게 되었다.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해 감염되는 감기는 추위 등의 자극, 체온 분포의 불균형, 알레르기 등이 결정적인 원인이 되어 발생되며, 1년 중 어른은 서너번,아이는 더 자주 걸리는 경향이 있다. 감기에 의한 후속 증상은 기침, 콧물, 두통,고열, 오한, 인후통, 재채기, 위통, 설사 등으로 다양하고, 현재 이와 같은 각종 감기 질환에 대하여 현대의학에 있어서도 뚜렷한 치료방법이나 약재가 개발된 것이 없으며, 서양의학의 기전에 의해 증세에 따라 항(抗)바이러스제, 항히스타민제, 해열 진통제 등을 경구투여하는 치료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경구투여하는 감기약으로 항히스타민제, 해열제 등은 모두 고열, 콧물, 기침 등의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하는 치료제일 뿐 바이러스를 죽이거나 쫓는 치료제가 아니다. 특히, 화학적으로 합성되어 경구투여되는 양약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이나 인체의 다른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가져 인체에 유해한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내복 후 졸음이 오거나 소화불량, 위장장애, 흥분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감기약으로 흔히 진통소염제라고 불리는 해열제는 장기복용 하면 위염을 일으킬 수 있고, 드물게는 신장과 간에 대해 독성을 일으킬 수 있으며, 코감기약은 혈관수축작용을 하여 졸음과 입이 마르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소아에 있어서는 아스피린을 사용할 경우 치명적인 부작용(간-뇌 혼수)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서 소아 또는 영아에게 아스피린을 사용할 수는 없다. 근래에는, 경구용 종합감기약에 페닐프로파놀아민(PPA:phenylpropanolamine)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혈압상승과 식욕감소를 일으켰고, 최근에 문제된 것은 뇌출혈의 빈도가 높아졌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물의를 일으켰다.
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감기 치료제로서 종래에 사용되어 오던 감기약은 거의 대부분이 항바이러스제, 항히스타민제, 해열진통제 등을 경구투여하는 치료제 형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화학적으로 합성되어 경구투여 되는 양약은 상기와 같은 여러가지 부작용을 가지고 있고, 장기복용하거나 유아, 소아에게는 사용할 수 없으며, PPA가 검출되는 등 치명적인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종래에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외용제는 제형적으로 연고제, 경구제, 함수 첩부제, 리니멘트제, 로션제 등과 같이 다양하지만, 경구제의 경우는 위장장애라는 부작용이 항상 따르며 시간에 맞춰서 약을 취하기가 생각보다 실천하기 어렵고, 주사제의 경우는 주사바늘을 이용하기 때문에 환자에게 부담을 주는 단점이 있으며, 혈관에 직접 주사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경우에 따라서는 치명적인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위험한 경우도 있다. 마지막으로 연고제는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지만 약물을 피부에 바른 후 덮는 것이 없어서, 옷에 묻거나 타인에게 묻는 일이 생기고, 감촉이 끈적끈적하거나 미끌미끌해서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있다.
최근에는 감기 치료제로서 경구투여 되는 양약 형태가 아니라, 천연 실리콘 또는 신소재 희토류와 같은 기능성 신소재로 코에 귀걸이 처럼 거는 형태의 '코고리' 제품도 등장하게 되었다. 이것은 음이온(1000~1800/cc발생)의 항균작용과 세라믹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91%발산)이 호흡기관의 환경을 음이온화 시켜 세균의 증식속도를 낮춤으로서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에 관련된 병에 걸리지 않도록 향균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코고리 형태의 감기 치료제는 코에다 무거운 고리를 강압적으로 물리게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따르고, 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으며, 소재에서 발산되는 항균작용만으로 기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 효과도 미약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경피제로서의 습포제나 고형제 등이 개발이 더 많이 되고 실정이다. 습포제는 경고제와 함께 첨포제에 속하며 카타플라스마제라고도 불리우며, 분말 의약품을 글리세린, 물 또는 기타 적당한 액상물질과 섞고 여기에 정유성분을 넣으며 필요에 따라서 보존제나 방향제를 가해서 균등히 혼화 한 것으로서, 분말의약품과 정유성분을 함유하는 외용제로 포상에 성형하여 제조되어 습포 목적으로 사용하는 제제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습포제는 안정성이 높고, 유효성 및 편리성을 겸비하여 오랫동안 애용되어 온 약제이다. 이 습포제는 수용성 고분자가 주된 기제 성분이며 수분의 배합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적용이 간편하여 상태에 따라 약물의 투여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의 방출이 지속적이므로 장시간 효과를 볼 수 있다는 특징도 있다.
외용제 중에서 습포제는 수분이 약물을 피부로 흡수되도록 촉진시켜 장시간에 걸쳐 다량의 약물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유용한 제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함수 첩부제는 피부에 부착하였을 때 국소적 효과는 물론 전신적 효과도 나타내며, 기제의 종류와 약물이 각각 다른 화학적, 물리적, 약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각 특정한 조건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습포제에 대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습포제는 타박상, 근육통, 관절염 또는 신경통 등의 부위에 간단히 부착하여 통증을 치료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그래서 습포제를 환부에 부착하고 일정 시간동안 부착상태를 유지시키면 약제의 지속적인 침투성과 약리작용에의해서 환자의 상처를 치료하게 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원리를 이용한 소염진통 습포제(대한민국 특허공고번호 제88-1091호)가 있으며,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습포제와 함께 저주파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공고번호 제10-0245835호, 제10-0245836호), 습포제에 발열물질을 첨가하여 고온을 유지하게 하여 치료를 하는 온열습포제(대한민국 특허공고번호 제81-1146호), 생체미약자기의 교정에너지 공급용 습포제(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1999-002825호)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습포제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소염진통제인 멘톨이나 살리실산류 등을 기본으로 하여 사용을 했으며, 이 기본적인 바탕에 다른 기능을 첨가하는 수준의 개발품이다. 하지만, 근래에 와서는 특정 환자에 대해서, 주사제라든가 경구제로만 사용을 하고 있는 특정 약물을 적절한 조건으로습포제에 함유 시켜서, 확실하면서도 안전한 약효를 보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로는 소염진통제로서의 케토롤락을 함유한 습포제(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140155호), 케토프로펜을 함유한 습포제(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97-20101호), 프로피온산계 진통소염제를 함유한 습포제(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1998-067255호, 제10-1998-072361호, 제10-2000-0018965호), 피록시캄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의 고분자와 함께 사용한 습포제(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1999-0072519호)등이 개발이 되었다.
그러나,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습포제는 타박상, 근육통, 관절염 또는 신경통등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외용제로서만 사용되어 왔으며, 종래의 감기 치료제로서는 화학적으로 합성되어 경구투여 되는 양약 제재 또는 코고리와 같은 외형 구조물에 한정되어 있다. 감기를 치료를 목적으로 화학적으로 합성되는 양약성분 제재 기술이 피부 부착형 첩부제나 습포제 같은 것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특히, 감기 치료에 효과를 가지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캡사이신 함유 조성물이나 피부 부착형 첩부제가 콧등 상단 가운데에 적용된 용도의 예도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는 캡사이신은 후끈후끈한 열자극과 국소진통작용을 가지고 있어서 여성이나 어린이 에게는 피부에 심한 자극을 주고, 피부 표면에 대하여 장시간의 부착성과 보수성이 유지됨은 물론, 자기 응집력이 강하여 사용 후 제거시 기제가 잔류하는 경우가 방지되는 기제조성물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감기 치료제로서 여러가지 부작용을 가지고 적용대상이 제한되는 경구투여 양약 형태가 아니라, 안정성이 높고 유효성 및 편리성을 겸비하며 약물이 피부로 장시간에 걸쳐 흡수되도록 촉진시키거나 약물의 국소 열자극이 가능하도록 하는 습포제 또는 함수 첨부제 형태의 감기 치료약을 제공하여, 코 위에 부착이 간편하고 대상에 따라 약물의 투여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를 제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기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국소 도포 약제학적 제재가 콧등에 부착될 수 있는 지지물, 즉, 카타플라스마제(cataplasma)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자세하게, 본 발명은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도체 또는 상기 캡사이신이나 캡사이신 유도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것으로, 콧등 상단의 가운데로부터 콧등 양쪽으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이루어진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에 관한 것으로, 콧등 양쪽으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크기는 콧등 상단의 가운데에서 한쪽의 크기가 가로, 세로 0.7~1.0 ㎝ 이거나 소아용으로는 가로, 세로 0.4~0.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콧등 상단의 가운데로부터 콧등 양쪽으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크기는 안경테의 다리가 붙는 위치에 상기 다리 면적과 비슷하거나 그 보다 둘레로 0.1~0.2 ㎝ 큰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안경테 다리의 압착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캡사이신의 열자극과 국소진통작용을 증진 시키는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캡사이신 또는 캡사이신 유도체 또는 상기 캡사이신이나 캡사이신 유도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함유되어 있어서 성인용으로는 0.04중량% 내지 0.06중량%, 소아용으로는 0.02중량% 내지 0.04중량%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이다.
본 발명자는 캡사이신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열자극을 증진시키며 혈액 순환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 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캡사이신 성분을 국소 도포 약제학적 제재로 사용하여 코위에 있는 경혈을 자극하도록, 콧등에 부착될 수 있는 지지물, 즉, 카타플라스마제(cataplasma) 형태로 제형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캡사이신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함유되어 콧등 상단의 가운데로부터 콧등 양쪽으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이루어진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를 제공한다.
캡사이신(capsaicin)은 고추(capsicum frutescens 또는 capsicum annum)의 과즙에 함유되어 있는 매운 성분으로 고추를 에탄올로 추출함으로써 쉽게 수득할 수 있다. 지금까지, 캡사이신은 관절염, 근육좌상, 염좌, 건염 및 활액낭염과 같은 근골격계의 진통에만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되는 활성 성분은 천연형의 캡사이신(8-메틸-N-바닐릴-6-노넨아미드)뿐만 아니라 이의 유도체로서 시판되고 있는 N-바닐릴노난아미드(슈도캡사이신)및 8-메틸-N-바닐릴-트랜스-6-노넨아미드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모두 포함한다.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기제는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습포제의 기본적인 특징 중에 하나이다. 습포제는 수분의 배합량이 많고 면적당 고체 도포량이 많고 비후하며 함수량이 많기 때문에 습포효과가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이 특징을 다른 첨포제인 경고제와 비교를 할 경우 수분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므로, 유기성 용매를 사용하는 경고제와는 달리 피부자극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경구제와 비교를 한다면 피부를 통해서 약물이 전달되는 원리이기 때문에 위장을 거쳐서 소화기관에 자극을 주는 경구제에서 나타나는 위장장애 같은 부작용이 전무하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물이나 유기 용매 또는 이들 두 용매의 혼합물중에서 적절한 염기 또는 산의 화학량론을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는 무기 염기와의 염, 유기 염기와의 염, 무기 산과의 염, 유기 산과의 염 및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이 포함된다. 무기 염기와의 염은 예를 들면 나트륨 염 및 칼륨 염과 같은 알카리 금속 염, 칼슘 염 및 마그네슘 염과 같은 알카리 토금속 염, 알루미늄 염 및 암모늄 염이 포함된다. 유기 염기와의 염으로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2,6-루티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사이클로헥실아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및 N,N'-디벤질에틸렌 디아민과의 염을 예로 들 수 있다. 무기 산과의 염의 예로는 염산, 붕산, 질산, 황산 및 인산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유기산과의 염을 예로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탈 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시트르산, 석신산, 말산, 메탄설폰산,벤젠설폰산 또는 p-톨루엔설폰산과의 염이 포함된다.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은 예를 들면 아르기닌, 라이신 및 오르니틴이 포함된다.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의 예로는 아스파트산 및 글루탐산과의 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은 예컨대 이온 교환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라 함은 감기 바이러스에 의한 콧물, 코막힘, 기침등의 증세를 완화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는 활성성분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에서 활성 성분인 캡사이신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한 함유양은 사용대상의 연령, 성별, 피부조건, 부착회수, 부착시간, 보조제의 종류 등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성인용으로는 약 0.04중량% 내지 0.06중량%, 소아용으로 약 0.02중량% 내지 0.04중량%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습포제'는 경고제인 플라스타의 피부발진이나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을 개선한 것으로서, 수분 함습도를 높여 피부의 자극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수분이 첨가돼 건조한 피부에 붙였을 때 자극이 적고 촉촉한 느낌을 주는 카타플라스마제를 말한다. 이와 같은 습포제는 피부가 예민하여 알레르기를 잘 일으키는 사람이나 피부가 여린 어린아이들에게 적합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으로서 캡사이신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감기 치료에 적합하도록 사용되는 국소 도포 약제학적 제재로서 콧등에 부착될 수 있는 지지물, 즉, 카타플라스마제(cataplasma) 형태를 가지고 콧등 상단의 가운데로부터 콧등 양쪽으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사용되는 용도를 가지는 제형이며, 이는 안전한 투여 및 용이한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환자의 편안한 치료에 있어서, 아주 바람직한 제형은 카타플라스마제용 국소 도포 약제학적 제제이다. 주사액과 같은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주입은 고통 또는 적어도 불쾌함을 유발하며, 의사 또는 간호사의 도움이 필요하거나, 스스로 투여할 경우, 환자의 연습 및 기술이 요구되는 반면, 이와 달리, 국소 제형은 심지어 환자에 의해 용이하고 고통 없이 치료될 부위에 도포될 수 있다. 국소 제형은 또한, 부전 실어증을 앓고 있거나, 약의 맛을 싫어하는 환자에 대해 경구 투여용 제형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국소 제형의 특이적 이점은 환자가 처음에는 시각으로 또는 그의 피부를 만져봄으로써 약이 도포됐는지의 여부를 쉽게 확인하여, 부주의한 과잉 투여 또는 과소량 투여의 위험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에서 활성 성분인 캡사이신 또는 이의 염은 공지된 물리적 방법 및 화학적 방법에 의해 피부내로의 흡수를 촉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 전기 및 초음파 에너지를 이용하는 물리적 방법이 적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바람직한 형태는 안경테의 다리가 붙는 위치에 상기 안경테 다리 밑면의 면적 크기와 비슷하거나 그 둘레로 0.1~0.2 ㎝ 큰 크기로 하여, 상기 안경테 다리의 압착 및 밀착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캡사이신은 진통 또는 소염 효과만 가지는 것으로 하여 습포제로서 타박상, 근육통, 관절염 또는 신경통등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외용제로서만 사용되어 왔고, 감기 치료제로서는 화학적으로 합성되어 경구투여 되는 양약 제재 또는 코고리와 같은 외형 구조물에 한정되어 있었다. 감기 치료를 목적으로 화학적으로 합성되는 양약성분 제재 기술이 피부 부착형 첩부제나 습포제 같은 것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경우, 감기 치료에 효과를 가지는 것을 목적으로 캡사이신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함유하여, 콧등 상단의 가운데로부터 콧등 양쪽으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습포제를 제조함으로서, 캡사이신의 열자극으로 인해 갖가지 화학약품을 쓰지 않고도 감기 환자를 아주 손쉽게 치료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인체에 부작용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대상에 따라 습포제의 크기와 상기 습포제에 포함되는 캡사이신 성분을 달리하여 노약자, 허약자, 유 ·소아에게 적용함으로서, 감기증상 및 그 관련 작용효과가 탁월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국소 열자극만으로도 감기증세 완화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임산부나 수유부를 대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라 캡사이신을 함유한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 제작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함유된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를 제작하였다.
본 실시예1에서, 캡사이신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성인용으로는 약 0.05중량%, 소아용으로는 약 0.03중량%가 함유되도록 하여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를 제작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라 습포제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응 용기에 상기 캡사이신 성분과 보조약물 그리고 각종 필수 첨가제를 용해제와 함께 섞어서 녹이고, 여기에 수용성 고분자를 첨가하여 완전히 균질해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 다음, 이것을 일정 온도를 유지하며 지지체에 얇게 편 후 이것에 피복제를 덮어서 제품을 만든다. 이렇게 제조된 제품은 프란쯔 확산장치(Franz Diffusion Cell)와 웅성 무모쥐(Hairless mouse,male)의 등피를 실험 1시간 전에 적출하여 정제수로 안정화 시킨 후, 피부투과 실험을 하였다. 실험온도는 항온 순환 펌프를 사용하여 32 ±0.5 ℃로 유지하면서 실시 하였고, 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약물 양을 정량 하였다 피부투과 속도는 단위 면적당 피부를 투과한 약물의 양을 시간의 함수로 계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습포제는 본 발명에 따라 코 습포제의 용도로 사용되기 위해서, 콧등 상단의 가운데로부터 콧등 양쪽으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제작되었다. 즉, 콧등 양쪽으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크기는 콧등 상단의 가운데에서 한쪽면의 크기가 성인용으로는 가로, 세로 0.8~1.0 ㎝ 크기로 하고, 소아용으로는 가로, 세로 0.4~0.5 ㎝ 로 하여,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콧등 상단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양쪽면이 하나로 연결되는 형태가 될 수 있고,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양쪽면이 각각 떨어져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쪽면에 부착되는 소포제가 상기 소포제보다 작은 크기의 제재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의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로 제작되었다.
실험예 1: 실시예1에 따라 제작된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의 효과 테스트
본 실험예1에서는 상기 실시예1에서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캡사이신 성분 함유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를 이용하여, 실제로 본 발명이 감기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은 경상남도 진주시 **병원 외래 진료소를 내원한 감기 환자중 성인남자 5명, 성인여자 5명 그리고 소아 5명을 대상으로 담당 임상의의 책임하에 실험하였 고, 이중에서 성인남자 2명, 성인여자 2명, 소아 2명은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다.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발명자와 출원인 및 담당 임상의와의 계약에 따라 비밀유지 의무를 가진자로서 이들을 제외한 제3자에게는 공지되는 일이 없도록 하였다.
이들은 각각 3일동안 취짐전부터 다음날 아침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를 부착하고,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은 안경을 쓴채로 취짐하도록 하였다. 아래 표1은 본 발명에 따른 감기 치료용 습포제를 착용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감기 증상이 완화 되었는지를 표시한 도표이다. 별다섯개는 감기 증상이 완전히 치료된 사람을 표시하고 별이 하나도 없는 것은 감기 증상에 차도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정도 표시이다.
[표 1: 본 발명에 따른 코 습포제의 감기 증상 완화 효과]
피검자 No. 감기 증상 완화 정도 피검자 No. 감기 증상 완화 정도
성인남자1(안경착용) * * * * 성인여자4 * * * *
성인남자2(안경착용) * * * * * 성인여자5 * * *
성인남자3 * * * 소아1(안경착용) * * * *
성인남자4 * * * * 소아2(안경착용) * * * *
성인남자5 * * * 소아3 * * *
성인여자1(안경착용) * * * * * 소아4 * * * *
성인여자2(안경착용) * * * * 소아5 * * *
성인여자3 * * * *
상기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를 3일 동안 콧등 상단 가운데에 부착하고 취짐을 하는 경우, 실험에 참여했던 모든 대상이 본 발명으로 인하여 감기 증상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안경을 착용한 성인남자2와 성인여자1은 감기 증상이 완전히 치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아보다는 성인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을때 그 효과가 우수하며,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사람보다는 안경을 착용한 사람에게서 감기 증상 완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소아를 대상으로 한 경우 캡사이신 성분을 높일 수 없었고, 안경을 착용함으로서 안경에 의한 압박효과로 열자극이 높아져 이로인해 혈액 순환이 증진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캡사이신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함유되어 콧등 상단의 가운데로부터 콧등 양쪽으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이루어진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를 사용함으로서, 안정성이 높고 유효성 및 편리성을 겸비하며 약물의 국소 열자극이 가능하도록 하는 습포제 또는 함수 첨부제 형태의 감기 치료제를 완성하였다. 이를 통해, 코 위에 부착이 간편하고 대상에 따라 약물의 투여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5)

  1. 캡사이신 또는 N-바닐릴노난아미드나 8-메틸-N-바닐릴-트랜스-6-노넨아미드 또는 상기 캡사이신이나 N-바닐릴노난아미드나 8-메틸-N-바닐릴-트랜스-6-노넨아미드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것으로, 콧등 상단의 가운데로부터 콧등 양쪽으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이루어진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콧등 상단의 가운데로부터 콧등 양쪽으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크기는 콧등 상단의 가운데에서 한쪽의 크기가 가로, 세로 0.8~1.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콧등 상단의 가운데로부터 콧등 양쪽으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크기는 콧등 상단의 가운데에서 한쪽의 크기가 가로, 세로 0.4~0.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용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콧등 상단의 가운데로부터 콧등 양쪽으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크기는 안경테 다리 밑면의 면적 크기에서 부터 그 둘레로 0.1~0.2 ㎝ 큰 크기로 하여, 상기 안경테 다리의 압착 및 밀착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사이신 또는 N-바닐릴노난아미드나 8-메틸-N-바닐릴-트랜스-6-노넨아미드 또는 상기 캡사이신이나 N-바닐릴노난아미드나 8-메틸-N-바닐릴-트랜스-6-노넨아미드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함유되어 있어서 성인용으로는 0.04중량% 내지 0.06중량%, 소아용으로는 0.02중량% 내지 0.04중량%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
KR1020040079011A 2004-10-05 2004-10-05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 KR100631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011A KR100631293B1 (ko) 2004-10-05 2004-10-05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011A KR100631293B1 (ko) 2004-10-05 2004-10-05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216A KR20060030216A (ko) 2006-04-10
KR100631293B1 true KR100631293B1 (ko) 2006-10-04

Family

ID=3714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011A KR100631293B1 (ko) 2004-10-05 2004-10-05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2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216A (ko) 2006-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6591A (zh) 一种治疗风湿痛的外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4059880A1 (zh) 一种制备治疗妇科炎症的石榴皮多酚凝胶剂的方法
CN101934015B (zh) 一种治疗甲状腺的中药组合物及其散瘿巴布剂的制备方法
CN104984209A (zh) 一种治疗急性扭挫伤、风湿及疼痛的改进型狗皮膏贴膏及其制备方法
JP7190571B2 (ja) ブレイアコニチンaの用途
CN105168500B (zh) 一种用于治疗小儿口腔溃疡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5945119A (en) Therapeutic preparations containing caesium ions
US6011061A (en) Therapeutic methods and preparations using rubidium ions
KR100631293B1 (ko) 감기 치료용 코 습포제
CN104815068A (zh) 一种头孢氨苄软膏及制备方法
WO2001064229A1 (fr) Medicament de traitement de l'obesite, sa preparation et son utilisation
CN104257719B (zh) 消肿散结的中西药多用途软膏及其制备方法
CN105770847A (zh) 一种缓解或治疗关节肿痛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和用途
CN105126010A (zh) 一种治疗疼痛的贴膏及其制备方法
CN103768290A (zh) 一种治疗滑膜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559131B (zh) 一种治疗疥疮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585330B (zh) 一种用于皮肤真菌感染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Miao et al. Analysis of dosage form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N104688936A (zh) 一种治疗烧烫伤的中药组合物及其制剂
KR20030070780A (ko) 소염진통 효능이 우수한 생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소염진통 외용 첩부제
CN105616553A (zh) 一种药物透皮吸收剂的制备及应用
CN105030983A (zh) 一种治疗湿疹的外用中药
CN104689171B (zh) 一种具有袪除脚气作用的中药泡脚制剂及其制备方法
JPS58164516A (ja) 湿疹性皮膚疾患および薬疹治療剤
TW581686B (en) Pharmaceutical composites of the suppository for fever and influenza and their pharmaceutical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