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234B1 -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234B1
KR100630234B1 KR1020050014907A KR20050014907A KR100630234B1 KR 100630234 B1 KR100630234 B1 KR 100630234B1 KR 1020050014907 A KR1020050014907 A KR 1020050014907A KR 20050014907 A KR20050014907 A KR 20050014907A KR 100630234 B1 KR100630234 B1 KR 100630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iber
pair
nonwoven fabric
metal
fiber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4185A (ko
Inventor
박양자
Original Assignee
박양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양자 filed Critical 박양자
Priority to KR1020050014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2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4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34Metal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된 금속판재의 단부를 다수 개의 날이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어 회전하는 디스크에 접촉시켜 금속섬유를 토출하는 금속섬유 제조장치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금속섬유가 토출되는 방향의 전방에 상부롤러와 하부롤러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형성된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이송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를 통과하면서 형성된 금속섬유 부직포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경로변경수단;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의 간격, 진동주기, 진폭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롤러제어수단; 및, 상기 금속섬유 제조장치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온도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회전롤러, 이송수단, 경로변경수단, 롤러제어수단, 온도제어수단, 금속섬유 제조장치

Description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etallic fiber non-woven fabric}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파이프 형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인 판상과 파이프 형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4는 금속섬유 제조장치(국내 특허 제0343368호)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5는 알루미늄 익스펜디드 메탈판을 이용한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금속섬유 제조장치
10: 프레임
11: 회전디스크
12: 유도코일
20: 금속판재
200: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장치
210: 회전롤러
211: 상부롤러 212: 하부롤러
220: 경로변경수단
230: 이송수단
240: 롤러제어수단
250: 온도제어수단
기술분야
본 발명은 금속섬유를 이용하여 다공성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국내 특허 제0343368호에 기재되어 있는 금속섬유 제조장치(도4 참조)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금속섬유의 생산과 동시에 이를 원료로 사용하여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의 금속섬유 부직포는 용탕압출, 분말압축, 박판절삭 또는 선재절삭 등 과 같은 방법으로 금속섬유를 제조하는 섬유제조단계; 제조된 금속섬유를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하는 섬유절단단계; 웹성형단계; 니들펀칭단계; 및 웹본딩단계; 등과 같은 많은 과정을 거쳐서 제조된다.
이와 같이 많은 단계의 공정이 필요한 바,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각 단계 별로 그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장비)가 필요하고 각 단계 별 공정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금속섬유 부직포의 생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의 UNIX사 등에서 개발한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방법에 의하면, 용융 알루미늄 금속을 다수 개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밀폐용기에 넣은 후 압력을 가하여 금속섬유를 제조함과 동시에, 2 장의 알루미늄 익스펜디드 메탈판(Aluminium expanded metal plate) 사이에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금속섬유를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2개의 압연롤러를 이용하여 압연하여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조한다.(도5 참조)
이와 같이 알루미늄 익스펜디드 메탈판을 이용하여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한 종래의 금속섬유 부직포 생산에서 발생되는 문제점(다시 말하면, 각 단계 별로 그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장비)가 필요하고 각 단계 별 공정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금속섬유 부직포의 생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의 상당 부분을 해결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알루미늄에 한정되어 적용이 가능하다는 문제점과 별도의 알루미늄 익스펜디드 메탈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금속의 종류에 제한을 받지 않고 별도의 익스펜디드 메탈이 필요하지 않으며 금속섬유의 제조와 동시에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공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금속섬유의 제조와 동시에 이를 원재료로 사용하여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금속섬유 부직포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소요 장비 및 제조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익스펜디드 메탈과 같이 별도의 구성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 방법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용융된 금속판재의 단부를 다수 개의 날이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어 회전하는 회전디스크에 접촉시켜 금속섬유를 토출하는 금속섬유 제조장치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금속섬유가 토출되는 방향의 전방에 상부롤러와 하부롤러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형성된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한 쌍 의 회전롤러와 상기 이송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를 통과하면서 형성된 금속섬유 부직포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경로변경수단;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의 간격, 진동주기, 진폭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롤러제어수단; 및, 상기 금속섬유 제조장치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온도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금속섬유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금속섬유를 토출시키는 단계; 상기 온도제어수단을 이용하여 토출되는 금속섬유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토출된 금속섬유를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금속섬유를 압착하여 적층하는 적층단계; 상기 경로변경수단을 이용하여 적층된 금속섬유의 이송경로를 수평으로 제어하는 이송경로결정단계; 상기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금속섬유가 적층되어 형성된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수평이송하면서 냉각하는 냉각단계; 및, 냉각된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융된 금속판재의 단부를 다수 개의 날이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어 회전하는 회전디스크에 접촉시켜 금속섬유를 토출하는 금속섬유 제조장치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금속섬유가 토출되는 방향의 전방에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형성된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이송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를 통과하면서 형성된 금속섬유 부직포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경로변경수단;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의 간격, 진동주기, 진폭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롤러제어수단; 및, 상기 금속섬유 제조장치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온도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금속섬유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금속섬유를 토출시키는 단계; 상기 온도제어수단을 이용하여 토출되는 금속섬유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토출된 금속섬유를 회전하는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금속섬유를 압착하여 적층하는 적층단계; 상기 하부롤러에 적층된 금속섬유가 감기도록 상기 경로변경수단을 이용하여 적층된 금속섬유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이송경로결정단계; 상기 하부롤러에 적층된 금속섬유가 반복적으로 감기도록 하여 파이프 형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형성하는 파이프성형단계; 상기 하부롤러에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냉각하는 냉각단계; 및, 냉각된 파이프 형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상기 하부롤러에서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자세히 살펴본다.
(1) 도1에는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과정이 개략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용융된 금속판재의 단부를 다수 개의 날이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어 회전하는 회전디스크(11)에 접촉시켜 금속섬유를 토출하는 금속섬유 제조장치 (100)와 결합되어 사용된다.
금속섬유 제조장치(100)는 프레임(10), 회전디스크(11) 및 유도코일(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도코일(12)에 의하여 용융된 금속판재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디스크(11)에 접촉하여 금속섬유가 토출된다.
이와 같이 금속섬유 제조장치(100)로부터 토출되는 금속섬유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장치(200)를 통과하게 된다.
금속섬유가 토출되는 방향의 전방에는 상부롤러(211)와 하부롤러(212)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210)가 구비되어 있어, 토출된 금속섬유가 상부롤러(211)와 하부롤러(212)에 충돌한 후 이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어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가 성형된다.
한 쌍의 회전롤러(210) 사이를 통과하면서 형성된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는 포장작업이나 보관을 위하여 이송수단(230)에 의하여 다른 장소로 이송된다.
이송수단(230)은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이송롤러가 배열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으며, 첨부도면에는 구체적인 기재가 생략되어 있으나 이송벨트가 구비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210)와 상기 이송수단(2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210)를 통과하면서 형성된 금속섬유 부직포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경로변경수단(220)이 구비되어 있다. 경로변경수단(220)에 의하여 금속섬유 부직포의 진행방향이 하부롤러(212)에 되감기도록 제어하는 경우 후술하는 파이프 형상의 금속섬유 부직포가 제조되고(도2 참조), 금속섬유 부직포의 진행방향을 변경하 지 않는 경우에는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가 제조되어 이송수단(230)에 의하여 다른장소로 이송된다.(도1 참조)
경로변경수단(22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이 가능한 가이드베인을 한 쌍의 회전롤러(210)의 축방향과 나란히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가이드베인을 회동시켜 한 쌍의 회전롤러(210)를 통과한 금속섬유 부직포의 진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온도제어수단(250)은 간단한 전기저항 발열체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토출되는 금속섬유 이동경로의 온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210)의 간격, 진동주기, 진폭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롤러제어수단(240)이 더 구비된다.
롤러제어수단(24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는 그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상부롤러(211) 회전축과 하부롤러(212)의 회전축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공압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 한 쌍의 회전롤러(210)에 진동주기 및 진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롤러(211)의 회전축과 하부롤러(212)의 회전축에 연동하는 캠 및 크랭크축, 상부롤러(211)와 하부롤러(212)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모터 등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섬유 제조장치(100)와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장치(200)를 이용하여 판상의 금속섬유를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ⅰ) 토출단계(s10)
금속섬유 제조장치(100)를 이용하여 금속섬유를 토출시키는 단계로서, 소정 의 두께(통상적으로 2 내지 15㎜)를 가지는 금속판재(20)를 유도코일(12)을 이용하여 소정의 온도(통상적으로 1000 내지 1700℃)로 가영하여 용융하고 금속판재(20)를 하향 이동시켜 용융된 금속판재(20)의 하단부를 소정의 회전속도(통상적으로 3000 내지 5000rpm)로 회전하는 회전디스크에 접촉시켜 금속섬유(통상적으로 직경이 15 내지 500㎛)를 뽑아서 토출시키는 단계이다.
(ⅱ) 가열단계(s20)
토출되는 금속은 순간적으로 냉각되어 응고되는 바 금속섬유의 냉각속도를 조절하여 금속섬유의 완전한 응고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온도제어수단(250)을 이용하여 토출되는 금속섬유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금속섬유의 냉각속도를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한 쌍의 회전롤러(210)에 도달하였을 때 적절한 소결온도에 도달 할 수 있도록 토출되는 금속섬유의 냉각속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ⅲ) 적층단계(s30)
토출된 금속섬유를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롤러(210)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금속섬유를 압착하여 적층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적층단계(s30)는 금속섬유가 3차원적으로 균일한 혼합분포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하부롤러(212) 및 상기 상부롤러(2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조되는 금속섬유 부직포의 두께를 결정하는 간격조절단계(s31), 상기 하부롤러(212) 및 상기 상부롤러(211)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단계(s32) 및, 상기 하부롤러(212) 및 상기 상부롤러(211)의 각각을 상하방향 또는 롤러의 축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진동조절단계(s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간격조절단계(s31), 속도조절단계(s32) 및 진동조절단계(s33)는 상기한 바와 같은 롤러제어수단(240)에 의하여 수행된다.
(ⅳ) 이송경로결정단계(s40)
경로변경수단(220)을 이용하여 적층된 금속섬유의 이송경로를 수평으로 제어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변경수단(220)의 가이드베인을 눕혀 놓는 경우 한 쌍의 회전롤러(210)를 빠져나온 금속섬유 부직포는 자연스럽게 수평방향으로 직진을 하게 된다.
(ⅴ) 냉각단계(s50)
금속섬유가 적층되어 형성된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는 이송수단(230)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냉각되고 응고되어 부직포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ⅵ) 배출단계(s60)
냉각된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로서 완성된 부직포를 장치로부터 탈거하는 단계이다.
(2) 도2에는 파이프 형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과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파이프 형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과정은 일부분을 제외하고는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과정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기재는 생략한다.
(ⅰ) 토출단계(s10)
상기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과정을 참조.
(ⅱ) 가열단계(s20)
상기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과정을 참조.
(ⅲ) 적층단계(s30)
상기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과정을 참조.
(ⅳ) 이송경로결정단계(s40)
하부롤러(212)에 적층된 금속섬유가 감기도록 경로변경수단(220)을 이용하여 적층된 금속섬유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다시 말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변경수단(220)의 가이드베인을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켜 직직하는 적층된 금속섬유의 진행방향을 하부롤러(212)를 향하도록 변경하여 하부롤러(212)에 감기도록 한다.
(ⅴ) 파이프성형단계(s45)
하부롤러(212)에 적층된 금속섬유가 반복적으로 감기도록 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파이프 형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파이프 형상의 내부직경은 하부롤러(212)의 직경에 의하여 결정된다.
(ⅵ) 냉각단계(s55)
하부롤러(212)에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냉각하여 응고시키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냉각단계(s55)를 통하여 파이프 형상의 금속섬유 부직포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ⅶ) 배출단계(s65)
냉각단계(s55)를 거쳐 완성된 파이프 형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상기 하부롤러(212)에서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도3에는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과정과 파이프 형상의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금속섬유 제조장치(100)와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장치(200)를 이용하여 금속섬유의 제조와 부직포 제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속섬유의 제조와 동시에 이를 원재료로 사용하여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금속섬유 제조장치(100)와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장치(20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바, 토출되는 금속섬유를 원재료로 사용하여 금속섬유 부직포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다.
둘째, 금속섬유 부직포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소요 장비 및 제조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토출되는 금속섬유를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롤러(210)에 사이 에 압착하여 부직포를 생산하는 바 제조 공정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소요되는 장비가 간단하고 제조 시간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익스펜디드 메탈과 같이 별도의 구성품이 없어도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금속섬유를 단순히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롤러(210) 사이에 압착하는 방식으로 금속섬유 부직포를 제작하는 바 익스펜디드 메탈과 같은 별도의 구성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Claims (3)

  1. 용융된 금속판재의 단부를 다수 개의 날이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어 회전하는 회전디스크에 접촉시켜 금속섬유를 토출하는 금속섬유 제조장치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금속섬유가 토출되는 방향의 전방에 상부롤러와 하부롤러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형성된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이송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를 통과하면서 형성된 금속섬유 부직포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경로변경수단;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의 간격, 진동주기, 진폭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롤러제어수단; 및,
    상기 금속섬유 제조장치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온도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금속섬유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금속섬유를 토출시키는 토출단계;
    상기 온도제어수단을 이용하여 토출되는 금속섬유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토출된 금속섬유를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금속섬 유를 압착하여 적층하는 적층단계;
    상기 경로변경수단을 이용하여 적층된 금속섬유의 이송경로를 수평으로 제어하는 이송경로결정단계;
    상기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금속섬유가 적층되어 형성된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수평이송하면서 냉각하는 냉각단계; 및,
    냉각된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방법.
  2. 용융된 금속판재의 단부를 다수 개의 날이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어 회전하는 회전디스크에 접촉시켜 금속섬유를 토출하는 금속섬유 제조장치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금속섬유가 토출되는 방향의 전방에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형성된 판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이송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를 통과하면서 형성된 금속섬유 부직포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경로변경수단;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의 간격, 진동주기, 진폭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롤러제어수단; 및,
    상기 금속섬유 제조장치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온도제어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금속섬유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금속섬유를 토출시키는 토출단계;
    상기 온도제어수단을 이용하여 토출되는 금속섬유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토출된 금속섬유를 회전하는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금속섬유를 압착하여 적층하는 적층단계;
    상기 하부롤러에 적층된 금속섬유가 감기도록 상기 경로변경수단을 이용하여 적층된 금속섬유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이송경로결정단계;
    상기 하부롤러에 적층된 금속섬유가 반복적으로 감기도록 하여 파이프 형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형성하는 파이프성형단계;
    상기 하부롤러에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냉각하는 냉각단계; 및,
    냉각된 파이프 형상의 금속섬유 부직포를 상기 하부롤러에서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적층단계는,
    상기 하부롤러 및 상기 상부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단계;
    상기 하부롤러 및 상기 상부롤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단계; 및,
    상기 하부롤러 및 상기 상부롤러의 각각을 상하방향 또는 롤러의 축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진동조절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방법.
KR1020050014907A 2005-02-23 2005-02-23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방법 KR100630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907A KR100630234B1 (ko) 2005-02-23 2005-02-23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907A KR100630234B1 (ko) 2005-02-23 2005-02-23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185A KR20060094185A (ko) 2006-08-29
KR100630234B1 true KR100630234B1 (ko) 2006-09-29

Family

ID=3760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907A KR100630234B1 (ko) 2005-02-23 2005-02-23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2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974B1 (ko) * 2016-04-19 2016-09-08 주식회사 콘크리닉 콘크리트 구조물용 섬유시트 함침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395A (ko) * 1996-12-12 1998-09-15 석창환 비정질 금속섬유 제조장치
KR20010082884A (ko) * 2000-02-22 2001-08-31 박양자 금속섬유 제조장치 및 방법
US6502289B1 (en) * 1999-08-04 2003-01-07 Global Material Technologies, Inc. Composite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20040030832A (ko) * 2001-07-18 2004-04-09 가부시끼가이샤유닉스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장치, 그 제조방법 및 적층알루미늄재의 제조방법
KR20060004337A (ko) * 2004-07-09 2006-01-12 남양노비텍 주식회사 흡음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멜트블로운 부직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395A (ko) * 1996-12-12 1998-09-15 석창환 비정질 금속섬유 제조장치
US6502289B1 (en) * 1999-08-04 2003-01-07 Global Material Technologies, Inc. Composite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20010082884A (ko) * 2000-02-22 2001-08-31 박양자 금속섬유 제조장치 및 방법
KR20040030832A (ko) * 2001-07-18 2004-04-09 가부시끼가이샤유닉스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장치, 그 제조방법 및 적층알루미늄재의 제조방법
KR20060004337A (ko) * 2004-07-09 2006-01-12 남양노비텍 주식회사 흡음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멜트블로운 부직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185A (ko) 2006-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3384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хлопьев от расплава стек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41553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amorphous metal laminations for motors and transformers
JP2019535526A (ja) 連続した帯状の複合材料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KR20190029793A (ko) 멜트 스피닝에 의해 미크론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성 또는 무기성 스트랜드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US7220292B2 (en) Metallic fiber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laminated aluminum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KR100630234B1 (ko) 금속섬유 부직포 제조방법
MXPA05000312A (es) Procedimiento e instalacion de laminacion por colada para el laminado semi-continuo o continuo por medio de la colada de un metal en especial una cuerda de acero la cual al solidificar se puede dividir transversalmente segun se requiera.
EP1515921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ineral wool production using a cascade rotor
EP0297111A1 (en) PROCESS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STRIP OF MINERAL WOOL.
CA256042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polymer fill
US10981218B2 (en) Battery grid continuous casting machine and method
EP08259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man-made vitreous fibre products
US66227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metal fiber
US4982780A (en) Method of producing metal filament and apparatus materializing same
KR20100045383A (ko) 절단 장치
EP2931956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king mineral fibre products
CN206842672U (zh) 一种可熔性薄膜自动铺装机
KR20170109347A (ko) 접착식 적층코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3646627B2 (ja) 鋼板の製造方法
CN103563127B (zh) 电池分离膜用微多孔性膜制造装置、使用其的制膜方法
CN111805864A (zh) 一种空腔用eva高发泡夹网眼铁皮板材生产线及使用方法
KR101804142B1 (ko) 접착식 적층코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6600241B (zh) 一种咪芯用驻极体薄膜表金属层制备装置及工艺
JP2001234207A (ja) 金属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7156955B2 (ja) 局在化欠陥の検出及び除去による鉱物繊維マットの処理機器及び対応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