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114B1 -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114B1
KR100630114B1 KR20040014060A KR20040014060A KR100630114B1 KR 100630114 B1 KR100630114 B1 KR 100630114B1 KR 20040014060 A KR20040014060 A KR 20040014060A KR 20040014060 A KR20040014060 A KR 20040014060A KR 100630114 B1 KR100630114 B1 KR 100630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1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8659A (ko
Inventor
최효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14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114B1/ko
Publication of KR20050088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11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알람 출력을 위한 기준 장소를 설정하는 제1과정, 소정 장소들과 그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맵 데이터 서버로부터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는 제2과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 기반 서버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는 제3과정, 상기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장소와 상기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여 기 설정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와 비교하는 제4과정과, 상기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 미만이면 알람을 출력하는 제5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의 일정 거리 이내에 진입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가 알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설정 장소에 근접했음을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잠이 들어 목적지를 지나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 알람, 위치정보

Description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ALARMING ON ACCESS TO A PLACE APPOINTED BY A USER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맵 데이터 서버에 저장되는 소정 장소들 및 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들의 저장 포맷의 예를 나타낸 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특정 장소 접근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지정한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차량이 날로 증가하면서 현대인들은 버스나 지하철 및 기 차와 같은 교통수단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교통수단은 행선지나 역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녹음해둔 음성이나 육성으로 역명이나 행선지를 안내하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과중한 업무와 스트레스로 인한 피로누적으로 수면부족을 겪고 있는 현대인들은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목적지로 이동하는 중에 잠이 들 때가 많아 역명이나 행선지를 안내하는 방송을 잘 듣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사업상 중요한 약속을 놓치거나, 지하철 마지막차를 타고 이동하다가 내려야 할 곳을 지나치는 문제점도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의 편리성 증대를 위하여 기 설정한 장소에 사용자가 근접하면 사용자에게 설정 장소에 근접했음을 알려주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알람 출력을 위한 기준 장소를 설정하는 제1과정과, 소정 장소들과 그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맵(Map)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는 제2과정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 기반 서버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는 제3과정과, 상기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장소와 상기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여 기 설정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와 비교하는 제4과정과, 상기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 미만이면 알람을 출력하는 제5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 장소들에 대응된 위치 정보들을 저장하고, 소정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 전송 요청을 받으면 그 소정 장소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맵 데이터 서버와,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현재 위치 정보 전송 요청을 받으면 이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된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기반 서버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알람 출력을 위한 기준 장소를 설정한 후, 상기 맵 데이터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한 상기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기반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장소의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상호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상호 거리가 기 설정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 미만이면 알람을 출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알람 출력을 위한 기준 장소를 설정하고, 상기 기준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장소의 위치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인 상호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상호 거리가 미리 저장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 미만이면 알람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와 상기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알람 출력 기준거리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은 위치 기반 서버(100), 이동 통신 단말기(200) 및 맵 데이터 서버(300)를 포함한다.
위치 기반 서버(100)는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여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는 응용시스템 및 서비스를 통칭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한다. 즉, 위치 기반 서비스는 유선 및 무선 이동 통신 환경에서 셀룰러폰(Cellular Phone)이나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위치에 기반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치 기반 서버(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현재 위치 정보 요청을 받으면, 이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된 현재 위치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 다. 이 때 상기 현재 위치 정보는 위도, 경도 값으로 이루어진다.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알람 출력을 위한 기준 장소를 설정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를 맵 데이터 서버(300)에 요청하고, 맵 데이터 서버(300)로부터 상기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한다. 이 때 상기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는 위도, 경도 좌표 값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현재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버(100)에 요청하고, 위치 기반 서버(100)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기준 장소의 위치 정보와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기준 장소의 위치와 이동 통신 단말기(200)현재 위치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상호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상호 거리가 기 설정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 미만이면 알람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상호 거리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을 통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4008698032-pat00001
여기서 D는 상호 거리, 좌표 (Xd , Yd)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 장소의 위치 좌표, 좌표 (Xc , Yc)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좌표를 나타낸다.
상기 알람 출력 기준거리는 500m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알람 출력 기준거리는 시스템에서 설정되지만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상호 거리가 기 설정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를 초과하면 기 설정된 소정 시간(예컨대, 30초)마다 위치 기반 서버(100)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호 거리를 재산출한다.
맵 데이터 서버(300)는 소정 장소들에 대응된 위치 정보들을 저장하고, 소정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 전송 요청을 받으면 그 소정 장소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맵 데이터 서버(300)가 저장하는 위치 정보는 소정 장소들의 이름과 상기 소정 장소들의 이름에 대응된 식별번호와 위도 및 경도 좌표 값으로 이루어진 위치 좌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에서 맵 데이터 서버(300)를 별도로 구현하였으나, 맵 데이터 서버(300)를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내부에 별도의 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맵 데이터 서버에 저장되는 소정 장소들 및 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들의 저장 포맷의 예를 나타낸 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맵 데이터 서버(300)가 관리하는 정보는 장소의 이름, 장소이름에 대응된 식별번호, 장소의 위치를 위도와 경도 좌표 값으로 나타낸 위치 좌표 등이 될 수 있다. 즉, 청량리역은 식별번호가 10이고 이에 대응된 위치좌표는 (x10,y10), 동국대는 식별번호가 20이고 이에 대응된 위치 좌표는 (x20,y20), 부산역은 식별번호가 30이고 이에 대응된 위치 좌표는 (x30,y30)임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키입력부(210), 표시부(220), 메모리부(230), 제어부(240), 무선송수신부(250) 및 음성처리부(26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210)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키,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240)로 출력한다.
표시부(2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메모리부(230)는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23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부(240)가 설정한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와 알람을 출력하기 위한 기준으로 기 설정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를 저장한다. 그리고 메모리부(230)는 위치 기반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는 수신될 때마다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40)는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알람 출력을 위한 기준 장소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상기 설정한 기준 장소의 위치 정보와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맵 데이터 서버(300)와 위치 기반 서버(100)에 각각 요청한다.
제어부(240)는 상기 설정된 기준 장소의 위치와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간의 거리인 상호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상호 거리가 메모리부(230)에 기 저장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 미만이면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상기 상호 거리가 상기 알람 출력 기준거리를 초과하면 기 설정된 소정 시간(예컨대, 30초)마다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호 거리를 재산출한다.
무선송수신부(250)는 RF(Radio Frequency)부로서,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하며, 제어부(24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무선송수신부(250)는 제어부(240)가 요청한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와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음성처리부(260)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송수신부(25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위치 기반 서버(100), 이동 통신 단말기(200) 및 맵 데이터 서버(300)사이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장소에 접근하면 알람을 출력하는 과정을 예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맵 데이터 서버(300)는 소정 장소들의 이름과 상기 소정 장소들의 이름에 대응된 식별번호와 위도 및 경도 좌표 값으로 이루어진 위치 좌표를 포함한 위치 정보들을 저장한다(S10).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 요청이 있으면 이에 응답하여 알람 출력을 위한 기준 장소를 설정한다(S12). 이 때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기준 장소(예컨대, 동국대)를 입력하는데, 상기 기준 장소에 대응된 식별번호(예컨대, 동국대의 식별번호는 20)를 알고 있으면 그 식별번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설정된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를 맵 데이터 서버(300)에 요청한다(S14).
맵 데이터 서버(300)는 이동 통신 단말기(200)가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를 요청하면 요청된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S16). 이 때 맵 데이터 서버(300)에서 검출하는 위치 정보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청된 장소의 위도, 경도 좌표 값으로 이루어진 위치 좌표를 나타낸다.
맵 데이터 서버(300)는 상기 검출한 위치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8).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맵 데이터 서버(300)로부터 상기 요청한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한다(S20). 이어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현재 위치 정보(즉, 현재 위치 좌표)를 위치 기반 서버(100)에 요청한다(S22).
위치 기반 서버(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 요청이 있 으면 그 정보를 산출한다(S24).
위치 기반 서버(100)는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26).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위치 기반 서버(100)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저장된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기준 장소의 위치와의 거리인 상호 거리를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한다(S28).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계산된 상호 거리가 기 설정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예컨대, 500m) 미만인지 검사한다(S30).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상호 거리가 기 설정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 미만이면 알람을 출력한다(S32). 여기서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상호 거리가 기 설정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를 초과하면 기 설정된 소정 시간(예컨대, 30초 정도)마다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버(100)에 요청하는 과정(S22)으로 복귀한다. 이어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과정(S22)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목적지의 일정 거리 이내에 진입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가 알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설정 장소에 근접했음을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에 근접하면 알람을 통해 목적지에 근접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때문에 교통수단을 이용한 이동 업무가 많은 사용자가 잠이 들어 목적지를 지나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알람 출력을 위한 기준 장소를 설정하는 제1과정과,
    소정 장소들과 그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맵(Map)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는 제2과정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 기반 서버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는 제3과정과,
    상기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장소와 상기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여 기 설정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와 비교하는 제4과정과,
    상기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 미만이면 알람을 출력하는 제5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를 초과하면 기 설정된 소정 시간마다 상기 제3과정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6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은
    상기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도, 경도 좌표 값을 위치 정보로 수신하여 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3과정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된 위도, 경도 좌표 값을 현재 위치 정보로 수신하여 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방법.
  5. 소정 장소들에 대응된 위치 정보들을 저장하고, 소정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 전송 요청을 받으면 그 소정 장소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맵 데이터 서버와,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현재 위치 정보 전송 요청을 받으면 이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된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기반 서버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알람 출력을 위한 기준 장소를 설정한 후, 상기 맵 데이터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한 상기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기반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장소의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상호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상호 거리가 기 설정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 미만이면 알람을 출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맵 데이터 서버는
    소정 장소들의 이름과 상기 소정 장소들의 이름에 대응된 식별번호와 위도 및 경도 좌표 값으로 이루어진 위치 좌표를 포함한 위치 정보들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버는
    위도, 경도 좌표 값으로 이루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상호 거리가 기 설정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를 초과하면 기 설정된 소정 시간마다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호 거리를 재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
  9.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알람 출력을 위한 기준 장소를 설정하고, 상기 기준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장소의 위치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인 상호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상호 거리가 미리 저장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 미만이면 알람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치 정보와 상기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알람 출력 기준거리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기준 장소에 대응된 위도, 경도 좌표 값을 위치 정보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된 위도, 경도 좌표 값을 현재 위치 정보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호 거리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알람 출력 기준거리를 초과하면 기 설정된 소정 시간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호 거리를 재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40014060A 2004-03-02 2004-03-02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30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4060A KR100630114B1 (ko) 2004-03-02 2004-03-02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4060A KR100630114B1 (ko) 2004-03-02 2004-03-02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659A KR20050088659A (ko) 2005-09-07
KR100630114B1 true KR100630114B1 (ko) 2006-09-27

Family

ID=3727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14060A KR100630114B1 (ko) 2004-03-02 2004-03-02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1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659A (ko)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42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management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757744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772970B1 (ko) 차량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기
US20040248586A1 (en) Location markers on mobile devices
US7006835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JP2010271924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用プログラム
US8150389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response message transmitting method
JPWO2006051750A1 (ja) 位置表示システム
KR20050098557A (ko)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JP4633544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6243949A (ja) メール自動送信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メール自動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49502A (ja) 位置通知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JP2008227717A (ja) 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到着情報通知システム
KR100630114B1 (ko) 사용자 지정 장소에 대한 접근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JP5249516B2 (ja) 情報処理装置、連絡先選択方法、及び連絡選択プログラム
JP4004986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956027B1 (ko) 메시지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JP2011137757A (ja) 移動通信装置及び自動送信方法並びに自動送信プログラム
KR2006012139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차량 정보 전송 방법과 장치 및시스템
JP5743180B2 (ja) 通信端末、その制御プログラム、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共有方法
JP2004282301A (ja) 現在位置検出システム
KR20060134268A (ko) 승객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20014060A (ko) 위치정보 및 응급콜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070001298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지피에스를 이용한 교통 정보 알림방법 및 장치
JPH08275241A (ja) 携帯端末、基地局、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携帯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