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758B1 -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758B1
KR100629758B1 KR1020050077611A KR20050077611A KR100629758B1 KR 100629758 B1 KR100629758 B1 KR 100629758B1 KR 1020050077611 A KR1020050077611 A KR 1020050077611A KR 20050077611 A KR20050077611 A KR 20050077611A KR 100629758 B1 KR100629758 B1 KR 100629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exercise
central shaft
shaft portion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846A (ko
Inventor
유철
Original Assignee
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 filed Critical 유철
Publication of KR2006010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by torsion of the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가장 핵심구성은 회전 작동부(10)이다. 회전 작동부(10)는 회전 프레임(13)상에 양발의 회전축부(12)와 중심축부(11)가 마련되어있고, 중심축부(11)는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의 중심축공(21)에 삽입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성이다. 양발이 회전축부(12)의 회전에 의하여 자유롭게 다리의 꼬임이 일어나면서 동시에 회전된 하부허리와 고정된 상부허리사이에 꼬임이 일어난다. 이 꼬임이 바로 허리운동이다.
양 발판의 회전축부와 중심축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허리하부의 꼬임현상이 힘들이지 않고 쉽게 일어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짧은 운동시간만으로도 허리와 복부의 근육이 충분하게 운동되었다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고, 운동시간이 짧아 지루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뿐 아니라 재미가 있어 수시로 운동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
회전 작동부, 중심축부, 회전축부, 회전프레임, 허리운동

Description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A athletic apparatus for taking intensively exercise of the waist and abdomen}
도1 본 발명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2 본 발명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3 본 발명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다리의 꼬임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4 본 발명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다리의 꼬임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5 본 발명 운동기구의 분해사시도
도6 본 발명 회전작동부의 중심축부 및 회전축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7 본 발명 세로방향 지지프레임과 브레이크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도
도8 본 발명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9 본 발명 수직방향 지지프레임이 절첩되는 부위를 보인 상태도
도10 본 발명 수직방향 지지프레임이 절첩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본 발명은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짧은 운동시간만으로도 허리와 복부의 근육이 충분하게 운동되었다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고, 여기에다 운동시간이 짧아 지루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뿐 아니라 재미가 있어 텔레비전을 보다가도 혹은 설거지를 하다가도 수시로 운동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그러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우리주변에는 날씬한 허리와 복부를 원하지 않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여기에 관심이 많다.
이를 위해서 등산을 한다거나 헬스클럽에 간다거나 하는 사람이 아주 많아졌다.
그런데 문제는 얼마나 지속적으로 꾸준히 할 수 있는데 있다.
몸에 유익하다고 하면 처음에는 하기 싫어도 억지로라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운동이 아무리 몸에 유익하다 할지라도 유익하다는 것만으로는 그 한계가 있다는 것을 경험에 의하여 알 수 있다.
운동자체가 재미있어야한다.
운동자체가 재미있으면 운동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에서 자유로워지기 때문이다. 재미가 없다면 꾸준히 운동하기가 쉽지 않다.
몸에 유익하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재미가 없는 첫 번째 이유를 든다면 운동시간이 많아야 몸에 유익하다는 고정관념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많은 운동시간을 투입한다하더라도 과연 원하는 만큼 유익함이 있는지 에 대한 의 구심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구자는 이 점에 착안하여 짧은 운동시간으로도 몸과 마음이 상쾌해지고, 다시 운동하고 싶은 마음이 들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운동하는 횟수가 반복되면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허리와 복부에 변화가 일어남을 느끼게 되는 운동기구를 창안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동시간이 극히 짧으면서도 허리와 복부운동이 충분함을 느낄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제 허리와 복부에 날씬한 변화가 일어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운동시간이 극히 짧으면서도 허리와 복부가 변화되어가는 모습에 재미가 생겨 집안에 설치된 경우에는 틈만 있으면 수시로 운동기구 앞에 서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종래기술의 운동기구와 유사하다.
이를 개량한 것이기 때문이다.
종래 운동기구는 좌우회전에 의하여 허리를 운동시켜주는 운동기구로 알려져 있다. 종래 운동기구에 대한 문제점을 허리운동의 관점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 운동기구는 양팔로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양발바닥이 놓여있는 회전판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조이다. 회전축은 회전판의 한가운데 위치해있다. 회전판의 좌우회전은 회전력에 의하여 주어진다. 그런데 양발바닥의 힘으로는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회전판의 회전축이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회전판에 서서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힘은 어디서 얻어지는 것일까?
우리는 회전판위에 서서 양팔로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회전판을 회전시키면서 운동을 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때 회전판이 좌우로 회전되는 작용상태를 관찰해보면, 회전력은 손잡이를 잡고 있는 양팔에 의하여 주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회전판의 회전축은 이 힘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동작되고 있을 뿐이다. 회전력이 이와 같다면 몸 전체가 회전판과 함께 회전될 수밖에 없다. 몸 전체가 회전판과 함께 회전된다는 것은 발바닥에서부터 어깨부분에 이르기까지 같은 방향을 유지하면서 회전된다는 것을 뜻한다.
허리를 기준으로 이를 다시 말하면 허리상부와 허리하부에 꼬임이 전혀 없는 회전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허리상부와 하부라는 말은 허리를 기준으로 한 것이지만 사실 허리의 정확한 위치를 말한다기보다 허리운동이라는 관점에서 설명의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허리의 정확한 위치는 허리운동을 설명하는데 별로 중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허리의 운동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허리의 운동은 허리하부나 허리상부 중 어느 하나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야하고 그 나머지가 좌우로 회전되어야 허리운동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허리하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허리상부를 좌우로 회전하는 것이 소위 우리가 말하는 몸통운동이다.
몸통운동과는 반대로 허리상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허리하부를 좌우로 회전하게 되더라도 마찬가지 결과를 가져온다.
종래기술의 운동기구를 이와 같은 관점에 비춰보면, 허리상부도 하부도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허리의 꼬임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허리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것은 경험에 의하여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허리운동이 일어나지 않는 근본적인 문제점은 어디에 있는 것인가?
그것은 바로 운동기구의 구조에 있다.
즉 양발은 회전판위에 얹혀진 상태이고 회전은 회전판의 중앙에 있는 하나의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허리하부를 회전시키게 되면 허리하부를 따라 허리상부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허리 상ㆍ하부가 동시에 같이 회전하므로 허리의 꼬임이 이루어지질 않는다.
허리하부의 회전은 양발의 자유로운 회전운동에 의하여 주어지는 것인데 양발이 얹혀진 회전판의 회전만 있는 구조에서는 양발의 회전이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운동기구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한 것이다.
허리운동은 허리상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허리하부가 회전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본 발명을 착안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전제를 만족하기위한 회전판의 구조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요건이 충족되어야한다.
첫째, 상부허리와 하부허리가 꼬여지는 구조이어야 한다.
상부허리와 하부허리가 꼬여지기 위해서는 양발의 회전이 자유로워야한다.
둘째, 허리의 꼬임이 집중적으로 일어나도록 하는 구조이어야 한다.
첫째 요건을 만족하기위해서는 상부허리는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아야하고, 하부허리가 움직이는 형태이어야 한다. 여기서 허리라 함은 우리의 신체부위의 일부로서 어디라고 정확히 말할 수는 없지만 그 위치가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 정확한 위치를 기준으로 편의상 하부허리는 양다리와 연결되어있는 부분을 말하며, 상부허리는 가슴ㆍ어깨와 연결되어있는 부분을 말한다.
상부허리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부허리만 움직이는 형태가 되려면 양다리가 X자 형태로 꼬아져야 한다. 양다리가 X자 형태로 꼬아지게 되면 고정되어있는 상부허리와 꼬아지는 하부허리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허리근육이 스트렛칭되어 허리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둘째 요건을 만족하기위해서는 양다리의 X자 형태의 꼬아짐이 깊어야한다.
양 발과의 거리가 길수록 그 꼬아짐이 깊어진다. 허리의 꼬임이 집중적으로 일어나게 됨으로써 짧은 시간의 운동일지라도 허리운동을 많이 한 느낌이 드는 것은 물론이고, 실제 그 운동량도 많아 운동으로부터 오는 상쾌한 기분도 느끼게 된다.
두 가지 요건을 한마디로 말한다면 양발의 회전이 자유로워야 한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양발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려면 종래의 하나의 회전축과는 달리 양발의 각각에 회전축이 있어야한다. 양발의 회전축에 의하여 다리의 꼬임을 자유롭게 하여 하부허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다. 회전된 하부허리와 고정된 상부허리사이에 꼬임이 일어난다. 이 꼬임이 바로 여기서 말하는 허리운동의 메카니즘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허리운동의 메카니즘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 운동기구(1)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허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 회전 작동부(10)이다.
회전 작동부(10)는 본 발명의 가장 핵심구성이다. 회전 작동부(10)는 회전 프레임(13)상에 양발의 회전축부(12)와 중심축부(11)가 마련되어있다. 중심축부(11)는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의 중심축공(21)에 삽입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회전 작동부(10)가 회동되는 구성이라면 운동기구(1)가 가정용으로 만들어졌건 공공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중용으로 만들어졌건 간에 이들 모두에 다 적용된다.
회전 작동부(10)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 작동부(10)는 양발의 회전이 자유롭게 하기위하여 회전 프레임(13)의 양측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오른발 회전축부(12)와 왼발 회전축부(12)를 구성하였다.
회전 프레임(13)의 중앙에는 중심축부(11)를 구성하였다. 중심축부(11)는 세 로방향지지프레임(20)의 중심축 공(21)에 삽입되고, 이를 중심으로 중심축부(11)가 회전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중심축 공(21)에 삽입된 중심축부(11)에 의하여 회전 프레임(13)이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 상에서 회전하고 있는 것이다.
중심축부(11)는 중심축(110)과 베아링 집(115)으로 구성되어있다. 중심축(110)은 상부에 플랜지(111)와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하부는 나선(112a)이 형성되어있다. 중심축(110)의 플랜지(111)는 회전 프레임(13)하단부와 고정되고 중심축(110)은 트러스트 베아링(113)과 볼 베아링(114)이 삽입된 베아링 집(115)을 관통하여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의 중심축 공(21)에 삽입되면서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의 하단에서 브레이크(24)와 고정되는 구성이다.
양 발판(14)(14)의 회전축부(12)는 회전 프레임(13)에 형성된 회전축공(130)과, 이에 삽입되는 회전축(120)과, 회전축(12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121)와 그 하부에 나선(122)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20)의 플랜지(121)는 양발판(14)(14)과 체결고정 되고 회전축(120)은 트러스트 베아링(123)과 볼 베아링(124)이 삽입된 베아링 집(125)을 관통하여 회전 프레임(13)에 고정되어있다.
중심축부(11)나 양 발판(14)(14)의 회전축부(12)의 기능이나 역할뿐 아니라 그 세부구성도 거의 동일하다. 베아링 집(115)(125)에 트러스트 베아링(113)(123)과 볼 베아링(114)(124) 등을 삽입한 구성은 회전의 유연성과 원활을 위해서다.
중심축(110)이 브레이크(24)의 중앙에 삽입되어있는데 이는 중심축(110)의 회전을 억제하기위한 것이다. 운동기구에 올라가거나 내려올 때 몸의 균형을 잃게 되면 크게 다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기위하여 브레이크(24)를 중심축부(11)와 함께 형성한 것이다.
또한 가로방향지지프레임(30)을 양측에 두고 그 중앙 위치에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을 고정하였다. 가로방향지지프레임(30)과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이 만나는 지점인 절첩부에서 수직으로 선 수직방향지지프레임(40)을 설치하였고, 그 상단에는 균형 유지대(50)를 수평상으로 설치하면서 그 양단에는 손잡이(51)(51)를 설치하였다. 손잡이 일측에 브레이크 손잡이(52)를 설치하고 브레이크 연결강선(243)이 브레이크(24)까지 연결되어있다. 절첩부는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에 홈을 파서 경첩(43)회동이 가능하게 하여 보관 및 운반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사용시에는 수직방향지지프레임(40)을 수직으로 회동시켜 세워놓고 고정 금구(41)을 맞대고 고정볼트(411)로 견고하게 고정시키면 된다. 이를 보관 및 운반할 때는 그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고정금구(41)를 해체하여 경첩(43)의 회전에 의하여 수직방향지지프레임(40)을 세로 방향지지프레임(20)위에 눕혀놓을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가로방향지지프레임(30)의 양측에 수평조정나사(31)를 설치하였다. 이는 운동기구의 수평적인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미 설명부호 22는 브레이크 디스크, 23은 체결너트, 41a는 가로방향지지프레임 지지판, 41b는 세로방향지지프레임 지지판, 112b는 스 X링 홀, 116은 볼베어링, 117은 스 X링, 118은 고정볼트, 119는 고정볼트, 126은 볼베어링, 127은 스 X링, 128은 고정볼트, 141은 고정볼트, 241은 라이닝, 242는 고정볼트, 421은 고정볼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운동기구(1)의 작용에 따른 허리운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레이크 손잡이(52)로 회전 작동부(10)의 중심축부(11)의 회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양 발판(14)(14)으로 올라간다. 균형 유지대의 손잡이(51)를 잡은 상태에서 도3에서와 같이 양 발판(14)(14)에 올라선 상태에서 두 다리를 X자 형상이 되게 하면 양 발판(14)(14)의 회전축부(12)가 이에 대응하여 회전되고 동시에 중심축부(12)도 세로방향지지프레임(12) 위에서 회전된다. 허리상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두 다리에 의하여 X자 형상으로 허리하부의 꼬임임을 일으킨 것이다. 바로 이 현상이 본 발명이 추구하는 허리운동인 것이다.
양 발판(14)(14)의 회전축부(12)의 회전은 두 다리에 의한 X자 형상의 꼬임을 유도하는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회전이라면 중심축부(11)의 회전은 X자 형상의 꼬임에 의한 허리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회전이라 할 수 있다.
만약 양 발판(14)(14)의 회전축부(12)의 회전만 있고 중심축부(11)의 회전이 없다면 두 다리에 의한 X자 형상의 강한 꼬임으로 인하여 허리를 심하게 다칠 위험이 있다. 허리를 보호해주기위해서나 허리운동의 원활을 위해서 중심축부(11)의 회전은 필요하다.
양 발판(14)(14)의 회전축부(12)와 중심축부(11)의 구조적인 상승작용에 의하여 회전이 너무 유연하게 잘 일어나는 구조이므로 양 발판(14)(14)에 서있기만 해도 양 발판(14)(14)에 가해지는 하중의 작은 편심에 의해서도 두 다리의 X자 형 상의 꼬임이 일어날 정도이다. 그 결과 두 다리를 X자 형상으로 꼬이게 하려는 노력 없이도 쉽게 이러한 형상이 일어나게 되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운동을 마치고 내려올 때에도 브레이크 손잡이(52)에 의하여 회전 작동부(10)의 중심축부(11)의 회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안전하게 내려오면 된다.
그러나 몸의 균형을 잘 잡을 수 있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브레이크(24)의 구성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노약자나 어린이를 보호하기위한 것이다.
회전 작동부의 간단한 구조, 즉 양 발판의 회전축부와 중심축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허리하부의 꼬임현상이 힘들이지 않고 쉽게 일어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짧은 운동시간만으로도 허리와 복부의 근육이 충분하게 운동되었다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고, 운동시간이 짧아 지루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뿐 아니라 재미가 있어 수시로 운동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허리와 복부를 운동시켜주게 되므로 허리와 복부의 감량이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수직방향지지프레임(40)과 손잡이(51)가 구비되고,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 상에서 회전이 가능한 회전 작동부(10)를 설치하되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에 중심축공(21)을 형성하고 이에 회전 작동부(10)의 중심축부(11)를 삽입고정하며, 중심축(110)과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111)을 회전 작동부(10)의 회전프레임(13)의 중앙하단에 체결고정하고 회전프레임(13)의 양단에는 양 발판(14)(14)이 회전 가능한 회전축부(12)를 형성된 허리운동기구에 있어서 회전 작동부(10)의 중심축부(11)와 회전축부(12)에 트러스트 베아링(113)과 볼 베아링(114)을 베아링 집(115)에 삽입하고, 중심축부(11)의 나선(112a)에 브레이크 디스크(22)을 개재하여 체결너트(23)에 의하여 체결되면서 라이닝(241)에 삽입하며,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에 홈을 파서 경첩(43)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고정금구(41)와 고정볼트(411)에 의하여 절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
  5. 삭제
  6. 삭제
KR1020050077611A 2005-03-21 2005-08-24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 KR100629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3283 2005-03-21
KR1020050023283 2005-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846A KR20060101846A (ko) 2006-09-26
KR100629758B1 true KR100629758B1 (ko) 2006-09-28

Family

ID=3763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611A KR100629758B1 (ko) 2005-03-21 2005-08-24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7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8013423U1 (de) * 2008-10-10 2009-03-19 Reck, Anton Trainingsgerät
KR200473139Y1 (ko) * 2012-08-16 2014-06-12 유치어 헬쓰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트위스팅 및 슬라이딩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846A (ko) 200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06236A1 (en) Push-up exercise apparatus
KR20120005874A (ko) 쳇바퀴형 런닝머신
KR101345163B1 (ko) 절첩식 다목적 공중걷기 운동기구
JP6342466B2 (ja) ウエストツイスター健康器具
KR100629758B1 (ko)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
RU104472U1 (ru) Тренировоч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брюа" для развития гибкости суставов и выполнения пластичных этюдов и публичных выступлений в жанрах "каучук" и "клишник"
CN106039636B (zh) 户外健身器材
US2550992A (en) Exercising chair
KR20100075809A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KR101827253B1 (ko) 다기능 복합운동기구
US20190038034A1 (en) Fitness stool
US20060094571A1 (en) Mechanical weightlifting machine
US20180126215A1 (en) Portable foldable exercise device
KR200497609Y1 (ko) 조절 가능한 덤벨 구조
KR200374873Y1 (ko) 종합 헬스기
KR20190013055A (ko) 바벨운동 보조장치가 구비된 복합 헬스 기구
KR200466305Y1 (ko) 회전형 운동기구
WO2021077629A1 (zh) 一种组合式收腹踏步机
CN206934597U (zh) 结合按摩器的多功能健身机
KR200421999Y1 (ko)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CN115316783B (zh) 带健身杆的电动升降桌
KR101739685B1 (ko) 복합운동 헬스자전거
CN217489666U (zh) 一种侧腰健身训练器
CN209437969U (zh) 一种美腰美腿机
KR101481598B1 (ko) 강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야외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